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494A -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 Google Patents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494A
KR20110085494A KR1020100005317A KR20100005317A KR20110085494A KR 20110085494 A KR20110085494 A KR 20110085494A KR 1020100005317 A KR1020100005317 A KR 1020100005317A KR 20100005317 A KR20100005317 A KR 20100005317A KR 20110085494 A KR20110085494 A KR 2011008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separation distance
distance data
unit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봉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494A/en
Publication of KR2011008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4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n overhead traveling cran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accurately move a heavy load on a trolley to a desired position by indicating the changed position of the trolley. CONSTITUTION: A device(100)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n overhead traveling crane comprises a position sensor(110), a first rotation sensor(120), a second rotation sensor(130) and an output unit(140). The position sensor radiates infrared rays to a landmark installed on the ceiling, measures the position of a trolley in cm in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generates moving data. The first rotation sensor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wheel of the overhead traveling crane,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trolley to the landmark in cm in the first direction and generates first distance data.

Description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Ceiling cran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천장크레인의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eiling crane 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eiling crane position indicating a position where a trolley of a ceiling crane is moved.

일반적으로 천장크레인은 공장 또는 창고 등의 천장에 설치된다. 공장 또는 창고 등의 서로 마주보는 벽의 상부에 레일이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레일에 걸치도록 빔이 설치된다. 빔의 내부를 이동하는 트롤리가 설치된다. 트롤리는 별도의 인양부재, 즉 후크 등을 승강시키는 권양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ceiling cran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factories or warehouses. Rail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ops of walls facing each other, such as factories or warehouses. Beams are installed to span each rail. A trolley for moving the inside of the beam is installed. The trolley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separate lifting member, that is, a hook.

빔은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바퀴가 설치된다. 빔은 레일을 따라 공장의 내부를 세로로 이동한다. 트롤리는 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바퀴가 설치된다. 트롤리는 빔을 따라 공장의 내부를 가로로 이동한다. 즉, 천장크레인은 빔 및 트롤리로 인해 중량물을 공장 내의 어느 곳으로나 이동시킬 수 있다.The beam is equipped with wheels that can move along the rail. The beam travels longitudinally inside the factory along the rail. The trolley is equipped with wheels that can move along the beam. The trolley travels horizontally inside the factory along the beam. In other words, the overhead crane can move the weight anywhere in the factory due to the beam and trolley.

또한, 천장크레인은 빔의 하부 일측에 운전실을 포함한다. 운전실은 빔이 세로로 움직일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한다. 운전실은 트롤리를 가로로 움직일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운전실의 내부에서 중량물이 인양되는 것을 지켜보면서 천장크레인을 조작한다.In addition, the ceiling crane includes a cab on the lower side of the beam. The cab includes a lever through which the beam can move vertically. The cab includes a lever that can move the trolley horizontally. Therefore, the driver manipulates the overhead crane while watching the heavy lifting inside the cab.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의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devic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of the ceiling crane is moved.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랜드마크에 적외선을 방출하여 트롤리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하여 이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위치 감지부와, 천장크레인 바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트롤리가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된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제 1 방향 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1 회전감지부와, 상기 트롤리 바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트롤리가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된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제 2 방향 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2 회전감지부와,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by emitting infrared rays to the landmark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rolley in units of cm to detect the position detection unit for generating movement data,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ceiling crane wheels A first rotation sensing unit for generating a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the distance in mm from the first direction position of the landmark, measur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and a rotation speed of the trolley wheel A second rota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a distance, in mm, from the second direction position of the landmark measured by the location of the trolley by detecting the position;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position at which the trolley is moved based o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It provides the crane location-aware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위치 감지부가 천장에 설치된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트롤리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하여 이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제 1 회전감지부가 상기 트롤리와 상기 랜드마크의 제 1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2 단계와, 제 2 회전감지부가 상기 트롤리와 상기 랜드마크의 제 2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와, 출력부가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generating movement data by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rolley in units of cm using a landmark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unit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a distance in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trolley and the landmark in mm, and a second rotation sensing unit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rolley and the landmark A third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the measured distance in mm, and outputting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is moved based on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It provides a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a fourth step of displaying.

