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807A -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807A
KR20110087807A KR1020100007412A KR20100007412A KR20110087807A KR 20110087807 A KR20110087807 A KR 20110087807A KR 1020100007412 A KR1020100007412 A KR 1020100007412A KR 20100007412 A KR20100007412 A KR 20100007412A KR 20110087807 A KR20110087807 A KR 2011008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mage output
power generation
frame
photovolta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988B1 (ko
Inventor
유정모
변정훈
Original Assignee
유정모
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모, 변정훈 filed Critical 유정모
Priority to KR102010000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9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솔라셀과 LED를 서로 다른 면 또는 동일 면 상에 형성시킨 다수의 복합모듈을 건물에 설치하여 이동하면서 태양광발전과 영상출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을 구성하고,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배터리로 충전하면서 태양광의 궤도변화에 따라 이동장치를 제어하여 복합모듈을 이동시키고, 복합모듈을 설정각도로 회전시킨 후 LED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모듈이 이동함에 따라 효율적인 태양광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방향에 대한 영상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PHOTOVOLTAIC AND DISPLAY COMPLEX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THEREOF}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이 가능한 복합모듈을 건물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에 설치된 솔라셀(Solar Cell)을 통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 이하, "BIPV"라 함)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이 BIPV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솔라셀이 구비된 모듈을 조합하여 설치하고, 태양광발전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해당 건물 및 주변 시설물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BIPV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켜 건물의 커튼(Curtai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모듈의 개방과 폐쇄는 태양광이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동작과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이 같은 BIPV 시스템은 건물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태양광의 궤적에 대응하여 모듈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단순 동작만 수행하므로, 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라 태양광발전의 효율이 달라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이 BIPV 시스템이 태양광이 입사되는 전면에 설치된 경우에, 건물의 커튼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건물 내부로 자연 채광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 BIPV 시스템이 건물의 벽면 등에 설치된 경우에 건물의 미관을 해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태양광발전만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필요하다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발전 뿐만 아니라 축적된 전력을 이용하여 영상출력이 가능한 복합모듈을 제조하고, 이 복합모듈을 건물 외부에 설치하여 이 복합모듈이 태양광의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태양광발전모드와 영상출력모드, 또는 태양광발전모드와 영상출력모드를 함께 실행하는 복합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은, 솔라셀을 구비하고 있는 태양광발전모듈과, LED(Light Emitted Diode)를 구비하고 있는 영상출력모듈과, 상기 태양광발전모듈 및 영상출력모듈이 서로 다른 면에 수납 고정되며, 상기 태양광발전모듈 및 영상출력모듈의 구동과 관련된 배선 및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태양광발전모듈 및 영상출력모듈을 밀폐시키는 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은, 솔라셀과 LED를 구비하고 있는 일체형모듈과, 상기 일체형모듈이 수납 고정되며, 상기 일체형모듈의 구동과 관련된 배선 및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일체형모듈을 밀폐시키는 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LED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솔라셀에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LED는 무색 또는 착색된 투광성 수지로 몰딩한 외장재 상부를 커팅처리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는, 건물에 고정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과 기어 체결되어 있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가 고정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힌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힌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웃하는 프레임 간 결합영역에 롤러를 형성시킨 링크와, 상기 롤러가 내삽되어 진행방향을 안내하며, 건물에 고정설치되는 트랙을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힌지를 통해 암수축결합이 이루어지는 프레임들에 대해, 일단측 프레임의 힌지에 결합되는 톱니를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솔라셀의 충전량 제어, LED 구동 제어, 및 이동장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시키는 경로 상에서 스위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충전제어를 위한 스위칭 구동이 이루어지는 스위치와,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시키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태양광발전모드, 영상출력모드, 태양광발전모드와 영상출력모드를 함께 실행하는 복합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전압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시키고, 모드별로 영상신호를 제어하여 LED로 전달하며,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감지신호 또는 시각에 대응하여 이송모터로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프레임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신호를 스테핑모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솔라셀은 결정형 솔라셀 또는 박막형 솔라셀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솔라셀과 LED를 서로 다른 면 또는 동일 면 상에 형성시킨 다수의 복합모듈을 건물에 설치하여 이동하면서 태양광발전과 영상출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 