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680A -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 Google Patents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680A
KR20110086680A KR1020110069175A KR20110069175A KR20110086680A KR 20110086680 A KR20110086680 A KR 20110086680A KR 1020110069175 A KR1020110069175 A KR 1020110069175A KR 20110069175 A KR20110069175 A KR 20110069175A KR 20110086680 A KR20110086680 A KR 2011008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data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혁태
전화진
Original Assignee
디지엠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지엠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디지엠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11006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680A/en
Publication of KR2011008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6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realizing a multiple user controller based on N- screen using a plurality of smart phone supporting a sensor is provided to realize a multiple user controller supporting an exact control by using a plurality of smart phone in an N-screen device. CONSTITUTION: A protocol generating module(1130) generates a protocol through a sensing data sampling and an event sensing in a client module. A communication protocol includes inherent identifier of a smart phone. The identifier of the smart phone includes element of inherent identification of the smart phone terminal corresponding as a terminal producing inherent number, a telephone number, a subscriber name.

Description

센서를 지원하는 복수 개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엔-스크린 기반 다중사용자 컨트롤러의 구현방법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multiple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은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중력센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스마트폰과 PC, 스마트TV, IP셋탑박스를 포함하는 N-스크린 기기와의 무선 통신기술 이용하여 N-스크린기기에서 구현되는 컨텐츠 제어를 수행하는 다중사용자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contents implemented in an N-screen device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a plurality of smartphones including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avity sensor and an N-screen device including a PC, a smart TV, and an IP set-top box. It relates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a multi-user controller to perform the.

[문헌 1] 안규성 외 3인,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마우스 설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0.[Document 1] Kyu-Sung Ahn and 3 others, Mouse Design using Acceleration Sensor of Smartphon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Autumn Conference, 2010.

[문헌 2] 최지훈 외 4인,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한 PC게임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0.[Document 2] Choi Ji Hoon and 4 others, PC Game System using Smartphone Sensor, Korean Multimedia Society, Fall Conference 2010, 2010.

