KR20110089018A -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 Google Patents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018A
KR20110089018A KR1020100008804A KR20100008804A KR20110089018A KR 20110089018 A KR20110089018 A KR 20110089018A KR 1020100008804 A KR1020100008804 A KR 1020100008804A KR 20100008804 A KR20100008804 A KR 20100008804A KR 20110089018 A KR20110089018 A KR 2011008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ody
antenna
card
wireless data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222B1 (ko
Inventor
김정환
육수정
윤성준
이상엽
정창진
최범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0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222B1/ko
Priority to US12/885,398 priority patent/US20110187623A1/en
Priority to EP11150535.0A priority patent/EP2360783A3/en
Priority to CN2011100060085A priority patent/CN102143609A/zh
Publication of KR2011008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7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associated to expansion card or bus, e.g. in PCMCIA, PC cards, Wireless U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MIMO 환경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를 개시한다.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는 카드 본체를 구비한다. USB 커넥터는 카드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접속된다. 안테나부는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미사용시 카드 본체에 접혀있다가 사용시 카드 본체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서로 멀어짐과 동시에 USB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도록 카드 본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 효율이 향상되고, 안정된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어, 페이딩 현상이 개선되고, 음영 지역에서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USB type wireless data card}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TE(Long Term Evolution)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MIMO(multi-in multi-out) 환경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뎀이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핵심 장치 중 하나로서, 음성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RF 대역의 신호로 변복조하여 송수신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러한 모뎀이 내장된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를 무선 데이터 카드라고 일컫는다.
무선 데이터 카드는 휴대폰과 같이 WCDMA 또는 CDMA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 카드는 휴대폰 사용이 가능한 곳에서는 어디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무선 데이터 카드는 노트북 등과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USB 타입의 카드, Express 카드, PCMCIA 카드 및 MiniPCI 카드로 나눠진다. 무선 데이터 카드는 처음에는 PCMCIA 카드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PCMCIA 카드는 사이즈가 큰데다 노트북 슬롯에 꽂아 쓰기도 번거롭고, 휴대하기도 불편했다. 최근에는, 노트북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USB 포트에 언제든지 꽂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사이즈도 작고 가벼워서 휴대하기도 용이한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무선 통신의 용량을 높이기 위해, MIMO(multi-in multi-out: 다중입출력)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MIMO는 기지국과 단말기에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된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용량을 높이는 기술이다. 이러한 MIMO 환경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무선 데이터 카드도 다수의 안테나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데이터 카드(10)는, 노트북(1)의 USB 포트(2)에 접속되는 USB 커넥터(11)로부터 먼 쪽에 제1 안테나(12)가 고정되고, USB 커넥터(11)에 가까운 쪽에 제2 안테나(13)가 고정된 구조를 갖는 예가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10)가 노트북(1)에 장착된 상태에서, 노트북(1)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2 안테나(13)의 방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2 안테나(13)를 제1 안테나(12) 쪽으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지만, 제2 안테나(13)가 제1 안테나(12) 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무선 데이터 카드(10)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 효율을 향상하고 안정된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하여 페이딩(fading) 현상을 개선하고 음영 지역(shadow area)에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는,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접속되는 USB 커넥터; 및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미사용시 상기 카드 본체에 접혀있다가 사용시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서로 멀어짐과 동시에 상기 USB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설치된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카드의 사용시 제1,2 안테나를 USB 커넥터로부터 멀리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에서 유기되는 노이즈 또는 USB 포트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로부터 최대한 회피시켜 방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카드의 사용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간격을 넓힐 수 있으므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페이딩 현상이 개선되고, 음영 지역에서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평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로부터 양 옆으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한 후 90도 회전하여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제1,2 안테나 실장부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의 양 옆으로 각각 2단으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에 있어서, 제1,2 안테나 사이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로부터 양 옆으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100)는, 카드 본체(110)와, USB 커넥터(120), 및 안테나부(130)를 포함한다. 카드 본체(110)는 무선 데이터 카드(100)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등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한다.
