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167A - 깃봉 - Google Patents

깃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167A
KR20110085167A KR1020100004796A KR20100004796A KR20110085167A KR 20110085167 A KR20110085167 A KR 20110085167A KR 1020100004796 A KR1020100004796 A KR 1020100004796A KR 20100004796 A KR20100004796 A KR 20100004796A KR 20110085167 A KR20110085167 A KR 2011008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sleeve
press
flagp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연
Original Assignee
강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연 filed Critical 강호연
Priority to KR1020100004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167A/ko
Publication of KR2011008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깃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가 구비된 하부깃봉 및 상기 하부깃봉과 결합 되는 상부깃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깃봉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슬리브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깃봉은 깃대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으므로 깃봉이 깃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깃봉{Knob}
본 발명은 국기 게양대의 깃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깃대를 깃봉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깃봉 내측으로 별도의 압입슬리브를 형성한 깃봉에 관한 것이다.
국기 게양대는 파이프형의 지주를 지상에서 높게 설치하여 지주의 상부에 국기 또는 각종 깃발을 걸 수 있게 하고 그 상단에는 깃봉을 설치하여 사용된다. 한편, 가정용 국기 게양대는 국기 등 각종 깃발을 걸 수 있는 원통 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깃대와 그 깃대 상부 끝단에 무궁화 형상의 장식무늬가 형성된 깃봉을 꽂아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히 깃봉에 깃대를 꽂아 사용되는 종래의 깃봉 결합에 의하면 깃봉이 깃대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제 167974호는 국기 게양대의 깃봉 설치구조에 관한 고안으로 국기 또는 깃발을 게양할 수 있는 게양 봉에 있어서, 상기 게양 봉의 상측에 구비된 깃발 설치봉의 상·하단 내측으로 외주연에 돌출부를 대응형성하고, 상기 깃발설치 봉에는 지주와 깃봉을 설치함으로써, 조립성 증대 및 견고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깃봉과 깃발 설치 봉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깃발 설치 봉에 돌출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용접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깃발 설치 봉의 돌출부에 의해서도 실제 깃봉 내로 삽입되는 깃발 설치 봉의 삽입깊이가 짧아 깃봉이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196918호는 국기 게양대의 깃봉 고정용 연결부재에 관한 고안으로, 국기 게양대의 지주 상측에서 깃봉을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부재를 개선하여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지주와 깃봉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히, 국기 게양용 지주와 이 지주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을 유지하며, 깃봉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깃봉의 하단부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구비되는 지주캡에 양단이 밀착 지지 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외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 상하 단이 상기 깃봉과 지주캡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만곡된 확개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상기 지주와 깃봉을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지주와 깃봉을 연결하기 위하여 용접이 아닌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나 상기 연결부재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깃봉 및 상부깃봉으로 구성되어 이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깃봉에 있어서 깃봉 내측 부분에 깃대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압입슬리브를 형성하여 깃봉이 안정적으로 깃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깃대에 고정되는 깃봉에 있어서,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가 구비된 하부깃봉 및 상기 하부깃봉과 결합 되는 상부깃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깃봉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슬리브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깃봉이 깃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깃봉이 깃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깃봉을 깃대에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깃봉 내부의 압입슬리브로 인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은 그 내부에 깃대(미도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압입슬리브를 형성하여 깃봉이 안정적으로 깃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깃봉(10)에는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11)가 구비된 하부깃봉(10) 및 상기 하부깃봉(10)과 결합되는 상부깃봉(20)으로 구성되며, 하부깃봉(10)의 내측 바닥면에는 결합슬리브(11)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1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부깃봉(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의 하반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깃봉(10)의 하부에는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11)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깃봉(10)의 상단가장자리에는 상부깃봉(20)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수단(13)이 구비된다. 결합슬리브(11)의 하단에는 깃대의 결합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깃봉(10)의 내측 바닥면에는 결합슬리브(11)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1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제 1 압입슬리브(15)로는 결합슬리브(11)를 통해 결합되는 깃대가 유입되어 압입결합됨에 따라 결합슬리브(11)에 대한 깃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것으로, 제 1 압입슬리브(15)는 깃대에 대한 입입결합을 위해 하부깃봉(1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깃봉(10)에는 상부깃봉(20)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깃봉(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의 상반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하단가장자리에는 하부깃봉(10)의 제 1 결합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수단(23)이 형성된다.
하부깃봉(10)과 상부깃봉(20)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입결합될 수도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3 및 23)은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고, 후자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3 및 23)은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을 형성하는 하부깃봉(10)과 상부깃봉(20)의 외주면에는 무궁화 형상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의 경우에는, 하부깃봉(10)에 결합슬리브(11)로 결합된 깃대가 압입고정되는 제 1 압입슬리브(1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깃대에 인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은 그 내부에 깃대(미도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압입슬리브를 형성하여 깃봉이 안정적으로 깃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깃봉(10)에는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11)가 구비된 하부깃봉(10) 및 상기 하부깃봉(10)과 결합되는 상부깃봉(20)으로 구성되며, 상부깃봉(20)의 내측 상단에는 결합슬리브(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압입슬리브(25)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부깃봉(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의 하반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깃봉(10)의 하부에는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11)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깃봉(10)의 상단가장자리에는 상부깃봉(20)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수단(13)이 구비된다. 결합슬리브(11)의 하단에는 깃대의 결합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깃봉(10)에는 상부깃봉(20)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깃봉(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의 상반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하단가장자리에는 하부깃봉(10)의 제 1 결합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수단(23)이 형성된다.
하부깃봉(10)과 상부깃봉(20)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 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입결합될 수도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3 및 23)은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고, 후자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3 및 23)은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깃봉(2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결합슬리브(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압입슬리브(25)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제 2 압입슬리브(25)로는 결합슬리브(11)를 통해 결합되는 깃대가 유입되어 압입결합됨에 따라 결합슬리브(11)에 대한 깃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것으로, 제 2 압입슬리브(25)는 깃대에 대한 입입결합을 위해 상부깃봉(20)의 상기 제 2 압입슬리브(25)는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의 경우에는, 상부깃봉(20)에 결합슬리브(11)로 결합된 깃대가 압입고정되는 제 2 압입슬리브(25)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깃대에 인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은 그 내부에 깃대(미도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압입슬리브를 형성하여 깃봉이 안정적으로 깃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깃봉(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슬리브(11)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1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깃봉(2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결합슬리브(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압입슬리브(25)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부깃봉(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의 하반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깃봉(10)의 하부에는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11)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깃봉(10)의 상단가장자리에는 상부깃봉(20)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수단(13)이 구비된다. 결합슬리브(11)의 하단에는 깃대의 결합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깃봉(10)의 내측 바닥면에는 결합슬리브(11)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1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제 1 압입슬리브(15)로는 결합슬리브(11)를 통해 결합되는 깃대가 유입되어 압입결합됨에 따라 결합슬리브(11)에 대한 깃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것으로, 제 1 압입슬리브(15)는 깃대에 대한 입입결합을 위해 하부깃봉(1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깃봉(10)에는 상부깃봉(20)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깃봉(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1)의 상반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하단가장자리에는 하부깃봉(10)의 제 1 결합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수단(23)이 형성된다.
하부깃봉(10)과 상부깃봉(20)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입결합될 수도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3 및 23)은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고, 후자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3 및 23)은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깃봉(10)에 결합 되는 상부깃봉(2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결합슬리브(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압입슬리브(25)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제 2 압입슬리브(25)로는 결합슬리브(11)를 통해 결합되는 깃대가 유입되어 압입결합됨에 따라 결합슬리브(11)에 대한 깃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것으로, 제 2 압입슬리브(25)는 깃대에 대한 입입결합을 위해 상부깃봉(20)의 상기 제 2 압입슬리브(25)는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깃봉은 하부깃봉(10)에 결합슬리브(11)로 결합된 깃대가 압입고정되는 제 1 압입슬리브(1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깃대에 인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상부깃봉(20)으로도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 압입슬리브(25)에 의해 깃대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1 : 깃봉 10 : 하부깃봉
11 : 결합슬리브 12 : 돌기
15 : 제 1 압입슬리브 13 : 제 1 결합수단
20 : 상부깃봉 23 : 제 2 결합수단
25 : 제 2 압입슬리브 30 : 깃대

