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501A -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501A
KR20110082501A KR1020110055088A KR20110055088A KR20110082501A KR 20110082501 A KR20110082501 A KR 20110082501A KR 1020110055088 A KR1020110055088 A KR 1020110055088A KR 20110055088 A KR20110055088 A KR 20110055088A KR 20110082501 A KR20110082501 A KR 2011008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count
terminal
relay server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236B1 (ko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11005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금융 서비스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계좌 및 제2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 서버, 및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로 계좌이체가 수행되도록 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FINANCIAL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계좌이체, 비용 청구 및 결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의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이 대중화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을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 달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운영체제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는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도 있다.
현재, 금융기관의 직원을 통한 금융거래 이외에, 전화를 이용하는 텔레뱅킹,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터넷 뱅킹, 휴대폰을 이용하는 모바일 뱅킹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모바일 뱅킹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잔액조회, 계좌이체, 현금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거래 서비스를 말한다. 모바일 뱅킹은 보안이 적용되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텔레뱅킹과 구분되고,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 뱅킹과 구분된다.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폰에서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된 스마트폰으로 휴대폰이 진화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계좌이체, 청구 및 결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계좌 및 제2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 서버, 및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로 계좌이체가 수행되도록 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금융 서버는 가상계좌인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SMS(short message service)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SMS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가상계좌의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는 중계 서버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제1 사용자의 계좌번호, 상기 검색된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로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SMS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와 상기 전송한 SMS 인증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검색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SMS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은 수취인의 전화번호로 수취인이 지정되고 이체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전화번호 및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중계 서버로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SMS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SMS 인증번호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상기 이체금액을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수취인의 계좌번호 및 상기 이체금액을 포함하는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상기 이체금액을 계좌이체시킨다.
상기 수취인은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검색되는 전화번호로 지정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전화번호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상기 이체금액에 대응하는 청구금액을 포함하는 청구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취인은 상기 청구서에 포함된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지정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고객은 스마트폰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계좌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의 금융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비스 고객은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의 금융 서비스를 위한 여러 가지 보안 모듈의 인증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에서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에서 피청구용 청구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 서비스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0), 제2 사용자 단말(20), 애플리케이션 서버(30), 중계 서버(40) 및 금융 서버(5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은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의 컴퓨터 지원 기능을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 즉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은 자체에 보유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의 금융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서버(30)는 스마트폰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계좌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의 금융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은 (1) 회원가입, (2) 로그인, (3) 조회, (4) 충전, (5) 이체, (6) 결제, (7) 설정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1) 회원가입 기능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안내, 가입신청 인터페이스 등의 세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2) 로그인 기능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검색 및 로그인 안내 등의 세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3) 조회 기능은 사용자 계좌의 잔액 조회, 거래내역 조회, 전달메시지 조회, 거래메모 검색, 전화번호부 검색, 지출통계 조회 등의 세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내역 조회 기능은 거래메모 등록, 지출항목 분류 등의 하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계좌는 금융 서비스를 위해 금융 서버(50)에 개설된 가상계좌 및 가상계좌의 모계좌를 포함한다.
(4) 충전 기능은 금융 서비스를 위한 가상계좌로의 계좌이체 충전, 휴대폰 소액결제 충전, 충전대기금액 조회 및 충전 등의 세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계좌로의 계좌이체 충전 기능은 금융기관 내의 모계좌에서 가상계좌로의 이체 충전, 가상계좌로의 자동이체 충전, 타금융기관에서 가상계좌로의 계좌이체 충전 등의 하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5) 이체 기능은 전화번호 이체, 범프(bump) 이체, SMS 청구서, 연결계좌 환불, 이체 예약 관리 등의 세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번호 이체 기능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수취인을 지정하는 전화번호부 검색 이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수취인으로 지정하는 전화번호 입력 이체, 이체확인을 위해 송금인이 발송/기록하는 전달메시지/거래메모 등의 하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SMS 청구서 기능은 하나의 대상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1인 청구, 다수의 대상에게 비용을 나누어 청구하는 다인 청구 등의 하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6) 결제 기능은 계좌이체 결제의 세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계좌이체 결제 기능은 금융 서비스를 위한 가상계좌에서 결제계좌로 결제금액을 이체하는 계좌이체 결제, 사용자의 모계좌에서 결제계좌로 결제금액을 이체하는 은행 계좌 결제 등의 하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7) 설정 기능은 비밀번호 변경, 휴대전화 변경, 사고신고, 문의, 서비스 해지 등의 세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밀번호 변경 기능은 PIN 변경, 비밀번호 변경 등의 하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상술한 기능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 또는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제1 사용자 단말(10), 제2 사용자 단말(20) 및 금융 서버(50)를 중계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중계 서버(40)는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 각각으로부터 금융 서비스의 가입 동의서를 수신하여 금융 서비스의 가입자로 등록시킬 수 있다. 가입 동의서에는 사용자의 성명, 전화번호, 사용자의 거래 금융기관명, 계좌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가입 동의서를 금융 서버(50)에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의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단말(20)의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개설을 금융 서버(50)에 요청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계좌번호를 연계한 연계 정보를 저장한다.
