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282A -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282A
KR20110085282A KR1020100004973A KR20100004973A KR20110085282A KR 20110085282 A KR20110085282 A KR 20110085282A KR 1020100004973 A KR1020100004973 A KR 1020100004973A KR 20100004973 A KR20100004973 A KR 20100004973A KR 20110085282 A KR20110085282 A KR 20110085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secret
dongl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241B1 (ko
Inventor
장원태
이훈재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2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비화 통신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비화 통신이 요청되면, 암호화키가 포함된 싱크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아 자신과 통화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대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아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은 비화 통신용 동글은 상기 싱크정보로부터 암호화키를 추출하고,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함과 아울러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제공받은 휴대 단말기는 자신과 통화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제공받은 상대 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수신한 비화 통신용 동글은 상기 싱크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에서의 비화 통신용 동글은 헤드셋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암호화하여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복호화하여 상기 헤드셋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speech secur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 동글을 통해 핸즈프리 및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서비스 제공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동글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핸즈프리 기능 또는 오디오 출력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의 진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으나, 무선 송수신되는 음성신호 또는 정보들에 대한 보안 유지가 곤란함은 물론이며, 도청이나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화내용이 기록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비화 통신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비화 통신용 동글을 연결한 후에,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송수신측 비화 통신용 동글들간의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송수신측 비화 통신용 동글들이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암호화를 이행하고,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호화를 이행하여, 비화 통신용 동글을 통한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비화 통신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비화 통신이 요청되면, 암호화키가 포함된 싱크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아 자신과 통화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대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아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은 비화 통신용 동글은 상기 싱크정보로부터 암호화키를 추출하고,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함과 아울러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제공받은 휴대 단말기는 자신과 통화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제공받은 상대 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수신한 비화 통신용 동글은 상기 싱크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에서의 비화 통신용 동글은 헤드셋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암호화하여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복호화하여 상기 헤드셋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비화 통신용 동글을 연결한 후에,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송수신측 비화 통신용 동글간의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송수신측 비화 통신용 동글들이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암호화를 이행하고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호화를 이행하여, 비화 통신용 동글을 통한 비화 통신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신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신용 동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신 방법의 흐름도.
<비화 통신을 위한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신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비화 통신을 위한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102)와, 상기 휴대 단말기(100,102)에 각각 연결되는 비화 통신용 동글(200,202)과,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202,202)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헤드셋(204,206)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10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화 통신용 동글(200,202)로 비화 통신을 요청한다.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200,202)은 휴대 단말기(100,102)로부터의 비화 통신 요청에 따라 미리 정해둔 싱크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102)를 통해 상대 휴대 단말기의 비화 통신용 동글로 송신하고, 상기 싱크정보가 정상적임에 따라 상대 휴대 단말기가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하면 자신도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200,202)은 헤드셋(204,206)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휴대 단말기(100,102)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102)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헤드셋(204,206)으로 출력한다.
상기 헤드셋(204,206)은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200,2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200,202)로 제공하거나,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200,202)로부터의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비화 통신용 동글의 구성>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은 MCU(300), 메모리부(30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6), 표시장치(304), 신호 처리부(308), 유무선 통신모듈(310),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 모듈(312), 전원부(314)로 구성된다.
상기 MCU(300)는 유무선 통신모듈(310)을 통해 헤드셋(204,206)으로부터의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 모듈(312)을 통해 그대로 휴대 단말기(200,202)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 모듈(312)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200,202)로부터의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310)을 통해 헤드셋(204,206)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MCU(300)는 비화 통신 모드시에 유무선 통신모듈(310)을 통해 헤드셋(204,206)으로부터의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암호화한 후에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 모듈(312)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202)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 모듈(312)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200,202)로부터의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복호화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310)을 통해 헤드셋(204,206)으로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302)는 상기 MCU(300)의 처리 프로그램 및 싱크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06)는 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MCU(3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304)는 LED 등으로 상기 MCU(300)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 상태 등을 표시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308)는 유무선 통신모듈(310)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CU(300)로 제공하고, 상기 MCU(300)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310)로 제공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310)은 헤드셋(204,206)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 모듈(312)은 휴대 단말기(200,202)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상기 전원부(314)는 휴대 단말기(200,202)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레귤레이팅하여 비화 통신용 동글(204,206)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204,206)의 각부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비화 통신 방법>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신 방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휴대 단말기와 제2휴대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미도시된 조작패널을 통해 비화 통신을 요청하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는 제1비화 통신용 동글로 비화 통신을 요청한다.
상기 제1비화 통신용 동글은 비화 통신이 요청되면, 자신이 연결된 제1휴대 단말기로 싱크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휴대 단말기는 상기 싱크정보를 제2휴대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제2휴대 단말기는 상기 싱크정보를 수신받아 제2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고, 상기 제2비화 통신용 동글은 상기 싱크정보가 정상적인지를 체크한 후에 상기 싱크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키를 추출하고,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비화 통신 모드로의 진입 통지 정보를 자신이 연결된 제2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2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 통지 정보를 제1휴대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제1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제1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고, 상기 제1비화 통신용 동글은 자신의 싱크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제1 및 제2비화 통신용 동글은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헤드셋을 통해 입력되는 송신을 위한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암호화를 이행한 후에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을 위한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암호화키에 따라 복호화를 이행하여 헤드셋으로 제공한다. 이로서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에서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된다.
100,102 : 휴대 단말기
200,202 : 비화 통신용 동글
204,206 : 헤드셋

