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738A -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 Google Patents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738A
KR20110085738A KR1020100005684A KR20100005684A KR20110085738A KR 20110085738 A KR20110085738 A KR 20110085738A KR 1020100005684 A KR1020100005684 A KR 1020100005684A KR 20100005684 A KR20100005684 A KR 20100005684A KR 20110085738 A KR20110085738 A KR 20110085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driver
tip
coupled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회
김장욱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주식회사 에스앤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주식회사 에스앤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Priority to KR102010000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738A/ko
Publication of KR2011008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71Devices for removing chips dust collectors for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철거작업에 있어 통상 '텍스'라고 불리는 천정마감재의 해체공정에 있어서, 나사 해체의 작업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십자)드라이버 주위로 스프링에 의하여 압착되는 나사 압착부를 추가하여 나사못의 머리가 나사 압착부에 걸리도록 하여, 기존 드라이버의 미흡한 나사홈과의 밀착성에 추가하여 나사머리와의 마찰을 통한 보다 큰 모멘트력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나사못이 돌아갈 수 있는 최대정지 마찰력 이상을 발생시켜 텍스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나사 압착부의 접촉면은 요철을 두어 나사못 머리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하며, 나사 압착부은 기존의 전동드라이버에 장착되는 드라이버의 육각형 모양에 맞도록 구멍을 만들고 나사못의 머리형에 따라 여러 종류를 제작함으로써 나사못의 종류에 적합한 고깔형 금속을 작업자가 선택하여 통상 이용되는 전동드라이버에 착탈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경제성 및 활용성을 높인다. 또한, 드라이버의 앞부분에는 캡 모양의 먼지 흡입기를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헤파필터를 장착한 음압기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흡입된 먼지가 효과적으로 모아져 지정폐기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FIXTURE DEVICE OF DRIVER TO LOSE SCREW IN DISASSEMBLY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본 발명은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 주위로 나사 머리와의 마찰력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나사 압착부를 추가하여 나사못의 머리가 나사 압착부의 전면에 걸리도록 하여 기존 드라이버의 미흡한 나사 홈과의 밀착성에 추가하여, 나사머리와의 마찰을 통한 보다 큰 모멘트력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나사못이 돌아갈 수 있는 최대정지 마찰력 이상을 발생시켜 나사홈 부분이 손상되거나 메워진 경우에도 드라이버 등을 통하여 텍스의 해체를 용이하도록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석면은 호흡기를 통해 폐에 침입함으로써 유발되는 석면폐증, 중피종, 폐암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이 밝혀져 건축물의 철거작업에 있어 통상 '텍스'라고 불리는 천정마감재의 경우, 석면함유 여부를 조사하여 일반 구조물의 해체, 철거작업에 우선하여 해체하도록 되어 있으나, 해체공정 상의 작업효율 제고에 어려움이 있어 전체적인 철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텍스 등의 고정에 사용되는 나사가 오래되거나, 나사머리의 드라이버와 결착되는 나사홈 부분이 뭉개지거나 손상된 경우에 나사못의 분리가 어렵고, 이에 따라 기존의 천정마감재의 해체작업에 있어서, 전동드릴 사용을 기피하고, 많은 분진발생을 감수하면서 타격에 의한 텍스를 파쇄하여 해체하는 분파해체방식을 선택함에 따라, 텍스 분리는 빨리 이루어져도 이후 분쇄된 텍스조각 및 분진의 처리로 인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근로자의 안전문제 및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석면 함유가 의심되는 텍스의 경우에 석면비산을 막기 위하여 이의 표면에 페인트, 고착제 등의 도료성분이 덫 칠해진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도료 도포에 따라 나사 머리의 드라이버와 결착되는 나사홈 부분이 상기 페인트나 고착제 등으로 일부 메워져 일반 십자드라이버로는 나사못을 돌리기 어려워 해체공사의 작업효율이 더욱 떨어져 상기 기술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석면 함유 텍스의 분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나사홈 부분이 손상되거나 메워진 경우에도 드라이버 등을 통하여 분리가 용이하여 전동드릴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드라이버 주위로 나사 머리와의 마찰력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나사 압착부를 추가하여 나사못의 머리가 나사 압착부의 전면에 걸리도록 하여 기존 드라이버의 미흡한 나사홈과의 밀착성에 추가하여, 나사머리와의 마찰을 통한 보다 큰 모멘트력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나사못이 돌아갈 수 있는 최대정지 마찰력 이상을 발생시켜, 나사홈 부분이 손상되거나 메워진 경우에도 드라이버 등을 통하여 텍스의 해체를 용이하도록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라이버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드라이버 팁 쪽 끝단에 일단이 결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드라이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가 드라이버 팁 또는 팁 전방에 배치되는 나사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따르면, 나사홈 부분이 손상되거나 메워진 경우에도 드라이버 등을 통하여 텍스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동공구 등의 동력공구를 활용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하며, 드릴공구에 착탈식으로 사용되어 기존의 전동공구와 사용방식이 동일하여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서, 텍스 해체 작업 등의 작업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석면 함유 텍스의 해체 작업에서 텍스의 파쇄 해체를 막을 수 있어서, 석면 분진 