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523A - 트랜스페어런트 및 양방향 중계기를 지원하기 위한 중계기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트랜스페어런트 및 양방향 중계기를 지원하기 위한 중계기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523A
KR20110082523A KR1020117008447A KR20117008447A KR20110082523A KR 20110082523 A KR20110082523 A KR 20110082523A KR 1020117008447 A KR1020117008447 A KR 1020117008447A KR 20117008447 A KR20117008447 A KR 20117008447A KR 20110082523 A KR20110082523 A KR 2011008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data
downlink
termina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562B1 (ko
Inventor
리 시앙 순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8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1Ground-based stations combining by calculations packets received from different stations before transmitting the combined packets as part of network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중계기가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downlink zone)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구간에서 부모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코딩 영역(network coding zone)은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의 하나로서 하향링크 구간의 끝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코딩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수신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중계기가 상향링크 영역에서 제 2 데이터를 자식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코딩 영역에서 자원을 이용하여 자식 스테이션으로 제 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코딩 영역에서 상기 자원을 이용하여 제 3 데이터를 부모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2 데이터에 논리적으로 XOR 연산이 수행된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나온 것이다.

Description

트랜스페어런트 및 양방향 중계기를 지원하기 위한 중계기 프레임 구조{Relay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ransparent and bidirectional relays}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의 2 종류(two-tier) 셀 (102)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종류 셀(102)은 기지국(103) 및 단말들(105a 및 105b)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2 종류 셀(102)은 R1 반경으로 내부 영역(107)으로 표시되는 기지국 커버리지 지역과, 영역(107)과 R2 반경을 갖는 영역(109) 사이의 영역으로 표시되는 중계기 커버리지 지역을 포함한다.
단말들(105a 및 105b)와 같이 복수의 단말들은 소정 시간에 2 종류 셀(102) 내 도처에 위치할 수 있다. 단말(105a)과 같이 기지국 커버리지 지역 내의 단말은 기지국(103)과 중계기와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반면에, 단말(105b)과 같이 중계기 커버리지 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은 중계기를 거쳐 기지국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각 단말의 트래픽 요구가 독립적이며 동일하게 분포된 2 종류 셀(102)에서 복수의 단말은 2 종류 셀(102)에서 랜덤하게 분포하거나 또는 고르게 분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 R1은 하나의 값을 갖는 것으로 정의하며, R2는 두 개의 값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기지국(103) 및 중계기에 의한 전송의 비율은 (22):(22-12) 또는 4: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2 종류 셀(102)에서 총 중계기 수에 관계없이 중계기 링크 부하 및 기지국 액세스 링크 부하의 비율은 3:1이다. 따라서, 2 종류 셀(102)에서 중계기들의 링크 부하는 기지국(103)의 링크 부하보다 상당히 크기 때문에 그 결과로 2 종류 셀(102)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중계기가 부모 스테이션(parent station)으로부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downlink zone)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구간에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계기가 상향링크 영역에서 자식 스테이션(child station)으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계기가 네트워크 코딩 영역(network coding zone)에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자식 스테이션으로 제 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중계기가 상기 네트워크 코딩 영역에서 상기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부모 스테이션으로 제 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코딩 영역은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의 하나로서 상기 하향링크 구간의 끝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코딩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수신되고, 상기 자식 스테이션 및 상기 부모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2 데이터에 논리적으로 XOR 연산이 수행된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나온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 1 중계기가 부모 스테이션(parent station)으로부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downlink zone)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구간(downlink period)에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계기, 또는 상기 제 1 중계기 및 상기 부모 스테이션이 하향링크 수신 영역(downlink receive zone)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자식 스테이션으로 상기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에서 상기 하향링크 수신 영역 동안 수신되며 상기 하향링크 수신 영역은 상기 하향링크 