본 발명의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는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트롤리에 인양된 중량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킨다.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is moved to accurately move the weight lifted in the trolley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트롤리를 중량물의 무게중심으로 이동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천장크레인이 사용되는 공정을 단축시켜 공장의 생산성과 경제적 효과를 높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time to move the trolley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eavy weight shortens the process that the ceiling crane is us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factory.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이 이동될 위치를 알려주는 수신호를 대신 함으로써 중량물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사고를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human accident caused by the fall of the weight by replacing the hand signal indicating the position to move the we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eiling crane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eiling crane position illustrated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eiling crane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천장크레인은 빔을 포함한다. 상기 빔은 공장 또는 창고의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빔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크레인은 트롤리를 포함한다. 상기 트롤리는 상기 빔을 따라 제 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트롤리는 상기 빔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트롤리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빔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트롤리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방향은 세로 방향, 제 2 방향은 가로 방향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eiling crane includes a beam. The beams are moved in a first direction along rails respectively installed on opposite walls of a factory or warehouse. At this time, the beam includes wheels to move along the rail. The ceiling crane includes a trolley. The trolley is moved in a second direction along the beam. At this time, the trolley includes wheels to move along the beam. The trolley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by the beam moving along the rail. That is, the trolley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Hereinafter,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first direction is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horizont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eiling crane posi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ceiling crane position 100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위치 감지부(110)를 포함한다. 위치 감지부(110)는 트롤리(15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위치 감지부(110)는 적외선 방출부(111)를 포함한다. 적외선 방출부(111)는 공장 또는 창고의 천장에 설치된 랜드마크(160)에 적외선을 방출한다. 또한, 적외선 방출부(111)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적외선을 방출한다.1 and 2,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includes a position detecting unit 110.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is installed at one upper side of the trolley 150. The position detector 110 includes an infrared emitter 111. The infrared emitter 111 emits infrared rays to the landmark 16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factory or a warehouse. In addition, the infrared emitter 111 emits infrared rays at regular time intervals.

위치 감지부(110)는 적외선 감지부(112)를 포함한다. 적외선 감지부(112)는 랜드마크(160)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한다.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includes an infrared detecting unit 112. The infrared detector 112 detects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landmark 160.

위치 감지부(110)는 위치감지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위치감지 제어부(113)는 적외선 방출부(111)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의 시간 간격을 조절한다. 위치감지 제어부(113)는 적외선 방출부(111)에서 적외선이 방출될 때의 트롤리(150)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감지 제어부(113)는 적외선 감지부(112)에서 적외선이 감지될 때의 트롤리(150)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감지 제어부(113)는 적외선이 방출된 위치와 적외선이 감지된 위치의 차를 구하여 트롤리(150)가 이동된 이동 데이터를 발생시킨다.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includes a position detecting control unit 113. The position detection controller 113 adjusts the time interval of the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emitter 111. The position detection control unit 113 detects the position of the trolley 150 when infrared light is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111. The position detection controller 113 detects the position of the trolley 150 when the infrared ray is detected by the infrared ray detection unit 112. The position detection control unit 113 obt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at which the infrared rays are emitted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infrared rays are sensed, thereby generating movement data in which the trolley 150 is moved.

위치 감지부(110)는 출력부(140)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위치감지 제어부(113)는 상기 이동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변환한다. 따라서, 위치 감지부(110)는 무선으로 출력부(140)에 상기 이동데이터를 송신한다.The position sensing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output unit 140 wirelessly. The position detection control unit 113 converts the movement data into a packet form. Therefore, the position sensor 110 wirelessly transmits the movement data to the output unit 140.

위치 감지부(110)는 위치감지 송신부(114)를 포함한다. 위치감지 송신부(114)는 안테나(115)를 통해 패킷 형태로 변환된 상기 이동 데이터를 출력부(140)로 송신한다.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includes a position detecting transmitter 114. The position detection transmitter 114 transmits the movement data converted into a packet form through the antenna 115 to the output unit 140.