발생을 줄여 근로자의 작업환경 및 주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와이어브러시를 끝단에 부가한 경우에는 나사못의 머리 부위에 잔류하는 석면을 해체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나사와 텍스의 결합력이 높아 해체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사머리 부위(특히, 머리의 뒤쪽)의 텍스를 드라이버가 헛도는 과정에서 와이어브러시가 제거하게 되므로 나사와 텍스의 결합력을 줄여 나사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드라이버와 결합한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드라이버와 결합한 외곽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c)는 독립적으로 분리된 경우의 외곽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대한 일 실시예의 작동예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나사 및 텍스와 접촉 전 상태, (b)는 나사 및 텍스와 접촉 시 스프링이 압축되며 나사 압축부의 선단이 텍스를 일부 제거하고, 나사머리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나사와 접촉 전 상태, (b)는 나사와 접촉 시 스프링이 압축되며 나사머리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대한 실시예로서 빗살무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기 위한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의 정면도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적용되는 나사 압착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첨예부로 칼날을 구비한 단면 형상 및 이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첨예부의 칼날이 휘어진 형태의 단면 형상 및 이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적용되는 나사 압착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원통부의 정면에 빗살무늬가 바로 형성된 형태의 단면 형상 및 이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보호캡을 적용하는 다수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비 회전부만 단면으로 도시)
도 9는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에 보호캡을 적용하고, 와이어브러시를 장착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비 회전부만 단면으로 도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로서, 드라이버(5)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드라이버(5) 팁 쪽 끝단에 일단이 결합하는 탄성부재(20) 및, 상기 탄성부재(20)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10)를 기준으로 드라이버(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32)가 드라이버(5) 팁 또는 팁 전방으로 배치되는 나사 압착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십자드라이버 등의 팁(tip)이 끼워지도록 나사 머리에 형성된 나사홈이 도료 등으로 메워지거나 마모 등으로 손상되어 드라이버의 회전력이 적절히 전달되기 곤란한 경우에 십자드라이버 등의 드라이버 주위로 금속 등으로 제작되는 나사 압착부를 추가하고, 이러한 나사 압착부는 그 선단부(32)가 드라이버(5) 팁 또는 팁 전방으로 배치되는 형태(여기서 드라이버 팁은 드라이버 끝단의 팁 형상(십자구간 또는 일자 구간 등) 부위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팁 구간의 외곽 끝단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팁의 안쪽인 시작부분을 의미한다. 이는 나사홈이 완전히 없어진 경우보다는 약하게 남아 있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로 배치되면서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못의 머리가 스프링에 의하여 눌려지는 상기 나사 압착부의 전면에 눌러지며 걸리도록 하여, 기존 드라이버의 미흡한 나사홈과의 밀착성에 추가하여, 나사머리와 나사 압착부의 마찰을 통한 보다 큰 모멘트력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나사못이 돌아갈 수 있는 최대정지 마찰력 이상을 발생시킴으로써 텍스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나사 압축부가 나사머리와 밀착되는 동시에 드라이버의 나사홈 마찰기능과 적절히 공조될 수 있도록, 고정부(10)의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탄성부재(스프링, 20)가 나사못의 머리부분을 탄력적으로 누르며 나사해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못의 머리모양과 크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여러 종류를 구비토록 하는 것이 적절하며, 최상의 공조기능을 낼 수 있는 드라이버의 팁 부분과 나사 압착부 사이의 적절한 위치를 선정한 후, 상기 고정부를 이용하여 드라이버의 중간부분에 고정하고 스프링의 탄력강도를 조정함으로써 탄성부재를 이용한 밀착력이 더욱 적절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는 통상의 축 상에 끼워지는 부품을 고정하는 공지의 다양한 고정방법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축 상에 끼워지는 중공의 원판과 이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나사 또는 키를 통하여 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와 나사 압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결합하며, 이에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탄성부재가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경우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회전축을 감아 도는 형태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외주부를 따라 다수 개의 코일 스프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하는 나사 압축부는 나사머리를 누르며 접촉할 수 있도록, 선단부(32)가 드라이버 팁 또는 팁 전방에 위치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이러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드라이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나사 압착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고깔형과, 도 3에 도시한 첨예부형과, 도 4에 도시한 원통부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고깔형의 경우, 상기 나사 압착부(30)는 드라이버(5)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33)를 가지는 원통부(34)와, 상기 원통부(34)의 드라이버(5) 팁 쪽 끝단으로부터 드라이버(5) 팁 쪽으로 고깔 형태로 연장하는 고깔부(36)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깔부(36)의 