구간의 시작에 위치한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중계기는 사전에 정의된 영역(zone)을 이용하여 부모 스테이션, 자식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중계기는 사전에 정의된 영역(zone)을 이용하여 부모 스테이션, 자식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양태들은 이하의 발명의 실시예들과 첨부한 도면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개시된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의 2 종류(two-tier) 셀(102)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 예의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105)에서 구현될 수 있는 구체적이며 다양한 요소(components)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통신 프레임, 홀수-홉 중계기의 통신 프레임 및 짝수-홉 중계기의 통신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참조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의 일부를 나타낸다. 당업자는 다른 실시예들이 절차적 변화뿐만 아니라 구조적(structural) 변화, 전기적(electrical) 변화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능한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흔히 WiMAX로 호칭되는 IEEE 802.16 표준 패밀리에 따라 구성된 관련 엔티티(associated entities)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환경(context)에서 개시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현들은 다른 것들에도 확장될 수 있으며, WiMAX 표준과 관련된 설명은 일반적으로 다른 표준 및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특정 용어는 WiMAX과 같은 특정 무선통신 시스템 타입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CDMA(Wideband CDMA, W-CDMA),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의 LTE(Long Term Evolution)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를 포함)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일 예만으로 한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추가적 실시예들이 WiMAX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어 설명되지만 이러한 설명들은 다른 시스템 타입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기(220)는 서빙 기지국(210)과 다이렉트(directly) 통신을 하는 홀수-홉(odd-hop) 중계기일 수 있고, 중계기(230)는 중계기(220)와 다이렉트 통신이 되는 짝수-홉(even-hop) 중계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220) 및 중계기(230)는 트랜스페어런트(transparent) 중계기 또는 양방향(bidirectional)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105)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등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도시된 신호 210a는 서빙 기지국(210)으로부터 단말(105)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도시된 신호 212a는 서빙 기지국(210)으로부터 중계기(220)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도시된 신호 214a는 중계기(220)로부터 중계기(230)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도시된 신호 220a 및 신호 230a는 각각 단말(105)로부터 중계기(220) 및 중계기(230)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일반적으로, 서빙 기지국(210)은 기지국(210)의 동작 범위 내에 위치한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서빙 기지국(210)은 단말(105)를 서빙해준다.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들, 트랜스페어런트 중계기 및 양방향 중계기들이 다양하게 시그널링은 종종 다수의 프레임들(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형태이다. 또 다른 프레임들, 타이밍, 다른 시그널링 특징들의 예들이 이하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선택적으로 다수의 단말들(105a), 모든 수의 기지국 및 중계기를 함께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 예의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3에서, 통신 네트워크(300)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home Network Service Provider, home NSP)(360), 방문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visited NSP")(362),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Access Service Network, ASN)(364),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366) 및 접속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368a 및 368b)를 포함한다. 단말(102)은 각 서빙 기지국(370a, 370b)과의 통신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도시되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370a, 370b)은 도 1 및 도 2의 기지국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홈 NSP(360) 또는 방문 NSP(362)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IP 접속성(connectivity) 및 WiMAX 가입자들에 대해 설정한 서비스 레벨 동의(agreement)를 준수하는 WiMAX 가입자로 WiMAX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지니스 엔티티(business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접속 제공자들과의 합의를 NSP 설정(establish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WiMAX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 WiMAX 무선 접속 하부구조(infrastructure)를 제공하는 비지니스 엔티티들과 공통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ASN(364)은 일반적으로 논리적 경계(logical boundary)를 포함하고 기능적인 엔티티들 및 접속 서비스와 관련된 해당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다. ASN(364)은 예를 들어 WiMAX 클라이언트, WiMAX 접속(connectivity) 서비스 기능 및 서로 다른 판매자(vendor)에 의해 구현된 기능들의 집합과 함께 기능적으로 상호 운영가능하기 위한 경계(boundary)를 종종 포함한다.
