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493A -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493A
KR20110085493A KR1020100005315A KR20100005315A KR20110085493A KR 20110085493 A KR20110085493 A KR 20110085493A KR 1020100005315 A KR1020100005315 A KR 1020100005315A KR 20100005315 A KR20100005315 A KR 20100005315A KR 20110085493 A KR20110085493 A KR 2011008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main display
projecto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937B1 (ko
Inventor
이건우
김경진
홍지영
김병주
박수레
김민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9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가로 프로젝터를 장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프로젝트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PROJECTOR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가로 프로젝터를 장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프로젝트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디지털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해상도 및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이 크게 확대되면서 개인이 두대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의 경우는 종래 방송을 시청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인터넷, 화상 전화,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여러개의 작업창들을 표시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예컨대, 인터넷 화면과 화상 전화 화면, 또는 인터넷 화면과 방송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종래에는 소위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복수개의 작업창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작은 화면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었다. 또한, PIP는 화면의 일부를 가리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 텔레비전을 두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고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복수개 사용한다는 것은 비용면이나 공간 활용 면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작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실행되는 작업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젝션부에 영상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가 연결되는 프로젝터 접속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젝션부에 영상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는 제스쳐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 또는 상기 프로젝션부에 의해 표시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작업들 중 하나의 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들 중 다른 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프로젝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프로젝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작업창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스쳐를 사용하여 표시된 복수개의 작업창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프로젝션 방법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들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매립되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16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104),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104)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10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03) 및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104)와 상기 프로젝션부(105)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1)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전광판 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0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된 출력부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일체화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몸체 상에 영상을 출력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의 면적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04)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온되었을 때, 디폴트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04)는 LCD, PDP 등 임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근에 백라이트로 LED 어레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젝션부(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일체화되어 메인 디스플레이(104)의 주변에, 즉 메인 디스플레이(104)의 상하좌우 등 임의의 위치에 영상을 프로젝트한다. 프로젝션(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일체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영상이 표시될 위치로부터 수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영상을 프로젝트하는 통상적인 프로젝터 보다는 소위 근접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션부(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일체화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존재하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션부(105)는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영상과 같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인 디스플레이(104)에는 한 채널의 TV 방송 화면이 표시되고, 프로젝션부(105)에는 다른 채널의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고, 현재 표시되는 방송 화면의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방송 설정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젝션부(105)는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대해서, 통상적인 텔레비전에서 제공하는 소위, PIP(Picture in Picture)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05)에 의해 PIP 화면을 표시하면, 종래의 텔레비젼에서 PIP에 의해 메인 방송 화면이 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션부(105)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영상 외의 영상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때만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3)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사용자 입력부(103)는 리모컨 수신부, 키버튼, 마우스,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하는 카메라,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임의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고, 메인 디스플레이(104)와 프로젝션부(105)에 의해 출력될 영상을 구분하여 각각 출력한다. 제어부(101)는 범용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콘트롤러일 수 있으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lexible Programmable Gate Array) 등 임의의 집적 회로, 하드웨어 또는 소프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예로서, 벽면(111)에 설치된 평판형 TV(110)가 설명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임의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TV(110)의 정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104)가 장착되어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104)에는 방송 신호 또는 임의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TV(110)의 측면에는 프로젝터부(105)가 장착되어 TV(110)의 주변(도 2에서는 상부)에 프로젝션 영상(115)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영상과 프로젝션 영상(115)은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영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메인 디스플레이(104)에는 방송 화면이 표시되고, 프로젝션 영상(115)으로는 방송 화면의 PIP 화면이나 제어 메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 영상(115)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게임 화면, 네트워크 게임 실행시 상대방 화면, 화상 전화 실행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될 영상과 프로젝터부(105)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지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부(105)는 TV(100)의 측면에 장착되어, TV(110)의 주변부에 프로젝션 영상(115)을 표시한다. TV(100)와 벽(111)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있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 벽걸이 형 TV의 경우는 TV(100)의 두께에도 미치지 못하는 공간이 존재하고, 전광판의 경우와 같이 일정 거리를 둔다 하더라도 수미터 전방으로 영상을 프로젝트하는 통상적인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은, 통상적인 프로젝터를 사용하면 영상이 왜곡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젝터부(105)로는 후술하는 근접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프로젝션 방법을 나타낸다.