USB 커넥터(120)는 카드 본체(110)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카드 본체(110) 내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USB 커넥터(120)는 전자기기, 예컨대 노트북의 USB 포트에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USB 커넥터(120)는 노트북에 접속된 상태에서, 카드 본체(110)와 노트북 간에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USB 커넥터(120)는 카드 본체(110)의 커넥터 수용 홈(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카드 본체(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SB 커넥터(120)는 미사용시 커넥터 수용 홈(111)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무선 데이터 카드(100) 전체가 보다 콤팩트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카드(100)를 편리하게 휴대 또는 수납할 수 있다.
안테나부(130)는 제1,2 안테나(131)(132)를 포함한다. 제1,2 안테나(131)(132)는 MIMO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안테나부(130)는 제1,2 안테나(131)(132)가 미사용시 카드 본체(110)에 접혀있다가, 사용시 카드 본체(110)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서로 멀어짐과 동시에 USB 커넥터(120)로부터 멀어지도록 카드 본체(110)에 설치된다.
예컨대, 안테나부(130)는 제1 안테나(131)를 실장하는 제1 안테나 실장부(133)와, 제2 안테나(132)를 실장하는 제2 안테나 실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는 카드 본체(110)의 양측에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카드 본체(110)에 수납되거나 카드 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카드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는 카드 본체(110)와의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은 통상적인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는 무선 데이터 카드(100)의 미사용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100) 전체가 콤팩트한 상태로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카드(100)를 편리하게 휴대하거나 수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카드(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를 카드 본체(110)의 양 옆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카드 본체(110)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러면, 제1,2 안테나(131)(132)는 USB 커넥터(120)로부터 각각 멀어져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안테나(131)(132)는 노트북에서 유기되는 노이즈(noise) 또는 노트북의 USB 포트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로부터 최대한 회피되어 방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는 카드 본체(110)의 양 옆으로 돌출함에 따라,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가 서로 멀어져 간격이 넓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100)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데이터 카드(10)에 비해, 페이딩(fading) 현상이 개선되고, 음영 지역(shadow area)에서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무선 데이터 카드(100)에서, 사용자는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를 집어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돌출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100)는 사용자가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에 외력을 가하면 자동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데이터 카드(100)는 자동 돌출기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돌출기구(140)는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를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잠금 처리하고, 잠금 처리된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에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 처리를 해제함과 동시에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를 자동 돌출시킨다.
자동 돌출기구(140)는 잠금해제부(141)와 탄성체(146)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해제부(141)는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를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잠금 처리하고, 잠금 처리된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에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 처리를 해제한다. 탄성체(146)는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가 잠금 처리된 상태에서 해제되면 자동으로 돌출하도록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에 돌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체(146)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압축스프링은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가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있다가,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의 잠금 처리가 해제되면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제1,2 안테나 실장부(133)(134)가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잠금해제부(141)는 지지대(142)와 홀더(14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해제부(141)가 제1 안테나 실장부(133)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42)는 일단부가 제1 안테나 실장부(133)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홀더(143)와 결합 또는 결합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후크가 형성된다. 홀더(143)는 제1 안테나 실장부(133)가 카드 본체(110)에 수납될 때 후크와 결합하고, 수납된 제1 안테나 실장부(133)에 외력을 가하면 후크와 결합된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홀더(143)에는 지지대(142)의 후크와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43)는 후크를 통해 힘을 받았다가 해제되면 결합 홈이 벌어졌다가 오므라들면서 후크와 결합하며, 이 상태에서 후크를 통해 다시 힘을 받으면 결합 홈이 벌어지면서 결합 홈에 결합된 후크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후크와 홀더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통상적인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한 후 90도 회전하여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제1,2 안테나 실장부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200)의 안테나부(230)에서,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는 USB 커넥터(120)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제1,2 안테나(131)(132)를 각각 실장한다. 