도 3에서, ASN(364)은 R1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RP), 단말들(102), 방문 NSP(362)의 연결 서비스 네트워크(Connectivity Service Network, CSN)과 접속되는 R4 RP 및 ASN(566)과 함께하는 R4 레퍼런스 포인트를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ASN(564)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ASN 게이트웨이(ASN-GW)의 예들을 포함한다. R4 레퍼런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이종의 ASN들과의 상호 운영을 위한 제어 및 베어러 플랜(bearer plane)을 위해 구현된다. 다양한 형태의 ASN들 간의 상호 운영(interoperability)은 특정된 프로토콜 및 R1, R3 및 R4 레퍼런스 포인트를 따라 노출된 프리미티브(exposed primitives)들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기지국은 관련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WiMAX 매체 접속 제어(MAC) 및 물리(PHY) 계층의 전체 예(full instance)를 구현한 엔티티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이들 기지국은 적용 가능한 표준으로 IEEE 802. 16을 기능하거나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접속 기능들을 호스팅(hosting)할 수 있다. 몇몇 시나리오에서, 기지국 각각은 하나의 주파수 할당 및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을 위한 통합 스케줄러 기능을 갖는 하나의 섹터를 나타낸다.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 리던던시(redundancy)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ASN-GW로의 기지국(370a, 370b)의 연결성(예를 들어, 도착성)이 필요하고 바람직할 수 있다. 각 기지국(370a 또는 370b)은 논리 엔티티(logical entity)이고, 그러한 논리 엔티티의 물리적 구현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구현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R1은 일반적으로 단말(105) 및 ASN(364)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차 및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레퍼런스 포인트 R1은 또한 관리 플랜(management plane)과 관련된 추가적인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R2는 일반적으로 단말(105) 및 하나 이상의 CSN들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차 및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레퍼런스 포인트 R2는 단말 및 CSN 간의 다이렉트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반영하지 않는 논리 인터페이스로서 도시된다.
레퍼런스 포인트 R2의 인증(authentication) 파트는 단말들(102) 및 홈 NSP(360)의 CSN 사이에서 도시된다. 그러나, 방문 NSP(362)의 ASN 및 CSN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앞서 기술한 절차들 및 메커니즘들을 처리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R2는 단말들(110) 및 CSN(홈 NSP(360) 또는 방문 NSP(362) 중 어느 하나의 CSN) 간의 IP 호스트 구성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R3는 인증(authentication), 허가(authorization), accounting (AAA)와 같은 것과, 사용자(예를 들어, 단말(105))관련된 것, 및 서로 다른 접속 기술에 걸쳐서 가입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ASN(364) 및 CSN 간의 제어 플랜 프로토콜의 집합을 종종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AA는 안전한 교환 및 인증 증명(credential)의 분배 및 데이터 부호화를 위한 세션 키(session key)를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R4는 ASN들 및 ASN-GW 사이에서 단말들(102)의 이동성을 조정하는 ASN의 다양한 기능적 엔티티들에서 시작/종료시키는 제어 및 베어러 플랜 프로토콜의 세트를 종종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R4는 유사한 또는 이종의 ASN들 간에서만 상호 운영가능한 RP이다.
레퍼런스 포인트 R5는 홈 NSP(360)의 CSN 사이에서 상호 네트워킹을 위한 제어 및 베어러 플랜 프로토콜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방문 NSP(362)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ASN(364)에서 ASN-GW는 ASN(예를 들어, 기지국 예)에서 해당 기능, CSN에서 레지던트(resident) 기능이거나 혹은 ASN(366)과 같은 다른 ASN에서 기능과 페어링(paring)된 제어 플랜 기능 엔티티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논리 엔티티로 도시된다. 또한, ASN-GW는 베어러 플랜 라우팅(routing) 또는 브릿징(bridg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SN-GW 구현은 복수의 ASN-GW 중에서 리던던시(redundency) 및 부하-밸런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단말(105)에 대해, 기지국은 하나의 디폴트 ASN GW와 연관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서는, 각 단말을 위한 ASN-GW 기능이 하나 이상의 ASN에 위치한 다수의 ASN-GW 중에서 분배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레퍼런스 포인트 R6은 기지국(370a, 370b) 및 ASN-GW 간의 통신을 위한 제어 및 베이러 플랜 프로토콜의 세트를 포함한다. 베어러 플랜은 통상 각 기지국(370a, 370b) 및 ASN-GW 간의 인트라-ASN 데이터 경로를 포함한다. 제어 플랜은 데이터 경로의 설정, 변경과 단말 이동성 이벤트에 따른 릴리즈 제어(release control)를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R7은 레퍼런스 포인트 R6에서 확인된 다양한 그룹 간의 기능의 조정을 위한 다른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제어 플랜 프로토콜(예를 들어, AAA 및 ASN 게이트웨이에서의 정책 조정)의 선택적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R7 프로토콜을 이용한 ANS 기능의 분해(decomposition)는 선택적인 것이다. 레퍼런스 포인트 R8은 제어 플랜 메시지 흐름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지국들(370a 및 370b) 간의 베어러 플랜 데이터 흐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러 플랜은 단말(102)과 같은 특정 단말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기지국들 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할 수 있다. 