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554A -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554A
KR20110087554A KR1020100007029A KR20100007029A KR20110087554A KR 20110087554 A KR20110087554 A KR 20110087554A KR 1020100007029 A KR1020100007029 A KR 1020100007029A KR 20100007029 A KR20100007029 A KR 20100007029A KR 20110087554 A KR20110087554 A KR 2011008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fan
drive motor
built
mai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970B1 (ko
Inventor
치아오 후
Original Assignee
킹지 엔터프라이즈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지 엔터프라이즈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킹지 엔터프라이즈 코오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00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9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축중심에 대응하도록 주 케이싱의 전방 벽상에 배치되고, 구형의 지지면과, 이 구형 지지면의 중심에 위치된 관통구멍이 마련되며, 관통구멍은 구동모터의 축중심의 삽입에 사용되는 볼-소켓 지지 프레임과; 구동모터의 전방끝단에 고정되고, 볼-소켓 지지 프레임의 구형 지지면과 결합하는 구형 접촉면이 마련되며; 구동모터의 축중심의 관통을 위하여 구형 펀치 구멍이 접촉면의 중심에 위치되는 구형 부착시이트와; 구동모터의 후방끝단과 주 케이싱의 후방 벽의 사이에 조립되며, 그의 제 1 끝단은 제 2 끝단의 왕복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제 2 끝단은 주 케이싱의 후방 벽에 대응하여 회전 피벗에서 조립되는 크랭크 연결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의 도움으로 회전날개와 함께 선풍기는 기류의 풍향을 자동적으로 변화하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을 발생한다; 또한 풍향은 원형의 경로를 따라서 독특하게 변화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송풍면을 증가시킨다; 축중심과 함께 구동모터가 구동모터의 도움으로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작용을 발생할 때, 구동모터의 전방끝단이 구형의 접촉시이트의 구형 접촉면과 접촉할 수 있고, 안정된 지지대용의 볼-소켓 지지 프레임의 구형 지지면과 짝을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BUILT-IN SWING MECHANISM OF ROTARY FA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 선회기구를 가지도록 설계된 새로운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식 선풍기라 함은 날개팬의 회전을 통하여 바람을 공급하는 선풍기를 말한다.
현재 시판중인 선풍기는 일반적으로 풍향 제어면으로 부터 볼 때, 왕복형 및 덮개-회전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날개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왕복형 선풍기는 풍향을 자동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왕복전환동작을 생성하도록 축받이를 구동한다; 그러나, 왕복형 선풍기는 동일한 높이의 경로를 따라서 왕복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바람이 나오는 영역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될 수 없고, 어떤 작동환경에서는 수용되기에 적절하지 않다; 한편, 왕복형 선풍기의 왕복점은 축받이의 하부 후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축받이가 왕복할 때 상술한 왕복점에 중심을 둠으로써 회전날개의 외부 케이싱은 큰 진폭으로 이동하게 되어, 실제 적용되는 것에 비하여 선풍기의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덮개-회전형 선풍기는 선풍기 케이싱에 전환박스가 마련되며, 따라서 기류가 전환박스의 회전을 통하여 전환된다; 이 전환효과는 일반적으로 경사진 판을 통하여 이루어지지만, 경사판의 경사면 구조는 기류가 특정한 각도로 흐르도록 방해할 수도 있고, 따라서 선풍기의 급기 성능에 크게 해를 주며, 판을 청소하기도 어렵다.
대형 산업용 선풍기에 대하여는, 회전날개가 일반적으로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기타의 케이싱은 왕복기능을 위하여 안정된 지지구조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는 송풍이 가해지는 영역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에 의한 선풍기의 수동조작 가능성을 증가시키게 되며, 날카로운 회전날개와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상가능성도 있게 된다(특히 작동상태에서).
따라서, 종래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여 효율성을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관련된 제품의 제조, 개발 및 설계에 있어서의 다년간의 경험에 근거한 신중한 설계 및 평가후에 실용적인 본 발명을 제공하게 되었다.
독특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내장 선회기구를 가지는 혁신적인 선풍기를 제공한다; 구동모터의 도움으로, 회전날개와 함께 선풍기는 기류의 풍향을 자동적으로 변화하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을 발생한다; 또한 풍향은 원형의 경로를 따라서 독특하게 변화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송풍면을 증가시키고, 개선된 적용가능성을 요구하는 수요자의 기대에 부합하게 된다.