그리고,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는 카드 본체(110)에서 USB 커넥터(120)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한 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카드 본체(110)로부터 양 옆으로 각각 90도 회전하도록 카드 본체(11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에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본체(110)에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는 무선 데이터 카드(200)의 미사용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카드(2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를 카드 본체(110)에서 USB 커넥터(120)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돌출시킨 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카드 본체(110)로부터 양 옆으로 각각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2 안테나(131)(132)는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에서 USB 커넥터(120)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각각 실장되어 있으므로, USB 커넥터(120)로부터 각각 멀어짐과 아울러, 최대한 서로 멀어져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2 안테나(131)(132)의 방사 효율이 높아질 수 있고,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무선 데이터 카드(200)에서, 사용자는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를 집어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돌출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200)는 사용자가 카드 본체(110)에 수납된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에 외력을 가하면 자동으로 각각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동 돌출된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를 집어서,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의 회전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카드 본체(110)의 양 옆으로 각각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2 안테나 실장부(233)(234)의 자동 돌출을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200)는 자동 돌출기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돌출기구(2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자동 돌출기구(14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의 양 옆으로 각각 2단으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300)의 안테나부(330)에서, 제1 안테나 실장부(333)는 카드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2 안테나 실장부(334)는 카드 본체(110)의 후면에 설치된다. 제1 안테나 실장부(333)는 카드 본체(110)의 전면으로부터 한쪽 옆으로 2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돌출하도록 카드 본체(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안테나 실장부(333)는 카드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제1 안테나(131)를 실장한다. 예컨대, 제1 안테나 실장부(333)는 1단 돌출부(333a)와 2단 돌출부(33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단 돌출부(333a)는 카드 본체(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2단 돌출부(333b)는 1단 돌출부(333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2단 돌출부(333b)는 제1 안테나(131)를 실장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실장부(334)는 카드 본체(110)의 후면으로부터 제1 안테나 실장부(333)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2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돌출하도록 카드 본체(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안테나 실장부(334)는 카드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제2 안테나(132)를 실장한다. 제2 안테나 실장부(334)도 제1 안테나 실장부(333)와 동일한 구조로서, 1단 돌출부(334a)와 2단 돌출부(334b)를 포함하며, 2단 돌출부(334b)가 제2 안테나(132)를 실장할 수 있다.
제1,2 안테나 실장부(333)(334)는 무선 데이터 카드(300)의 미사용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본체(110)에 접혀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카드(3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안테나 실장부(333)(334)를 카드 본체(110)의 양 옆으로 각각 2단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돌출시킨다. 그러면, 제1,2 안테나(131)(132)는 USB 커넥터(120)로부터 각각 멀어짐과 아울러, 최대한 서로 멀어져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2 안테나(131)(132)의 방사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고,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도 더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제3 실시예의 무선 데이터 카드(300)에서, 사용자는 카드 본체(110)에 접혀 있는 제1,2 안테나 실장부(333)(334)를 밀어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돌출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300)는 사용자가 카드 본체(110)에 접혀 있는 제1,2 안테나 실장부(333)(334)에 외력을 가하면 자동으로 각각 2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300)는 자동 돌출기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돌출기구(3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자동 돌출기구(14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돌출기구(340)는 카드 본체(110)와 1단 돌출부(333a)(334a) 사이와 1단 돌출부(333a)(334a)와 2단 돌출부(333b)(334b)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사용시 제1,2 안테나가 카드 본체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400)의 안테나부(430)에서, 제1 안테나 실장부(433)는 카드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2 안테나 실장부(434)는 카드 본체(110)의 후면에 설치된다.