종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컨트롤러 구현방식은 PC를 기반으로 한 단수 개의 스마트폰을 단일 사용자 컨트롤러로 구현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마우스 구현방식과 [문헌 1,2]과 같이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마우스 구현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controller implementation method using a smartphone is a method of implementing a single user controller based on a PC as a single user controller, a mouse implementation method using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and a smartphone as shown in [Documents 1 and 2]. It is being developed as a mouse implementa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상기의 방식은 단수 개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단일 사용자 컨트롤러의 구현방식으로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N-스크린 기기의 현재 포인터 위치를 기준으로 가속도센서의 변량에 따른 단순 방향변경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의 각도, 방향, 사용자의 회전에 대한 정확한 컨트롤이 불가능하다. 또한 단수 개의 스마트폰으로 단일 사용자 컨트롤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above method is a method of implementing a single user controller using a single smartphone,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a simple direction chang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based on the current pointer position of the N-screen device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It is not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angle, direction and rotation of the user. The problem is that only a single user can be controlled by a single smartphon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N-스크린 기기에서 복수 개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확한 컨트롤을 지원하는 다중사용자 컨트롤러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implement a multi-user controller that supports accurate control using a plurality of smartphones in an N-screen device.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중력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각도, 방향, 사용자의 회전에 대한 정확한 다중사용자 컨트롤을 실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n accurate multi-user control of the angle, direction, and rotation of the user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geomagnetic sensor, gravity sensor of the smartph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은 스마트폰과 N-스크린 기기와의 통신 프로토콜 헤더부에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를 포함하여 복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중사용자 컨트롤러의 구현을 실현한다.The mai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mplement a multi-user controller using a plurality of smartphones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phone in the communication protocol header por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N-screen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심화된 사상은 이러한 다중사용자 컨트롤러의 구현시 스마트폰의 각도, 방향, 사용자의 회전에 대한 정확한 컨트롤을 위하여 스마트폰의 중력센서와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초기 스마트폰과 사용자의 방향정보를 세팅하며, 중력센서로 스마트폰의 방향과 각도를 판단하며, 지자기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회전을 감지하고, 가속도센서의 변량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정확한 컨트롤을 실현한다.In addition, the deeper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smartphone and the user using the gravity sensor and geomagnetic sensor of the smart phone for precise control of the angle, direction, rotation of the user when implementing the multi-user controller Accurate control is realized by setting the information,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martphone with the gravity sensor, detecting the user's rotation through the geomagnetic sensor, and detecting the user's movement through the variance of the acceleration sens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N-스크린 기기와의 통신은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이루어진 프로토콜; 및 다중사용자 지원을 위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와 날짜, 시간과 같은 부수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 및 정확한 컨트롤을 구현하기 위한 중력센서 데이터, 지자기센서 데이터, 가속도센서 데이터, 터치스크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N-scree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rotocol consisting of a header portion and a data portion; And a header unit including unique identifiers of the smart phone for supporting multi-users a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date and time. And a data unit including gravity sensor data, geomagnetic sensor data, acceleration sensor data, and touch screen data to implement accura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력센서 데이터는 ms(밀리세컨드)를 기준으로 하여 샘플링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의 각도 및 방향에 따라 X축, Y축, Z축 3축의 정보를 특징으로 하며, 프로토콜 데이터부의 첫 번째 부터 세 번째 요소에 할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Gravity sensor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erforms sampling on the basis of ms (milliseco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X-axis, Y-axis, Z-axis three-ax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smartphone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elements of the protocol data portion are alloca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자기센서 데이터는 ms(밀리세컨드)를 기준으로 하여 샘플링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의 각도 및 방향에 따라 X축, Y축, Z축 3축의 정보를 특징으로 하며, 프로토콜 데이터부의 네 번째부터 여섯 번째 요소에 할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Geomagnetic sensor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erforms sampling on the basis of ms (milliseco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X-axis, Y-axis, Z-axis three-axis according to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fourth to sixth elements of the protocol data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속도센서 데이터는 ms(밀리세컨드)를 기준으로 하여 샘플링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의 각도 및 방향에 따라 X축, Y축, Z축 3축의 정보를 특징으로 하며, 프로토콜 데이터부의 일곱 번째부터 아홉 번째 요소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eleration sensor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erforms sampling on the basis of ms (milliseco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X-axis, Y-axis, Z-axis three-ax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smartphone In this case, the seventh to ninth elements of the protocol data portion are alloca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데이터는 터치스크린의 터치이벤트 발생시 추출되며, 터치다운 X좌표, Y좌표, 터치무브 X좌표, Y좌표, 터치업 X좌표, Y좌표, 터치취소 X좌표, Y좌표를 특징으로 하며, 프로토콜 데이터부의 열 번째 부터 열 일곱번째 요소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screen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xtracted when a touch event occurs in the touch screen, touch down X coordinate, Y coordinate, touch move X coordinate, Y coordinate, touch-up X coordinate, Y coordinate, touch cancel X coordinate It is characterized by the Y coordinate, and is assigned to the tenth to seventeenth elements of the protocol data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N-스크린 기기와의 통신을 위하여서는 스마트폰의 클라이언트모듈과 N-스크린 기기의 서버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phone and the N-scree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ient module of the smart phone and a server module of the N-screen devic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figu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모듈은 중력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터치스크린의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기능; 및 이벤트 감지시 각 센서의 데이터를 지정 시간(ms)으로 샘플링하는 샘플링 기능;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를 수집하고 헤더부에 지정하고 각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부에 지정하는 프로토콜 생성기능; 조합된 프로토콜을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ien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ravity sensor, geomagnetic sensor, acceleration sensor, event detection function for detecting the event of the touch screen; And a sampling function of sampling data of each sensor at a predetermined time (ms) when an event is detected. A protocol generation function for collecting a unique identifier of a smartphone and assigning it to a header part and assigning data collected from each sensor to a data part; A transmiss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combined protocol to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송기능은 블루투스 및 무선 인터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Bluetooth and wireless Intern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모듈은 클라이언트의 연결요청을 처리하고 연결상태를 관리하는 세션관리기능;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수신기능; 수신된 프로토콜을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나누고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프로토콜 분석기능; 헤더부로부터 추출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부분; 데이터부로부터 추출된 중력센서의 3축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부분; 데이터부로부터 추출된 지자기센서의 3축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부분; 데이터부로부터 추출된 가속도센서의 3축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부분; 데이터부로부터 추출된 터치스크린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부분;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와 컨텐츠 내 개체의 고유식별자의 관계설정기능 및 관계정보 저장부분; 각 센서로부터 수신된 3축 데이터를 조합하여 컨텐츠 내부 개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좌표변환 기능; 터치스크린의 회득된 데이터와 컨테츠 내부 개체의 반응을 제어하는 터치처리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for processing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client and manages the connection state; A receiving function for receiving a protocol from a client; A protocol analysis function for dividing the received protocol into a header portion and a data portion and analyzing the protocol; Obtaining and storing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phone extracted from the header unit; Obtaining and storing three-axis data of the gravity sensor extracted from the data unit; Obtaining and storing three-axis data of the geomagnetic sensor extracted from the data unit; Obtaining and storing three-axis data of the acceleration sensor extracted from the data unit; Obtaining and storing data of the touch screen extracted from the data unit; Relationship setting func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storage portion of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phone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object in the content; A coordinate transformation function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n object inside the content by combining three-axis data received from each sensor; A touch processing function for controlling a response of the acquired data on the touch screen and an object inside the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N-스크린 기기의 연산성능과 통신 매체의 전송대역폭의 효율에 따라 선택적으로 클라이언트모듈의 전송기능과 서버모듈의 수신기능에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과 암호화, 복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data compression algorithm, encryption, and decryption algorithm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client module and the reception function of the server module according to the computational performance of the N-screen device and the efficiency of the transmission bandwidth of the communication medium.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각 센서들의 3축 데이터 값은 센서의 하드웨어 스펙에 따라 4축, 6축으로 확장되어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토콜의 데이터부의 데이터요소도 4개 요소 혹은 6개 요소로 확장되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e-axis data value of each sensor of the smart phone can be extended to four axes, six axes according to the hardware specification of the sensor, and accordingly, the data element of the protocol data section is also extended to four or six elements Can be implemented.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의 종류에 따라 단일 터치, 슬라이딩, 멀티 터치를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프로토콜의 데이터부는 확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 phone may support a single touch, sliding, multi-touch, according to the data portion of the protocol can be extended.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스마트폰 각각의 센서들의 3축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N-스크린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회전,타격과 같은 다중사용자 컨트롤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 multi-user controller such as a user's movement, rotation, and strike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N-screen device using three-axis data values of sensors of each of a plurality of smartphone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N-스크린 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단일사용자 컨트롤러의 구현에서 다중사용자 구현을 실현하여 멀티 플레이 게임과 같이 다중사용자 컨텐츠를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alizing a multi-user implementa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a single-user controller using a smartphone in the N-screen device to control the multi-user content, such as multi-player games.