상기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배터리로 충전하는 태양광발전모드를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태양광의 궤도변화에 따라 이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된 상기 복합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합모듈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LED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합모듈의 회전각도는 180˚일 수 있으며, 상기 복합모듈을 회전시키는 단계에서 회전되는 복합모듈은 전체 복합모듈 중에서 일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이 가능한 하나의 복합모듈로 제작되므로 제작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합모듈이 건물의 벽면 또는 옥상 등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의 궤적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영상출력모듈에서 사용하므로 상용전원의 이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게다가 영상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을 태양광발전모듈에서 회수하여 재이용함으로써 자원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발전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력량에 대응하여 태양광발전모드, 영상출력모드, 태양광발전모드와 영상출력모드를 함께 실행하는 복합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로의 운영이 가능하므로 날씨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합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모듈 이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모듈(이하, "복합모듈"이라 함)은, 솔라셀(A1)을 구비하고 있는 태양광발전모듈(1)과, LED(A2)를 구비하고 있는 영상출력모듈(2)과, 태양광발전모듈(1) 및 영상출력모듈(2)이 수납 고정되며, 태양광발전모듈(1) 및 영상출력모듈(2)의 구동과 관련된 배선 및 회로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는 프레임(3)과, 프레임(3)에 부착되어 태양광발전모듈(1) 및 영상출력모듈(2)을 밀폐시키는 투명판(4, 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프레임(3)의 상,하부면에는 회전축인 힌지(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6)가 프레임(3)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힌지가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솔라셀(A1)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n접합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반도체 구조 내에서 전자들이 비대칭적으로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통상, n-type 반도체는 큰 전자밀도(electron density)와 작은 정공밀도(hole density)를 가지고, p-type 반도체는 작은 전자밀도(electron density)와 큰 정공밀도(hole density)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열적 평형상태에서 p-type 반도체와 n-type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다이오드는 캐리어(carrier)의 확산으로 전하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더 이상 캐리어의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물질의 전도대(conduction band)와 가전자대(valence band) 사이의 에너지 차이인 밴드갭(band gap) 이상의 빛을 가한 경우, 이 빛에너지를 흡수한 전자들이 가전자대에서 전도대로 여기(excite)된다. 이에, 전도대로 여기된 전자들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되며, 가전자대에서 전자들이 빠져나간 자리에 정공(hole)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공을 익세스 캐리어(excess carrier)라 부르며, 익세스 캐리어(excess carrier)들은 전도대와 가전자대 내에서 확산된다. 이때, p-type 반도체 내에서 여기된 전자들과 n-type 반도체 내에서 만들어진 정공을 각각의 마이너리티 캐리어(minority carrier)라고 부르며, 마이너리티 캐리어의 확산에 의해 물질내부의 차지 뉴트렐러티(charge neutrality)가 파괴됨으로써 전압차가 발생한다. 이에, p-n 접합 다이오드의 양극단에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 전기가 생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합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합모듈은, 솔라셀(B1)과 LED(B2)를 구비하고 있는 일체형모듈(11)과, 일체형모듈(11)이 수납 고정되며, 일체형모듈(11)의 구동과 관련된 배선 및 회로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는 프레임(13)과,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일체형모듈(11)을 밀폐시키는 투명판(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프레임(13)의 상,하부면에는 회전축인 힌지(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실시예의 복합모듈은 일면에 태양광발전모듈(1)을 형성시키고 타면에 영상출력모듈(2)을 형성시키고 있으나, 제2실시예의 복합모듈은 일면에 태양광발전모듈과 영상출력모듈을 하나의 일체형모듈(11)로 구성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여기서, 일체형모듈(11)에 구성된 LED(B2)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LED(B2)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은 박막형 솔라셀을 부착하거나 프린트하고 있다. 물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솔라셀은 결정형 솔라셀 또는 박막형 솔라셀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LED(B2)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솔라셀(B1)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LED(B2)는 무색 또는 착색된 투광성 수지로 몰딩한 외장재 상부를 커팅처리하고 있다. 즉, LED(B2)는 사각기둥, 원기둥, 다각형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뿐만 아니라, 빛을 태양전지(후방부)면으로 확산을 시키기 위하여 돌출된 주변부에 패턴을 커팅한다. 예를 들어 리드타입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외장재 상부를 커팅하여 패턴을 삽입함으로써 원기둥형태의 후면부 확산형 LED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모듈 이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모듈 이동장치는, 건물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랙(21)과, 랙(21)과 기어 체결되어 있는 피니언(22)과, 피니언(22)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23)와, 이송모터(23)가 고정되는 연결바(24)와, 연결바(24)에 결합되며, 복합모듈을 지지함과 아울러 힌지(6, 1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웃하는 복합모듈 간 결합영역에 롤러를 형성시킨 링크(25)와, 롤러가 내삽되어 진행방향을 안내하며, 건물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트랙(26)과, 힌지(6, 16)를 통해 암수축결합이 이루어지는 복합모듈들에 대해, 일단측 복합모듈의 힌지(6, 16)에 결합되는 톱니를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27)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링크(25)의 크기, 즉 건물 벽면으로부터 힌지(6, 16)까지의 거리는 복합모듈의 좌우폭의 절반보다 