축중심과 함께 구동모터가 구동모터의 도움으로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작용을 발생할 때, 구동모터의 전방끝단이 구형의 접촉시이트의 구형 접촉면과 접촉할 수 있고, 안정된 지지대용의 볼-소켓 지지 프레임의 구형 지지면과 짝을 이루게 된다. 이는 구동모터와 회전날개가 보다 안정적으로 저소음으로 왕복하도록 한다.
볼록부와 관통부가 구형 접촉시이트의 구형 접촉면과 볼-소켓 지지프레임의 구형 지지면 사이의 간격에 배치된 구조에 근거하여, 구형 접촉면은 구형 지지면내에서 왕복할 수 있다; 더우기 볼록부와 관통부의 결합을 통하여 적절한 제한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주: 축중앙의 회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구동모터의 변위를 일으키기 때문에, 제한효과가 볼록부와 관통부의 결합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기타의 가능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형 접촉 시이트 및 볼-소켓 지지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 케이싱의 조립된 외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의 조립 단면 및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볼-소켓 지지 프레임의 구형 지지면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풍기의 제 1 의 외부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풍기의 제 2 의 외부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풍기의 제 3 의 외부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선풍기의 제 4 의 외부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선풍기의 제 5 의 외부 적용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내용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내장 선회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나타내는 도면이지만, 이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대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내장 선회기구(A)는 선풍기(B)의 주 케이싱(10)내에 위치되며, 따라서 회전날개(22)와 함께 구동모터(20)의 축중심(21)은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운동을 발생하도록 구동된다; 이 내장 선회기구(A)는:
구동모터(20)의 축중심(21)에 대응하도록 주 케이싱(10)의 전방벽(11)상에 배치되고, 구형의 지지면(31)과, 이 구형 지지면(31)의 중심에 위치된 관통구멍 (32)이 마련되며, 관통구멍(32)은 구동모터(20)의 축중심(21)의 삽입에 사용되는 볼-소켓 지지 프레임(30)과;
구동모터(20)의 전방끝단에 고정되고, 볼-소켓 지지 프레임(30)의 구형 지지면(31)과 결합하는 구형 접촉면(41)이 마련되며; 구동모터(20)의 축중심(21)의 관통을 위하여 구형 펀치 구멍(42)이 접촉면(41)의 중심에 위치되는 구형 부착시이트 (40)와;
구동모터(20)의 후방끝단과 주 케이싱(10)의 후방 벽(12)의 사이에 조립되며, 그의 제 1 끝단은 제 2 끝단의 왕복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제 2 끝단은 주 케이싱(10)의 후방 벽(12)에 대응하여 회전 피벗(13)에서 조립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끝단은 출력축(52)이 구비된 독립 모터 기어박스(5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2 끝단은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동판(5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의 한 끝단에는 모터 기어박스(51)의 출력축(52)에서의 슬리이브 용의 축 구멍(54)이 마련되고, 그의 다른 끝단에는 돌출 컬럼(55) 및 슬리이브 링(56)이 마련되어, 주 케이싱(10)의 후방벽(12)상에서 회전 피벗(13)에는 피벗 시이트 구멍(131) 및 원형 홈(132)의 맞춤이 마련되는 크랭크 연결 요소(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록부(415) 및 관통부(315)는 볼-소켓 지지 프레임(30)의 구형 지지면(31)과 구형 접촉 시이트(40)의 구형 접촉면(41)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볼록부(415) 및 관통부(315)는상호간에 접속되며, 볼록부(415)의 폭은 관통부(315)의 폭보다 작아서, 구형 접촉시이트(40)는 구형 지지면(31)내에서 왕복가능하다; 더우기, 볼록부(415) 및 관통부(315)의 접속을 통하여 적절한 제한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주: 축중앙(21)의 회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구동모터(20)의 변위를 일으키기 때문에, 제한효과가 볼록부(415)와 관통부(315)의 결합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볼-소켓 지지프레임(30)의 