본 발명에 제시한 통신 프로토콜 내부에 정의된 데이터부의 센서 데이터들은 N-스크린 기기에서 사용자의 회전, 이동, 타격과 같은 정밀한 제어를 실현하도록 하며, 게임뿐만 아니라 컨텐츠 간의 이동, 탐색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 응용될 수 있다.The sensor data of the data part defined in the communication protoco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recise control such as rotation, movement, and hitting of the user in the N-screen device,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areas such as movement and navigation between contents as well as games. Can be applied.

[도 1] 스마트폰 클라이언트모듈
[도 2] N-스크린 기기 서버모듈
[도 3] 통신 프로토콜
[도 4] 관계정보 매트릭스
[도 5] 스마트폰 및 N-스크린 기반 연동 구조도
1 is a smart phone client module
Figure 2 N-screen device server module
3 communication protocol
[Figure 4]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Figure 5] Smartphone and N-screen based interworking structure diagra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단순화된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eans simplified to emphasize more clea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이 구현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모듈을 도시한다. 도시한 클라이언트모듈(1100)은 스마트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스마트폰 상의 각종 센서 및 터치스크린의 이벤트감지(1110)를 하여 각 센서의 데이터를 샘플링(1120)하고, 도 3에 도시된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헤더부와 데이터부를 생성(1130)하고 네트워크의 대역폭과 상태, 서버가 되는 N-스크린 기기의 컴퓨팅 능력에 따라 압축모듈(1140), 암호화모듈(1150)을 거쳐 N-스크린 기기의 서버모듈로 전송(1160)한다.1 illustrates a client module installed in a smart phone in which the mai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e illustrated client module 1100 is installed and executed in a smart phone to perform event detection 1110 of various sensors and touch screens on the smart phone to sample 1120 data of each sensor, and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shown in FIG. 3. The header unit and the data unit are generated 1130 according to the bandwidth and state of the network, and the server module of the N-screen device through the compression module 1140 and the encryption module 1150 according to the computing capability of the N-screen device. Send 1160.

상기 이벤트감지(1110) 모듈은 중력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터치스크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며, 주로 터치스크린의 터치다운, 터치무브, 터치업, 터치캔슬의 이벤트와 해당 X좌표, Y좌표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vent detection 1110 module detects that an event occurs in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ouch screen, and mainly events of touchdown, touchmove, touchup, and touch cancel of the touch screen and corresponding X coordinates, It extracts the Y coordinate.

상기 센서데이터샘플링(1120) 모듈은 주로 중력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의 3축 데이터 정보를 샘플링하여 프로토콜생성(1130) 모듈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data sampling 1120 module mainly serve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protocol generation 1130 module to process data by sampling three-axis data information of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상기 프로토콜생성(1130) 모듈은 이벤트감지(1110)모듈 및 센서데이터샘플링(1120)모듈에서 추출된 각종 센서정보를 도 3에 도시된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구성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rotocol generation 1130 module configures various sens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vent detection 1110 module and the sensor data sampling 1120 modul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shown in FIG. 3.

상기 도 3의 통신 프로토콜(1300)은 헤더부(1310)와 데이터부(1320)로 구성되어지며, 이벤트감지(1110)모듈과 센서데이터샘플링(1120)모듈로 부터 추출된 센서의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서버모듈(1200)로 전송할 데이터를 규약에 맞추어 조합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protocol 1300 of FIG. 3 includes a header unit 1310 and a data unit 1320, and combines data of sensors extracted from an event detection 1110 module and a sensor data sampling 1120 module. It serves to combine the data to be sent to the server module 1200 in accordance with the protocol.