커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모듈 이동장치는, 이송모터(23)의 회전에 따라 이송모터(23)에 결합된 연결바(24)가 이동하게 되며, 연결바(24)에 결합된 링크(25)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링크(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합모듈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각 복합모듈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25)는 링크(25)간 결합영역에 롤러를 형성시킴으로써 롤러를 통한 링크(25)의 연속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회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복합모듈의 힌지(6, 16)와 하부 복합모듈의 힌지 간에는 암수축결합이 이루어져, 스테핑모터(27)의 회전에 따라 일축에 형성된 복합모듈들이 동시에 회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어회로블록도는 도 1에서 제시한 복합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제어회로는, 태양광발전모듈(1)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시키는 경로 상에서 스위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충전제어를 위한 스위칭 구동이 이루어지는 스위치(31)와, 태양광발전모듈(1)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시키는 배터리(32)와, 배터리(32)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영상출력모듈(2)에 공급하는 인버터(33)와, 배터리(32)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34)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35)와, 조도센서(35)로부터 입력된 조도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태양광발전모드, 영상출력모드, 태양광발전모드와 영상출력모드를 함께 실행하는 복합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전압감지부(34)로부터 입력된 전압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시키고, 모드별로 영상신호를 제어하여 영상출력모듈(2)로 전달하며, 조도센서(35)로부터 입력된 조도감지신호 또는 시각에 대응하여 이송모터(23)에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복합모듈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신호를 스테핑모터(27)로 전달하는 제어부(3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으나, 비상시에 시스템 전체에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부(36)에는 상용전원 공급라인이 접속되어 있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모드가 존재하지만, 초반 태양광발전모드, 중반 복합모드, 후반 영상출력모드로 진행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도 1에서 제시한 복합모듈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스템 구동이 이루어지면, 솔라셀(A1)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배터리(32)로 충전된다. 이때, 전압감지부(34)에서 배터리(32)로 충전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36)로 전압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제어부(36)가 충전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위치(31)를 계속 폐쇄시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스위치(31)를 개방시켜 태양광발전모듈(1)로부터 생성되는 전기가 더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 같은 과정은 설정된 충방전값을 기준으로 전압감지신호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태양광의 궤적에 대응하여 제어부(36)가 이송모터(23)로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이송모터(23)가 구동되어 복합시스템 전체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복합시스템 전체의 이동은 계절 및 시각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태양광의 궤적에 대응하여 초단위, 분단위, 시간단위별로 정하여 계산된 설정거리만큼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초단위로 이송모터(23)를 구동할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핑모터(27)를 구동시켜 복합모듈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태양광이 최대한 수직 입사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충전이 완료되면, 영상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물론, 충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영상출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제어부(36)는 스테핑모터(27)로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스테핑모터(27)가 구동되어 동일 행 또는 동일 열에 힌지(6) 간 암수축결합된 복합모듈들이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180˚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영상출력모듈(2)이 전면을 향하게 된다. 이때, 복합모듈 전체가 회전될 수도 있고, 일부 행 또는 일부 열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출력 크기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영상 출력은 조도와 관련될 수 있으며, 즉 조도가 밝을 경우에는 영상 출력이 태양광에 의해 상쇄되므로 태양광발전모드만을 유지하거나, 스테핑모터(27)를 구동시켜 복합모듈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영상 출력이 태양광에 의해 상쇄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제어부(36)의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모듈(2)에서 영상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제시한 복합모듈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2에서 제시한 복합모듈의 경우에는 태양광의 궤적과 영상 출력 방향에 대응하여 복합모듈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영상 출력시에 LED(B2)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해 솔라셀(B1)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모듈(1) 및 영상출력모듈(2)을 구비하는 복합모듈을 제조하고, 이 복합모듈들을 조합하여 건물의 벽면 등에 설치한 후, 건물 벽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태양광발전 효율의 향상 및 원하는 방향으로의 영상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사용 목적에 대응하여 다양한 운영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 태양광발전모듈
2 : 영상출력모듈
3, 13 : 프레임
4, 5, 14 : 투명판
6, 16 : 힌지
11 : 일체형모듈

Claims (10)

  1. 솔라셀(Solar Cell)을 구비하고 있는 태양광발전모듈;
    LED(Light Emitted Diode)를 구비하고 있는 영상출력모듈;
    상기 태양광발전모듈 및 영상출력모듈이 서로 다른 면에 수납 고정되며, 상기 태양광발전모듈 및 영상출력모듈의 구동과 관련된 배선 및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태양광발전모듈 및 영상출력모듈을 밀폐시키는 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2. 솔라셀(Solar Cell)과 LED(Light Emitted Diode)를 동일면에 구비하고 있는 일체형모듈;
