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929A -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929A
KR20110079929A KR1020100000026A KR20100000026A KR20110079929A KR 20110079929 A KR20110079929 A KR 20110079929A KR 1020100000026 A KR1020100000026 A KR 1020100000026A KR 20100000026 A KR20100000026 A KR 20100000026A KR 20110079929 A KR20110079929 A KR 2011007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reciprocating
fluid
axle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10000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9929A/ko
Publication of KR2011007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03G7/08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road or rail vehicles, e.g. collecting vehicle vibrations in the vehicle tyres or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liquid
    • F04B9/103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liquid having only one pumping chamber
    • F04B9/105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liquid having only one pumping chambe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umping member being obtained by a double-acting liquid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 발전하는 기술로서, 자동차가 주행중에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 소멸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유체(油體)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유동에너지를 기계적 회전운동에너지로 변환한 후, 기계적 회전운동에너지로 발전기(3)를 구동하여 발전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왕복 유압펌프(1)를 장착하고,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유체송출 구(1-5, 1-7)는 유압회전장치(2)의 각 유입 분기관(分岐管)(2-2)에 파이프(P)를 이용하여 연결하며, 유압회전장치(2)의 각 유출 분기관(2-4)은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유체 흡입구(1-4, 1-6)에 파이프(P)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2) 및 파이프(P)의 내부에 유체(油體)를 가득 채우고, 유압회전장치(2)의 회전축기어(2-7)는 발전기(3)의 발전기기어(3-1)에 맞물려 연결하여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하며,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직선운동에 동조하여 피스톤(1-2)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실린더(1-1) 내의 유체를 상하로 가압하고, 가압 된 유체가 유동하면서 유압회전장치(2)의 유압회전체(2-5)를 회전시키고, 유압회전체(2-5)의 회전동력으로 발전기(3)의 발전기기어(3-1)를 회전시켜 발전한다.

Description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An electric power generating method by making use of useless kinetic energy accruing in between frame and axle of running vehicle}
본 발명은 직선운동에너지를 유체(流體)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유동에너지를 회전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기를 구동, 발전하는 기술이다
현재의 자동차산업은 환경을 오염하고 유한한 화석에너지를 구동에너지로 하는 자동차로부터 환경오염문제가 수반되지 않는 전기에너지를 구동에너지로 하는 전기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전력공급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고성능 축전지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장거리 주행에 필요한 전기를 충분히 저장. 공급할 수 있는 경량. 저가의 고성능 축전지는 개발되지 않았고, 축전지충전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자동차의 엔진구동력을 이용하거나 주행하는 자동차의 관성을 이용하여 구동축에 연결된 제너레이터 (generator)를 구동. 발전하여 축전지에 충전하는 현재의 발전기술은 모두 엔진의 구동력을 감소시키고, 관성을 이용한 발전기술은 연속발전이 불가능하며, 모두 발전량이 적은 단점이 있고, 자동차의 쇽 앱소버(shock absorber)에 발전장치를 부착하여 발전하는 PGSA(power generating shock absorber) 발전기술은 쇽 앱소버의 직선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쇽 앱서버 내의 영구자석 집합체가 스테이터(stator) 사이를 직선으로 왕복하며 발전하는 기술이고 발전 양이 적어 효용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였다가 소멸하는 운동에너지를 유체(油體)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유체(油體)의 유동에너지를 기계적 회전운동에너지로 변환한 후, 기계적 회전운동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발전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주행하는 자동차(각종 동력주행장치를 포함한다)의 프레임(Frame)과 차축(Axle)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왕복 유압펌프(1), 회전운동변환장치(유압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각종 유압회전기기를 포함한다. 이하 유압회전장치라 한다)(2), 발전기(3)를 각 1개씩 조합하고, 왕복 유압펌프(1)와 유압회전장치(油壓回轉裝置) 및 연결 파이프(P)(2)에 유체(油體)를 가득 채워 1개의 유압발전장치(油壓發電裝置)(도 1)를 구성하여 실시함에 있어,
1. 구성방법
왕복 유압펌프(1)의 로드(1-3) 상단은 프레임의 걸개에 걸고 실린더(1-1) 하단은 각 차륜 가까이 차축에 결부하여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왕복 유압펌프(1)를 설치하고, 각 상 하부송출 구(1-5, 1-7)는 유압회전장치(2)의 각 유입 분기관(2-2)에 파이프(P)로 기밀하게 연결하고, 유압회전장치(2)의 각 유출 분기관(2-4)은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상 하부 흡입구(1-4, 1-6)에 파이프(P)로 기밀하게 연결하며, 상 하부 흡입구(1-4, 1-6), 상 하부 송출 구(1-5, 1-7) 및 유출입 분기관(2-2, 2-4)에 유체의 유동이 정지상태인 때에는 닫혀있다가 유체의 유동방향으로만 열리고 역류방향으로는 닫히는 밸브(이하 체크밸브라 한다)(V)를 부착하고, 유압회전체(2-5)의 회전 축(2-6)에 회전축기어(2-7)를 고정하여 조성하며, 유압회전체(2-5)의 회전축기어(2-7)는 발전기(3)의 회전 축에 고정한 발전기기어(3-1)와 맞물려 연결하고,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2) 및 파이프(P)의 각 내부에 유체(油體)를 가득 채워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한다.