상기 통신 프토로콜(1300)의 헤더부(1310)는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 엔트리와 실행날짜 및 시간, 처리작업구분, 단말기 고유코드 엔트리로 구성된다. 스마트폰 고유식별자 엔트리는 서버모듈(1200)에서 복수 개의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다중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의 값이 변하여 N-스크린 기기 내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내 다수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조정하기 위한 구분자로 사용된다. 또한, 처리작업구분 엔트리는 데이터의 압축여부, 압축방법, 암호화여부, 암호와방법에 대한 작업구분코드를 담고 있어 서버모듈(1200)에서 해당 작업구분 엔트리를 통하여 압축해제 및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한다.The header portion 1310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1300 is composed of a unique identifier entry of the smart phone, an execution date and time, a processing task classification, and a terminal unique code entry.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entry is for supporting multiple users by recognizing a plurality of smartphones in the server module 1200. The sensor values are changed to individually select movement of a plurality of objects in the content executed in the N-screen device. It is used as a separator to adjust. In addition, the processing work classification entry contains the work classification code for data compression, compression method, encryption, encryption and method, so that the server module 1200 decompresses and decrypts the data through the work classification entry.

상기 통신 프로토콜(1300)의 데이터부(1320)는 추출된 중력센서의 3축 데이터, 지자기센서의 3축 데이터, 가속도센서의 3축 데이터, 터치스크린의 터치다운 X,Y좌표, 터치무브 X,Y좌표, 터치업 X,Y좌표, 터치캔슬 X,Y좌표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의 움직임과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터치에 따라 데이터가 변경된다.The data unit 1320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1300 includes three-axis data of the extracted gravity sensor, three-axis data of the geomagnetic sensor, three-axis data of the acceleration sensor, touch-down X, Y coordinate of the touch screen, touch move X, Y coordinates, touch-up X, Y coordinates, touch cancel X, Y coordinates, and the data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user's touch screen touch.

상기 클라이언트모듈(1100)의 압축모듈(1140)은 통신 프로토콜(1300)의 데이터부(1320)의 정보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선택적으로 압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압축시 '비손실 압축' 알고리즘인 Run-Length, Lempel-Ziv, Huffman Encoding 방법 중 1가지를 선택하여 데이터부의 전송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실현한다.The compression module 1140 of the client module 1100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information of the data unit 1320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1300, and may selectively perform compression. By selecting one of Run-Length, Lempel-Ziv, and Huffman Encoding methods, which is a compression algorithm, a method of reducing the data transmission capacity is realized.

상기 클라이언트모듈(1100)의 암호화모듈(1150)은 통신 프로토콜(1300)의 헤더부와 데이터부를 모두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서버모듈로 전송되는 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실현하며 서버인 N-스크린 기기의 컴퓨팅능력과 보안성 위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encryption module 1150 of the client module 1100 compresses both the header portion and the data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1300 to realize a function of improving the security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lient module to the server module. It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mputing power and security risk of the screen device.

상기 클라이언트모듈(1100)의 전송(1160)모듈은 프로토콜생성(1130)모듈과 압축모듈(1140), 암호화모듈(1150)을 통해 만들어진 데이터 패킷을 서버모듈(12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서버인 N-스크린 기기의 하드웨어 지원 사양에 따라 블루투스(1010) 네트워킹을 이용한 방법 혹은 와이파이(1020) 네트워킹을 이용한 방법을 선택하여 서버모듈(1200)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 준다.The transmission module 1160 of the client module 1100 transmits data packets generated through the protocol generation module 1130, the compression module 1140, and the encryption module 1150 to the server module 1200. According to the hardware support specification of the N-screen device, which is a server, a method using Bluetooth 1010 networking or a method using Wi-Fi 1020 networking is selected to transmit the data packet to the server module 1200.

상기 전송(1160)모듈은 와이파이(1020) 네트워킹의 경우 TCP와 UDP를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서버의 설정에 따라 IP주소와 PORT번호를 지정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1160 module can accommodate both TCP and UDP in the case of Wi-Fi 1020 networking, and can connect by specifying an IP address and a PORT number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server.

도 2는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이 구현되는 N-스크린 기기에 설치된 서버모듈을 도시한다. 도시한 서버모듈(1200)은 N-스크린 기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스마트폰 의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연결요청 세션을 처리(1210)하고, 각 세션마다 전송된 데이터 패킷 프로토콜을 수신(1220)하여 암호화된 패킷의 경우 복호화(1230)를 수행하고, 압축된 패킷의 경우 압축모듈(1240)을 수행하여 데이터 패킷을 복원한 후 프로토콜을 분석(1250)하여 요청한 세션의 프토로콜 헤더부(1310)로 부터 추출된 스마트폰 고유식별자를 고유식별자저장소(1251)에 저장하고, 프로토콜 데이터부(1320)로 부터 추출된 각 센서의 3축 데이터를 센서데이터저장소(1252)에 저장 하고, 프로토콜 데이터부(1320)로 부터 추출된 터치스크린의 터치다운 X,Y좌표, 터치무브 X,Y좌표, 터치업 X,Y좌표, 터치캔슬 X,Y좌표를 터치스크린데이터저장소(1253)에 저장한 후 고유식별자관계관리(1260)모듈을 통하여 도 4의 고유식별자 관계정보 매트릭스(1261, 140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추출하여 고유식별자저장소(1251), 센서데이터저장소(1252), 터치스크린데이터저장소(1253) 고유식별자관계정보 매트릭스(1261,140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좌표처리 및 터치처리(1270)모듈에서 N-스크린 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내부 개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2 illustrates a server module installed in an N-screen device in which the mai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e illustrated server module 1200 is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N-screen device to process the connection request session from the client module 1100 of the smartphone (1210), and receives the data packet protocol transmitted for each session (1220) In the case of the encrypted packet, decryption 1230 is performed, and in the case of the compressed packet, the compression module 1240 is used to recover the data packet and then analyze the protocol 1250 to analyze the protocol header part 1310 of the requested session. The unique identifier extracted from the smartphone is stored in the unique identifier store 1251, the 3-axis data of each sensor extracted from the protocol data unit 1320 is stored in the sensor data store 1252, the protocol data unit The touchdown X, Y coordinates, Touch Move X, Y coordinates, Touch Up X, Y coordinates, Touch Cancel X, Y coordinates of the touch screen extracted from (1320) are stored in the touch screen data store 1253 Through Identifier Relationship Management (1260) module And store in the unique identifier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1261 and 1400 of FIG. In this way, the coordinate processing and the touch processing module 1270 are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unique identifier store 1251, the sensor data store 1252, and the touch screen data store 1253.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inside the content executed on the N-screen device.

