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967A -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967A
KR20110086967A KR1020100006383A KR20100006383A KR20110086967A KR 20110086967 A KR20110086967 A KR 20110086967A KR 1020100006383 A KR1020100006383 A KR 1020100006383A KR 20100006383 A KR20100006383 A KR 20100006383A KR 20110086967 A KR20110086967 A KR 20110086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d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card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947B1 (ko
Inventor
김만복
백국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버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버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버트론
Priority to KR102010000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9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에 관한 것으로, 개인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인증부(200)와; 인증된 개인정보와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가공된 인증결과에 대한 정보 및 질의ㆍ응답 결과 등을 교환하는 통신부(300)와; 신분증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하는 전원부(400) 및;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어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과 적외선 인증 및 무선통신 기술을 혼합 채용으로 신분증의 위조나 도용을 방지하여 카드 및 금융 범죄를 방지할 수 있고, 신분증의 타인 대여로 인한 대리인증 및 사용을 방지하여 신분증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기업이나 학교, 관공서 등 다양한 현장에서 출입을 위한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학습에 있어서의 수강자와 강의자 간에 질의 응답 등 학습장치로 활용할 수 있고, 투표시에도 신분확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신분증 기능과 함께 바코드의 형성으로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및 마일리지 카드, 매점 등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 신용카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의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Multi-functional electronic identif ication card based on radio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신분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으로 신분증의 위조나 도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카드 및 금융 범죄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출석체크카드, 출입문 개폐의 보안카드, 양방향 질의 응답용 학습카드, 금융거래카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에 관한 것이다.
신분확인은 영원한 관심사이다. 신분도둑이 만연하고 있으며, 도용된 신분은 테러에 많이 사용된다. 컴퓨터 네트웍과 보안구역도 부적절한 키나 패스워드나 코드로 침입되고 있다.
기존 해결책은 보안특징에 의해 도용이 방지된 신분증의 정식 소지자의 사진영상이나 지문과 같은 생체인식 표시가 된 신분증을 사용한다. 다른 해결책은 스마트 카드나 스마트 여권을 사용하는 것이다. 스마트카드는 개인정보가 미리 인쇄된 코어층을 갖고 있다. 이런 코어층 인쇄는 스마트카드 모듈의 삽입이나 설치 전에 이루어진다. 필요하다면, 코어층 양쪽면에 고화질 영상과 텍스트를 인쇄하기도 한다. 인쇄된 코어층을 라미네이트로 덮어서 일상 사용중에 일어나는 마모와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그 결과, 층상구조에 공간이 형성되고, 집적회로 모듈을 이 공간에 설치한다.
Jones의 미국특허 6,843,422에서 소개한 비접촉식과 접촉식 스마트카드들은 중앙에서의 발급은 늦추고 카운터에서의 발급은 바로한다. 이런 관행은 다른 표시가 되어있는 층구조 물건에도 적용된다.
보안상의 이유로, 중앙부서와 지역 카운터에서 발급된 신분카드는 기능과 외관이 같다. ISO 규격을 만족하는 카드의 제조에는 많은 단계가 있다. 따라서, 중앙부서에서는 카드 본체를 제작했다가, 나중에 지역 카운터에서 개인발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인발급 인쇄법은 D2T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염료승화방식)나 레이저각인이 일반적이다. D2T2 인쇄카드는 수명이 길지 않으며, 레이저각인 카드는 단색인쇄가 보통이다. 따라서, ISO 규격을 만족하는 카드에 멀티컬러 개인영상을 인쇄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Jones는 미소공성 합성지를 코어층으로 만든 신분증에 인쇄하고 적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런 신분증은 반도체칩이나 인터페이스와 같은 집적회로가 들어있는 스마트카드일 수도 있다. 레이저, 열전사, 오프셋 인쇄법등의 방법으로 카드에 신분표시나 다른 영상을 인쇄하는데, 예컨대 사진영상이나 개인 텍스트나 데이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분증은 통상적으로 신분증 인식기를 통해 신분증에 기록된 개인의 신분 데이터를 독출하여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어서 타인의 신분증을 도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신분증에 있는 사진 등을 통하여 별도로 확인자가 일일이 확인하지 않는 이상 신분증의 도용을 방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신분증의 위조도 용이하여 신분증의 위조나 도용으로 인한 카드 및 금융 범죄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최근에는 출석을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신분증이나 카드 등도 개발되어 있는바, 이러한 신분증과 