Claims (6)

  1.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가 구비된 하부깃봉 및 상기 하부깃봉과 결합 되는 상부깃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깃봉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슬리브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
  2.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가 구비된 하부깃봉 및 상기 하부깃봉과 결합 되는 상부깃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깃봉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결합슬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압입슬리브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
  3. 깃대가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슬리브가 구비된 하부깃봉 및 상기 하부깃봉과 결합 되는 상부깃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깃봉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슬리브에 연통되는 제 1 압입슬리브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깃봉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결합슬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압입슬리브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입슬리브는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입슬리브는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입슬리브는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고, 상기 제 2 압입슬리브는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봉.




KR1020100004796A 2010-01-19 2010-01-19 깃봉 KR20110085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96A KR20110085167A (ko) 2010-01-19 2010-01-19 깃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96A KR20110085167A (ko) 2010-01-19 2010-01-19 깃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67A true KR20110085167A (ko) 2011-07-27

Family

ID=4492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796A KR20110085167A (ko) 2010-01-19 2010-01-19 깃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1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720B1 (ko) 2018-11-29 2019-06-04 차규환 깃봉 주조용 금형 및 깃봉 주조방법
KR20200064371A (ko) * 2018-11-29 2020-06-08 이상은 국기 게양대용 깃봉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720B1 (ko) 2018-11-29 2019-06-04 차규환 깃봉 주조용 금형 및 깃봉 주조방법
KR20200064371A (ko) * 2018-11-29 2020-06-08 이상은 국기 게양대용 깃봉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5105675A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KR20110085167A (ko) 깃봉
US20110278406A1 (en) Device for supporting an object on a surface
KR200477844Y1 (ko) 부케홀더
KR200444363Y1 (ko) 조명등용 장식구
US20160331172A1 (en) Appliance for attaching tree toppers and methods of use
CN205639034U (zh) 吊扇的吊杆和具有其的吊扇
CN211632173U (zh) 一种电动升降桌腿以及包含其的电动升降桌
CN208634905U (zh) 吸附式壁灯
KR20150119692A (ko) 천장 매립등
KR20130081685A (ko) 단일형 벌브홀더용 단자
KR200471519Y1 (ko) 텐트용 폴대 지면 고정구
KR101505024B1 (ko) 단일형 벌브홀더
CN201662008U (zh) 灯具安装座
KR20090007457U (ko) 건조대의 걸이봉 결합구
CN207145909U (zh) 一种遮阳伞底座
CN213174642U (zh) 一种便于安装的踢脚线结构
CN204003346U (zh) 压缩机组件
CN217022026U (zh) 一种装饰摆件灯
KR101551582B1 (ko) 지주
CA2753888A1 (en) Glass bulb cover and a soft core assembly connecting therewith
WO2011095817A1 (en) A shade attachment device for a pendant light fitting
KR200443100Y1 (ko) 우산 겸용 파라솔 살대의 연결구
KR200432609Y1 (ko) 옷걸이
KR101184721B1 (ko) 현수막용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