    상기 일체형모듈이 수납 고정되며, 상기 일체형모듈의 구동과 관련된 배선 및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일체형모듈을 밀폐시키는 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솔라셀에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LED는 무색 또는 착색된 투광성 수지로 몰딩한 외장재 상부를 빛의 확산을 위하여 패턴삽입한 커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는,
    건물에 고정설치되는 랙;
    상기 랙과 기어 체결되어 있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
    상기 이송모터가 고정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힌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힌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웃하는 프레임 간 결합영역에 롤러를 형성시킨 링크; 및
    상기 롤러가 내삽되어 진행방향을 안내하며, 건물에 고정설치되는 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통해 암수축결합이 이루어지는 프레임들에 대해, 일단측 프레임의 힌지에 결합되는 톱니를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의 충전량 제어, LED 구동 제어, 및 이동장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시키는 경로 상에서 스위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충전제어를 위한 스위칭 구동이 이루어지는 스위치;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태양광발전모드, 영상출력모드, 태양광발전모드와 영상출력모드를 함께 실행하는 복합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전압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시키고, 모드별로 영상신호를 제어하여 LED로 전달하며,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감지신호 또는 시각에 대응하여 이송모터로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프레임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신호를 스테핑모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은 결정형 솔라셀 또는 박막형 솔라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8. 솔라셀(Solar Cell)과 LED(Light Emitted Diode)를 서로 다른 면 또는 동일 면 상에 형성시킨 다수의 복합모듈을 건물에 설치하여 이동하면서 태양광발전과 영상출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솔라셀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배터리로 충전하는 태양광발전모드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태양광의 궤도변화에 따라 이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된 상기 복합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합모듈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LED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운영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모듈의 회전각도는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운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모듈을 회전시키는 단계에서 회전되는 복합모듈은 전체 복합모듈 중에서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100007412A 2010-01-27 2010-01-27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108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12A KR101083988B1 (ko) 2010-01-27 2010-01-27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12A KR101083988B1 (ko) 2010-01-27 2010-01-27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807A true KR20110087807A (ko) 2011-08-03
KR101083988B1 KR101083988B1 (ko) 2011-11-16

Family

ID=4492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412A KR101083988B1 (ko) 2010-01-27 2010-01-27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27B1 (ko) * 2011-10-10 2013-09-06 김효경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간판
KR101350773B1 (ko) * 2012-05-08 2014-01-14 황경식 태양광 및 led를 이용한 자가충전식 led 간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02Y1 (ko) * 2006-08-02 2006-10-19 (주)미라클산업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바
KR100680654B1 (ko) * 2006-08-07 2007-02-08 해성쏠라(주)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27B1 (ko) * 2011-10-10 2013-09-06 김효경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간판
KR101350773B1 (ko) * 2012-05-08 2014-01-14 황경식 태양광 및 led를 이용한 자가충전식 led 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988B1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301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1929301B (zh) 光追踪可收放太阳能百叶窗
US9965080B2 (en) Color filter substrate with photovoltaic conversion layer,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Menéndez et al. A multifunctional ETFE module for sustainable façade lighting: Design, manufacturing and monitoring
JP2011052533A (ja) 太陽光発電機能を有する防音壁
CN105824326A (zh) 太阳能公交站台自动遮阳系统及控制方法
KR20150028865A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
KR20120093697A (ko) 태양광 충전 가로등
WO2015100884A1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01662237B (zh) 追日式太阳能储能装置及其方法
KR20120110697A (ko) 태양광발전으로 엘이디를 구동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WO2013122298A1 (ko) 자가 동력 태양광 트랙커
KR101083988B1 (ko)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CN102803833B (zh) 照明设备
KR20100123425A (ko) 양면 태양 전지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30457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5699A (ko) 태양광전지판을 이용한 엘이디 블라인드장치
CN106352293A (zh) 太阳能路灯
KR101216929B1 (ko) 태양광 모듈 및 led 모듈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1970778B1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20120125715A (ko) 쏠라셀을 이용한 태양추적제어장치
KR101206963B1 (ko) 태양광 전지모듈 중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경관 조명기구
CN202672415U (zh) 一种光电转化显示一体的幕墙系统
CN202003515U (zh) 具有透明薄膜太阳能电池的电子书
KR20150142155A (ko) 태양 전지 모듈을 갖는 온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