카드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신분증이나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말기를 구비하게 되며, 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417504호의 "양방향 강의 지원시스템의 수강석 단말기"가 개발되어 실용신안등록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17504호의 "양방향 강의 지원시스템의 수강석 단말기"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RF 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강자가 소지하는 수강자 카드(20), 강의실내 수강석마다 설치되는 수강석 단말기(30), 강의실에 설치되어 수강석 단말기(30)와 외부와의 무선 정보교환을 중계하는 강의 중계기(40), 강의실내 강의자의 강의석에 설치되는 강의석 단말기(50), 상기 수강석 단말기(30) 및 강의석 단말기(50)와 정보를 교환해 강의 진행을 지원하는 강의지원 서버(60)로 구성되고, 상기 수강석 단말기(30)는 카드 리더부(31a), 카드 인증 제어부(31b), 단말기 제어부(32), RF 모듈(33), 안테나(34), 메모리부(35), 배터리(36a), 배터리 잔량 체크부(36b), 배터리 잔량 표시부(36c), 강의참여 버튼부(37a), 버튼제어부(37b), 강의정보 표시부(38) 및 표시 설정부(39)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자신의 수강자 카드(20)를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에 삽입 또는 근접위치시키면, 수강석 단말기(30)의 카드 리더부(31a)가 해당 수강자 카드(20)에서 수강자 정보를 읽어내고 이렇게 인식된 수강자 정보는 단말기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RF 모듈(33)에서 무선전송용 정보로 변환되어 안테나(34)를 통해 상기 강의 중계기(40)로 무선전송되게 됨으로써 강의 중계기(40)를 통해 강의지원 서버(60)에 전달되어 해당 수강자의 출석상황이 등록되고, 강의석 단말기(50) 또는 강의지원 서버(60)에서 상기 강의 중계기(40)로 전달된 정보 역시 상기 안테나(34)를 통해 수신되어 RF 모듈(33)에서 변환되어 단말기 제어부(32)로 전달됨으로써 수강자와 강의자 간에 질의 응답 등 학습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417504호의 "양방향 강의 지원시스템의 수강석 단말기"는 수강자 마다 수강석에 수강석 단말기(30)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수강석 단말기(30)의 설치에 따르는 소요비용의 증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수강자가 소지하는 수강자 카드(20)에서 단말기(30)의 카드 리더부(31a)가 수강자 정보를 읽어내 출석을 체크하기 때문에 타인의 수강자 카드(20) 소지에 의한 대리출석이 가능하여 실제 수강자의 출석체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출석체크의 신뢰성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신분을 확인하는 각종 장치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으로 신분증의 위조나 도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기존의 스마트 신분증 및 사원카드 등으로 대체 사용가능하면서 카드 및 금융 범죄를 방지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과 적외선 인증 및 무선통신 기술을 혼합적으로 채용하여 신분증에 의한 출결확인시 신분증의 타인 대여로 인한 대리출석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출석체크로 출석체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기업이나 학교, 관공서 등 다양한 현장에서 출입을 위한 출입문 개폐의보안용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과 적외선 인증 및 무선통신 기술을 혼합적으로 채용함으로써 신분확인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학습에 있어서의 수강자와 강의자 간에 질의 응답 등 학습장치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리투표가 불가능하여 투표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신분증 기능과 함께 바코드의 형성으로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고, 신분 확인용뿐만 아니라 교통카드 및 마일리지 카드, 매점 등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 신용카드 등으로 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은 개인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인증부와; 인증된 개인정보와 현 위치정보 및 수강현황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가공된 인증결과에 대한 정보 및 질의ㆍ응답 결과 등을 교환하는 통신부와; 신분증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하는 전원부 및; 상기 입력부와 인증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으로 신분증의 위조나 도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카드 및 금융 범죄를 방지할 수 있고,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과 적외선 인증 및 무선통신 기술을 혼합적으로 채용하여 신분증에 의한 출결확인시 신분증의 타인 대여로 인한 대리출석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출석체크로 출석체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기업이나 학교, 관공서 등 다양한 현장에서 출입을 위한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인식에 의한 신분인증과 적외선 인증 및 무선통신 기술을 혼합적으로 채용함으로써 신분확인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학습에 있어서의 수강자와 강의자 간에 질의 응답 등 학습장치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리투표가 불가능하여 투표시에도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신분증 기능과 함께 바코드의 형성으로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신분 확인용뿐만 아니라 교통카드 및 마일리지 카드, 매점 등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 신용카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양방향 강의 지원시스템의 수강석 단말기가 적용되는 강의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양방향 강의 지원시스템의 수강석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상세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전면 외관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전면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후면 외관 사시도,