제어 플랜은 기지국 간(inter-BS)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단말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기지국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의 추가적인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300)는 원하는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802.16e, IEEE 802.16m 등)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과 레이어-3(L3)의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용량(capacity)를 개선하고, 커버리지를 개선하도록 제공된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105)에서 구현될 수 있는 구체적이며 다양한 구성요소(components)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수의 또는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05)은 무선 통신부(410),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기(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기(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 중 2개 이상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기(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의 일부는 2개 이상의 더 작은 유닛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 통신 모듈(413), 무선 인터넷 모듈(415), 근거리 통신 모듈(417) 및 위치 정보 시스템 모듈(GPS module)(419)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기 생성된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단말(105)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수신 모듈(411) 보다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4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4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4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DMB-T, DMB-S, MediaFLO, DVB-H, ISDB-T와 같은 다양한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11)은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것과 다른 방송 시스템의 거의 모든 타입에 대해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13)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기지국, 외부의 단말(external station),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단말(105)이 음성 호 신호, 비디오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5)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시스템 모듈(419)은 하나 이상의 위성(예를 들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4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수신을 위한 것이다. A/V(Audio/Video) 입력부(42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421)와 마이크로폰(4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4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단말(105)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105)은 2 이상의 카메라(4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423)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전기적 음향 데이터를 이동 통신 기지국에 계속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모듈(413)은 변환에 의해 얻은 데이터를 출력한다. 마이크로폰(4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사용자가 단말기(105)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430)는 터치 패드로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모듈(451)을 따라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칭해질 수 있다.
센싱부(440)는 단말기(105)의 개폐 상태,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은 현재 상태를 결정한다. 또한, 센싱부(440)는 단말기(1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5)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440)는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센싱부(440)는 가속 센서(44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 센서들(443)은 가속 변화를 전기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의 형태이다. 최근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기술에서의 발전으로, 가속 센서(443)는 널리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생산품(products)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 센서들은 컴퓨터 게임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 게임 시에 인간의 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축 방향을 나타내는 2 또는 3 이상의 가속 센서들(443)은 단말(10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단 Z축을 나타내는 단 하나의 가속 센서(443)가 단말(105)에 설치될 수도 있다.
출력부(45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450)는 디스플레이 모듈(451), 음향 출력 모듈(453) 및 알람 모듈(45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단말(105)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5)가 통화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통화를 걸거나 수신하기 위해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5)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51) 및 사용자 입력부(430)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출력 장치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51)이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단말기(105)의 외부에 부착된 트랜스페어런드(transparent) 패널이며 단말기(105)의 내부 버스(internal bus)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입력된 터치에 해당하는 다수의 신호들을 전송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들을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제어부(480)는 터치 입력이 생성되었는지,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처리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어떤 부분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451) 및 사용자 입력부(430)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출력 장치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3D)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5)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45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5)은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 및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3)은 호 수신 모드,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또는 방송수신 모드 시에 무선 통신부(410)에 의해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453)은 단말기(105)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모듈(455)은 단말기(105)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5)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신호 수신 등이 있다. 알람 모듈(455)에서 출력하는 알림 신호의 예로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있다.
