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11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113A
KR20110083113A KR1020100003160A KR20100003160A KR20110083113A KR 20110083113 A KR20110083113 A KR 20110083113A KR 1020100003160 A KR1020100003160 A KR 1020100003160A KR 20100003160 A KR20100003160 A KR 20100003160A KR 20110083113 A KR20110083113 A KR 20110083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message
inpu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160B1 (ko
Inventor
허지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1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160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를 간편한 제스쳐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는 다른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의 수신을 결정하기 전, 상기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추천한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은 다른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실시간으로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대화를 나눌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HET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송 서비스는 방송사가 컨텐츠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의 전달 매체를 통해 각 가정으로 송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전달 매체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예컨대 텔레비전, 셋탑박스 등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전달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서비스,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인터넷 망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로 IPTV가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만, 상기 IPTV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가 오직 하나에 불과하며, 최근에는 상기 IPTV에서 더 발전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브로드밴드 TV(Broad Band TV)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드래그 앤 드랍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 시, 상기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컨텐츠를 추천한 사용자와 컨텐츠를 추천받은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사용자가 추천한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소정 컨텐츠의 추천을 알리는 신호로서,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실행하는 수신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수신 메뉴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를 간편한 제스쳐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는 다른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의 수신을 결정하기 전, 상기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추천한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은 다른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실시간으로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네트워크 TV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인 측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네트워크 TV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1의 네트워크 TV의 인터페이스부와 도 13의 동작인식 리모콘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네트워크 TV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의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10),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20),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TV(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네트워크 TV(30)에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3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또는 네트워크 TV(3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20)에게 네트워크 TV(30)에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TV(30)의 하드웨어 정보도 제공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운영자(10)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한 컨텐츠들을 네트워크 TV(30)에 제공할 때 필요한 기본 화면 프레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네트워크 TV(3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네트워크 TV(30)의 제조자와 동일 주체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TV(3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TV(3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인터넷을 통해 직접 네트워크 TV(30)에 제공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운영자(10)를 거쳐 네트워크 TV(3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TV(30)에는 컨텐츠 제공자(20) 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펌웨어는 네트워크 TV(3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TV(3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컨텐츠 제공자(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TV(3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화상 전화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네트워크 TV(30)는 컨텐츠 제공자(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TV(30)는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TV,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텐츠 제공자(20)는 네트워크 TV(30)에 제공될 각종 컨텐츠를 만들거나 또는 배포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V 방송국은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송국은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를 디지털로 바꾸어서 전송할 수 있다.
라디오 방송국은 오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며, 비디오 컨텐츠와 함께 또는 비디오 컨텐츠 없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제공할 수 있다.
VOD 사업자 및 AOD 사업자는 TV 방송국이나 라디오 방송국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즉, VOD나 AOD의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혹은 영화, 음악 들을 저장해 놓고 나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해준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AOD 사업자는 오디오 컨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MOD(Music On Demand) 서비스 제공자는 내가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화상 전화 사업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TV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날씨 정보 제공자는 여러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제공해주며,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는 사진을 편집 및 저장하는 툴을 제공해 준다.
이 외에도, 컨텐츠 제공자(20)는 PF(Packet Filter) 서버, EPG 서비스 제공자, ECG(Electronic Content Guide) 서비스 업자, 포털 서버(Portal Server) 운영자 등 인터넷을 통해 네트워크 TV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서버 운영자일 수 있다.
PF 서버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로케이션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업체가 서비스를 한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접속을 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EPG 정보를 제공한다.
ECG 서비스는 컨텐츠 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와 접속 서버의 위치 및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컨텐츠의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 주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포털 서버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방송국이나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서버로 연결한다. 포털 서버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TV(3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TV(3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또는 조작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부에는 네트워크 TV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 즉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30)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상기 수신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2),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입력 및 상기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3), 및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장착된 셋탑박스 또는 텔레비전일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가 셋탑박스인 경우,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5)를 포함하지 않지만,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가 텔레비전인 경우, 상술한 구성 외에 디스플레이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음악, 텍스트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거나 또는 파일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2)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30)가 텔레비전인 경우, 상기 영상 처리부(12)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5)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음악과 같은 사운드 컨텐츠인 경우,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가 음성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텔레비전이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는 동영상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소정의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미디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13)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는 상기 컨텐츠를 추천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에 표시된 포인터(61)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에 표시된 컨텐츠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의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할 수 있다.