제1 안테나 실장부(433)는 카드 본체(110)의 전면으로부터 USB 커넥터(120)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의 왼쪽으로 사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돌출하도록 카드 본체(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안테나 실장부(433)는 카드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제1 안테나(131)를 실장한다. 여기서, 제1 안테나 실장부(433)는 사선 방향의 경사각만큼 카드 본체(110)의 왼쪽으로 회전한 후 사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은 통상적인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실장부(434)는 카드 본체(110)의 후면으로부터 USB 커넥터(120)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의 오른쪽으로 사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돌출하도록 카드 본체(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안테나 실장부(434)는 카드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제2 안테나(132)를 실장한다.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사선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는 무선 데이터 카드(400)의 미사용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본체(110)에 접혀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카드(4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를 USB 커넥터(120)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의 좌우로 돌출시킨다. 그러면, 제1,2 안테나(131)(132)는 USB 커넥터(120)로부터 각각 멀어짐과 아울러, 최대한 서로 멀어져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2 안테나(131)(132)의 방사 효율이 높아질 수 있고,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제4 실시예의 무선 데이터 카드(400)에서, 사용자는 카드 본체(110)에 접혀 있는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를 밀어서 카드 본체(110)로부터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돌출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400)는 사용자가 카드 본체(110)에 접혀 있는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에 외력을 가하면 자동으로 각각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동 돌출된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를 집어서,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를 사선 방향의 경사각만큼 회전시킨 후, 사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2 안테나 실장부(433)(434)의 자동 돌출을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400)는 자동 돌출기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돌출기구(4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자동 돌출기구(14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의 제1,2 안테나의 성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카드에 있어서, 제1,2 안테나 사이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무선 데이터 카드의 사이즈가 70mm×35mm(가로×세로)이고, 제1,2 안테나의 사이즈가 각각 30mm×8mm×8mm(가로×세로×높이)인 조건에서,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SEMCAD를 이용해서 아이솔레이션을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아이솔레이션 값은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치이다. 아이솔레이션 값은 낮을수록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상호 간에 영향이 작아짐을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션은 824~894 MHz(북미 상용 주파수인 CDMA 주파수 대역)에서 하한치가 -25dB 이었고, 1850-1990 MHz(US-PCS 주파수 대역)에서 하한치가 -28dB이었다. 이러한 아이솔레이션 값들은 미국 퀄컴(qualcom) 사에서 -8 dB 에서 -10dB의 범위로 규정하고 있는 값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안정된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아울러, SEMCAD에 의해, 패시브(passive)일 때 방사 효율(radiation efficiency)을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방사 효율이 약 70~80%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SEMCAD에 의해, 제1,2 안테나의 TRP(Total Radiated Power)와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를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TRP는 22.2dBm이었고, TIS는 -104.2dBm이었다. 이러한 값들은 시험규격에서 TRP가 20dBm 이상이고, TIS가 -101dBm 이하의 조건을 충족한다. 따라서, 제1,2 안테나의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카드 본체 120..USB 커넥터
130,230,330,430..안테나부 131..제1 안테나
132..제2 안테나 133,233,333,433..제1 안테나 실장부
134,234,334,434..제2 안테나 실장부
140,240,340,440..자동 돌출기구

Claims (7)

  1.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접속되는 USB 커넥터; 및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미사용시 상기 카드 본체에 접혀있다가 사용시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서로 멀어짐과 동시에 상기 USB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설치된 안테나부;
    를 포함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2 안테나를 각각 실장하며, 상기 카드 본체에 수납되어 있다가 상기 카드 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돌출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설치되는 제1,2 안테나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USB 커넥터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상기 제1,2 안테나를 각각 실장하며, 상기 제1,2 안테나가 돌출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서 상기 USB 커넥터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로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제1,2 안테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양 옆으로 각각 90도 회전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설치되는 제1,2 안테나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카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상기 카드 본체의 양 옆으로 각각 2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돌출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상기 제1,2 안테나를 각각 실장하는 제1,2 안테나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카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상기 카드 본체에서 상기 USB 커넥터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의 좌우로 사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돌출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부에 상기 제1,2 안테나를 각각 실장하는 제1,2 안테나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안테나 실장부를 상기 카드 본체에 접힌 상태에서 잠금 처리하고, 잠금 처리된 상기 제1,2 안테나 실장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 처리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1,2 안테나 실장부를 자동 돌출시키는 자동 돌출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상기 카드 본체의 커넥터 수용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KR1020100008804A 2010-01-29 2010-01-29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KR101093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804A KR101093222B1 (ko) 2010-01-29 2010-01-29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US12/885,398 US20110187623A1 (en) 2010-01-29 2010-09-17 Universal serial bus type wireless data card