예를 들어, 다수의 랜드마크(160)는 공장 또는 창고 천장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다수의 랜드마크(160)는 공장 또는 창고 천장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다수의 랜드마크(160)는 공장 또는 창고의 천장에 2~3m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랜드마크(160)는 출력부(140)의 출력장치(143)에 절대좌표로 표시된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andmarks 160 ar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eiling of the factory or warehouse. The plurality of landmarks 16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iling of the factory or warehous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andmarks 160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2 to 3 m on the ceiling of the factory or warehouse. In this case, the landmark 160 is displayed in absolute coordinates on the output device 143 of the output unit 140.

트롤리(150)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면 위치 감지부(110)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적외선 방출부(111)는 적외선을 랜드마크(160)를 향해 방출한다. 적외선 감지부(112)는 랜드마크(160)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한다. 위치감지 제어부(113)는 반사되는 적외선을 근거로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측정한다. 따라서, 위치 감지부(110)는 트롤리(150)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trolley 150 mov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is mov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infrared emitter 111 emits infrared light toward the landmark 160. The infrared detector 112 detects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landmark 160. The position detection control unit 113 measur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based on the reflected infrared rays. Therefore,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may measure the position in which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cm units.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제 1 회전감지부(120)를 포함한다. 제 1 회전감지부(120)는 상기 빔의 바퀴에 설치된다. 제 1 회전감지부(120)는 공장 또는 창고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되는 빔의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빔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되며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 1 회전감지부(120)에서 측정된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빔의 이동거리는 트롤리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와 일치된다.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120. The first rotation sensing unit 120 is installed on the wheel of the beam.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unit 120 measur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bea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factory or warehouse. The beam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beam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sured by the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120 coincides with the distance in which the trolley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회전감지부(120)는 제 1 각도측정기(121)를 포함한다. 제 1 각도측정기(121)는 상기 빔 바퀴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제 1 각도측정기(121)는 상기 빔 바퀴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The first rotation sens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angle measurer 121. The first angle measuring instrument 121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beam wheel. The first angle measuring instrument 121 measures the rotation angle of the beam wheels.

제 1 회전감지부(120)는 제 1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제 1 제어부(122)는 상기 빔 바퀴의 회전각도에 상기 빔 바퀴의 원주를 곱하여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킨다.The first rotation sens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122. The first controller 122 generate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ultiply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eam wheel by the circumference of the beam wheel.

제 1 회전감지부(120)는 출력부(140)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제 1 제어부(122)는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변환한다. 따라서, 제 1 회전감지부(120)는 무선으로 출력부(140)에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송신한다.The first rotation sensing unit 12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140. The first control unit 122 convert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into a packet form. Therefore, the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120 wirelessly transmit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to the output unit 140.

제 1 회전감지부(120)는 제 1 송신부(123)를 포함한다. 제 1 송신부(123)는 안테나(124)를 통해 패킷 형태로 변환된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출력부(140)로 송신한다.The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transmitting unit 123. The first transmitter 123 transmit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converted into a packet form through the antenna 124 to the output unit 140.

상기 빔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되면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되면 위치 감지부(110)가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한다. When the beam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measur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cm.

상기 빔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1 회전감지부(120)가 상기 빔이 이동된 위치를 mm단위로 측정한다. 즉,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위치 감지부(110)와 제 1 회전감지부(120)로 인해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When the beam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120 measures the position where the beam is moved in mm units. That is,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may accurately measure the distance that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and the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120.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제 2 회전감지부(130)를 포함한다. 제 2 회전감지부(130)는 트롤리(150)의 바퀴에 설치된다. 제 2 회전감지부(130)는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한다.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second rotation detection unit 130. The second rotation sens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wheel of the trolley 150.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unit 130 measures the distance that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2 회전감지부(130)는 제 2 각도측정기(131)를 포함한다. 제 2 각도측정기(131)는 트롤리(150) 바퀴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제 2 각도측정기(131)는 트롤리(150) 바퀴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The second rotation sensing unit 130 includes a second angle measuring instrument 131. The second angle measuring instrument 131 is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wheel of the trolley 150. The second angle measuring instrument 131 measures the rotation angle of the wheel of the trolley 150.

