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393A -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393A
KR20110084393A KR1020110064387A KR20110064387A KR20110084393A KR 20110084393 A KR20110084393 A KR 20110084393A KR 1020110064387 A KR1020110064387 A KR 1020110064387A KR 20110064387 A KR20110064387 A KR 20110064387A KR 20110084393 A KR20110084393 A KR 2011008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electronic tag
information
mobile terminal
authen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석
Original Assignee
손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석 filed Critical 손용석
Priority to KR102011006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4393A/ko
Publication of KR2011008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은,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를 촬영하거나 전자태그 판독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 정보 DB; 및 상기 수신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상기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정품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불투명의 안료나 물질로 도포되거나 덮이며 상기 도포된 불투명 안료 및 물질이 제거된 이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판독 되고,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는, 상기 판독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대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Description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RODUCT FALSIFICATION BY USING RFID AND MARKER}
본 발명은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태그 및 마커에 기초하여 물품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제공하는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정품 선호 사상이 확산되면서 물품의 구매 시에 매장의 물품이 위변조된 물건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졌다. 특히, 고급품을 선호하는 소비층에게는 위변조된 물건인지를 확인에 대한 욕구가 더욱 높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고가로 구입한 정품과 동일한 값싼 모조품이나 위조품들이 유통되는 것을 원치 않으며 만일 이를 막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제공된다면 다소간의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나 수고를 아끼지 않을 소비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품에 부착된 파괴성 씨일(Breakable Seal)이나 로고, 또는 홀로그램을 정품 표식으로 이용하는 등 인간의 오관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수단을 사용하는데 머물고 있고, 매장에서 물건이 정품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이 없었다. 설령 제조 회사나 유통 회사에서 개별 제품의 유통 상태를 추적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하여도 이러한 유통 추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매장의 전용기기를 이용하거나 판매 관리자의 도움을 얻어야만 제품의 정품 여부나 제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물품에 표시되는 마크로부터 소비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물품이 정품인지를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마크의 위조 및 도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품 인증 기술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전자태그 및 마커에 기초하여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제공할 수 있는,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물품의 정품 인증을 위한 전자태그 및 마커에 대한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를 판독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 전자태그 및 마커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 정보 DB; 상기 수신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상기 인증 번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정품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정보는 불투명의 안료로 도포되거나 물질로 덮이며 상기 도포된 불투명 안료나 물질이 제거된 이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판독하고,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 부는, 상기 판독되어진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에 대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에 표시된 인증 정보에는 불투명의 안료가 도포되거나 물질로 덮이며, 상기 물품 및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불투명의 안료나 물질이 제거되어 상기 인증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노출된 인증 정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증 정보를 불투명의 안료나 물질로 덮고, 모바일 단말의 단말 정보 또는 패스워드 값에 기초하여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전자태그 및 마커의 사용 횟수를 제한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위변조방지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불투명 안료가 도포되거나 물질로 덮인 인증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판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품 정보 DB에 저장된 물품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마커는 특정 정보를 부호화한 표식으로서, 예를 들어, 1 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칼라 바코드 또는 기 설정된 문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자태그는 IC칩을 내장해 무선으로 특정 정보를 주파수화한 표식으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 와 직접 회로 및 간접 회로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방지 시스템은 전자태그 및 마커가 표시된 물품(100), 모바일 단말기(200), 및 위변조방지 서버(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위변조방지 서버(300)에게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 위변조방지를 위한 패스워드(숫자 및 문자) 등을 제공하고,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위변조방지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물품(100) 또는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물품(100)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전자태그 및 마커를 위변조방지 서버(300)에게 제공한다.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는 전자태그 및 마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가 함께 판독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만 판독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인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에 입력되어 위변조방지 서버(3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주변에 표시되고 불투명의 안료로 도포되거나 물질로 덮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불투명의 안료 및 물질을 제거하여 인증 정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 및 노출된 인증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단말기 정보 및 위변조방지를 위한 패스워드를 위변조방지 서버(300)에게 제공하고, 물품(100)에 관한 정보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위변조방지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폰, 노트북 등과 같이 이동성을 갖는 통신 단말을 말하며,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하여 위변조방지 서버(300)에 연결되는 모든 종류의 이동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위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물품(100)에 관한 정보 및 전자태그 및 마커 이미지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변조방지 서버(300)는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전자태그 및 마커 이미지가 진위 여부 판단에 사용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태그 및 마커와 인증 정보의 조합을 통하여 정품 인증이 제공되며, 정품 인증에 있어서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가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품 인증의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증 정보는 불투명의 안료로 도포될 수 있기 때문에 인증 정보의 도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방지 서버(3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방지 서버(3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방지 서버(300)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310), 단말 정보 수신부(320), 패스워드 수신부(330), 정품 인증부(340),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350), 물품 정보 DB(360), 제어부(370) 및 송수신부(380)를 포함한다.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31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태그 및 마커 이미지 수신부(31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310)는 전자태그 및 마커만이 판독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별도로 인증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 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에 의해 생성되어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3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말 정보 수신부(32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의 단말명, 모델명, 단말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한다.
패스워드 수신부(33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정품 인증 확인을 위한 패스워드를 수신한다. 정품 인증 확인을 위한 패스워드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생성되어 패스워드 수신부(33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수신부(320) 및 패스워드 수신부(330)에서 수신한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는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후술할 물품 정보 DB(360)에 저장될 수 있다.
정품 인증부(340)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 및 물품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제공한다. 정품 인증부(340)는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품 인증부(340)는 수신된 RFID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을 해석하여, RFID 및 마커 및 인증 정보가 유효한 값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값이 유효한 경우에 RFID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품 인증부(3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품 인증부(340)는 후술할 물품 정보 DB(36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매칭된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말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가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품 인증부(3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품 인증부(340)는 후술할 물품 정보 DB(36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매칭된 패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스워드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마커가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품 인증부(340)는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된 횟수에 기초하여,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정품 인증부(340)는 전자태그 및 마커와 인증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물품 정보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모바일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 또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가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위조를 방지하고, 위조된 전자태그 및 마커가 모조품에 표시되어 사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정품 인증부(340)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품 인증부(340)가 특정 전자태그 및 마커에 대하여 진위 여부 확인 횟수를 3회로 제한한 경우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4회째 확인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정품 인증부(340)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가 제한된 횟수만큼 확인된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게 패스워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제한 횟수를 갱신하여 설정할 수가 있다.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350)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를 관리한다.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350)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를 후술할 물품 정보 DB(360)에 갱신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350)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가 잘못된 경우에 잘못된 패스워드의 수신 횟수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물품 정보 DB(360)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태그 및 마커 별로 진위 여부의 확인 횟수가 제한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350)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확인 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된 횟수를 초과하면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물품 정보 DB(360)를 변경할 수 있다.
