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895A -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895A
KR20110083895A KR1020100003873A KR20100003873A KR20110083895A KR 20110083895 A KR20110083895 A KR 20110083895A KR 1020100003873 A KR1020100003873 A KR 1020100003873A KR 20100003873 A KR20100003873 A KR 20100003873A KR 20110083895 A KR20110083895 A KR 20110083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fractive index
conductive heating
heating patter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483B1 (ko
Inventor
김수진
홍영준
최현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0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4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포함하는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HEATING ELEMENT FOR ANTI-GLARE}
본 발명은,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광원에 대하여 눈부심이 적고, 서리 및 결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저전압에서 발열 성능이 우수한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이나 비 오는 날에는 자동차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자동차 유리에 성에가 발생한다. 또한 실내 스키장의 경우 슬로프가 있는 내부와 슬로프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열체가 개발되었다.
종래에는 유리 표면에 ITO (Indium Tin Oxide) 등의 전도성 물질을 전면 코팅하고 양 단자에 전기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유리 표면의 온도를 올리는 방법으로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전면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층을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발열체의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유리 표면에 전면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는 대신 상기 유리 표면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 형성하였으나,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 그 주변부위와의 굴절율 차이로 인해 빛의 산란 효과가 나타나 상기 발열체를 자동자 유리 등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광원에 대하여 눈부심이 적고, 서리 및 결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저전압에서 발열 성능이 우수한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포함하는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에 구비된 접합필름; 및 상기 접합 필름 상에 구비된 제2 기재를 포함하는 발열체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기재 상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제1 기재 상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에 접합 필름 및 제2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체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광원에 대하여 눈부심이 적고, 서리 및 결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저전압에서 발열 성능이 우수한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오프셋 인쇄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발열체 및 종래기술에 따른 발열체의 빛의 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는,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빛투과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인 투명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로는 유리,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B(polyvinylbutyral),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 PC(polycarbonate)와 같은 가시광 투과율 80% 이상의 필름을 들 수 있으며, 그 두께가 10 내지 45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인쇄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법에 의하여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은 페이스트의 종류나 인쇄법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표면장력에 의하여 표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형상은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하여는 형성할 수 없다.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패턴의 수직 단면은 렌티큘러 렌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의 표면과의 접촉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의 표면과의 각은 8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75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의 수직 단면에서 라운드진 상부면은 직선영역이 원주방향으로 50분의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폭은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간 간격이 200㎛ ~ 30mm이고, 선의 높이가 1㎛ ~ 100㎛ 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형태는 규칙적인 형태일 수도 있으나, 불규칙적인 형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스트라이프(Stripe), 마름모, 정사각형 격자, 원형, 웨이브(wave) 패턴, 그리드, 2 차원 그리드 등이 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정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회절과 간섭에 의해서 광학적 성질을 저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면, 패턴의 규칙성을 최소화한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물결무늬, 사인 곡선(Sine wave) 및 격자 구조의 스페이싱과 선의 두께를 불규칙하게 구성한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학적 성질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패턴에 추가하여 다양한 문양이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턴과 연결되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점 패턴을 불규칙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의 문양과 점 패턴은 3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발열 패턴은 2 이상의 패턴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보로노이 패턴이나 델로니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이루는 선은 직선일 수도 있으나, 곡선, 물결선, 지그재그선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발열 재료의 비저항 값은 1 마이크로오옴/cm 이상 200 마이크로오옴/cm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다. 전도성 발열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 구리, 은(silv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은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 재료는 입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도성 발열 재료로서 은으로 코팅된 구리입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은 FTO(Fluorine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또는 TiO2(Titanium Dioxide)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재 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은 패턴의 모양을 따라 형성 될 수도 있고 패턴층을 평탄화 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은 1.6 내지 2.5의 굴절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1.8 이상의 굴절율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의 굴절율이 1.6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의 기재의 굴절율과 같거나 작게 되므로 패턴으로 입사하는 빛의 각도가 퍼지는 효과가 있어 눈부심 방지효과가 미미하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굴절율이 2.5를 초과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막형성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기재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사용하게 되면 패턴에서 발생한 산란광을 상기 굴절율이 높은 층을 통과할 때 패턴 쪽으로 모아주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빛이 번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빛을 보다 광원의 중심으로 모아주어 눈부심 방지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는 곡면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에 구비된 접합필름; 및 상기 접합 필름 상에 구비된 제2 기재를 포함하는 발열체 적층체를 제공한다.