도 3b에서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의 일 코너 지점(62)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컨텐츠의 화면이 드래그 앤 드랍되는 지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의 화면 중 컨텐츠 추천을 위해 설정된 특정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의 화면 일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들이 포함된 주소록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화면을 포인터(61)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록 중 특정 사용자의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함으로써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간편하게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간편한 제스쳐 입력을 통해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인 측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추천하는 제스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컨텐츠 추천 창(21)을 디스플레이하여 컨텐츠 추천에 대한 세부 설정 사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추천 창(21)을 통해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할 다른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기 컨텐츠 추천 창(21)에 수신자 항목(211)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추천받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수신자 항목(211)을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사용자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즉 추천인은 상기 목록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들을 지정하여 컨텐츠가 추천되는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는 사용자는 다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추천 창(21)은 컨텐츠가 추천되는 수신자를 추가하는 수신자 추가 메뉴(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수신자 추가 메뉴(215)를 선택하면, 추가적으로 컨텐츠를 추천받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항목(216)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항목(216)을 통해 또 다른 수신자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컨텐츠가 다수의 수신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컨텐츠가 추천되는 수신자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에 기입력되어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에 상기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는 수신자의 정보를 미리 등록하여, 사용자가 상기 수신자 항목(211)을 선택하면 상기 등록된 수신자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천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추천되는 컨텐츠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중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추천 창(21)을 통해 소정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추천 창(21)은 컨텐츠 추천과 함께 수신자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하는 메시지 입력 메뉴(2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 입력 메뉴(214)에 상기 수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가 상기 추천된 컨텐츠와 함께 수신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드래그 앤 드랍 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요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추천되는 컨텐츠의 타이틀, 가격, 화질, 재생 시간, 스냅샷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천된 컨텐츠를 상기 지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 시, 먼저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리고 나서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제공을 허가하면 상기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추천자에 의해 추천된 컨텐츠에 관한 관련 정보(311)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311)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설명하는 정보로서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타이틀, 가격, 화질, 재생시간, 스냅샷 및 상기 추천인이 작성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자는 상기 추천자가 추천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가 상기 컨텐츠의 제공을 수락하면, 상기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는 추천자가 추천한 도 3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하여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추천자와 수신자는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하게 되며, 상기 수신자는 컨텐츠 제공자에 액세스하여 상기 추천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직접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제공을 수락함으로써 간편하게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는 수신자 역시 드래그 앤 드랍과 같은 간단한 제스쳐 입력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소정 컨텐츠의 추천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의 추천을 알리는 메시지(63)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에 의해 소정의 컨텐츠가 추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로서,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타이틀, 가격, 화질, 재생 시간, 스냅샷 및 추천자가 작성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설명하는 정보이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 즉 컨텐츠를 추천받은 수신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메시지(63)를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코너 지점에 표시된 메시지(63)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중앙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상기 메시지(63)를 화면의 중앙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시지가 드래그 앤 드랍되는 지점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내 임의의 지점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에 포함된 관련 정보(311)와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수신 메뉴(313)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자는 다른 사용자, 즉 추천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가 추천되었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시지(63)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63)를 드래그 앤 드랍함으로써 간편하게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자 측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부(14)는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컨텐츠의 특정 재생 지점이 제공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신자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 전체를 시청할 필요 없이 상기 컨텐츠의 특정 재생 지점만을 시청하면서 추천자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재생 지점은 상기 추천된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천자 측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기 컨텐츠 추천 창(21)에 재생 구간 지정 메뉴(212)를 제공하여 상기 추천자가 상기 컨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만을 수신자에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재생 지점은 상기 컨텐츠 중 상기 추천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재생되는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도 3의 장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해당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즉, 컨텐츠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의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컨텐츠 중 상기 추천 입력이 입력된 시점에 재생되는 장면이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에 수신된 시점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의 