끝단 또는 내측 면에는 빗살무늬(P)가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도 1의 (a)는 십자드라이버와 결합한 이의 단면구조를 도시하고, (b)는 드라이버와 결합한 외곽 형상을 도시하며, (c)는 드라이버와 분리된 독립된 형태의 나사 해체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 양단과의 결합은 기구적 결합 또는 용접 등 다양한 결합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어 전체적으로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이를 구성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체결구를 부가하여 이들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빗살무늬의 형성은 도 1의 (c)(드라이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 및 도 2b의 (c)에 정면(드라이버 팁 쪽으로부터 고정부 방향으로)에서 바라본 나사 압축부를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나사의 형상에 따라 나사머리가 접촉하게 되는 부위에 빗살무늬가 형성되도록 하여 접촉이 보다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해체 고정구는, 도 2a 및 도 2b의 각 (a)와 같이 나사에 접근시킬 수 있고, 도 2a의 (b)의 경우에는 나사 압착부의 선단부가 먼저 나사 주위의 텍스를 회전하며 제거하게 되어 텍스와 나사 사이의 접착력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일정한 텍스의 제거가 이루어진 후에 나사 압착부의 내측면의 빗살무늬부가 나사 머리에 닿아 스프링을 압착하여 이의 반발력에 의하여 나사머리와의 접촉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나사 해체 시에 요구되는 회전력을 줄이고, 회전력의 전달은 보다 용이하게 하여 나사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도 2b의 (b)의 경우에는, (a)와 같은 접근을 통하여 나사 압착부가 먼저 나사에 닿아 스프링을 압착하고, 이의 반발력에 의하여 나사머리와의 접촉력이 증가하게 되어 나사 해체 시에 회전력의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깔형으로 이를 구성하는 경우에 보다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둥근 머리 나사 등에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상기 원통부는 내부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간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외부에도 원통형태의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고깔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제의 나사 압착부의 안쪽 면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요철을 두어 나사못 머리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으며, 나사 압착부는 기존의 전동드라이버에 장착되는 드라이버의 육각형 모양에 맞도록 중공부를 만들 수도 있고, 원통형의 중공부를 만들 수도 있고, 나사못의 머리형에 따라 여러 종류를 제작함으로써 나사못의 종류에 적합한 나사 압착부를 작업자가 선택하여 통상 이용되는 전동드라이버에 착탈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경제성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깔부(36)는, 도 1 내지 도 2a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32)의 원주를 따라 예각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선단부(32)의 직경이 나사머리보다 커 상기 고깔부(36) 내부에 나사머리를 접하게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깔부(36)의 내측 면에는 빗살무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나사 해체 전에 나사 머리 부근의 텍스를 선 제거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여 나사 해체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부는 텍스의 분쇄가 더욱 용이하도록 텍스 분쇄가 가능한 분쇄 날이나 주름무늬, 톱니 등을 더 부착하거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2a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와 나사 압착부(30)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재(20)를 내포하여 감싸는 주름 기밀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나사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상기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주름 기밀부를 결합하여 분진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주름 기밀부는 자바라형 고무덮개 또는 주름관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첨예부형의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 압착부(30)는 드라이버(5)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33)를 가지는 원통부(34)와, 상기 원통부(34)의 드라이버(5) 팁 쪽 끝단으로부터 드라이버(5) 팁 쪽으로 칼날 또는 핀 형태로 연장하는 첨예부(37)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첨예부가 나사머리를 찍어 누른 상태로 나사 해체를 진행할 수 있어서, 나사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는 칼날로 첨예부를 구성한 경우이고, 이외에도 바늘 형태의 핀 형태로 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해체하고자 하는 나사가 나사머리가 평평한 경우에 적용 효율이 높아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예부가 칼날인 경우, 상기 칼날은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의 반경방향으로 나란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마찰력 증가에 바람직하므로 좋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칼날(37) 또는 핀은, 도 3의 (b)(오른 나사의 해체를 도시한 경우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끝단이 나사를 해체하는 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휘어지는 것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한 압착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기에 더욱 용이하므로 좋다. 즉,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해체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칼날의 끝단은 칼날의 몸체(회색부분)에 비하여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 형태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이다.