상기 세션관리(1210)모듈은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블루투스(1010) 네트워킹 혹은 와이파이(1020) 네트워킹을 통해 연결이 요청될 때, 각 스마트폰의 연결을 관리해 주는 모듈로서, 복수 개의 스마트폰을 지원하는 다중사용자 컨트롤러를 구현해 주는 핵심자원 관리를 수행한다. 세션관리(1210)모듈은 블루투스 연결요청 풀과 와이파이연결요청 풀을 관리하여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연결 요청이 들어오면 그 연결 요청의 방법에 따라 블루투스 연결요청 풀과 와이파이연결요청 풀에 자원을 할당하고 해당 세션의 연결을 관리한다. 이를 통해 각 세션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받아 세션별 프로토콜분석(1250) 및 처리(1270)를 실현하게 된다.The session management 1210 module is a module that manages the connection of each smartphone when a connection is request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through Bluetooth 1010 networking or Wi-Fi 1020 networking. It performs core resource management that implements the supporting multi-user controller. The session management module 1210 manages the Bluetooth connection request pool an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pool, and when a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Bluetooth connection request pool an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pool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method. Assign and manage connections for that session. Through this, the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each session is received, thereby realizing session-specific protocol analysis 1250 and processing 1270.

상기 프로토콜수신(1220)모듈은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모듈로서, 세션관리(1210)모듈에서 할당한 자원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받아 임시저장소에 할당하고 해당 임시저장소의 데이터를 복호화모듈(1230), 압축모듈(1240)을 거쳐 프로토콜분석(1250)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otocol receiving module 1220 is a module for receiving data packets transmitt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The protocol receiving module 1220 receives data packets received from resources allocated by the session management module 1210 and assigns the data packets to temporary storage. The protocol analysis 125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ecoding module 1230 and the compression module 1240.

상기 복호화모듈(1230)은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암호화 된 경우 해당 내용을 복호화 해주는 모듈로서, 클라이언트모듈(1100)과 서버모듈(120) 사이의 통신시 보안이 필요할 경우 사용된다.The decryption module 1230 is a module for decrypting a corresponding content when a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is encrypted, and is used when security is required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module 1100 and the server module 120. do.

상기 압축모듈(1240)은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통신 프로토콜(1300) 데이터부(1320)의 내용이 네트워크 대역폭과 서버인 N-스크린 기기의 컴퓨팅 능력에 따라 압축된 경우 헤더부(1310)로 부터 도출된 압축여부와 압축방법을 확인하여 데이터부(1320)의 내용을 복원해 주는 모듈이며, 복원시 '비손실 압축' 알고리즘인 Run-Length, Lempel-Ziv, Huffman Encoding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module 1240 is a header when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1300 data unit 1320 of the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are compressed according to the network bandwidth and the computing capability of the N-screen device as a server. A module that restores the contents of the data unit 1320 by checking the compression and compression method derived from the unit 1310. Run-Length, Lempel-Ziv, and Huffman Encoding techniques, which are 'lossless compression' algorithms, are restored. Can optionally be used.

상기 프로토콜분석(1250)모듈은 복호화 및 복원과정을 거친 통신 프로토콜(1300)의 헤더부(1310)와 데이터부(1320)를 분석하여 처리를 위한 저장소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모듈로서, 헤더부(1310)의 스마트폰 고유식별자 엔트리로 부터 고유식별자를 추출하고 해당 고유식별자를 고유식별자저장소(1251)에 저장하고, 데이터부(1320)로 부터 중력센서의 3축 데이터, 지자기센서의 3축 데이터, 가속도센서의 3축 데이터를 센서데이터저장소(1252)에 저장하고, 터치스크린의 터치다운 X,Y좌표, 터치무브 X,Y좌표, 터치업 X,Y좌표, 터치캔슬 X,Y좌표를 터치스크린데이터저장소(1253)에 저장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좌표처리,터치처리(1270)모듈에서 N-스크린 기기 내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내부 개체의 움직임과 활동을 수행하는 데이털르 제공한다.The protocol analysis 1250 module is a module that analyzes the header part 1310 and the data part 1320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1300, which has been decoded and restored, and stores them in a storage for processing. Extract the unique identifier from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entry of 1310) and store the unique identifier in the unique identifier store 1251, three-axis data of the gravity sensor, three-axis data of the geomagnetic sensor from the data unit 1320, The 3-axis data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stored in the sensor data storage 1252, and touch-down X, Y-coordinates, touch-move X, Y-coordinates, touch-up X, Y-coordinates, touch-cancellation X, Y-coordinates of the touch screen The data storage 1253 stores data in the coordinate processing and touch processing module 1270 to provide data for performing movements and activities of objects inside the content executed in the N-screen device.