장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장면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송신하여 상기 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시점의 장면이 다른 사용자, 즉 수신자에게 제공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시점의 장면을 추천하기 위한 메뉴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창(21)에 포함되어, 사용자가 상기 메뉴(215)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 중 해당 장면이 표시되는 지점부터 재생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 중 상기 도 3의 장면이 재생되는 지점부터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천자와 상기 수신자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 중 동일한 장면을 시청하면서 메시지를 통해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면 정보는 상기 컨텐츠 중 상기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출력되는 장면의 인덱스 정보 또는 재생 시간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가 유료 컨텐츠인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발생되는 요금이 추천자에게 부과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기 컨텐츠 추천 창(21)에 요금 부담자 지정 메뉴(213)를 제공하여,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발생되는 요금을 부담하는 주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요금 부담자 지정 메뉴(213)를 선택하면, 요금을 부담할 사용자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사용자가 '추천자'를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발생되는 요금은 상기 컨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에게 부과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수신자'를 선택하면, 상기 요금이 상기 컨텐츠를 추천받는 수신자에게 부과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요금 부담자 지정 메뉴(213)는 컨텐츠를 추천한 추천자와 컨텐츠를 추천받는 수신자 간의 요금 부담 비율을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자는 '사용자 지정' 항목을 선택하여 추천자와 수신자 간에 요금을 부담하는 비율을 입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추천자/수신자 : 50/50'으로 요금 부담 비율을 입력하면, 추천자와 수신자가 절반씩 요금을 부담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요금 부담에 관한 입력은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요금 부담에 관한 입력에 따라 차후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천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311)에는 상기 요금 부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수신자가 상기 컨텐츠의 수신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자 측 방송 수신 장치(30)의 사용자 입력부는 추천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가 다른 사용자, 즉 수신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 역시 사용자 입력부가 수신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를 추천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시지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311)와 함께 제공되는 메시지와 달리, 상기 컨텐츠의 제공과 함께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대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천자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대화창(71)의 메시지 입력창(712)에 소정의 메시지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 장치(30)는 상기 대화창(71)의 대화 표시창(711)에 상기 수신자와 나눈 대화 내용을 표시하여, 추천자가 수신자와 함께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도 9는 추천자 측 방송 수신 장치(30)의 예시도이지만, 상기 대화 표시창(711) 및 메시지 입력창(712)을 포함한 대화창(71)은 도 9와 동일하게 수신자 측 방송 수신 장치(40)에도 제공되어 수신자 역시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상기 대화창(71)을 통해 추천자와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추천자가 입력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수신자가 작성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11)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 VOD와 같은 동영상이거나, 이미지, 음악, 텍스트 컨텐츠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단계(S12)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가 셋탑박스이면 상기 셋탑박스의 데이터 처리부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에 출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가 텔레비전이면 상기 텔레비전의 데이터 처리부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부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단계(S13)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화면을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한다.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3)는 컨텐츠를 추천하는 입력으로서,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화면을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S14)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른 사용자, 즉 수신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요청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는 먼저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자가 상기 컨텐츠의 제공을 허가하면, 상기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에 수신자에게 제공되어, 수신자가 이를 통해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여 컨텐츠 제공을 수락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설명하는 정보로서, 컨텐츠의 타이틀, 가격, 화질, 재생시간, 스냅샷 및 추천자가 작성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와 추천자의 메시지를 통해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여 이를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천인과 수신자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공유하면서 실시간으로 대화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S14)는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특정 재생 지점이 제공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컨텐츠의 전 구간이 수신자에게 제공되는 대신, 컨텐츠 중 특정 재생 지점이 제공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재생 지점은 상기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재생 지점이거나 컨텐츠 중 상기 추천자로부터 추천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재생되는 지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추천 방법은 상기 컨텐츠가 유료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발생되는 요금이 사용자, 즉 추천자에게 부과되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TV(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방송 수신부(41)를 통해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 디스플레이부(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 OSD 생성부(4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 저장 인터페이스부(48), 저장장치(49), 외부신호 입력부(39)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위 구성요소들 중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된다.
방송수신부(41)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어부(5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42)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43)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신호 처리부(43)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4)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4)로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데, 음성신호 처리부는 AC-3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 인터페이스부(48)를 통해 저장장치(49)에 저장된다.
저장장치(4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1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한다.