도 4의 (a)와 같이, 벽면(111)에 통상적인 프로젝터(201)를 장착하여 프로젝션을 하면, 그 프로젝션 방향을 벽면(111)으로 향하게 한다 하더라도, 사다리꼴 형태의 프로젝션 영상(205)이 형성된다. 프로젝터(201)로부터 가까운 곳에는 작은 영상이 형성되고, 프로젝터(201)로부터 멀어질수록 영상이 크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젝터(201)가 미리 영상이 형성될 거리 및 프로젝터(201)와 벽면(11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까운 곳에 형성될 영상은 크게 하고, 거리에 반비례하게 영상의 크기를 작게하여 출력하면 (b)와 같이 정상적인 프로젝션 영상(207)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프로젝션 방법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방식 외에도, 근접한 벽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프로젝션 기술이라면 어느 것이든 프로젝터(201)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들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TV(110)의 메인 디스플레이(104)에는 방송 화면을 표시하고, 프로젝션 영상(115)으로는 화상 전화 화면, 즉 상대방의 화면과 사용자의 화면 또는 기타 제어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의 디지털 TV는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뿐 아니라, 네트워크 모듈이 탑재되어 인터넷 등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이 탑재된 경우에, 디지털 TV를 통해 화상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송 화면 또는 다른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104)를 통해 시청 중에 화상 전화가 연결되면, 화상 전화 화면을 프로젝터부(105)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화상 전화 화면(115)은 벽면(111) 상에 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터부(105)에 의해 복수의 프로젝션 영상들(115a,115b,115c)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젝션 영상들(115a,115b,115c)에는 각각 서로 다른 영상들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과 같이, TV(110) 측면에 복수개의 프로젝터부(105)를 장착하고, 복수개의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과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영상은 서로 영상들일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에 표시된 영상들도 서로 다른 영상일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디스플레이(104)에는 방송 화면이 표시되고,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에는 각각, 화상 전화 화면, 메뉴 화면, 다른 채널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110)의 일 측, 예컨대 TV(110)에 또 다른 프로젝터부(125)를 설치하여 바닥면(123)에 또 다른 프로젝션 영상(124)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젝터부(125)는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면에 영상을 프로젝트 하므로, 다른 프로젝터부(105a,105b,105c) 달리 근접 프로젝터가 아닌 통상적인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닥면에 표시된 프로젝션 영상(124)은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이나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영상과 다른 영상일 수 있다.
도 8과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겹치지 않는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필요한 공간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에는 총 5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각 프로젝터부(105a,105b,105c,125)가 복수개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하거나, 추가적인 프로젝터부를 더 장착하면 더 많은 수의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매립되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터부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아닌 후면에 매립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컴팩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프로젝터부를 장착하면 도 9와 같이 TV(110)의 전면에서는 프로젝터부는 보이지 않게 된다.
도 10은 프로젝터부(131)를 TV(110)의 후면에 장착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8에서 사용된 프로젝터부(105)를 TV(110)의 후면에 장착함으로써 도 10의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TV(110)의 후면에 움푹 들어간 형태의 장착 공간(132)을 형성하고, 공간(132)에 프로젝터부(131)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젝터부(131)에 의해 형성된 빔이 벽면(111)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도 11의 구성은 도 10의 구성보다 벽면(111)과 TV(110) 사이의 거리를 더 좁힐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2와 같이 TV(110)의 후면에 복수개의 프로젝터부들을 장착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04)의 주변에 복수개의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추가적인 프로젝터부(125)를 사용하여 바닥면(123)에도 추가적인 프로젝션 영상(124)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마찬가지로, 도 12 및 도 13의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124) 및 메인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영상들은 서로 다른 영상일 수 있다. 프로젝션 영상들(121a,121b,121c,124)은 도 6과 유사하게 각각 복수개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터부를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프로젝터부를 연결한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프로젝션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204),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204)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가 연결되는 프로젝터 접속부(20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203),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젝션부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204), 사용자 입력부(203), 및 제어부(201)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프로젝터 접속부(205)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가 연결될 수 있으며, 프로젝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된다.