중계 서버(40)는 제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금융 처리(계좌이체,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가상계좌의 계좌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금융 처리(계좌이체, 결제)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50)에 전송하여 제1 사용자의 가상계좌에서 제2 사용자의 가상계좌로 계좌이체(결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중계 서버(40)는 금융 서비스를 위한 제1 사용자 단말(10)의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제1 사용자 단말(10)의 보안 인증을 위해 SMS(short message service)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중계 서버(40)는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20)에 SMS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은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술한 제1 금융 처리(계좌이체, 결제)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금융 서버(50)는 금융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모계좌 및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관리한다. 금융 서버(50)는 중계 서버(40)로부터 제1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의 가입 동의서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의 모계좌에 연계되는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가상계좌의 계좌번호를 중계 서버(40)에 전달한다. 금융 서버(50)는 중계 서버(40)로부터 제2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의 가입 동의서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의 모계좌에 연계되는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가상계좌의 계좌번호를 중계 서버(40)에 전달한다.
금융 서버(5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금액을 모계좌에서 가상계좌로 이체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계좌에서 가상계좌로 소정의 금액을 자동이체하여 가상계좌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금융 서버(50)는 타금융기관으로부터 이체되는 금액으로 가상계좌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서비스를 위한 가상계좌에는 설정잔액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가상계좌의 잔액이 설정잔액 이하가 되면 모계좌로부터 가상계좌로 소정의 금액이 자동이체될 수 있다. 모계좌로부터 가상계좌로 자동이체되는 소정의 금액은 미리 정해진 일정 금액일 수 있다. 또는 모계좌로부터 가상계좌로 자동이체되는 소정의 금액은 가상계좌의 잔액이 미리 정해진 목표 금액이 되도록 하기 위해 목표 금액에서 현재 잔액을 차감한 금액일 수 있다.
이상에서, 금융 서비스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서버(30), 중계 서버(40) 및 금융 서버(5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둘 이상의 서버가 통합되어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은 금융 서비스를 지원하는 중계 서버(4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이체금액을 계좌이체하거나 청구금액을 청구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20)은 중계 서버(4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의 청구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체금액(또는 청구금액)만을 입력하여 계좌이체(또는 청구)를 수행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수신한 청구서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 및 보안 인증만을 수행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청구에 대한 계좌이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한 계좌이체, 청구 및 결제 방법은 도 4 내지 6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도 1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의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모듈(11), 단말 제어부(12), 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4), 애플리케이션부(15) 및 저장부(16)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1)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0), 중계 서버(40), 금융 서버(5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모듈(11)은 이동 통신망, 무선랜(wireless LAN), TPC/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메트로폴리탄 에어리어 네트워크(M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2)는 제1 사용자 단말(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단말 제어부(12)는 통신모듈(11)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30)로부터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부(15)에 설치한다. 단말 제어부(12)는 성명 및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기록되는 전화번호부를 전화번호 저장부(16)에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지정하는 성명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저장부(16)에서 검색한다.
단말 제어부(12)는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의 요청 메시지를 통신모듈(11)을 통하여 중계 서버(40)에 전달한다.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의 요청 메시지는 송금인 또는 청구인의 전화번호, 수취인 또는 피청구인의 전화번호, 이체금액 또는 청구금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잘 알려진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를 통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부 검색, 수취인 지정, 이체금액(청구금액) 입력, SMS 인증번호 입력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등의 잘 알려진 표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금융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부(15)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애플리케이션부(15)는 단말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애플리케이션부(15)는 단말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회원가입, 로그인, 조회, 충전, 이체, 결제, 설정 등의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부(15)는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체 및 결제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비밀번호를 요구할 수 있다. 비밀번호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에 지정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지정되는 비밀번호이다.