알람 모듈(455)은 호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모듈(455)은 키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키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로서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455)에서 진동 신호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451) 또는 음향 출력 모듈(453)에서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460)는 제어부(480)의 동작(처리 및 제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460)는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과 같은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저장 매체,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저장 매체,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저장 매체,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Secure Digital 또는 XD(extream digital)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5)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4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단말기(105)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또는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카드와 같은 카드 소켓(card socket), 음향 입력/출력(I/O) 터미널, 비디오 I/O 터미널 또는 이어폰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기기에 의해 동력을 받을 수 있다(powered). 인터페이스부(470)는 단말기(105)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다른 콤퍼넌트들로 전송할 수 있거나, 다른 콤퍼넌트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단말기(10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플레이 모듈(48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플레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하드웨어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멀티미디어 플레이 모듈(481)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외부 전력 공급원 또는 내부 전력 공급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단말(105)에서 다른 구성요소들로 전력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통신 프레임, 홀수-홉 중계기의 통신 프레임 및 짝수-홉 중계기의 통신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 통신 프레임(502)은 서빙 기지국(210)에 대응되며, 홀수-홉 중계기 통신 프레임(504)은 홀수-홉 중계기(220)에 대응되며, 짝수-홉 중계기 통신 프레임(506)은 짝수-홉 중계기(230)에 대응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통신 프레임(502)은 하향링크 구간(DL period)(510) 및 상향링크 구간(UL period)(520)을 포함하고, 홀수-홉 중계기 통신 프레임(504)은 하향링크 구간(530) 및 상향링크 구간(540)을 포함하며, 짝수-홉 중계기 통신 프레임(506)은 하향링크 구간(550) 및 상향링크 구간(560)을 포함한다. 단말은 하향링크 구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향링크 구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향링크 구간들(510, 530 및 550)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며, 상향링크 구간들(520, 540 및 560)도 실질적으로 동시에 존재한다. 하향링크 구간들(510, 530 및 550)의 동작은 도 5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구간(510)에서, 서빙 기지국(210)은 하향링크 릴레이 영역(DL relay zone)(512)에서 단말과 홀수-홉 중계기(2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하향링크 전송 또는 수신 영역(DL transmit or receive zone)(514)에서, 서빙 기지국(210)은 단말(105)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홀수-홉 중계기(2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서빙 기지국(210)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수신 영역(DL transmit or receive zone)(514)에서 홀수-홉 중계기(2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갭(515a)은 하향링크 릴레이 영역(512)과 이를 뒤따르는 하향링크 구간(51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서빙 기지국(210)이 단말(105)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면 홀수-홉 중계기(220)로부터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갭(515a)은 생략될 수 있다.
하향링크 구간(530)의 하향링크 액세스 또는 수신 영역(DL access or receive zone)(532)에서, 홀수-홉 중계기(220)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거나 아니면 단말(105)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갭(513)에 뒤이어오는 수신 영역(534)에서, 홀수-홉 중계기(220)은 상위(superordinate) 또는 하위(subordinate) 짝수-홉 중계기(230)로부터 수신하거나 아니면 서빙 기지국(21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갭(515b)에 뒤이어오는 하향링크 전송 영역(536)에서, 홀수-홉 중계기(220)는 단말(105) 또는 짝수-홉 중계기(2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서빙 기지국(210)과 단말(105) 또는 짝수-홉 중계기(23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하위 스테이션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서빙 기지국(210)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수신 영역(514)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면, 홀수-홉 중계기(220)는 네트워크 코딩된 데이터를 서빙 기지국(210) 및 단말(105)과 중계기(23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자식 스테이션(child stations) 모두로 전송할 수 있는 양방향 중계기와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홀수-홉 중계기(220)는 하향링크 액세스 또는 수신 영역(DL access or receive zone)(532)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면, 서빙 기지국(210)은 홀수-홉 중계기(220) 및 단말(105)과 같은 홀수-홉 중계기(220)의 자식 스테이션 모두로 데이터와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 영역(536)에서, 홀수-홉 중계기(220)는 수신된 데이터를 하향링크 액세스 또는 수신 영역(532)에서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210)의 채널화를 이용함으로써 서빙 기지국(210)으로부터 전송되는 것과 같이 중계해 줄 수 있다. 