프로젝터는 프로젝터 접속부(205)를 통해 제어부(201)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예로, TV(210)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11)에 TV(210)가 장착된다. TV(210)의 메인 디스플레이(204)에는 임의의 영상, 예컨대 방송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TV(210)와 별도로 프로젝터(215)가 설치되어 TV(210)의 주변에 프로젝션 영상(216)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젝션 영상(216)은 메인 디스플레이(204)에 표시되는 영상과 같은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메인 디스플레이(204)에 표시되는 영상과 프로젝션 영상(216)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프로젝터(215)는 TV(210)의 주변에 영상을 프로젝트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일 수 있으며, 예컨대 천장(212)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215)는 TV(210)가 장착된 면과 반대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TV(210)가 장착된 면과 동일한 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프로젝터(215)가 TV(210)가 장착된 면과 다른 면에 장착된 경우에는 통상적인 프로젝터, 즉 수미터 전방으로 영상을 프로젝트하는 프로젝터가 사용될 수 있다. 프로젝터(215)가 TV(210)가 장착된 면과 동일한 면에 장착된 경우는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근접 프로젝터가 사용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즉 TV(210)가 실내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광판 등과 같이 옥외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경우에는 천장이 아닌 다른 구조물이나 기둥에 프로젝터(215)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6과 같이 TV(210) 자체에 프로젝터(221)를 추가로 장착하여 바닥면(213)에 프로젝션 영상(223)을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젝터(221)는 TV(210)와 일체화된 것일 수도 있고, TV(210)의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프로젝터 접속부(205)에 의해 TV(2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그 제스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메인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부 또는 프로젝터 접속부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제스쳐를 사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에 의해 표시될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304),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304)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305),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는 제스쳐 검출부(306),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304)에 표시된 영상 또는 상기 프로젝터부(305)에 의해 표시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5)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03), 메인 디스플레이(304) 및 프로젝션부(305)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도 17의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추가로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는 제스쳐 검출부(306)를 포함한다. 제스쳐 검출부(306)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영상 처리를 통해 제스쳐를 파악하는 적외선 카메라,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사용자 입력부(303)로 입력되는 신호 외에, 제스쳐 검출부(306)에 의해 검출되는 제스쳐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제스쳐에 매칭되는 명령은 미리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설정될 수 있다. 제스쳐에 매칭되는 명령은 사용자가 편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서, TV(310)가 벽면(311)에 장착되어 있고, TV(310)의 메인 디스플레이(304)에는 제1 방송이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제스쳐 검출부(306)로는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304)를 손가락으로 포인팅하고, 메인 디스플레이(304)의 외부로, 즉 화살표(312) 방향으로 드래그앤드랍하는 제스쳐를 취하면, 프로젝터부(미도시)가 활성화되어, 도 19와 같이 TV(310) 옆에 제1 방송 화면(315)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방송 화면(315)은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송 화면(315)은 사용자가 드래그앤 드랍하는 방향에 따라 TV(310)의 상하좌우측 또는 바닥면 중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방송 화면(315)이 프로젝터에 의해 표시되면, 메인 디스플레이(304)에는 다른 영상, 예컨대 제2 방송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304)를 포인팅하여 제2 방송 화면을 다른 위치로 드래그앤 드랍할 수도 있고, 제1 방송 화면(315)을 다른 위치로 드래그앤 드랍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일반 PC에서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때와 유사하게, TV(310)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도 20과 같이, 사용자는 프로젝터에 의해 표시된 제1 방송 화면(315)을 드래그앤드랍하여 다시 메인 디스플레이(304)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1은 도 17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에 임의의 컨텐츠, 예컨대 제1 방송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S12)에서, 상기 제1 방송 화면을 드래그앤드랍하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한다. 단계(S13)에서, 제1 방송 화면을 사용자가 드래그앤드랍한 위치, 예컨대 메인 디스플레이 주변에 표시한다. 이 때, 제1 방송 화면은 프로젝터부에 의해 표시된다. 단계(S14)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다른 컨텐츠, 예컨대 제2 방송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S15)에서, 프로젝터에 의해 표시된 제1 방송 화면을 드래그앤드랍하는 제스쳐가 검출되면, 단계(S16)에서, 제1 방송 화면을 다른 위치, 예컨대 원래 있던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 사용자는 제스쳐를 사용하여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 또는 프로젝터에 의해 표시될 영상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22와 같이, 벽면(311)에 설치된 TV(310)에 TV 방송 화면이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TV 방송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TV(310)의 부가 정보 화면, 예컨대 제어 메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IP 화면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을 표시할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304)에 표시하지 않고, 도 23과 같이 별도의 프로젝션 화면(317)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TV(310)를 통해 방송 화면 또는 기타 컨텐츠를 시청 중에, 부가 정보 화면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부가 정보 화면(317)은 메인 디스플레이(304) 주변의 프로젝션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부가 정보 화면(317)을 포인팅한 다음 드래그앤 드랍하여 부가 정보 화면(317)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부가 정보 화면(317)을 메인 디스플레이(304)에 표시하고자 하면, 부가 정보 화면(317)을 메인 디스플레이(304) 쪽으로 드래그앤 드랍함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다. 부가 정보 화면(317)을 TV(310)의 상부, 좌측 또는 바닥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TV(310)를 통해 방송 화면 또는 기타 컨텐츠를 시청하는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304)에 표시하지 않고, TV(310) 주변에 프로젝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TV(310)에서 실행 가능한 임의의 것이 될 수 있으며, 화상 전화 화면, 네트워크 게임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TV(310)를 통해 방송 화면 시청 중에 화상 전화가 걸려오면, 화상 전화 화면(319)을 메인 디스플레이(304) 주변의 프로젝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상 전화 화면(319)에는 화상 전화 제어 메뉴, 예컨대 연결(321), 무시(323) 등의 버튼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스쳐를 사용하여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리모컨이나 기타 다른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21)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에 컨텐츠, 예컨대 방송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S22)에서, 방송 화면이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중에 부가 정보, 예컨대 제어 메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IP 화면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의 표시 명령이 수신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검출되면, 단계(S23)에서 부가 정보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프로젝션 영상으로 표시한다. 단계(S24)에서 사용자가 부가 정보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단계(S25)에서 해당 메뉴를 실행한다. 상기 메뉴 선택은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 실시예들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고, 이들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200,3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210,310 : TV