내부에는, 제한 시이트(60)가 있으며, 주 케이싱 (10)의 전방벽(11)상에 위치될 수 있는 관통구멍(62)과 결합부(61)가 마련된다; 결합부(61)는 볼트를 슬리이브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으로 만들어진다; 관통구멍(62)의 크기는 구형 접촉시이트(40)의 외부 지름보다 작아서, 구형 접촉 시이트(40)의 해제를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제한 시이트(60)는 본 실시예에서는 필수 요소가 아니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볼-소켓 지지프레임(30)의 구형 지지면(31B)은 깊이 홈이 파여진 것으로 설계됨으로써, 구형 접촉면(40)은 제한 시이트 (60)가 필요없이 깊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랭크 연결요소(50)의 독립 모터 기어박스(51)는 출력축 (52)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작동하며, 구동판(53)이 회전하여, 크랭크 연결요소(50)의 제 2 끝단이 회전운동을 발생하도록 구동되며, 축중심(21)에 따라 구동모터 (20)가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운동을 발생하게 된다. 선풍기(B)의 주 케이싱(10)이 움직이지 않으면, 회전날개(22)는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운동을 발생하여 풍향을 자동적으로 바꾸게 된다; 또한, 회전날개(22)의 풍향은 원형경로를 따라서 독특하게 변화됨으로써, 어떠한 방향에서의 기류의 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축중심(21)에 따라 구동모터(210는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운동을 발생하여, 구동모터(20)의 전방끝단은 구형 접촉 시이트(40)의 구형 접촉면(41)과 접촉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볼-소켓 프레임(30)의 구형 지지면(31)과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선풍기는 기능적인 작용에 따라서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풍기(B)는 수직으로 연장된 랙(70)이 마련된 스탠드형 선풍기로서, 상기 스탠드형 선풍기라 함은 회전날개(22)용 외부 케이스가 격자구조 (71)를 가짐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풍기(B2)는 스탠드형 회전식 선풍기이고, 상기 회전식 선풍기는 회전날개(22)용 외부 케이싱이 통형상의 전환박스(72)를 가져서, 기류가 출력방향에 집중되어 효과가 제고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풍기(B3)는 받침대(80)가 마련된 좌식 선풍기로서, 회전날개(22)용 외부 케이싱은 격자구조(81)를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선풍기(B4)는 좌식 선풍기로서, 회전날개(22)용 외부 케이싱은 통형상의 전환박스(82)를 가져서, 기류가 출력방향에 집중되어 효과가 제고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선풍기(B5)용 주 케이싱(10)에는 행거부(90)가 마련되며, 선풍기(B5)는 매달린 상태, 즉 선풍기(B5)가 행거부(90)의 구성과 함께 천정의 아래에 조립(즉, 천정 선풍기로서)될 수 있다.
A : 내장 선회기구 B ~ B5 : 선풍기
10 : 주 케이싱 11 : 전방벽
12 : 후방벽 13 : 회전피벗
20 : 구동모터 21 : 축중심
22 : 회전날개 30 : 볼-소켓 지지프레임
31, 31B : 구형 지지면 32 : 관통구멍
40 : 구형 부착 시이트 41 : 구형 접촉면
42 : 구형 펀치구멍 50 : 크랭크 연결요소
51 : 독립모터 기어박스 52 : 출력축
53 : 구동판 54 : 슬리이브 용의 축 구멍
55 : 돌출 컬럼 56 : 슬리이브 링
60 : 제한 시이트 61 : 결합부
62 : 관통구멍 70 : 랙
71, 81 : 격자구조 72, 82 : 전환박스
80 : 받침대 90 : 행거부
131 : 피벗 시이트 구멍 315 : 관통부
415 : 볼록부

Claims (4)

  1. 내장 선회기구(A)가 선풍기(B)의 주 케이싱내에 위치되어, 회전날개와 함께 구동모터의 축중심이 축방향으로 경사진 왕복운동을 발생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내장 선회기구(A)는:
    구동모터의 축중심에 대응하도록 주 케이싱의 전방 벽상에 배치되고, 구형의 지지면과, 이 구형 지지면의 중심에 위치된 관통구멍이 마련되며, 관통구멍은 구동모터의 축중심의 삽입에 사용되는 볼-소켓 지지 프레임과;
    구동모터의 전방끝단에 고정되고, 볼-소켓 지지 프레임의 구형 지지면과 결합하는 구형 접촉면이 마련되며; 구동모터의 축중심의 관통을 위하여 구형 펀치 구멍이 접촉면의 중심에 위치되는 구형 부착시이트와;