제 2 회전감지부(130)는 제 2 제어부(132)를 포함한다. 제 2 제어부(132)는 트롤리(150) 바퀴의 회전각도에 트롤리(150) 바퀴의 원주를 곱하여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킨다.The second rotation sensing unit 130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132. The second control unit 132 generate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ultiply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wheel of the trolley 150 by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of the trolley 150.

제 2 회전감지부(130)는 출력부(140)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제 2 제어부(132)는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변환한다. 따라서, 제 2 회전감지부(130)는 무선으로 출력부(140)에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송신한다.The second rotation sensing unit 13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140. The second control unit 132 convert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into a packet form. Therefore,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unit 130 wirelessly transmit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to the output unit 140.

제 2 회전감지부(130)는 제 2 송신부(133)를 포함한다. 제 2 송신부(133)는 안테나(134)를 통해 패킷 형태로 변환된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출력부(140)로 송신한다.The second rotation detecting unit 130 includes a second transmitting unit 133. The second transmitter 133 transmit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converted into a packet form through the antenna 134 to the output unit 140.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면 위치 감지부(110)가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한다.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 회전감지부(130)가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mm단위로 측정한다. When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measur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cm. When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rotation detecting unit 130 measur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mm units.

즉,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위치 감지부(110)와 제 2 회전감지부(130)로 인해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That is,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may accurately measure the distance that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rotation detecting unit 130.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출력부(140)는 수신부(141)를 포함한다. 수신부(141)는 안테나(144)를 통해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includes an output unit 140. The output unit 140 includes a receiver 141. The receiver 141 receives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through the antenna 144.

출력부(140)는 출력 제어부(142)를 포함한다. 출력 제어부(142)는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확인한다.The output unit 140 includes an output control unit 142. The output controller 142 check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based on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출력 제어부(142)는 임의의 랜드마크(161)를 기준으로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확인한다. 출력 제어부(142)는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세로 성분(A)과 가로 성분(B)으로 분리한다.The output control unit 142 check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based on the arbitrary landmark 161. The output control unit 142 separat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to the vertical component (A) and the horizontal component (B).

출력 제어부(142)는 세로 성분(A)을 상기 이동 데이터의 세로 성분 및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확인한다.The output controller 142 checks the vertical component A based on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moving data and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출력 제어부(142)는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데이터의 세로 성분에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합한다. 이때, 출력 제어부(142)는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1cm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한다.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가 누적되어 상기 이동 데이터에 합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가 mm단위 까지 측정된다.The output control unit 142 add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to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movement data to identify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At this time, the output control unit 142 reset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whenever the trolley 150 is moved 1 cm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is prevented from accumulating and adding to the movement data. Thu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easured to mm unit.

출력 제어부(142)는 가로 성분(B)를 상기 이동 데이터의 가로 성분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확인한다.The output control unit 142 identifies the horizontal component B based on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movement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출력 제어부(142)는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데이터의 가로 성분에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합한다. 이때, 출력 제어부(142)는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1cm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한다.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가 누적되어 상기 이동 데이터에 합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가 mm단위 까지 측정된다.The output control unit 142 add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to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movement data to identify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At this time, the output control unit 142 reset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whenever the trolley 150 is moved by 1 c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is prevented from accumulating and adding to the movement data. Therefore,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easured to mm unit.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트롤리(150)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로 인해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urately measur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refore, the user can accurately check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by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출력 제어부(140)는 출력장치(143)를 포함한다. 출력장치(143)는 출력 제어부(142)에서 확인된 트롤리(150)의 이동된 위치를 화면에 출력한다. 출력장치(143)는 다수의 랜드마크(160)를 절대 좌표로 표시한다. The output control unit 140 includes an output device 143. The output device 143 outputs the moved position of the trolley 150 checked by the output control unit 142 on the screen. The output device 143 displays the plurality of landmarks 160 in absolute coordinates.

출력장치(143)는 상기 절대 좌표 위에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한다. 또는, 출력장치(143)는 절대 좌표 위에 트롤리(150)가 이동되고 있는 위치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수신호 없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트롤리가 이동되고 있는 위치를 수신호 없이 확인할 수 있다.The output device 143 indicat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above the absolute coordinate. Alternatively, the output device 143 display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on the absolute coordinate. The user can confirm where the trolley is moved without a hand signal. 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is being moved without a hand signal.