단말(105)과 같은 홀수-홉 중계기(220)의 자식 스테이션은 데이터를 서빙 기지국(210)으로부터 두 번째 전송인 것처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빙 기지국(210)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수신 영역(514)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면, 실질적으로 동시에 홀수-홉 중계기(220) 및 서빙 기지국(210)이 단말(105)과 같은 홀수-홉 중계기(220)의 자식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구간(550)의 하향링크 액세스 영역(552)에서, 짝수-홉 중계기(230)는 단말(105)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영역(554)에서, 짝수-홉 중계기(230)는 단말(105) 및 상위 또는 하위 홀수-홉 중계기(2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갭(515c)에 뒤이어오는 하향링크 수신 영역(556)에서, 짝수-홉 중계기(230)는 상위 홀수-홉 중계기(2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향링크 구간들(520, 540 및 560)의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구간(520)에서, 서빙 기지국(210)은 상향링크 액세스 영역(UL access zone)(542)에서 짝수-홉 중계기(230)로부터 수신하고 단말(105)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갭(517c)에 뒤이은 전송 영역(544)에서 홀수-홉 중계기(220)는 상위 또는 하위 짝수-홉 중계기(230) 또는 서빙 기지국(21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향링크 구간(560)에서, 짝수-홉 중계기(230)는 상향링크 전송 영역(562) 동안에 상위 홀수-홉 중계기(2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갭(517b)이 존재하고, 짝수-홉 중계기(230)는 수신 영역(564)에서 단말(105)과, 홀수-홉 중계기(220)와 같은 상위 중계기 아니면 하위 홀수-홉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홀수-홉 중계기(220)는 네트워크 코딩(network coding)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전송 영역(536)은 네트워크 코딩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홀수-홉 중계기(220)는 이하에서 기술할 네트워크 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코딩 기술을 이용할 때, 홀수-홉 중계기(220)는 서빙 기지국(210)과, 단말(105)과 같은 자식 스테이션 또는 짝수-홉 중계기(230)에 개별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105)이 전송하는 제 1 메시지 및 서빙 기지국(210)이 전송하는 제 2 메시지는 모두 홀수-홉 중계기(220)가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는 홀수-홉 중계기(220)에서 네트워크 코딩된다. 따라서, 홀수-홉 중계기(220)는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의 네트워크-코딩된 버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코딩된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코딩된 패킷은 서빙 기지국(210) 및 단말(105) 모두가 수신할 수 있다. 홀수-홉 중계기(220)는 멀티캐스팅(multicasting)으로 네트워크-코딩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몇 가지 시나리오에서, 홀수-홉 중계기(220)는 "exclusive or"(XOR) 연산을 제 1 및 제 2 메시지에 적용하여 서빙 기지국(210) 및 단말(105)이 수신하도록 의도된 메시지를 복원(recover)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홀수-홉 중계기(220)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을 네트워크 코딩하고, 여기에 XOR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홀수-홉 중계기(220)를 자원이 2개 자원 대신에 하나의 자원이 사용됨으로써 홀수-홉 중계기(220)에 의한 대역폭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210)이 네트워크-코딩된 패킷을 수신할 때, 서빙 기지국(210)은 이전에 전송된 하향링크 정보(예를 들어, 상기 제 2 메시지)에 대해 XOR 연산을 수행하여 단말(105)이 전송한 제 1 메시지를 복원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말(105)이 네트워크-코딩된 패킷을 수신할 때, 단말(105)은 제 1 메시지에 XOR 연산을 수행하여 서빙 기지국(210)이 전송한 제 2 메시지를 복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홉 중계기(220)는 하향링크 시간 구간이 지속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구간을 포함하는 정의된 하향링크 구간에서 서빙 기지국(210)과 같은 부모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코딩 영역은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의 어느 하나로서 하향링크 시간 구간의 끝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는 네트워크 코딩 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수신된다(S602).
홀수-홉 중계기(220)는 단말(105)과 같은 자식 스테이션 또는 짝수-홉 중계기(230)로부터 상향링크 영역에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S604), 네트워크 코딩 영역에서 자식 스테이션으로 자원을 이용하여 제 3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606).