도 7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일예를 나타낸 전면도,
도 8은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과 네트워킹 가능한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신분증의 외관 사시도로서,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은 개인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인증부(200)와; 인증된 개인정보와 현 위치정보 및 수강현황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가공된 인증결과에 대한 정보 및 질의ㆍ응답 결과 등을 교환하는 통신부(300)와; 신분증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하는 전원부(400) 및; 상기 입력부(100)와 인증부(200), 통신부(300) 및 전원부(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널과 통신결과 및 시스템 현황을 표시하는 출력부(60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는 지문입력수단(101)과, 스마트칩(102), 입력버튼(103), 터치스크린(104) 및 유심카드(105; USIM card)로 구성되고, 상기 인증부(200)는 비교연산처리기(201) 및 메모리부(202)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300)는 RF모듈(301)과, IR모듈(302), 안테나( 303) 및 USB 통신포트(30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400)는 밧데리 잔량체크수단과 전원차단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원관리부(401)와, 충전 및 충전보호부(402) 및 태양광 충전부(403)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0)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져 신부증의 각부 즉, 입력부(100)와 인증부(200), 통신부(300), 전원부(400) 및 디스플레이부(6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400)는 공급전원으로 DC 배터리의 전원이나, AC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전원, 상기 태양광 충전부(403)에 의한 충전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600)는 LCD 또는 LED를 구비하는 표시패널(601)과, 부저(602), 진동모터(603) 및 통신포터(60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전면에는 일반 학생증이 삽입되는 학생증 삽입부(O)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 일측에는 슬라이드캡(101a)으로 보호되는 지문인식수단(101)과, 스마트칩(102) 및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버튼(10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학생증 삽입부(O) 대신에 출력부(600)를 통하여 학생증 이미지의 표시와 상태표시를 선택적으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학생증 삽입부(O) 대신에 신분증을 이루는 단말기 자체에 개인정보가 인쇄되어 개인의 신분을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신분증의 측면에는 전자 신분증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토글스위치(P)와, LED 충전 표시램프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용 커넥터(Q)가 형성됨과 더불어 전자 신분증의 일측면에 IR모듈(302)이 장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신분증의 후면에는 충전용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 삽입부(R)와 유심카드(105; USIM card)를 장착할 수 있는 유심슬롯(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학생증 삽입부(O) 대신에 출력부(600)를 형성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신분증의 전면에는 표시패널(601)이 상태표시부(601a)와 터치식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표시부(601b)가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자 신분증의 전면에 키조작부(103') 및 지문인식수단(101')이 형성되어 있고, 전자 신분증의 일측면에 적외선 송수신용 IR모듈(302')이 장착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과 네트워킹 가능한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8로부터 본 발명의 전자 신분증이 사용되는 강의실(A, B, C)에서 실행되는 각종 정보 및 통신신호는 네트워크수단(a)을 통해 통합관리센터(MC)와 네트워킹 되고, 네트워크수단(a)을 통해 통합관리센터(MC)와 학교의 기존시스템이 네트워킹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통합관리센터(MC)에는 인터넷을 통해 도서관(PL), 교수실(PR) 등이 네트워킹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의 기능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석체크 기능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을 소지하는 학생들은 강의를 수강하기 위해 강의실(A, B, C; 도 7 참조)로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강의실(A)을 예로 들면, 학생들은 강의 시간에 맞춰 강의실(A)로 들어온 학생들과, 강의 시간에 늦게(예컨대 30분 늦게) 들어오는 학생(이하, "수강자"라 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수(이하, "강의자"라 함)는 필요에 따라 수업을 시작하기 직전에 또는 중간에 강의가 끝날 때 출석을 체크하게 된다.