따라서,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중량물의 낙하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중량물을 공장 또는 창고 내부의 원하는 곳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can prevent a human accident due to the falling of heavy objects. In addition, the user can move the weight exactly where desired inside the factory or warehouse.

출력부(140)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출력 제어부(142)에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트롤리(150)가 이동될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The memory is coupled to the output control unit 142. The memory may store the loca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addition, the memory may store a location where the trolley 150 will be moved.

이때, 출력장치(143)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량물을 공장 또는 창고 내부의 같은 위치에 정확하게 옮길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device 143 displays the location stored in the memory. Thus, the user can accurately move the weight to the same location inside the factory or warehous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eiling crane posi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 하면, 먼저,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위치 감지부(110)에 의해 이동 데이터가 발생된다.(S110) 상기 이동 데이터는 트롤리(150)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상기 이동 데이터는 트롤리(150)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generates movement data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110. (S110) The movement data is obtained by moving the trolley 15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is is data measured distance. The movement data measures the position in which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cm.

다음으로,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제 1 회전감지부(120)에 의해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가 발생된다.(S120)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는 상기 빔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이때, 트롤리(150)는 상기 빔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빔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는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와 일치한다.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는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mm단위로 측정한다.Next, in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is generated by the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120. (S120)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is obtained by moving the beam in a vertical direction. This is data measured distance. At this time, the trolley 150 is installed inside the beam. Thus, the position where the beam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measures the position in which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mm units.

다음으로,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제 2 회전감지부(130)에 의해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가 발생된다.(S130)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는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는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mm단위로 측정한다.Next, in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is generated by the second rotation detecting unit 130. (S130)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is the trolley 15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is a measurement of the distance travele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measures the position in which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mm units.

마지막으로,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출력부(140)에 의해 트롤리의 이동된 위치가 표시된다.(S140) 출력부(140)는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트롤리(150)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140)는 트롤리(150)가 세로 방향으로 1cm 이동되면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한다. 또한, 출력부(140)는 트롤리(150)가 가로 방향으로 1cm 이동되면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한다.Finally,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displays the moved position of the trolley by the output unit 140. (S140) The output unit 140 is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first 2 indicates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based on the separation distance data.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40 reset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when the trolley 150 moves 1 c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40 reset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when the trolley 150 is moved by 1 c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100)는 트롤리(150)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mm단위 까지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measure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150 is mov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p to mm units. Thus, the user can move the weight exactly to the desired position.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로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w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t is clear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orrection, a change, and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Example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idea of this invention.

100: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110: 위치 감지부
120: 제 1 회전감지부
130: 제 2 회전감지부
140: 출력부
100: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device
110: position detection unit
120: first rotation detection unit
130: second rotation detection unit
140: output unit

Claims (10)