Claims (2)

  1. 비화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비화 통신이 요청되면, 암호화키가 포함된 싱크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아 자신과 통화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대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아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싱크정보를 제공받은 비화 통신용 동글은 상기 싱크정보로부터 암호화키를 추출하고,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함과 아울러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제공받은 휴대 단말기는 자신과 통화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제공받은 상대 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수신한 비화 통신용 동글은 상기 싱크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에서의 비화 통신용 동글은 헤드셋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암호화하여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복호화하여 상기 헤드셋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통신 제공 방법.
  2. 비화 통신 제공 장치에 있어서,
    헤드셋;
    비화 통신이 요청되면, 암호화키가 포함된 싱크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싱크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하고,
    싱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싱크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로 진입함과 아울러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비화 통신용 동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비화 통신 요청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고,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로부터 싱크정보를 제공받아 자신과 통화로가 형성된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상대 휴대 단말기로부터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고,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통화로를 통해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상대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고,
    상기 통화로 형성된 상대 휴대 단말기로부터 싱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싱크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비화 통신용 동글로 제공하고, 상기 비화 통신용 동글이 비화 통신 모드 진입을 통지하는 정보를 제공하면 이를 상기 통화를 통해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암호화키에 따른 비화 통신 모드에서의 비화 통신용 동글은 헤드셋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암호화하여 자신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키에 따라 복호화하여 상기 헤드셋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통신 제공 장치.

KR1020100004973A 2010-01-20 2010-01-20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0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73A KR101107241B1 (ko) 2010-01-20 2010-01-20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73A KR101107241B1 (ko) 2010-01-20 2010-01-20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82A true KR20110085282A (ko) 2011-07-27
KR101107241B1 KR101107241B1 (ko) 2012-01-25

Family

ID=4492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973A KR101107241B1 (ko) 2010-01-20 2010-01-20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321A (ko) 2013-05-27 2014-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통신용 정보 보호 부속 장치 및 이에 의한 음성 통신용 정보 보호 방법
EP4109811A4 (en) 2020-02-17 2024-03-13 Eyl Inc SECURE DEVICE HAVING A QUANTUM RANDOM NUMBER BASED QUANTUM ENCRYPTION CHIP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E COMMUNICATIONS SER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597A (ja) * 1993-06-07 1994-12-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秘話通信の同期確立方法
KR20090024860A (ko) * 2007-09-05 2009-03-10 주식회사 유비와이브로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음성 암호 통신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241B1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571B2 (en) Secur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ultimedia device employing the same
JP5732538B2 (ja) 音声方式で外部設備と通信を行う電子機器
CN109561056B (zh) 一种保密通信方法、系统、移动终端和可穿戴设备
EP3082291B1 (en) Secur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ultimedia device employing same
US20230037251A1 (en) Device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103929A (ko)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
EP3182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outing information
KR20180016430A (ko) 암호화된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전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9736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CN109246110A (zh) 数据共享方法及装置
CN112182624A (zh) 加密方法、加密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EP3139564B1 (en) Encryption coding module
KR20140017035A (ko) 오디오 보안 저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인증서 관리 방법
CN106412812A (zh) 一种蓝牙语音通信方法、系统和一种蓝牙耳机
KR101107241B1 (ko) 비화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EP330485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session arrangement on behalf of cryptographic endpoints
CN101304306A (zh) 安全通话的方法及装置
US9467428B2 (en) Information security attachment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KR101512007B1 (ko) 싱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싱크 컴퓨팅 장치
KR100572463B1 (ko) 공유 암호키를 이용한 무선 통신단말기 간 통신에서의 암호 통신방법
JP2007113245A (ja) 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2009002486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음성 암호 통신 모듈
CN104952467A (zh) 一种移动终端及其播放音频文件的方法
CN112242977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数据传输系统
CN113225691B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