상기 고유식별자저장소(1251)는 세션관리(1210)모듈로 부터 할당받은 자원의 세션ID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수신받은 스마트폰 고유식별자가 저장된다.The unique identifier store 1251 stores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based on the session ID of the resource allocated from the session management 1210 module.

상기 센서데이터저장소(1252)는 세션관리(1210)모듈로 부터 할당받은 자원의 세션ID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수신받은 중력센서의 3축 데이터, 지자기센서의 3축 데이터, 가속도센서의 3축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sensor data store 1252 is three-axis data of the gravity sensor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three-axis data of the geomagnetic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based on the session ID of the resource allocated from the session management 1210 module 3-axis data is stored.

상기 터치스크린데이터저장소(1253)는 세션관리(1210)모듈로 부터 할당받은 자원의 세션ID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모듈(1100)로 부터 수신받은 터치스크린의 터치다운 X,Y좌표, 터치무브 X,Y좌표, 터치업 X,Y좌표, 터치캔슬 X,Y좌표가 저장된다.The touch screen data store 1253 is a touchdown X, Y coordinate, touch move X, Y of the touch screen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1100 based on the session ID of the resource allocated from the session management 1210 module Coordinates, touch-up X, Y coordinates, touch cancel X, Y coordinates are stored.

상기 고유식별자관계관리(1260)모듈은 고유식별자저장소(1251)에 존재하는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를 세션ID를 기준으로 하여 취득하고 해당 세션의 스마트폰이 제어할 N-스크린 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내 개체의 고유식별자를 관계정보매트릭스(1400)의 엔트리에 등록하여 스마트폰과 해당 세션의 스마트폰이 제어할 컨텐츠 내 개체간의 관계를 설정해 준다. 이를 통해 각 세션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은 컨텐츠 내의 개별개체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실현해 주며, 이를 통해 복수 스마트폰으로 다중사용자 컨트롤러를 최종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unique identifier relationship management module 1260 acquires a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phone present in the unique identifier store 1251 based on the session ID and executes the content in the N-screen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of the session.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object is registered in the entry of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1400 to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object in the content to be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of the session. Through this, the smartphone corresponding to each session can be realized to control individual objects in the content, thereby enabling the final implementation of a multi-user controller with multiple smartphones.