홀수-홉 중계기(220)는 상기 자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코딩 영역에서 부모 스테이션으로 제 3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자식 중계기 및 부모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2 데이터에 논리적으로 XOR 연산이 효율적으로 수행된 제 1 데이터로부터 나온 것이다(S608).
이와 다른 구현 예로서, 특정 로직 동작들은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변경되거나 제거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논리(logic)에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분류된 구현들에 부합한다.
또한,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이 결합된 것을 생성하기 위한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여 방법, 장치 또는 제조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제조품'(article of manufacture)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로직(예를 들어, 집적 회로 칩,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등)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자기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테입 등), 광 저장 매체(예를 들어, CD-ROM, 광 디스크 등))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EEPROMs, ROMs, PROMs, RAMs, DRAMs, SRAMs, 펌웨어, 프로그래머블 논리(programmable logic) 등)으로 구현된 코드 또는 로직으로 칭하여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서 코드가 접속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코드는 전송 미디어를 통해 또는 네트워크 상에 파일 서버로부터 접근하기 쉽다. 이러한 경우에, 어떤 코드가 구현되는 제조품은 네트워크 전송선(transmission line)과 같은 전송 미디어, 무선 전송 미디어, 공간, 무선 전파(radio waves), 적외선 신호 등을 통한 신호 전파(propag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구성에 많은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제조품은 공지된 임의의 정보 베어링 매체(information bearing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한 로직 구현은 특별한 순서로 발생하는 것으로 특정 동작을 기술한다. 이와 다른 구현에서, 특정 로직 동작은 특정 로직 동작들은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변경되거나 제거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논리(logic)에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분류된 구현들에 부합한다.
상술한 실시예 및 특징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장치와 프로세스에 의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특허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 변형된 실시예, 변화된 실시예들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1)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중계기가 부모 스테이션(parent station)으로부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downlink zone)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구간(downlink period) 에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계기가 상향링크 영역(uplink zone)에서 자식 스테이션(child station)으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계기가 네트워크 코딩 영역(network coding zone)에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자식 스테이션으로 제 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중계기가 상기 네트워크 코딩 영역에서 상기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부모 스테이션으로 제 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코딩 영역은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의 하나로서 상기 하향링크 구간의 끝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코딩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수신되고, 상기 자식 스테이션 및 상기 부모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2 데이터에 논리적으로 XOR 연산이 수행된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나온 것인,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하향링크 구간 이전에 존재하는 상향링크 구간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기는 적어도 트랜스페어런트(transparent) 중계기 또는 양방향(bi-directional) 중계기인,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기는 홀수-홉(odd-hop) 중계기이고 상기 자식 스테이션은 짝수-홉(even-hop) 중계기인,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홉 중계기는 상기 부모 스테이션과 다이렉트로 통신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식 스테이션은 단말 또는 중계기인, 데이터 전송 방법.