102,202,302 : 통신부
103,203,303 : 사용자 입력부
104,204,304 : 메인 디스플레이
105 : 프로젝터부
111,211,311 : 벽면
123,213 : 바닥면
115,115a,115b,115c,121a,121b,121c,124,216,223,315 : 프로젝션 영상
131 : 근접 프로젝터
132 : 프로젝터 장착 공간
125 : 추가 프로젝터
205 : 프로젝터 접속부
215 : 독립 프로젝터
212 : 천장
306 : 제스쳐 검출부
312 : 화살표
317 : 부가 정보 화면
319 : 화상 전화 화면
321, 323 : 메뉴

Claims (20)

  1.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젝션부에 영상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근접 프로젝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바닥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복수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신호 처리부 및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방송 신호가 표시되고, 상기 프로젝션부에는 화상 회의 화면, PIP 화면, 메뉴 화면 중 하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게임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프로젝션부에는 상대방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가 연결되는 프로젝터 접속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젝션부에 영상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놓인 벽면과 수직인 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바닥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는 제스쳐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 또는 상기 프로젝션부에 의해 표시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검출부는 적외선 카메라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션부에 의해 표시된 영상을 드래그앤 드랍하는 제스쳐인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 튜너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제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의 제스쳐가 검출되면, 상기 제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가 상기 프로젝션부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제2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작업들 중 하나의 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들 중 다른 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프로젝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프로젝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션부에 의해 표시된 영상을 드래그앤 드랍하는 제스쳐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KR1020100005315A 2010-01-20 2010-01-20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15A KR101715937B1 (ko) 2010-01-20 2010-01-20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15A KR101715937B1 (ko) 2010-01-20 2010-01-20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93A true KR20110085493A (ko) 2011-07-27
KR101715937B1 KR101715937B1 (ko) 2017-03-13

Family

ID=4492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315A KR101715937B1 (ko) 2010-01-20 2010-01-20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9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763A (ko) * 2013-01-03 2014-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제어 방법
KR101429812B1 (ko) * 2012-09-18 2014-08-12 한국과학기술원 외부 프로젝터를 활용한 텔레비전 화면의 확장 장치 및 방법
EP3422707A1 (en) * 2017-06-29 2019-01-02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Display system and method
WO2024080663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03A (ko) * 2021-02-23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500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19990041092A (ko) * 1997-11-21 1999-06-15 윤종용 영상전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자동화면 스위칭 방법
KR20040015001A (ko) * 2001-06-29 2004-02-1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피치 및 제스처 제어에 기초한 픽처-인-픽처 재위치화및/또는 재사이즈화
KR100836882B1 (ko) * 2007-04-04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상 세계 캐릭터와의 화상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092A (ko) * 1997-11-21 1999-06-15 윤종용 영상전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자동화면 스위칭 방법
KR19990042500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20040015001A (ko) * 2001-06-29 2004-02-1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피치 및 제스처 제어에 기초한 픽처-인-픽처 재위치화및/또는 재사이즈화
KR100836882B1 (ko) * 2007-04-04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상 세계 캐릭터와의 화상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812B1 (ko) * 2012-09-18 2014-08-12 한국과학기술원 외부 프로젝터를 활용한 텔레비전 화면의 확장 장치 및 방법
KR20140088763A (ko) * 2013-01-03 2014-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제어 방법
EP3422707A1 (en) * 2017-06-29 2019-01-02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Display system and method
WO2024080663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937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358B1 (ko)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KR102575230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184918A2 (e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330736A (zh) 一种显示器及图像处理方法
US858772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3045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0014644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CN111897480B (zh) 播放进度调节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715937B1 (ko) 프로젝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546090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12073778A (zh) 显示设备及按键传递的容错方法
CN111464840A (zh) 显示设备及显示设备屏幕亮度的调节方法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21943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witching method
WO2021031608A1 (zh) 一种摄像头物理开关锁定状态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2783380A (zh) 显示设备和方法
CN112073812B (zh) 一种智能电视上的应用管理方法及显示设备
WO2021196432A1 (zh) 一种控件对应的内容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EP37371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1259639A (zh) 一种表格的自适应调节方法及显示设备
US20120113033A1 (en) Display device, display program, and display method
CN112995113B (zh) 一种显示设备、端口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1526409B (zh) 一种显示设备
CN113453056B (zh) 一种相册控件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