전화번호 저장부(16)는 성명 및 전화번호가 연계되어 기록되는 전화번호부를 저장한다. 전화번호부는 입력부(13)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화번호 저장부(16)에 저장될 수 있다. 금융 서비스를 위한 전화번호부는 일반적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과 구분되는 별도의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중계 서버(40)는 통신 모듈(41), 서버 제어부(42), 계좌정보 저장부(43), 인증부(44) 및 SMS 생성부(45)를 포함한다.
통신모듈(41)은 제1 사용자 단말(10), 제2 사용자 단말(20), 금융 서버(5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모듈(41)은 이동 통신망, 무선랜, TPC/IP, 메트로폴리탄 에어리어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42)는 중계 서버(4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서버 제어부(42)는 통신모듈(41)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계좌정보 저장부(43)에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계좌번호를 검색한다. 서버 제어부(42)는 사용자 단말의 보안 인증을 위해 인증부(44)에서 SMS 인증번호를 생성시킨다. 서버 제어부(42)는 SMS 생성부(45)에서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청구서, 계좌이체 확인 메시지 등의 SMS 메시지를 생성시킨다.
계좌정보 저장부(43)는 사용자별 전화번호와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한다. 계좌정보 저장부(43)에는 금융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에 한하여 전화번호와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중계 서버(40)는 금융 서비스의 가입 동의서를 제출한 사용자에 한하여 가상계좌의 계좌번호를 금융 서버(5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인증부(44)는 서버 제어부(42)의 제어에 따라 SMS 인증번호를 생성한다. 인증부(44)는 잘 알려진 생성 방법에 따라 SMS 인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SMS 인증번호를 통신모듈(41)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시킨다. 인증부(44)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생성된 SMS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한다.
SMS 생성부(45)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청구서, 계좌이체 확인 메시지 등의 SMS 메시지를 생성한다. SMS 생성부(45)는 사용자 단말의 청구 요청 메시지에 따라 청구인의 전화번호, 청구금액 및 청구이유를 포함하는 청구서를 생성한 후 통신모듈(41)을 통해 피청구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제,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만으로 간편하게 계좌이체, 청구, 결제 등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 및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0).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금융 서비스의 단축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다. 입력부(13)를 통한 사용자의 단축 아이콘의 선택 및 실행에 따라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PIN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PIN 입력 화면을 통해 자신의 PIN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지시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메뉴 화면을 통해 이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120).
사용자 단말은 이체 메뉴가 선택되면 계좌이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계좌이체 화면을 통해 전화번호로 수취인을 지정할 수 있다(S130). 계좌이체 화면에는 전화번호부 검색 기능, 전화번호 입력 기능의 실행키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화번호 저장부(16)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수취인을 지정하거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수취인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계좌이체 화면을 통해 이체금액을 입력할 수 있다(S140).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여 한 번에 이체할 수 있는 이체금액은 서비스 정책에 따라 제한되거나 사용자의 가상계좌의 잔액, 또는 가상계좌 및 모계좌의 잔액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금융 서비스 가입시에 일회 이체가능금액 및 일일 이체가능금액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이체가능금액의 한도 내에서 계좌이체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비스의 가상계좌의 잔액 한도 내에서 계좌이체가 실행되거나, 가상계좌 및 모계좌의 잔액 한도 내에서 계좌이체가 실행될 수 있다.
계좌이체 화면을 통해 수취인 지정 및 이체금액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150). 비밀번호는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에 지정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지정되는 비밀번호이다.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비밀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은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S160).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SMS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생성된 SMS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은 중계 서버(40)로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수신된 SMS 인증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170).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SMS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SMS 인증번호를 중계 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와 생성된 SMS 인증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완료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은 스마트폰의 모션 인증 기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이체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40)에 전송한다.
중계 서버(40)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송금인의 계좌번호, 수취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검색한다. 중계 서버(40)는 송금인의 가상계좌에서 수취인의 가상계좌로 이체금액이 이체되도록 금융 서버(50)에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금융 서버(50)는 해당 이체금액이 송금인의 가상계좌에서 수취인의 가상계좌로 이체되도록 계좌이체를 실행한다(S180).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서버(40)에 금융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는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수취인을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계좌이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에서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비용이나 요금 등을 청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 5 및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10). 사용자가 PIN 입력 화면을 통해 자신의 PIN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한 후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지시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메뉴 화면을 통해 청구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220).