천장에 설치된 랜드마크에 적외선을 방출하여 트롤리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하여 이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위치 감지부와,
천장크레인 바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트롤리가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된 랜드마크의 상기 제 1 방향 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1 회전감지부와,
상기 트롤리 바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트롤리가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된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제 2 방향 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2 회전감지부와,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A position detecting unit emitting infrared rays to landmark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measuring movement of the trolley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cm units to generate movement data;
A first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a ceiling crane wheel and generating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a distance, in mm, from the first direction position of the landmark measured by the location detection unit; Wow,
A second rotational sensing for detecting a rotational angle of the trolley wheel and generating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a distance, in mm, from the second direction position of the landmark measur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Wealth,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device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is moved based on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랜드마크에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방출부와,
상기 랜드마크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와,
상기 적외선이 방출된 위치와 상기 랜드마크에 반사된 상기 적외선이 감지된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위치감지 제어부와,
상기 이동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송신하는 위치감지 송신부를 구비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detection unit,
An infrared emitting unit for emitting infrared rays to the landmarks;
An infrared detector for detecting the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landmark;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movement data by compar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infrared rays are emitted with the position at which the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landmark are sensed;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zing apparatus comprising a position detecting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data to the outpu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감지부는,
상기 천장크레인 바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제 1 각도측정기와,
상기 천장크레인 바퀴의 회전각도에 상기 천장크레인 바퀴의 원주를 곱하여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제 1 송신부를 구비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unit,
A first angl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ceiling crane wheels;
A first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ultiply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eiling crane wheel by the circumference of the ceiling crane wheel;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device having a firs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to the outpu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 감지부는,
상기 트롤리 바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제 2 각도측정기와,
상기 트롤리 바퀴의 회전각도에 상기 트롤리 바퀴의 원주를 곱하여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제 2 송신부를 구비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unit,
A second angl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trolley wheel;
A second control unit generating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ultiply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trolley wheel by the circumference of the trolley wheel;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device having a seco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to the outpu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확인하는 출력 제어부와,
상기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하는 출력장치를 구비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ncludes: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An output control unit for identifying a position where the trolley is moved based on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device having an output device for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he trolley is mo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1cm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put unit resets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whenever the trolley is moved 1 cm in the first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1cm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put unit reset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whenever the trolley is moved 1 cm in the second direction.
위치 감지부가 천장에 설치된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트롤리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위치를 cm단위로 측정하여 이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1 단계;
제 1 회전감지부가 상기 트롤리와 상기 랜드마크의 제 1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2 단계;
제 2 회전감지부가 상기 트롤리와 상기 랜드마크의 제 2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여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이동 데이터,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 및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트롤리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방법.
A first step of generating movement data by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rolley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 cm units using a landmark installed on the ceiling;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in mm, a distance that the first rotation sensing unit is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trolley from the landmark;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by measuring a distance in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trolley and the landmark in the second direction by a unit of mm; And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position at which the trolley is moved based on the movement data,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ata,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at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1cm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 1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fourth step is a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for resetting the first distance data each time the trolley is moved 1cm in the first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1cm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 2 이격거리 데이터를 리셋하는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fourth step is a ceiling cran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for resetting the second distance data each time the trolley is moved 1cm in the second direction.
KR1020100005317A 2010-01-20 2010-01-20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KR201100854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17A KR20110085494A (en) 2010-01-20 2010-01-20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17A KR20110085494A (en) 2010-01-20 2010-01-20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94A true KR20110085494A (en) 2011-07-27

Family

ID=4492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317A KR20110085494A (en) 2010-01-20 2010-01-20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49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56B1 (en) * 2015-07-10 2016-02-03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the system of confirming crain carrying 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56B1 (en) * 2015-07-10 2016-02-03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the system of confirming crain carrying 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7438B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mensions of an object carried by a vehicle moving within a measurement area
CN10642967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nstallation platform in an elevator shaft
JP5497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ying elevator hoistway
CN102452611B (en)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device for space attitude of suspender of container crane
US20190086547A1 (en) Detecting Sensor Orientation Characteristics Using Marker-Based Localization
CN102862915A (en) Performance line display unit
CN108291955B (en) Monitoring and/or recording the position of an implement in an elevator shaft
US20170212237A1 (en) Positioning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in a charging station
JP7227442B2 (en) Vehicle dimension measuring device and vehicle dimension measuring method
KR101970747B1 (en) A crane coil loading and unloading control system
CN106152976A (en) A kind of lift rail perpendicularity based on angular surveying detection device
JP2007008675A (en) Device for measuring guide rail installation precision of elevator
CN110482351A (en) One kind is with straightness of elevator guide rai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1650174A (en) Dynamically measuring device and dynamically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perpendicularity deviation of hoist lifting hook
KR20110085494A (en) Ceiling crane location-aware device
US68096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 rail stretch
KR20060066691A (en) The train follow safe stop system
KR102474680B1 (en) Object Shake Measurement Devices of Goliath Crane and Method thereof
CN108490386A (en) Th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a kind of flexible parallel mechanism moving platform spatial position
CN208602495U (en) Train wheelbase detection system
KR1020201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risk of a power distribution supporting structure with tilt correcting function
KR101456413B1 (en) Intelligent wire hanger for gondola
KR20210060960A (en) Cart system having collision prevention and location informing service in indoor space
KR20150009676A (en) Measuring Device for Deflection of Crane Boom
CN114485412B (en) Bridg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