상기 발열체 적층체는 앞서 발열체에서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 적층체는 곡면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발열체 및 발열 적층체는 전도성 발열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스 바(bus bar) 및 상기 버스 바와 연결된 전원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및 버스 바와 연결된 전원부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구성 및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 바는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한 후 동일 또는 상이한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발열선을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 방식으로 형성한 후, 스크린 프린팅을 통하여 버스 바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버스 바의 두께는 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이다.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이 되면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 버스 바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접촉된 부분의 국부적인 발열이 될 수 있으며 1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면 전극 재료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버스 바와 전원 사이의 연결은 납땜, 전도성 발열이 좋은 구조체와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하여 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선과 버스 바를 은폐하기 위하여 블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랙 패턴은 코발트 산화물을 함유한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프린트할 수 있다. 이때 프린팅 방식은 스크린 프린팅이 적당하며, 두께는 10~100 마이크로미터가 적당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선과 버스 바는 각기 블랙 패턴 형성 전이거나 후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기재 상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는 전도성 발열 패턴은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하게 된다. 종래에는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으로 발열체의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었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비용이 비교적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도 간단하고, 선폭이 얇으며 정밀한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의 인쇄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오프셋 인쇄는 패턴이 새겨진 요판에 페이스트를 채운 후 블랑킷(blanket)이라고 부르는 실리콘 고무로 1차 전사를 시킨 후, 블랑킷과 유리를 밀착시켜 2차 전사를 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랑킷이 갖는 이형 특성으로 인하여 페이스트가 상기 기재 상에 거의 대부분 전사되기 때문에 별도의 블랑킷 세정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요판은 목적하는 전도성 발열 패턴이 새겨진 소다라임 유리를 정밀 에칭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위하여 기재 표면에 금속 또는 DLC(Diamond-like Carbon) 코팅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요판은 금속판을 에칭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정밀한 전도성 발열 패턴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프셋 인쇄법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오프셋 인쇄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제1 단계로서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를 이용하여 요판의 패턴에 페이스트를 채운 후, 블랑킷을 회전시켜 1차 전사하고, 제2 단계로서 블랑킷을 회전시켜 유리면에 2차 전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인쇄법에 한정되지 않고,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투명기재의 전면에 전도성 발열 패턴 재료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선택적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하여 포토레지스트층을 패턴화한 후, 패턴화된 포토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 재료층을 패턴화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포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명기재 상에 할로겐화은을 포함한 사진 감광재료를 도포한 후, 상기 감광재료를 선택적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한 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우선,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재 위에 네거티브용 감광재료를 도포한다. 이 때, 기재로는 PET, 아세틸 셀룰로이드 등의 고분자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감광재료가 도포된 고분자 필름재를 여기서 필름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네거티브용 감광재료는 일반적으로 빛에 대해 매우 민감하고 규칙적인 반응을 하는 AgBr에 약간의 AgI 를 섞은 할로겐화은(Silver Halide)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네거티브용 감광재료를 촬영하여 현상 처리된 화상은 피사체와 명암이 반대인 음화이므로,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형상,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한 패턴 형상을 갖는 마스크(mask)를 이용하여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와 포토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전도성발열 패턴의 전도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금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도금은 무전해 도금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금 재료로는 구리 또는 니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리도금을 수행한 후 그 위에 니켈 도금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마스크를 이용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시 발열패턴이 있는 마스크를 기재 가까이에 위치한 후, 발열패턴 재료를 기재에 증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패턴화 할 수도 있다. 이 때 증착을 하는 방식은 열 또는 전자빔에 의한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유기금속(organometal) 재료를 이용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페이스트는 전술한 전도성 발열 재료 이외에 인쇄 공정이 용이하도록 유기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소성 공정에서 휘발되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페이스트와 유리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페이스트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용매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페이스트는, 소성 후 인쇄 패턴의 선의 선폭이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가 되도록 인쇄될 수 있고, 소성 후 인쇄 패턴의 선간 간격이 200㎛ ~ 30mm가 되도록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전도체 산화물층의 표면으로부터 선의 높이가 1㎛ ~ 100㎛ 가 되도록 인쇄될 수 있다.