사용자 단말은 청구서 메뉴가 선택되면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통해 피청구인을 지정할 수 있다(S230).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구금액 입력란, 청구이유 입력란, 및 피청구인 지정을 위한 전화번호 검색/입력란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전화번호 검색/입력란을 통하여 전화번호 저장부(16)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피청구인을 선택하거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피청구인을 지정할 수 있다.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에서 피청구인은 다수로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통해 청구금액 및 청구이유를 입력할 수 있다(S240). 도 6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피청구인에게 동일한 금액을 청구하는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나타내었으나,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은 다수의 피청구인에게 소정의 청구금액을 나누어 청구하거나 피청구인별로 청구금액을 지정하여 청구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모임이나 동호회 등의 모임의 비용을 각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통해 전체 청구금액을 입력하고 다수의 피청구인을 지정하면, 각 피청구인에게는 전체 청구금액을 피청구인의 수로 나눈 금액만큼 청구된다. 사용자는 청구이유를 다수의 피청구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번 입력하거나 피청구인별로 청구이유를 입력할 수도 있다.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통해 피청구인 지정, 청구금액 입력 및 청구이유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S250).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SMS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생성된 SMS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은 중계 서버(40)로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수신된 SMS 인증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260).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SMS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SMS 인증번호를 중계 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와 생성된 SMS 인증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을 인증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은 스마트폰의 모션 인증 기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이 인증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청구인)의 전화번호, 피청구인의 전화번호, 청구금액, 청구이유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는 청구인의 사용자 단말에서 중계 서버(40)로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피청구인의 전화번호, 피청구인 각각에 대한 청구금액, 청구이유 등과 함께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청구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중계 서버(40)는 제1 청구 요청 메시지에 따라 청구인의 전화번호(또는 청구인 성명), 청구금액 및 청구이유를 포함하는 청구서(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피청구인의 사용자 단말로 발송한다(S270).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는 중계 서버(40)에서 피청구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청구인의 전화번호(또는 청구인 성명), 청구금액 및 청구이유를 포함한다. 중계 서버(40)는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다수의 피청구인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술한 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통하여 다수의 피청구인에게 청구금액을 청구하는 방식은 개인적으로 청구하거나 모임의 비용을 각출하는 경우 이외에도 공공요금이나 카드결제금액을 청구하는 전자 고지서를 각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에서 피청구용 청구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수신한 청구서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 7 및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중계 서버(40)로부터 청구인의 전화번호, 청구금액 및 청구이유를 포함하는 피청구인용 청구서를 수신한다(S310).
사용자가 청구서를 확인하기 위해 PIN 입력 화면을 통해 자신의 PIN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은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20). 금융 서비스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청구인의 전화번호(또는 청구인 성명), 청구금액 및 청구이유를 포함하는 피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된다. 피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구인의 성명(전화번호), 청구이유, 청구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은 청구금액의 계좌이체 결제를 위한 결제 기능키, 청구금액의 결제를 거절하기 위한 거절 기능키,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청구인용 청구서의 청구인의 전화번호 및 청구금액은 계좌이체 결제를 위한 수취인 및 이체금액으로 자동 설정된다. 사용자는 피청구인용 청구서에서 청구금액 및 청구이유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피청구인용 청구서에서 계좌이체 결제를 위한 결제 기능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메시지 형태의 피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을 나타내었으나, 피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의 유형은 제한되지 않으며, 피청구인용 청구서 화면은 공공요금이나 카드결제금액을 청구하는 전자 고지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란 또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별도로 표시되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330).
비밀번호 입력란 또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비밀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은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S340).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SMS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생성된 SMS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은 중계 서버(40)로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수신된 SMS 인증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350). SMS 인증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SMS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SMS 인증번호를 중계 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중계 서버(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와 생성된 SMS 인증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완료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은 스마트폰의 모션 인증 기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은 피청구인(송금인)의 전화번호, 청구인(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청구금액(이체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40)에 전송한다.
중계 서버(40)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피청구인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피청구인 계좌번호, 청구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청구인 계좌번호를 검색한다. 중계 서버(40)는 피청구인의 가상계좌에서 청구인의 가상계좌로 청구금액이 이체되도록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50)에 전송한다.