물품 정보 DB(360)는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물품 정보 DB(360)는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의 명칭, 모델명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 정보 수신부(320)에서 수신한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 수신부(330)에서 수신한 패스워드를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와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정보 DB(360)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횟수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정보 DB(360)가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일례에 대하여는 도 4 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70)는 위변조방지 서버(300)가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과, 모바일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 또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310), 단말 정보 수신부(320), 패스워드 수신부(330), 정품 인증부(340),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350), 물품 정보 DB(360), 및 후술할 송수신부(380)를 제어한다.
송수신부(380)는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정품 인증에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와 송수신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투명 안료가 도포된 인증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판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투명 안료가 도포된 인증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촬영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식별 번호 30과 같이 전자태그 및 마커의 주변에는 인증 정보가 불투명의 안료 및 물질로 도포되거나 덮여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불투명의 안료를 제거하는 경우에 식별 번호 40과 같이 인증 정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를 모두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를 정품 인증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를 판독하고 전자태그 및 마커만 판독된 정보를 정품 인증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인증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별도로 입력하여 위변조 방지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보 DB(360)에 저장된 물품 정보 테이블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보 DB(360)에 저장된 물품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보 테이블은 전자태그 및 마커 필드(40), 인증 정보 필드(42), 물품명 필드(44), 모델명 필드(46), 단말 정보 필드(48), 패스워드 필드(50), 인증 횟수 필드(52), 진위 여부 필드(54)를 포함한다.
전자태그 및 마커 필드(40)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에 포함된 이진 데이터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인증 정보 필드(42)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와 함께 표시된 인증 정보 값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물품명 필드(44) 및 모델명 필드(46)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의 물품명 및 모델명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필드(48)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를 제공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전화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에 관한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정품 인증 서버(300)에게 최초로 제공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를 제공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전화번호가 단말 정보 필드(48)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단말 정보 필드(48)에 기록된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정품 인증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모바일 단말기(200)의 전화번호가 단말 정보 필드(48)에 기록되는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 필드(50)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패스워드 값이 기록될 수 있다.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번호에 관한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위변조방지 서버(300)에게 최초로 제공되는 경우에, 패스워드가 최초로 설정되어 기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패스워드는 인증 횟수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인증 횟수 필드(52)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확인할 수 있는 횟수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총 10회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 횟수가 제한된 경우에 총 3회에 걸쳐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가 확인되었다면, 인증 횟수 필드(52)에는 3/10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진위 여부 필드(54)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가 유효하며, 모바일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가 단말 정보 필드(48)에 기록된 단말 정보와 일치하거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패스워드가 패스워드 필드(50)에 기록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진위 여부 필드(54)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가 진품이라는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진위 여부 필드(54)에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확인 횟수가 제한된 확인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되었다는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500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단계 S500에서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500에서는 전자태그 및 마커만이 판독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별도로 인증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 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502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단말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의 단말명, 모델명, 단말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한다.
단계 S504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정품 인증 확인을 위한 패스워드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생성되어 패스워드 수신부(330)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506은 수신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가 최초로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단계 S506에서는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판독되고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최초로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가 최초로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508을 수행한다.
단계 S508은 수신된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를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단계 S508에서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최초로 수신된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를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를 확인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 정보 또는 패스워드를 확인함으로써,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가 제3자에 의해 도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단계 S510은 물품 정보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단계 S510에서는 수신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을 해석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가 유효한 값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값이 유효한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물품 정보는 물품의 종류, 모델명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수신된 물품 정보를 참고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가 표시된 물품이 진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에 대한 정보를 함께 받음으로써,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를 통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가 표시된 물품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품 정보에는 진품과 가품의 차이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506에서의 판단 결과, 마커 이미지가 최초로 수신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512를 수행한다.
단계 S512는 단말 정보, 패스워드, 인증 횟수가 진품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단계 S512에서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 정보 DB(36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매칭된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말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가 진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2에서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 정보 DB(360)로부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매칭된 패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스워드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가 진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2에서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태그 및 마커에 대하여 진위 여부 확인 횟수가 3회로 제한된 경우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4회째 확인한다면, 단계 S512에서는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가 제한된 횟수만큼 확인된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게 패스워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제한 횟수를 갱신하여 설정할 수가 있다.
단계 S512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태그 및 마커가 진품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S514를 수행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인증한 횟수를 계수한다. 단계 S514에서는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를 누적하여 계수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2 이후에는 단계 S510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물품 정보 및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512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품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S516을 수행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위조 사실을 모바일 단말기(200)에게 알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를 판독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 정보 DB; 및
    상기 수신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상기 인증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물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정품 인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불투명의 안료로 도포되거나 물질로 덮이며 상기 도포된 불투명 안료나 물질이 제거된 이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판독 되고,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수신부는, 상기 판독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대한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시스템.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정품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를 수신하는 패스워드 수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품 인증부는,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시스템.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 인증부는,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게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패스워드를 추가로 요청하며,
    상기 물품 정보 DB는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패스워드를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시스템.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및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를 상기 물품 정보 DB에 기록하는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패스워드가 잘못된 패스워드인 경우에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된 것으로 기록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시스템.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별로 진위 여부 확인 횟수가 제한되며,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 확인 횟수가 상기 제한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된 것으로 기록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시스템.