이외에 나사머리가 평평한 평면 나사의 경우에는 이의 해체를 위하여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도 4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 압착부(30)는 드라이버(5)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33)를 가지는 원통부(34)와, 상기 원통부(34)의 드라이버(5) 팁 쪽 끝단의 전면에 형성되는 빗살무늬부(P)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c)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스프링의 압축변형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구간의 변형이 요구되고, 특정한 나사의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을 적용하기 어려울 수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변형을 일정량 미리 발생시키거나, 다른 형태의 나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형태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부(10)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20)를 압축한 상태로 상기 나사 압착부(30)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걸림부(40)를 더 포함하도록 이를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예비 압축이 이미 이루어진 형태이므로, 상기 나사 압착부(30)의 선단부(32)는 드라이버 팁 또는 팁 전방 또는 팁 후방에 배치되는 형태로 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 해체 고정구에 보호캡을 적용하여 나사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석면분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먼지 흡입기를 추가로 더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상기 흡입기로 헤파필터를 장착한 음압기를 부착하여 흡입된 먼지가 효과적으로 모아져 지정폐기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5)의 회전축(7) 원주부 또는 상기 나사 해체 고정구의 외주부에 결합하는 베어링(50) 및, 상기 베어링(50)에 결합하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드라이버(5) 및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를 외부에서 감싸는 캡 형상으로서, 상기 캡 형상의 끝단은 신축부(62)로 이루어진 보호캡(60)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드라이버(5)의 회전축(7) 원주부에 보호캡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나사 압착부의 외주부 또는 고정부의 외주부 등의 상기 나사 해체 고정구의 외주부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 상기 보호캡(6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보호캡(6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기(7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 도 6이고, 이외에도 도 8과 같이 흡입기를 구비하지 않은 형태로도 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공구 연결부(9)를 통하여 회전력을 얻어 드라이버를 회전하여 나사를 해체하도록 하는 드라이버와 해체 고정구의 조립체는 회전부이고, 보호캡 및 흡입기는 정지부이므로 이들 사이의 기밀을 확보한 연결 및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서는 이들 사이의 결합에 베어링을 적용한다. 상기 베어링은 통상의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볼 베어링을 도시하지만,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베어링은 그 내측(즉, inner race의 내측)은 상기 드라이버와 해체 고정구의 조립체에 결합하고, 그 외측(즉, outer race의 외측)은 보호캡에 결합하는 형태로 회전부와 정지부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베어링에 결합하는 보호캡은 나사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그 주위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베어링에 결합하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드라이버와 해체 고정구의 조립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캡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 해체과정에서 텍스 또는 벽체 또는 천정부재와 보호캡이 벌어져 외부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캡 형상의 끝단은 신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부로는 주름관 형상이나 자바라 또는 고무나 수지재의 탄력성을 가지는 부재 등으로 끝단을 마감하여 작업 중에 약간 눌려진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텍스 또는 벽체 또는 천정부재와 보호캡의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기로, 상기 신축부(62)는 상기 나사 압축부의 상부 끝단보다 아래에서 시작하여 상기 상부 끝단보다 상부로 더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텍스와 보호캡 사이의 기밀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좋다. 또한 상기 기밀확보 및 전체 무게의 감소를 위하여 상기 보호캡은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탄성변형량이 크고, 탄성변형이 용이한 수지재로 이를 제작하는 것이 작업자의 나사 식별성 및 기밀확보 측면에서 좋다.