출석을 체크할 때는 강의자가 "출석을 체크하겠습니다"라고 하면서 소지하고 있는 코드 발생기(X) 또는 교탁에 설치되어 있는 코드 발생기(X)를 조작한다. 그러면, 기 등록된 강의 과목코드와 강의자가 발생시킨 랜덤 코드가 조합되어 새로운 인식코드가 생성되며, 이는 강의실(A)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AP(Y)에서 주기적으로 해당신호를 적외선화(IR화) 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학생은 자기가 소지한 전자 신분증(CD)에 있는 IR모듈(302)의 적외선 송수신부를 상기 무선AP(Y)를 향하게 하고, 적외선 수신버튼을 누르면 IR모듈(302)를 통해 인식코드를 부여받게 되고, 인식코드의 수신완료는 출력부(600)의 부저(602) 또는 진동모터(603)를 통한 부저음과 진동으로 확인한(LED 표시로도 가능)후 저장하게 된다.
이어서 학생이 전자 신분증(CD)의 지문입력수단(101)을 이용하여 지문을 입력하면, 전자 신분증(CD) 발급시 등록된 본인의 지문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인증부(200)의 비교연산처리기(201)와 메모리부(202)의 작용으로 확인하게 되고, 지문이 일치할 경우의 확인을 출력부(600)의 부저(602) 또는 진동모터(603)를 통한 부저음과 진동으로 확인하게 된다(LED 표시로도 가능).
지문확인 절차를 거친 학생이 출석확인버튼을 누르면, 그에 따른 IR모듈( 302)의 적외선신호가 전송되고, 이 전송신호를 강의자가 수신하여 모니터(Z)에 저장함으로써 출석을 체크하게 되는데 출석체크가 정확하게 이루어 졌는지의 여부도 는 LED 표시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강의자는 출석체크가 필요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출석을 체크하여 모니터(Z)에 기록함으로써 미출석자가 누구인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출석체크는 강의자가 출석을 체크한 시점에서 출석, 지각, 미출석이 판단되므로 출석체크 시점과 상관없이 늦게 강의실(A)로 들어오는 학생은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인식코드 수신부터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 그 시점부터 출석시간이 계산되어 출석(지각) 처리된다.
한편 강의자는 일정시간 이상 늦으면 지각 또는 결석처리를 하는 내용을 공지하고 관리자 모드에서 시간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설정된 시간에 따라 출결사항이 체크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전 등록된 교과목 및 수강신청자 현황이 강의자의 모니터(Z)에 표시되고 현장에서 장비의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강의자에게 현장에서 요청하여 수작업으로 직접 입력하여 출석처리할 수도 있다.
수업이 종료되기 직전에는 강의자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인식코드가 생성되어 송신되고, 강의자가 수업종료 버튼을 누르고 수업을 종료한 후 학생들이 이미 자동으로 생성된 인식코드를 자신이 소지한 전자 신분증(CD)으로 재발송함으로써 지각, 결석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한 출석체크 절차의 실행시 교실내 전체를 고해상도 카메라로 스틸 촬영하여 도 7에 나타낸 DB서버에 보관함으로써 혹시 발생할 분쟁의 소지를 방지하게 된다.
질의 응답기능
강의자가 교탁위에 있는 모니터(Z)에서 강의자 본인의 수업시간에 해당하는 관리자 모드에서 질문번호에 대한 응답가는 버튼을 선택한 후 본인확인(지문인식)할 것인지의 여부를 셋팅한다.
본인확인(지문인식)을 하는 경우에는 질문에 대한 답변시간(예컨대 1분 ∼ 5분)을 셋팅하고, "Yes/No를 고르시오"라고 질문하면서 강의자가 질문버튼을 누른다.