    구동모터의 후방끝단과 주 케이싱의 후방 벽의 사이에 조립되며, 그의 제 1 끝단은 제 2 끝단의 왕복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제 2 끝단은 주 케이싱의 후방 벽에 대응하여 회전 피벗에서 조립되는 크랭크 연결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내장 선회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구형 접촉시이트의 구형 접촉면과 볼-소켓 지지프레임의 구형 지지면 사이의 간격에 볼록부 및 관통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내장 선회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볼-소켓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제한 시이트가 놓이며, 제한 시이트에는 주 케이싱의 전방벽상에 위치될 수 있는 관통구멍과 결합부가 마련되고, 관통구멍의 크기는 구형 접촉시이트의 외부 지름보다 작아서, 구형 접촉 시이트의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내장 선회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크랭크 연결요소의 제 1 끝단은 출력축이 구비된 독립 모터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크랭크 연결요소의 제 2 끝단은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의 한 끝단에는 모터 기어박스의 출력축에서의 슬리이브 용의 축 구멍이 마련되고, 그의 다른 끝단에는 돌출 컬럼 및 슬리이브 링이 마련되어, 주 케이싱의 후방벽상에서 회전 피벗에는 피벗 시이트 구멍 및 원형 홈의 맞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내장 선회기구.
KR1020100007029A 2010-01-26 2010-01-26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 KR10111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29A KR101110970B1 (ko) 2010-01-26 2010-01-26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29A KR101110970B1 (ko) 2010-01-26 2010-01-26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54A true KR20110087554A (ko) 2011-08-03
KR101110970B1 KR101110970B1 (ko) 2012-02-17

Family

ID=4492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029A KR101110970B1 (ko) 2010-01-26 2010-01-26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710A (ko) * 2016-05-30 2017-12-08 이기승 선풍기 전동기 보호 하우징 및 이의 사용방법
KR20200007924A (ko) * 2017-06-27 2020-01-22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선풍기용 구동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선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093A (ja) * 1991-12-03 1993-06-22 Sanyo Electric Co Ltd 扇風機
JPH07259789A (ja) * 1994-03-25 1995-10-09 Sanyo Electric Co Ltd 扇風機
KR20020060293A (ko) * 2001-01-10 2002-07-18 강용수 헤드부 회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710A (ko) * 2016-05-30 2017-12-08 이기승 선풍기 전동기 보호 하우징 및 이의 사용방법
KR20200007924A (ko) * 2017-06-27 2020-01-22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선풍기용 구동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970B1 (ko) 201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1412B2 (ja) 扇風機
TWI405910B (zh) 具隱藏式360度旋轉機構的旋轉風扇
KR102341015B1 (ko)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
JP5280413B2 (ja) 内蔵式回転機構を具えた回転ファン
JP2009257142A (ja) 天井扇風機
CN107313958B (zh) 用于风扇的驱动组件及具有的风扇
AU2018405436B2 (en) Air deflecto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air deflector assembly
JP3145283U (ja) プロペラファン構造の内蔵式スイング機構
KR101110970B1 (ko) 선풍기의 개선된 내장 선회기구
EP2412982A1 (en) An air-conditioning fan with embedded swinging functions
JP2017516011A (ja) 風力タービン機用の羽根装置
CN212376941U (zh) 风扇组件
EP3636934B1 (en) Driving assembly for use with fan, and fan having same
KR100752755B1 (ko) 풍력 발전기의 수직날개 및 그 성형방법
KR200485674Y1 (ko) 선풍기
JP2006226118A (ja) 送風装置
CN106762738B (zh) 一种转页及转页扇
CN212838512U (zh) 塔扇
CN220890523U (zh) 一种高效轴流风机
CN212376938U (zh) 风扇组件
CN217685520U (zh) 一种空调室外机
TW201248018A (en) Fan assembly
CN108953200B (zh) 空气循环扇
KR20160129457A (ko) 사면 바람 선풍기용 날개 구조
CN111852940A (zh) 用于吊扇的叶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