  7.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중계기가 부모 스테이션(parent station)으로부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downlink zone)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구간에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중계기, 또는 상기 제 1 중계기 및 상기 부모 스테이션이 하향링크 수신 영역(downlink receive zone)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자식 스테이션(child station)으로 상기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영역에서 상기 하향링크 수신 영역 동안 수신되며 상기 하향링크 수신 영역은 상기 하향링크 구간의 시작에 위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기는 적어도 트랜스페어런트(transparent) 중계기 또는 양방향(bi-directional) 중계기인,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기는 홀수-홉(odd-hop) 중계기이고 상기 자식 스테이션은 짝수-홉(even-hop) 중계기인,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홉 중계기는 상기 부모 스테이션과 다이렉트로 통신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식 스테이션은 단말 또는 중계기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17008447A 2008-11-05 2009-11-04 트랜스페어런트 및 양방향 중계기를 지원하기 위한 중계기 프레임 구조 KR101589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70608P 2008-11-05 2008-11-05
US61/111,706 2008-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523A true KR20110082523A (ko) 2011-07-19
KR101589562B1 KR101589562B1 (ko) 2016-02-12

Family

ID=4213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447A KR101589562B1 (ko) 2008-11-05 2009-11-04 트랜스페어런트 및 양방향 중계기를 지원하기 위한 중계기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265548B2 (ko)
EP (1) EP2319195B1 (ko)
KR (1) KR101589562B1 (ko)
WO (1) WO20100532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8514B (zh) * 2012-08-30 2015-09-16 北京久华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通信系统无线传输方法
US9007984B1 (en) 2013-11-19 2015-04-14 The Aerospace Corporation Network coding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CN104883241B (zh) * 2015-05-15 2018-05-04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中继节点自信息广播的双向融合转发方法
US10517092B1 (en) 2018-06-04 2019-12-24 SparkMeter, Inc. Wireless mesh data network with increased transmission capacity
CN110943765B (zh) * 2019-10-31 2021-05-07 厦门大学 基于网络编码的毫米波与微波混合中继传输协助系统
CN110855403B (zh) * 2019-11-12 2022-05-31 哈尔滨工业大学(深圳) 空间信息网的高能效网络编码arq双向中继传输机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1603A1 (en) * 2005-09-28 2007-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relay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83178A2 (en) * 2006-07-28 2008-01-30 Nortel Networks Limited Space time block code communications with co-operative relays
US20080165881A1 (en) * 2007-01-08 2008-07-10 Zhifeng Tao Method for Accessing Channels in OFDMA Mobile Multihop Relay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1155B1 (en) * 2005-09-30 2014-0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07133022A1 (en) * 2006-05-11 2007-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link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87969B1 (ko) 2006-10-25 2007-1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 코딩을 사용한 tdd전송 방법
KR100973671B1 (ko) * 2006-11-29 201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US8417255B2 (en) * 2007-03-16 2013-04-09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and power control in a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1400724B1 (ko) * 2008-01-15 2014-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코딩 기법을 이용한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100315989A1 (en) * 2008-07-07 2010-12-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1603A1 (en) * 2005-09-28 2007-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relay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83178A2 (en) * 2006-07-28 2008-01-30 Nortel Networks Limited Space time block code communications with co-operative relays
US20080165881A1 (en) * 2007-01-08 2008-07-10 Zhifeng Tao Method for Accessing Channels in OFDMA Mobile Multihop Relay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9195A2 (en) 2011-05-11
WO2010053286A3 (en) 2010-07-29
WO2010053286A2 (en) 2010-05-14
KR101589562B1 (ko) 2016-02-12
US8265548B2 (en) 2012-09-11
US8577285B2 (en) 2013-11-05
US20120307694A1 (en) 2012-12-06
EP2319195B1 (en) 2019-04-17
US20120307693A1 (en) 2012-12-06
US20100112938A1 (en) 2010-05-06
EP2319195A4 (en) 2015-05-06
US8401465B2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440B1 (ko)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핸드오프를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KR10180695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US8577285B2 (en) Relay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ransparent and bidirectional relays
WO2021057526A1 (zh) 一种网关设备容灾的方法及通信设备
KR101668704B1 (ko) 포지셔닝을 위한 하향링크 사일런트 구간
CN108632022A (zh) 一种秘钥更新方法及装置
KR101565419B1 (ko) 다수의 암시 식별자를 위한 제어 채널 검출
JP2014517580A (ja) 伝送モードの設定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CN115209532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20220240328A1 (en) Unicast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WI792616B (zh) 從側鏈路中繼失敗中恢復的裝置和方法
WO2023011871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US11290982B2 (en) Notifications concerning UE unreachability
EP3440815A1 (en) Efficient broadcast to mobile device operating independently of a sim
RU2524866C2 (ru) Короткие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е сообщения в сигнализ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US20230379687A1 (en) Network slice local switching at a distributed unit
CN114390633B (zh) 一种信号中继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4340461A1 (en) Network function selection for user equipment via a gateway network node
US20230058943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3187595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multicast sessions in rrc inactive
WO2023194350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temporarily unavailable network slices
GB2617543A (en) Shared CU UP address management
CN117158095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5334597A (zh) Rrc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