    청구항 6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물품에 표시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자태그 및 마커 및 인증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에 표시된 인증 정보에는 불투명의 안료가 도포되거나 물질로 덮이며,
    상기 물품 및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불투명의 안료가 제거되어 상기 인증 번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노출된 인증 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방법.

    청구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 정보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는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방법.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패스워드가 잘못된 패스워드인 경우에, 상기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된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방법.

    청구항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제공한 횟수를 계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수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가 위조된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방법.

    청구항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제공한 횟수를 계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수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패스워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태그 및 마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위변조방지 방법.

KR1020110064387A 2011-06-30 2011-06-30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4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87A KR20110084393A (ko) 2011-06-30 2011-06-30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87A KR20110084393A (ko) 2011-06-30 2011-06-30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393A true KR20110084393A (ko) 2011-07-22

Family

ID=4492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387A KR20110084393A (ko) 2011-06-30 2011-06-30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43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58A (ko) * 2018-11-23 2020-06-02 엔비에스티(주)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자태그 및 이의 활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58A (ko) * 2018-11-23 2020-06-02 엔비에스티(주)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자태그 및 이의 활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7695B2 (en) Authenticating and managing item ownership and authenticity
US842159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objects having multiple components
US11374756B1 (en) Tracking apparel items using distributed ledgers
US20170333768A1 (en) Authentication Tags and Systems for Golf Clubs
EA031204B1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подлинности товара
US20060010503A1 (en)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for preventing distribution of counterfeits in market
US20050060171A1 (en) Method for tracking and tracing marked articles
CN105378774A (zh) 安全交易系统和方法
US201403247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ring product counterfeiting
US11810179B2 (en) Method for tracking products using distributed, shared registration bases and random numbers generated by quantum processes
Boehm et al. Holistic tracking of products on the blockchain using NFC and verified users
KR101798603B1 (ko) 물품의 진위 인증용 코드를 포함하는 라벨의 제조방법
KR101195162B1 (ko) 마커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90011A1 (en) Identifying and Tracking System for Searching Items
King et al. Securing the pharmaceutical supply chain using RFID
KR20120115183A (ko) 마커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14169476A (zh) 基于安全芯片的量子防伪溯源方法及系统
US20040263335A1 (en) Method for tracking and tracing marked packaged articles
KR20110084393A (ko) 전자태그 및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9652775B2 (en) System, method, procedure and components for preparing an article for authentication and tracking
TWI419064B (zh) 商品防偽系統
KR20130027623A (ko) 마커를 이용한 위변조방지 시스템 및 방법
WO2017025734A1 (en) Identification device and system
WO2023084816A1 (ja) 製品鑑定証明システム及び方法
EP3129924B1 (en) System for checking the authenticity of consumer goods, products and objects in gen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