EP11150535.0A EP2360783A3 (en) 2010-01-29 2011-01-11 Universal serial bus type wireless data card with extendable antennas
CN2011100060085A CN102143609A (zh) 2010-01-29 2011-01-12 通用串行总线型无线数据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804A KR101093222B1 (ko) 2010-01-29 2010-01-29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018A true KR20110089018A (ko) 2011-08-04
KR101093222B1 KR101093222B1 (ko) 2011-12-13

Family

ID=4417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804A KR101093222B1 (ko) 2010-01-29 2010-01-29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87623A1 (ko)
EP (1) EP2360783A3 (ko)
KR (1) KR101093222B1 (ko)
CN (1) CN1021436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0822A1 (en) * 2010-10-25 2012-04-26 Bandrich, Inc. Wireless network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or exposing an electrical connector
CN103428903B (zh) * 2012-05-16 2016-12-21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通信设备和制造无线通信设备的方法
CN205721765U (zh) * 2016-04-22 2016-11-23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数据卡
WO2018217248A1 (en) * 2017-05-23 2018-11-29 Manansingh Raj Usb data card and method of using same
TWI662740B (zh) * 2018-01-09 2019-06-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外接式天線及無線通訊系統
CN110492222B (zh) * 2018-05-14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7779A (en) * 1978-08-19 1980-02-28 Sony Corp Car antenna
US20040229478A1 (en) * 2003-05-13 2004-11-18 Chen Chao Ming Rotatory wireless USB network interface card
TW200509589A (en) * 2003-08-28 2005-03-01 Waveplus Technology Co Lt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JP2006134171A (ja) 2004-11-08 2006-05-25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線識別デバイス
TWM312790U (en) 2006-11-07 2007-05-21 Lite On Technology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dipole antenna
JP2008263376A (ja) * 2007-04-11 2008-10-30 Willcom Inc アンテナ稼動式usbデータ通信端末
US7586460B2 (en) 2007-10-15 2009-09-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ongle device with integrated antenna assembly
FR2923120B1 (fr) * 2007-10-31 2010-05-07 Archos Sa Dispositif pour permettre a un appareil portable de recevoir et/ou d'emettre des signaux radiofrequences et systeme associe.
US7530823B1 (en) * 2008-01-07 2009-05-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B modem devices with a flip antenna and a retractable USB connector
KR100902603B1 (ko) * 2008-05-14 2009-06-11 주식회사 한국액센 이동식 저장장치를 갖는 rf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CN201197148Y (zh) * 2008-05-22 2009-02-18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数据卡
CN101350633B (zh) * 2008-08-28 2013-04-17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通讯装置
US8274447B2 (en) * 2008-12-07 2012-09-25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mobile USB trans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0783A3 (en) 2014-06-18
EP2360783A2 (en) 2011-08-24
US20110187623A1 (en) 2011-08-04
KR101093222B1 (ko) 2011-12-13
CN102143609A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222B1 (ko) Usb 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US9209851B1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ntenna
US8730110B2 (en) Low frequency diversity antenna system
Ban et al. Decoupled planar WWAN antennas with T-shaped protruded ground for smartphone applications
US7509143B2 (en) Telecommunications card with integrated antenna
US7301501B2 (en) Telecommunications card for mobile telephone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201616506U (zh) 移动通信天线设备及移动通信终端设备
Ren et al. Triple band MIMO antenna system for 5G mobile terminals
US7639188B2 (en) Radio antenna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Chen et al. Integrated MIMO slot antenna on laptop computer for eight-band LTE/WWAN operation
Chang et al. Metal body-integrated open-end slot-antenna designs for handset LTE uses
Anguera et al. Antenna-less wireless: A marriage between antenna and microwave engineering
US20110260929A1 (en) Antenna Assembly with Electrically Extended Ground Plane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Ren et al. Dual-Band MIMO Antenna System for 5G Mobile Terminals
KR101084765B1 (ko) Usb타입의 무선 데이터 카드
Anguera et al. Mitigation of the finger loading effect in handset antennas
US2010001602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versity Antenna
Singh et al. Effect of user proximity on internal quad band mobile phone MIMO/Diversity antenna performances
CN204991942U (zh) 一种lte数据卡
CN103943940B (zh) 通信装置
EP1523061A1 (en) Telecommunications card for mobile telephone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2143170B1 (en) An antenna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EP233404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F communication between parts
Guterman et al. Radiation from commercially viable antennas for PCMCIA cards housed in laptops
Yang et al. Closely spaced multi-band MIMO antenna for mobile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