2. 실시(작용)
주행하는 자동차가 완충스프링(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든 완충장치를 포함한다)의 신축운동(伸縮運動)에 동조하여 상하로 출렁이며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피스톤(1-2)이 실린더(1-1) 속을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며 직선 운동에너지의 크기로 실린더(1-1) 내의 유체를 상하(上下)로 가압하고, 실린더(1-1)의 상 하부송출 구(1-5, 1-7 )에서 교대로 송출되는 압력 유체는 유압회전장치(2)의 유압회전체(2-5), 회전 축(2-6)과 회전축기어(2-7)를 회전시키고 유출 분기관(2-4)을 통하여 유출한 후 피스톤(1-2)의 흡입작용에 의하여 체크밸브(check valve)(V)가 열려있는 상부 흡입구(1-4) 또는 하부 흡입구(1-6)를 통하여 실린더(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상하 양방향 유동작용이 반복되면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하 직선운동에너지를 왕복 유압펌프(1)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유동에너지는 유압회전장치(2)에서 회전운동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회전운동에너지로 발전기(3)를 구동.발전한다.
주행하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구동에너지 획득에 수반되는 환경오염물질의 배출 없이 발전기를 구동, 발전하는 효과가 있고,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하여 아래와 같은 부수효과를 유발한다.
첫째,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에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하여 축전지의 전기공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내장하는 축전지의 수, 용량,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자동차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셋째,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내장하는 고성능 축전지의 개발비용과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고,
넷째, 제작비용을 줄이면서 장거리주행이 가능한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개발이 가능하며,
다섯째, 본 발명의 유압발전장치를 구성하는 왕복 유압펌프를 포함한 각 구성요소의 댐퍼(damper) 효과를 이용하여 기존 쇽 앱소버(shock absorber)를 왕복 유압펌프로 대체하거나 겸용할 수 있다.
도 1은 유압발전장치의 구성내용을 설명하는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유압발전장치(도 1)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방법에 따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1. 구성요소
유압발전장치(도 1)의 주요 구성요소인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2), 발전기(3) 및 유체(油體)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1. 왕복 유압펌프(1)
왕복 유압펌프(1)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때에 완충스프링(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또는 실린더 내외에 설치하는 모든 종류의 완충장치를 포함한다)의 신축운동(伸縮運動)에 동조하여 자동차가 상하로 출렁이며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운동을 유체의 유동운동으로 변환하는 공지의 왕복펌프로서, 로드(rod)(1-3) 상단을 프레임에 결부하고 실린더(1-1)의 하단은 차륜 가까이 차축에 결부하여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설치하며, 피스톤(1-2)이 실린더(1-1) 내면에 기밀(氣密)하게 밀착하여 완충스프링의 신축운동에 동조하여 왕복운동을 하면서 실린더(1-1) 내의 유체를 상하로 가압하는 구조로 조성하고, 실린더(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흡입구(1-4)와 상부송출 구(1-5) 및 하부 흡입구(1-6)와 하부송출구(1-7)를 1개씩 두고, 유체의 각 상 하부 흡입구(1-4, 1-6)와 각 상 하부송출구(1-5, 1-7)에 체크밸브(V)를 부착하며, 각 상 하부송출 구(1-5, 1-7)의 내 경(內徑)은 실린더(1-1)의 내 경보다 작게 하여 피스톤(1-2)의 운동거리보다 각 상 하부송출 구(1-5, 1-7)에 연결한 파이프(P) 내 유체의 유동거리가 길게 하고(예시하면, 실린더의 내 경이 10이고 유체송출 구에 연결한 파이프의 내 경이 4일 경우, 피스톤의 직선운동거리가 3일 때 파이프 내 유체의 유동거리는 18.75가 된다),