금융 서버(50)는 해당 청구금액이 피청구인의 가상계좌에서 청구인의 가상계좌로 이체되도록 계좌이체를 실행한다(S360).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서버(40)에 금융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어, 청구인은 피청구인의 계좌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피청구인을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청구금액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청구서에 포함된 청구인의 전화번호 및 청구금액이 계좌이체 결제를 위한 수취인 및 이체금액으로 자동 설정되므로, 피청구인은 청구인의 계좌번호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도 입력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청구금액에 대한 계좌이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 사용자 단말
20 : 제2 사용자 단말
30 : 애플리케이션 서버
40 : 중계 서버
50 : 금융 서버

Claims (12)

  1. 제1 사용자의 계좌 및 제2 사용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 서버; 및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로 계좌이체가 수행되도록 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금융 서버는 가상계좌인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를 개설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SMS(short message service)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전송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SMS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
  6.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전화번호와 가상계좌의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는 중계 서버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청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제1 사용자의 계좌번호, 상기 검색된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 및 상기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로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서를 상기 금융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의 가상계좌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청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SMS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와 상기 전송한 SMS 인증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검색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SMS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SMS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방법.
  10.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수취인의 전화번호로 수취인이 지정되고 이체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전화번호 및 계좌번호의 연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중계 서버로 SMS 인증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SMS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SMS 인증번호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안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상기 이체금액을 포함하는 제1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수취인의 계좌번호 및 상기 이체금액을 포함하는 제2 계좌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상기 이체금액을 계좌이체시키는 금융 서비스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인은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검색되는 전화번호로 지정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전화번호로 지정되는 금융 서비스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상기 이체금액에 대응하는 청구금액을 포함하는 청구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취인은 상기 청구서에 포함된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지정되는 금융 서비스 방법.
KR1020110055088A 2011-06-08 2011-06-08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1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88A KR101212236B1 (ko) 2011-06-08 2011-06-08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88A KR101212236B1 (ko) 2011-06-08 2011-06-08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501A true KR20110082501A (ko) 2011-07-19
KR101212236B1 KR101212236B1 (ko) 2012-12-13

Family

ID=4492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088A KR101212236B1 (ko) 2011-06-08 2011-06-08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2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070A1 (ko) * 2014-08-19 2016-02-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금융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93686A (ko) * 2016-02-04 2017-08-16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WO2018155846A1 (en) * 2017-02-24 2018-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gency payment system,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2365254A (zh) * 2020-11-20 2021-02-12 马卓 一种基于虚拟账户的无卡取现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210053750A (ko) * 2019-11-04 2021-05-12 (주)삼위 안전거래를 위한 전자 자금 이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648B1 (ko) * 2014-03-07 2017-02-20 주식회사 핑거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KR102083754B1 (ko) 2019-04-09 2020-03-02 김정훈 예치금 예비 확보를 통한 정기 이체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070A1 (ko) * 2014-08-19 2016-02-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금융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93686A (ko) * 2016-02-04 2017-08-16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WO2018155846A1 (en) * 2017-02-24 2018-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gency payment system,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8734451A (zh) * 2017-02-24 2018-11-02 三星电子株式会社 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11062321B2 (en) 2017-02-24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gency payment system,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053750A (ko) * 2019-11-04 2021-05-12 (주)삼위 안전거래를 위한 전자 자금 이체 방법
CN112365254A (zh) * 2020-11-20 2021-02-12 马卓 一种基于虚拟账户的无卡取现方法、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236B1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12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cure self payment transactions of retail goods
KR101212236B1 (ko)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787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messaging and marketing
US201201795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Electronic Transactions
AU2012200425A1 (en) Pending ATM Authentications
CN102511051A (zh) 电子结算方法、系统、服务器以及其程序
JP2017073671A (ja) 管理システム及び連絡システム
CN107274164A (zh) 一种多渠道第三方移动支付融合转账系统及其方法
KR20110127891A (ko) 대리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리결제 서비스 방법
US20130198082A1 (en) Payment service that provides option to authenticate with external authentication service
KR20160147015A (ko) 크레딧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073113A (ja) 管理システム及び連絡システム
JP5354433B1 (ja) 通知システム
JP5209093B2 (ja) 課金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90258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SERVICES
RU2371877C2 (ru) Система, позволяющая оператору связи предоставлять услуги финансовых транзакций, и способы реализации таких транзакций
KR101355682B1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스마트 공중전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1319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KR20140016207A (ko) 식별코드와 인터넷경로주소를 이용한 모바일결제시스템
KR101199153B1 (ko) 고객 전용 네트워크 계좌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3267A (ko) 모바일 기반의 대금 수납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0405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
US202400053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ross-platform key across digital wallet providers
KR102004053B1 (ko) 전화번호에 의한 노래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2899A (ko)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이용한 인증 및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