그에 따라 학생은 상기 출석체크기능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인 확인 인정을 거친 후 강의자가 선정해준 입력버튼(103) 중 두 가지 버튼 중 하나를 누른 후 입력버튼(103) 중 발송버튼을 누러면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1분(임의의 설정시간) 범위 내에서 출석인원 체크용 표시부에 사전에 설정되었던 Yes 또는 No로 답한 인원수에 대한 통계 값이 표시되고, 1분이 종료되면, 상기 통계값은 도 7에 나타낸 DB서버에 기록됨과 더불어 도표방식으로 표출하여 프로젝트를 사용할 때 그래프로 결과를 분석하면서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질문에 대한 답변의 번호가 1 ∼ 4 가지(숫자 버튼이 1, 2, 3, 4의 4개라고 가정한 경우)를 벗어날 경우에는 강의자가 조합해서 제공할 수 있다. 즉, 1번 버튼을 누르고, 2번 버튼을 누른 후 발송버튼을 누르면, 5번 버튼을 누른 것과 동일하며, 1번 버튼을 누르고, 3번 버튼을 누른 후 발송버튼을 누르면, 6번 버튼을 누른 것과 동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여 입력버튼(103)에 설치되어 있는 숫자버튼의 수에 관계없이 질의응답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질의응답 기능을 설문조사로 이용할 경우에는 질의응답 기능의 실행에서 단지 지문인식(본인인증) 과정을 생략하여 개인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상태로 실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설문조사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금융거래 기능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은 내장된 스마트칩(102)에 의해 통상적인 금융거래 카드로 할 수 있는 입출금 등의 금융거래에 부가하여 금융거래를 실시하기 이전에 전자 신분증(CD)의 지문입력수단(101)과 금융기관의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지문인증수단에 의해 본인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본인임이 확인된 경우에 기존의 금융거래 카드와 동일한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되어 금융카드의 위조나 도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카드 및 금융 범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신분증 기능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은 전자 신분증(CD)의 지문입력수단(101)으로 지문을 입력하여 지문인식을 통해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투표소에 지문인증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설치하고, 투표소의 단말기에 본인인증 및 후보번호를 사전에 설정해 둠으로써 전자투표시에 확실하게 신분을 인증받을 수 있는 신분증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신분증 기능은 확실한 신분확인을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느 곳이나 지문인증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만 설치하면 신분 확인을 위한 신분증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기타 기능
본 발명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은 출입문 개폐의 보안카드, 교통카드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전자 신분증의 기능은 기존의 출입문 개폐의 보안카드, 교통카드 등의 기능과 동일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입력부 101, 101' : 지문입력수단
101a : 슬라이드캡 102 : 스마트칩
103 : 입력버튼 103' : 키조작부
104 : 터치스크린 105 : 유심카드(USIM card)
200: 인증부 201 : 비교연산처리기
202 : 메모리부 300 : 통신부
301 : RF모듈 302, 302' : IR모듈
303 : 안테나 304 : USB 통신포트
400 : 전원부 401 : 전원관리부
402 : 충전 및 충전보호부 403 : 태양광 충전부
500 : 제어부 600 : 출력부
601 : 표시패널 601a : 상태표시부
601b : 터치표시부 602 : 부저
603 : 진동모터 604 : 통신포터
a : 네트워크수단 A, B, C : 강의실
O : 학생증 삽입부 P : 토글스위치
Q : 커넥터 R : 배터리 삽입부
S : 유심슬롯 X : 코드 발생기
Y : 무선AP MC : 통합관리센터
PL : 도서관 PR : 교수실

Claims (13)

  1. 개인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인증부(200)와; 인증된 개인정보와 현 위치정보 및 수강현황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가공된 인증결과에 대한 정보 및 질의ㆍ응답 결과 등을 교환하는 통신부(300)와; 신분증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하는 전원부(400) 및; 상기 입력부(100)와 인증부(200), 통신부(300) 및 전원부(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자 신분증에 개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널과 통신결과 및 시스템 현황을 표시하는 출력부(6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600)는 LCD 또는 LED를 구비하는 표시패널(601)과, 부저(602), 진동모터(603) 및 통신포터(60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0)는 지문입력수단(101)과, 스마트칩(102), 입력버튼(103), 터치스크린(104) 및 유심카드(105; USIM car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200)는 비교연산처리기(201) 및 메모리부(2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300)는 RF모듈(301)과, IR모듈(302), 안테나( 303) 및 USB 통신포트(3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400)는 밧데리 잔량체크수단과 전원차단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원관리부(401)와, 충전 및 충전보호부(402) 및 태양광 충전부(4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400)는 공급전원으로 DC 배터리의 전원이나, AC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전원, 상기 태양광 충전부(403)에 의한 충전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신분증의 전면에는 학생증이 삽입되는 학생증 삽입부(O)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는 슬라이드캡(101a)으로 보호되는 지문인식수단(101)과, 스마트칩(102) 및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버튼(10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증 