상기 좌표처리,터치처리(1270)모듈은 고유식별자관계관리(1260)모듈을 통해 생성된 관계정보매트릭스(1400)를 통하여 관계된 개별 스마트폰과 컨텐트 내 개체의 움직임과 활동을 실현시켜 주는 모듈로, 각 세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변량을 해당 세션의 스마트폰 고유식별자를 기준으로 한 컨텐츠 내 개체의 고유식별자의 속성과 메소드에 반영시켜 줌으로서 N-스크린 기기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 내 개체를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현하며, 이를 통하여 한 대의 N-스크린 기기에 복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중사용자 컨트롤러를 실현한다.The coordinate processing and touch processing module 1270 is a module for realizing the movements and activities of the related individual smartphones and the objects in the content through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1400 generated through the unique identifier relationship management module 1260. By varying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in each session to the properties and methods of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object in the content based on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of the session, you can move the objects in the content running on the N-screen device individually. In this way, a multi-user controller is realized by using a plurality of smartphones in one N-screen device.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10 블루투스 네트워킹을 통한 통신 프로토콜 전송
1020 와이파이 네트워킹을 통한 통신 프로토콜 전송
1100 클라이언트모듈 : 스마트폰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모듈 애플리케이션
1110 이벤트감지 : 클라이언트 모듈 내의 터치스크린 및 센서의 이벤트 감지
1120 센서데이터샘플링 : 클라이언트 모듈 내의 각종 센서의 이벤트 감지 및 센서 데이터 샘플링
1130 프로토콜생성 :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와 각 센서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프로토콜 정의에 맞도록 조합하는 기능
1140 압축모듈 : N-스크린 기기의 컴퓨팅 능력이 좋고 네트워크 전송대역폭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통신 프로토콜을 압축하여 전송하기 위한 압축모듈로, '비손실 압축' 알고리즘인 Run-Length, Lempel-Ziv, Huffman Encoding 기법을 도입하여 구현할 수 있다
1150 암호화모듈 : 선택적으로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보내지는 정보의 보안을 필요로 할 경우 적용하는 모듈
1160 전송 : 생성된 통신 프로토콜을 서버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으로,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네트워킹을 통하여 서버모듈로 전송을 실행한다
1200 서버모듈 : N-스크린 기기에 설치되는 서버 모듈 애플리케이션
1210 세션관리 : 복수의 스마트폰의 연결 요청과 연결관리를 수행
1220 프로토콜수신 : 클라이언트모듈로 부터 전송받은 프로토콜을 수신
1230 복호화모듈 : 클라이언트모듈로 부터 전송받은 프로토콜이 암호화된 경우 복호화를 수행하는 모듈
1240 압축모듈 : 클라이언트모듈로 부터 전송받은 프로토콜이 압축된 경우 해당 압축알고리즘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복원하는 모듈
1250 프로토콜분석 : 헤더의 스마트폰 고유식별자를 획득하고 각 센서데이터 및 터치스크린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버측 저장소에 저장하는 기능 수행
1251 고유식별자저장소 : 클라이언트모듈로 부터 수신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를 저장해 두는 서버측 저장소
1252 센서데이터저장소 : 다수 개의 센서 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해 두는 서버측 저장소
1253 터치스크린데이터저장소 : 터치스크린 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해 두는 서버측 저장소
1260 고유식별자관계관리 : 복수의 스마트폰으로 부터 오는 요청과 컨텐츠 내부 개체의 고유식별자와의 관계를 관리하여 개별 스마트폰이 특정 개체의 움직임에 관여 할 수 있도록 관계를 관리해 주는 기능
1261 고유식별자관계정보매트릭스 : 스마트포의 고유식별자와 N-스크린 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내부 개체의 관계정보를 설정해 주는 저장소
1270 좌표처리/터치처리 : 클라이언트모듈로 부터 요청된 움직임을 고유식별자관계관리를 통하여 정의된 컨텐츠 내부 개체의 움직임을 실행시켜주는 모듈
1300 통신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모듈과 서버모듈의 통신 규약
1310 헤더부 : 통신 프로토콜의 헤더부는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 날짜,시간, 처리작업구분(압축여부, 압축방법, 암호화여부, 임호화방법), 단말기 고유코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전송
1320 데이터부 : 통신 프로토콜의 데이터부는 스마트폰의 각종 센서와 터치스크린의 데이터를 순번에 따라 정렬하고 해당 데이터를 전송
1400 관계정보매트릭스 상세 :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와 N-스크린 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내부 개체의 고유식별자의 관계정보를 관리해 주는 저장소 구조
1010 Communication protocol transmission via Bluetooth networking
Communication protocol transmission via 1020 Wi-Fi networking
1100 client module: client module application that operates on a smartphone
1110 Event Detection: Event Detection of Touch Screen and Sensor in Client Module
1120 Sensor data sampling: event detection and sensor data sampling of various sensors in the client module
1130 Protocol generation: A function that combine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phone and data collected from each sensor to meet the protocol definition.
1140 Compression module: Compression module that compresses and transmits communication protocol when N-screen device has good computing power and network bandwidth is not enough. Run-Length, Lempel-Ziv, Huffman Encoding Can be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technique
1150 encryption module: module to be applied when the security of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smartphone terminal optionally
1160 Transmission: Sends the created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server module. It executes the transmission to the server module through Bluetooth and Wi-Fi networking.
1200 Server Module: Server module application installed in N-screen device
1210 session management: perform connection requests and connection management of multiple smartphones
1220 Receive protocol: Receive protocol received from client module
1230 decryption module: a module that performs decryption when the protocol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is encrypted
1240 compression module: module that restores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compression algorithm when protocol received from client module is compressed
1250 Protocol analysis: Acquires unique identifier of smartphone in header, extracts sensor data and touch screen data and stores in server side storage
1251 Unique Identifier Storage: Server-side storage that store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phone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1252 Sensor data storage: Server-side storage that stores information of multiple sensor data
1253 Touch Screen Data Storage: A server-side storage that stores touch screen data.
1260 Unique identifier relationship management: Manages the relationship so that individual smartphones can be involved in the movement of a specific object by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quests from multiple smartphones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object inside the content.
1261 Unique identifier relationship matrix: A repository that se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 For and an object inside the content running on the N-screen device.
1270 Coordinate processing / touch processing: A module that executes the movement of an object inside the content defined through unique identifier relationship management for the movement requested from the client module.
1300 Communication Protocol: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Client Module and Server Module
1310 Header part: The header part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optionally includes a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date, time, processing task classification (compression, compression, encryption, encryption) and terminal unique code as necessary.
1320 Data part: The data part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arranges the data of various sensors of the smartphone and the touch screen in order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1400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Details: Repository structure that manages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unique identifier of a smartphone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an internal object running on an N-screen device.