OSD 생성부(46)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
즉, 상기 OSD 생성부(46)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외부신호 입력부(39)는 다른 재생 장치,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신호 입력부(39)에 다른 재생 장치를 접속하여 그 재생 장치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를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2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40)는 3D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40)의 메뉴 화면은 3D로 제공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도 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3D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추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3D 포맷터(38)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은 도 11과 동일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부(48)의 출력단에 3D 포맷터(38)가 배치된다. 3D 포맷터(38)는 영상 신호 처리부(48)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3D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4)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OSD 생성부(46) 내에 OSD 출력을 3D로 변환하는 별도의 3D 포맷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네트워크 TV(3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일예를 나타낸다. 리모컨은 네트워크 TV(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7)에 포함될 수 있는 RF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의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제어부(5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3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리모콘은 사용자의 버튼입력 뿐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에 반응하는 리모컨으로서 이하 동작인식 리모콘(51)이라 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네트워크 TV(3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TV(30)에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이 포인팅하는 지점에 포인터(5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된 포인터(53)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5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작인식 리모콘(51)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 TV(30)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TV(3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53)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49)에 표시된 포인터(53)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53)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5은 도 1의 네트워크 TV(30)의 인터페이스부(47)와 도 13의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네트워크 TV(30)는 좌표값 산출부(115) 및 무선 통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15)는 전술한 제어부(5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RF 모듈(112) 또는 IR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무선 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전원공급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네트워크 TV(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 TV(30)의 인터페이스부(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 TV(30)의 인터페이스부(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네트워크 TV(30)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네트워크 TV(3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123)을 통하여 네트워크 TV(3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네트워크 TV(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네트워크 TV(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네트워크 TV(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140)는 움직임 센서로서 자이로 센서(141) 또는 가속도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1)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141)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1)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조작에 대응하거나 네트워크 TV(3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조작 여부 또는 네트워크 TV(3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120)을 통하여 네트워크 TV(3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1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동작인식 리모콘(51)이 네트워크 TV(30)와 RF 모듈(1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동작인식 리모콘(51)과 네트워크 TV(3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제어부(180)는 동작인식 리모콘(51)과 페어링(pairing)된 네트워크 TV(3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4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을 통하여 네트워크 TV(30)의 무선 통신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TV(30)는 동작인식 리모콘(5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20)와,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RF 모듈(112)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112)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15)는 무선 통신부(111)를 통하여 수신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49)에 표시할 포인터(53)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네트워크 TV(30)로 입력된 동작인식 리모콘(51) 전송 신호는 네트워크 TV(30)의 제어부(47)로 전송된다. 제어부(47)는 동작인식 리모콘(5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Claims (20)

  1.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앤 드랍 제스쳐 입력은 동작 인식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입력은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코너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입력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제공될 상기 다른 사용자를 지정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타이틀, 가격, 화질, 재생 시간, 스냅샷 및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의 장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장면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시점의 장면이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입력은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코너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입력인 컨텐츠 추천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제공될 상기 다른 사용자를 지정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타이틀, 가격, 화질, 재생 시간, 스냅샷 및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컨텐츠 추천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입력 수신 단계 후,
    상기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의 장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시점의 장면이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장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6. 다른 사용자가 추천한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소정 컨텐츠의 추천을 알리는 신호로서,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관련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실행하는 수신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수신 메뉴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추천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의 추천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소정 지점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관련 정보 및 수신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추천된 컨텐츠의 타이틀, 가격, 화질, 재생 시간, 스냅샷 및 상기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03160A 2010-01-13 2010-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KR10161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160A KR101613160B1 (ko) 2010-01-13 2010-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160A KR101613160B1 (ko) 2010-01-13 2010-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113A true KR20110083113A (ko) 2011-07-20
KR101613160B1 KR101613160B1 (ko) 2016-04-18

Family

ID=4492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160A KR101613160B1 (ko) 2010-01-13 2010-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1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149B1 (ko) * 2012-02-06 2013-08-08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방송 함께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3278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9479811B2 (en) 2011-12-14 2016-10-25 Google, Inc. Video recommendation based on video co-occurrence statistics
WO2018044097A1 (ko) * 2016-09-05 2018-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9589B2 (en) * 2007-03-30 2015-04-14 Google Inc. Conversion of portable program modules for constrained display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9811B2 (en) 2011-12-14 2016-10-25 Google, Inc. Video recommendation based on video co-occurrence statistics
US11601703B2 (en) 2011-12-14 2023-03-07 Google Llc Video recommendation based on video co-occurrence statistics
KR101294149B1 (ko) * 2012-02-06 2013-08-08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방송 함께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3278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들의 제어방법
WO2018044097A1 (ko) * 2016-09-05 2018-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160B1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638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8661367B2 (en) Providing access to parts of contents for network display device
US9219946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a network television
KR20110025416A (ko) 네트워크 tv의 펌웨어 분할 업데이트 방법
US20110131296A1 (en)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JP201209512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10049239A (ko) 네트워크 tv에서 컨텐츠를 분할하여 제공하는 방법
KR1016131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KR20110072134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21547B1 (ko) 네트워크 tv 및 그에 대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20110121173A (ko) 스크린 세이버 제공 장치 및 스크린 세이버 제공 방법
KR101539199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51437A (ko)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 대해 통합 검색이 가능한 네트워크 tv 및 통합 검색 수행 방법
KR101674685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채널 편집 및 채널 브라우징 방법
KR101692556B1 (ko)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0505A (ko) 컨텐츠 적응형 스크린 세이버 제공 방법
KR20110059423A (ko) 컨텐츠 구매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04674A (ko) 클립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68988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링크 메뉴 선택 방법
KR101633108B1 (ko) 네트워크 tv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101665131B1 (ko)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636574B1 (ko) 공통 포맷을 갖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화면 제공 방법
KR20110059281A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5837A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10061096A (ko) 바로 가기가 포함된 스크린 세이버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