전술한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상기 기재 상에 특정 패턴으로 인쇄한 후 소성 과정을 거치면 전도성을 갖는 패턴이 형성된다. 이 때 소성온도는 특별히 않으나, 400 ~ 700℃, 바람직하게는 500 ~ 650℃로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소성 단계에서 상기 발열체를 건축용 또는 자동차용 등의 목적 용도에 맞도록 성형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성 단계에서 상기 발열체를 자동차의 곡면 유리와 같이 성형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과 상압 화학증착(AP CVD)등의 방법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1 기재 상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에 접합 필름 및 제2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체 적층체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발열체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앞서 발열체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접합 필름은 당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PVB 필름, EVA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VB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두께가 350 내지 45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필름 상에 합착되는 제2 기재는 기재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발열체일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합착 단계 전에 전도성 발열 패턴과 연결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합착 방법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 및 발열체 적층제는 자동차, 선박, 철도, 고속철, 비행기 등 각종 운송 수단 또는 집이나 기타 건축물에 사용되는 유리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입경 2㎛의 실버 입자 80%, 폴리에스터 수지 5%, 글래스 프릿(Grass frit) 5%를, 10%의 BCA(Butyl carbitol acetate) 용매에 녹여서 실버 페이스트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소다라임 유리 표면 상에 300㎛ 간격에 20㎛ 폭, 10㎛ 깊이를 가지면서 직각으로 형성된 그리드(Grid) 형태의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스퍼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100nm의 두께를 가지는 ITO 층을 형성하여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소다라임 유리 표면에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실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300㎛ 간격에 20㎛ 폭, 10㎛ 깊이를 가지면서 직각으로 형성된 그리드(Grid) 형태의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여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서 제조된 발열체를 KS L 2007 자동차 안전유리 이중상 테스트 법을 이용하여 빛의 강도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빛의 강도는 디지털 카메라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준이 되는 광원으로서 100W의 전구를 사용하였고, 카메라의 촬영 조건은 예컨대 F(조리개 값) 3.5, 셔터 속도(shutter speed) 1/100, ISO 400 및 흑백이미지로 설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은 후, 이미지 분석(image analysis)를 통하여 빛의 강도를 수치화하였다.
상기의 이미지 분석(image anaylsis) 방법으로 KS L 2007 자동차 안전유리 이중상 테스트 법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10°간격으로 빛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 값로부터 빛의 강도의 평균값을 얻을 수 있다. 빛의 강도는 상기 이미지의 픽셀별로 0 ~ 255까지의 수치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빛의 크기는 광원의 중심에서 빛의 강도의 평균값의 분포 중 100~150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지점에서의 위치로 구해낼 수 있다. 여기서 100~150 수치를 사용한 이유는 눈으로 구별 가능한 수치 정도이기 때문이다.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발열체는 비교예 대비 광원이 퍼지는 정도가 확연히 줄어듬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포함하는 발열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유리,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인 것인 발열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은 FTO(Fluorine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또는 TiO2(Titanium Dioxide)인 것인 발열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은 1.6 내지 2.5의 굴절율을 가지는 것인 발열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인쇄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인 발열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폭은 100㎛ 이하인 것인 발열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간 간격이 200㎛~30mm 이고, 선의 높이가 1㎛~100㎛인 것인 발열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비저항 값이 1 마이크로오옴/cm 이상 200 마이크로오옴/cm 이하인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발열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규칙적 형태 또는 불규칙 형태의 전도성 발열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발열체.
  10. 제1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에 구비된 접합필름; 및 상기 접합 필름 상에 구비된 제2 기재를 포함하는 발열체 적층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은 FTO(Fluorine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또는 TiO2(Titanium Dioxide)인 것인 발열체 적층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은 1.6 내지 2.5의 굴절율을 가지는 것인 발열체 적층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비저항 값이 1 마이크로오옴/cm 이상 200 마이크로오옴/cm 이하인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발열체 적층체.
  14. a) 기재 상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
  15. a) 제1 기재 상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재보다 굴절율이 높은 층 상에 접합 필름 및 제2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체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20100003873A 2010-01-15 2010-01-15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 KR10131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73A KR101314483B1 (ko) 2010-01-15 2010-01-15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73A KR101314483B1 (ko) 2010-01-15 2010-01-15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95A true KR20110083895A (ko) 2011-07-21
KR101314483B1 KR101314483B1 (ko) 2013-10-07

Family

ID=4492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73A KR101314483B1 (ko) 2010-01-15 2010-01-15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4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25B1 (ko) * 2015-02-04 2015-05-28 에스맥 (주) 투명 히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07628A (ko) 2015-07-10 2017-01-19 주식회사 네패스 투명 발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3433B2 (ja) * 2006-12-21 2013-06-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611171B2 (en) * 2008-06-13 2017-04-04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25B1 (ko) * 2015-02-04 2015-05-28 에스맥 (주) 투명 히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07628A (ko) 2015-07-10 2017-01-19 주식회사 네패스 투명 발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483B1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5442B2 (ja) 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77338B2 (ja) 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27062B (zh) 透明導電基板及其製備方法
KR101004912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2887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5441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2257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3883B1 (ko) 부분 발열체
KR101314483B1 (ko) 눈부심 방지용 발열체
US10412788B2 (en)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