Claims (9)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이벤트감지와 센서데이터 샘플링을 통해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프로토콜생성모듈로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자는 단말기 생산고유번호, 전화번호, 가입자명과 같이 해당 스마트폰 단말의 고유식별이 가능한 요소를 포함.A protocol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protocol through event detection and sensor data sampling in a client module, the communication protocol comprising a unique identifier of a smartphon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martphone includes elements capable of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terminal, such as a terminal production unique number, telephone number, and subscriber name.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에 따라 압축모듈을 통해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상기 압축모듈은 '비손실 압축' 알고리즘인 Run-Length, Lempel-Ziv, Huffman Encoding을 포함하며, 이외 '손실압축' 알고리즘과 같이 다른 형태의 알고림즘을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줄이는 기능.A module for compres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through a compression module according to a selection; The compression module includes Run-Length, Lempel-Ziv, and Huffman Encoding, which are 'lossless compression' algorithms, and other functions such as 'lossy compression' algorithms to reduce the capacity of data packets.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에 따라 스마트폰 고유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DES, AES 암호화 알고리즘과 파생알고리즘, UTF Encoding을 통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모듈. The encry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encrypting the data packet including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through the encryption algorithm through the DES, AES encryption algorithm, derivative algorithm, UTF encoding. 클라이언트모듈의 접속요청을 블루투스 네트워킹 및 와이파이 네트워킹을 구분하여 요청하는 접속에 대하여 자원을 할당하고 다중 접속을 지원하는 세션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모듈의 세션관리모듈.Session management module of the ser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managing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client module to allocate the resources for the connection requesting the Bluetooth networking and Wi-Fi networking, and to manage the session unit to support multiple access. 서버모듈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비손실 압축' 알고리즘인 Run-Length, Lempel-Ziv, Huffman Encoding과 '손실압축' 알고리즘과 같이 다른 형태의 알고리즘을 통해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모듈.Compression characterized by restoring the data packet through other types of algorithms such as Run-Length, Lempel-Ziv, Huffman Encoding and 'Loss Compression' algorithms, which are 'lossless compression' algorithms,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selected by the server module. module. 서버모듈에서 스마트폰 고유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암호화된 데이터 패킷을 DES, AES 복호화 알고리즘과 파생알고리즘, UTF Encoding을 통한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모듈.Decry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module decrypts the encrypted data packet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including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through a decryption algorithm through DES, AES decryption algorithm and derivative algorithm, UTF Encoding. 클라이언트모듈로 부터 전송받은 통신 프로토콜의 스마트폰 고유식별자를 서버모듈에서 사용하기 위해 서버 측의 메모리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자저장소.Unique identifier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received from the client module in the memory storage on the server side for use in the server module. 서버모듈에 있어 전송받은 스마트폰 고유식별자와 제어하고자 하는 N-스크린 컨텐츠 내 개체의 고유식별자를 관계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정보매트릭스.The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module associated with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received smartphone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object in the N-screen content to be controll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정보매트릭스는 스마트폰 고유식별자와 제어하고자 하는 N-스크린 컨텐츠 내 개체의 고유식별자를 관계지어주는 방식 이외에, 스마트폰으로부터 서버모듈의 세션관리모듈로 요청되어 할당된 세션ID와 N-스크린 컨텐츠 내 개체의 고유식별자를 관계지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정보매트릭스.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is a session allocated by requesting from the smartphone to the session management module of the server modul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ssociating the smartphone unique identifier with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object in the N-screen content to be controlled. A relationship information matrix characterized by relating an ID to a unique identifier of an object in an N-screen content.
KR1020110069175A 2011-07-13 2011-07-13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KR201100866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175A KR20110086680A (en) 2011-07-13 2011-07-13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175A KR20110086680A (en) 2011-07-13 2011-07-13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680A true KR20110086680A (en) 2011-07-29

Family

ID=4492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175A KR20110086680A (en) 2011-07-13 2011-07-13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68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225A (en) * 2012-03-09 2013-09-23 인포뱅크 주식회사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40016693A (en) * 2012-07-31 2014-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n-screen service in broadcas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225A (en) * 2012-03-09 2013-09-23 인포뱅크 주식회사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40016693A (en) * 2012-07-31 2014-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n-screen service in broadcas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310B2 (en) Digital security bubble
US97295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delivery of data from a communication device
Ma et al. When mobile terminals meet the cloud: computation offloading as the bridge
KR101707462B1 (en) Mobile computing device technology and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the same
EP3275162B1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web communication
US10455632B2 (en) Dynamic identification of network connection preferences
CN103532919A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login state of user account
CN111290695B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priority control and terminal
CN1867012A (en)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computer based on intelligent mobile phone platform
EP3117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 asynchronous computing framework
CN108809906B (en) Data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device
CN104270470A (en) Remote service invo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3347020B (en) A kind of system and method across application authorization access
CN103873692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source sharing
US20200228505A1 (en) Private Exchange of Encrypted Data Over A Computer Network
CN103491084A (en)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client side
CN110995656B (en) Load balanc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889133B2 (en) Burst traffic processing method, computer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8848082A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CN10406568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iewing encryption compression packet in appendix
CN105354505A (en) Image adap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3676485A (en) Virtual reality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10086680A (en)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CN104123244A (en) USB redirection system and method
CN113038192B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