삽입부(O) 대신에 출력부(600)를 통하여 학생증 이미지의 표시와 상태표시를 선택적으로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증 삽입부(O) 대신에 신분증을 이루는 단말기 자체에 개인정보가 인쇄되어 개인의 신분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신분증의 측면에는 전자 신분증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토글스위치(P)와, LED 충전 표시램프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용 커넥터(Q)가 형성됨과 더불어 전자 신분증의 일측면에 IR모듈(30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신분증의 후면에는 충전용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 삽입부(R)와 유심카드(105; USIM card)를 장착할 수 있는 유심슬롯(S)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KR1020100006383A 2010-01-25 2010-01-25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KR10109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83A KR101095947B1 (ko) 2010-01-25 2010-01-25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83A KR101095947B1 (ko) 2010-01-25 2010-01-25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967A true KR20110086967A (ko) 2011-08-02
KR101095947B1 KR101095947B1 (ko) 2011-12-20

Family

ID=4492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383A KR101095947B1 (ko) 2010-01-25 2010-01-25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9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3016C2 (ru) * 2011-10-27 2013-09-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ЛИСАР"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сональ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KR20170011305A (ko) * 2015-07-22 2017-02-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6898099A (zh) * 2016-12-08 2017-06-27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智能制证终端
KR101883822B1 (ko) * 2017-08-24 2018-08-30 한남석 자체 전원공급모듈을 설치한 전자 신분증
KR20210077152A (ko) * 2019-12-17 2021-06-25 김범국 신분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08Y1 (ko) 2003-03-07 2003-06-02 (주) 위트젠 지문인식 기능을 이용한 학사정보 관리장치
KR200434136Y1 (ko) * 2006-09-28 2006-12-18 주식회사 카드토피아 생체 인증을 이용한 멀티 액세스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3016C2 (ru) * 2011-10-27 2013-09-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ЛИСАР"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сональ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KR20170011305A (ko) * 2015-07-22 2017-02-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6898099A (zh) * 2016-12-08 2017-06-27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智能制证终端
KR101883822B1 (ko) * 2017-08-24 2018-08-30 한남석 자체 전원공급모듈을 설치한 전자 신분증
KR20210077152A (ko) * 2019-12-17 2021-06-25 김범국 신분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947B1 (ko) 201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ulogun et al. RFID-based students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6991155B2 (en) Transaction card system having security against unauthorized usage
US7185808B2 (en) Entering/leaving management system
US20080028230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proximity card
KR101095947B1 (ko)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DE10224209A1 (de) Autorisierungseinrichtung-Sicherheitsmodul -Terminal-System
JP2005534125A (ja) 許可ドキュメントの保有者を自動確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9081570A1 (ja) 認証システム及び電子錠
WO2009001394A1 (en) Contact less smart card with facial recognition
CN109064580B (zh) 一种签到和电子设备存取一体系统
EP3042349A1 (en) Ticket authorisation
US8620039B2 (en) Card device security using biometrics
TW201537521A (zh) 自主式訪客系統與其主機
US200902003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voting
UA124088C2 (uk) Вiддалений друк відміток на захищеному документі
Gurubasavanna et al. Multimode authentication based electronic voting kiosk using raspberry pi
WO2006075396A1 (ja) 認証システム
Ayomide et al. Optimization Of An Identity Access control System Using Biometric Techniques
JP2006244254A (ja) 入退室管理装置、入退室管理方法、及び入退室管理プログラム
US11295098B1 (en) Smart driver card device and driver data and traffic management system
JP2007026138A (ja) 不正カードの利用防止システムおよびatm
KR20060083454A (ko)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CN113327376A (zh) 一种车站智能存储柜
Annadate et al. Online voting system using biometric verification
WO2019144164A2 (en) A card and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