이와 같이 보호캡을 통하여 기밀된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발생되는 먼지는 상기 보호캡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보호캡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흡입기에는 필터(바람직하게는 해파필터)가 내장되어 먼지를 걸러내고 나머지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해체과정에 발생한 먼지의 보다 용이한 포집을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도 7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60)은 하부에 다수의 배출구(64)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50) 주위를 둘러싸는 도넛형태로 상기 보호캡(60)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64)를 모두 덮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통합챔버(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기(70)는 상기 통합챔버(80)의 하부에 결합하는 형태로 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호캡에 담기는 먼지가 가능한 부유시간을 더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바닥에 부착되어 고착됨에 따른 먼지 수거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먼지 흡입이 흡입기가 연결된 쪽에 편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캡 부분을 다양한 드라이버 또는 나사 해체 고정구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50)과 상기 회전축(7)/고정구의 외주부 사이에, 외주부는 상기 베어링(50)의 내측에 결합하고, 내주부는 상기 회전축(7) 또는 상기 나사 해체 고정구의 외주부에 접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연결 탄성부(9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연결 탄성부의 탄성변형 영역 내에서는 다양한 지름을 가지는 드라이버 또는 나사 해체 고정구를 동일한 보호캡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호캡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캡을 장착한 경우에는 석면비산의 염려가 없어지므로, 도 9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 압착부(30)의 선단부(32) 또는 상기 선단부측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와이어 브러시(9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브러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또는 상기 선단부측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구간별로 끊어져 부착될 수도 있고, 선단부 또는 상기 선단부측의 내측면 전체에 대하여 연속하여 이를 부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와이어브러시가 부착되는 나사 압착부의 형상에 관계없이 이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나사못의 머리 부위에 잔류하는 석면을 해체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다. 즉, 나사의 해체과정에서 나사와 무관하게 드라이버가 헛도는 경우가 항상 발생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공회전 과정에서 상시 와이어브러시가 나사표면의 석면함유 텍스물질을 털어내게 되고 이는 흡입기에 의하여 제거되어질 수 있으므로, 나사해체과정에서 나사에 묻은 석면함유물질 제거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나사와 텍스의 결합력이 높아 나사 압착부를 통한 접촉력의 증가에도 불과하고 해체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사머리 부위(특히, 머리의 뒤쪽, 나사머리가 텍스와 접하는 쪽)의 텍스를 드라이버가 헛도는 과정에서 와이어브러시가 제거(나사 주위의 텍스를 파내는 역할을 하게 됨.)하게 되므로 나사와 텍스의 결합부위 감소에 따른 나사 결합력 감소가 발생하여 나사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사머리의 뒤쪽 텍스의 원활한 제거를 위하여 상기 나사 압착부(30)는 드라이버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드라이버 팁 쪽 끝단으로부터 드라이버 팁 쪽으로 고깔 형태로 연장하는 고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깔부의 끝단 또는 내측 면에는 빗살무늬가 형성되는 상기 기술한 고깔형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 압착부(30)의 선단부(32) 또는 상기 선단부측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와이어 브러시(95)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깔부의 선단부측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중심부 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와이어브러시의 기울어진 배치는 기타의 다른 형상의 나사 압착부에 대해서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탄성변형 범위가 넓은 와이어 브러시는 나사 압축부의 선단부가 텍스를 파고들어가는 경우에 나사머리를 돌아 나사머리 뒷부분으로 접근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나사 압착부가 텍스에 접촉하는 초기에는 나사머리 전면을 브러시가 쓸게 되고, 나사 압착부가 텍스를 파고들어가는 경우에는 브러시의 일부도 나사머리 뒤로 돌아들어가 나사머리 뒷면의 텍스를 제거함과 동시에 나사머리 뒷면의 쓸어 이를 깨끗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5: 드라이버 7: 드라이버 회전축
9: 동력(전동 또는 공압 등) 공구 연결부
10: 고정부
20: 탄성부재 30: 나사 압착부
32: 선단부 33: 중공부
34: 원통부 36: 고깔부
37: 첨예부 40: 걸림부
50: 베어링 60: 보호캡
62: 신축부 64: 배출구
70: 흡입기 80: 통합챔버
90: 연결 탄성부 95: 와이어 브러시
15: 주름 기밀부

Claims (13)

  1. 드라이버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드라이버 팁 쪽 끝단에 일단이 결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드라이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가 드라이버 팁 또는 팁 전방에 배치되는 나사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압착부는
    드라이버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드라이버 팁 쪽 끝단으로부터 드라이버 팁 쪽으로 고깔 형태로 연장하는 고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깔부의 끝단 또는 내측 면에는 빗살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깔부는 선단부의 원주를 따라 예각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선단부의 직경이 나사머리보다 커 상기 고깔부 내부에 나사머리를 접하게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깔부의 내측 면에는 빗살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나사 압착부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내포하여 감싸는 주름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압착부는
    드라이버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드라이버 팁 쪽 끝단으로부터 드라이버 팁 쪽으로 칼날 또는 핀 형태로 연장하는 첨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드라이버의 반경방향으로 나란한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칼날 또는 핀은 그 끝단이 나사를 해체하는 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압착부는
    드라이버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드라이버 팁 쪽 끝단의 전면에 형성되는 빗살무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한 상태로 상기 나사 압착부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 압착부의 선단부는 드라이버 팁 또는 팁 전방 또는 팁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축 원주부 또는 상기 나사 해체 고정구의 외주부에 결합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에 결합하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드라이버 및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를 외부에서 감싸는 캡 형상으로서, 상기 캡 형상의 끝단은 신축부로 이루어진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보호캡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하부에 다수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주위를 둘러싸는 도넛형태로 상기 보호캡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를 모두 덮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통합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기는 상기 통합챔버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11. 제8항에 있어서,
    외주부는 상기 베어링의 내측에 결합하고, 내주부는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축 또는 상기 나사 해체 고정구의 외주부에 접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연결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압착부의 선단부 또는 상기 선단부측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와이어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압착부는
    드라이버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우는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드라이버 팁 쪽 끝단으로부터 드라이버 팁 쪽으로 고깔 형태로 연장하는 고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깔부의 끝단 또는 내측 면에는 빗살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브러시는 고깔부의 선단부측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중심부 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KR1020100005684A 2010-01-21 2010-01-21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KR20110085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84A KR20110085738A (ko) 2010-01-21 2010-01-21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84A KR20110085738A (ko) 2010-01-21 2010-01-21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38A true KR20110085738A (ko) 2011-07-27

Family

ID=4492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684A KR20110085738A (ko) 2010-01-21 2010-01-21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73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7259A (zh) * 2015-01-08 2015-05-27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螺丝刀组件
KR200489060Y1 (ko) * 2018-09-05 2019-04-24 최대규 전동 드라이버용 멀티 공구툴
KR101971902B1 (ko) * 2018-09-05 2019-04-24 최대규 멀티 공구툴을 갖는 전동 드라이버
EP3517247A1 (de) * 2018-01-24 2019-07-31 Robert Bosch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CN110076549A (zh) * 2019-04-29 2019-08-02 深圳市迈特迅科技有限公司 一种万向浮动自导正解螺丝头
CN115008390A (zh) * 2022-05-10 2022-09-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寿光市供电公司 一种滑棱螺丝拆卸工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7259A (zh) * 2015-01-08 2015-05-27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螺丝刀组件
EP3517247A1 (de) * 2018-01-24 2019-07-31 Robert Bosch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KR200489060Y1 (ko) * 2018-09-05 2019-04-24 최대규 전동 드라이버용 멀티 공구툴
KR101971902B1 (ko) * 2018-09-05 2019-04-24 최대규 멀티 공구툴을 갖는 전동 드라이버
CN110076549A (zh) * 2019-04-29 2019-08-02 深圳市迈特迅科技有限公司 一种万向浮动自导正解螺丝头
CN115008390A (zh) * 2022-05-10 2022-09-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寿光市供电公司 一种滑棱螺丝拆卸工具
CN115008390B (zh) * 2022-05-10 2024-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寿光市供电公司 一种滑棱螺丝拆卸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5738A (ko) 석면 해체 드라이버용 나사 해체 고정구
EP2732914B1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power tool having the same
RU2543578C2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2428313A1 (en) Dust collecting device
US20100200117A1 (en) Suction hood
EP1832395A1 (en) Power tool
US11235433B2 (en) Dust collector with filter cleaning mechanism
CN107052937A (zh) 气动浮动打磨机
JP2007168186A (ja) 集塵カバー
JPH0646975B2 (ja) 携帯真空掃除器
CN103796799B (zh) 用于从突出紧固件移除密封剂的工具
KR20110083797A (ko) 석면시료 채취기
US6053806A (en) Suction device for a hand-held tool
US20090280728A1 (en) Hand-guided machine tool
US20090193614A1 (en) 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demolition tool
KR200489662Y1 (ko) 분진 고착방지구조를 갖는 로터리밸브
RU2610321C1 (ru) Защитный чехол
JP6910268B2 (ja) 研削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集塵システム
US20160052105A1 (en) Auxiliary equipment for valve grinding
CN111376203A (zh) 一种阀门半轴拔取装置
CN212597631U (zh) 震源药柱管口清擦装置
CN109176258A (zh) 一种电磨
KR20110106007A (ko) 패킹 제거 공구
CN211636765U (zh) 研磨机
CN211503853U (zh) 一种弹体刮药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