피스톤(1-2)이 실린더(1-1) 하부로 가압하는 때에는 유압에 의하여 하부송출구(1-7)의 체크밸브(V)가 열림과 동시에 하부 흡입구(1-6)의 체크밸브(V)는 닫혀 있고, 피스톤(1-2)의 흡입작용에 의하여 상부 흡입구(1-4)의 체크밸브(V)는 열리고 상부송출 구(1-5)의 체크밸브(V)는 닫혀 있으며, 피스톤(1-2)이 실린더(1-1) 상부로 가압하는 때에는 역으로 유압에 의하여 상부송출 구(1-5)의 체크밸브(V)가 열림과 동시에 상부유입구(1-4)의 체크밸브(V)는 닫혀 있고, 피스톤(1-2)의 흡입작용에 의하여 하부 흡입구(1-6)의 체크밸브(V)가 열림과 동시에 하부송출 구(1-7)의 체크밸브(V)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1-2. 유압회전장치(2)
유압회전장치(2)는 왕복 유압펌프(1)에서 송출하는 유체(油體)의 유동에너지를 기계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공지의 장치로서, 유압에 의하여 회전하는 유압회전체(2-5), 2개의 유입 분기관(2-2)을 가진 1개의 유체유입구(2-1)와 2개의 유출 분기관(2-4)을 가진 1개의 유체유출 구(2-3)를 두고, 유압회전체(2-5)의 회전 축(2-6)에 회전축기어(2-7)를 고정하여 조성하며, 각 유입 분기관(2-2)은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상 하부송출 구(1-5, 1-7)에 파이프(P)로 기밀하게 연결하고, 각 유출 분기관(2-4)은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상 하부 흡입구(1-4, 1-6)에 파이프(P)로 기밀하게 연결하며, 각 유출입 분기관(2-2, 2-4)에 체크밸브(V)를 부착하고, 유압회전체(2-5)의 회전축기어(2-7)는 발전기(3)의 발전기기어(3-1)에 맞물려 연결한다.
1-3. 발전기(3)
발전기(3)는 자동차에 장착한 축전지에 충전하기 위한 전기를 생산하는 공지의 발전장치다. 발전기(G)의 정격회전속도는 유압회전장치(2)의 회전속도보다 고속임으로, 발전기(3)와 유압회전장치(2)의 회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전기(3)는 공지의 저속회전발전기를 기본으로 하고, 발전기기어(3-1)는 유압회전장치(2)의 회전축기어(2-7)에 맞물려 연결한다.
1-4. 유체(油體)
유체는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2) 및 파이프(P)에 충전(充塡)하고, 왕복 유압펌프(1)에서 기계적 운동에너지를 유체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유동에너지로 유압회전장치(2)를 구동하는 공지의 작동 유(作動油)로서, 마찰손실이 적고, 온도변화에 따른 성질변화가 적으며, 부식성이 낮고, 인화점이나 비등점이 높은 유체로 한다.
2. 다른 구성방법에 따른 실시 예
[실시 예 1] 왕복 유압펌프(1)를 자동차의 기존 쇽 앱소버(shock absorber)로 대용(代用)하거나 겸용(兼容)하여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하는 실시 예
(구성) 왕복 유압펌프(1)는 자동차의 기존 쇽 앱소버와 대체하여 기존 쇽 앱소버 설치 위치에 설치하거나, 피스톤(1-2)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면서 발생하는 댐퍼(damper) 성능만큼 댐퍼 성능을 축소한 쇽 앱소버와 병설(倂設)하여 구성하고, 다른 구성내용은 위에 기술한 과제해결수단의 구성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한다.
(실시) 완충스프링의 신축운동에 동조하면서 피스톤(1-2)이 실린더(1-1) 내면에 밀착하여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며 실린더(1-1) 내의 유체를 상하로 압축하는 때 발생하는 압축저항에너지, 유압회전장치(2)와 발전기(3)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저항에너지를 합한 저항에너지가 피스톤(1-2)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면서 댐퍼 기능을 하며, 다른 실시내용은 위에 기술한 과제해결수단의 실시(작용)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한다.
[실시 예 2]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2) 및 발전기(3)의 수를 각각 달리하여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하는 실시 예
1개의 유압회전장치(2)에 다수의 왕복 유압펌프(1)를 연결하거나 다수의 유압회전장치(2)에 다수의 왕복 유압펌프(1)를 연결하는 경우에, 유압회전장치(2)의 각 유출 분기관(2-2) 수와 유입 분기관(2-4) 수는 각각 왕복 유압펌프(1)의 상 하부 흡입구(1-4, 1-6) 수 및 상 하부송출 구(1-5, 1-7)수와 동일하게 조성하고, 1개의 발전기(3)에 다수의 유압회전장치(2)를 연결하거나 다수의 발전기(3)에 다수의 유압회전장치(2)를 연결하는 경우에, 발전기기어(3-1) 수와 회전축기어(2-7) 수를 동일하게 하여 맞물려 연결하고, 각 회전축기어(2-7)의 규격이나 각 발전기기어(3-1)의 규격은 각각 동일하게 조성하여 구성하고, 다른 구성내용은 위에 기술한 과제해결수단의 구성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하여 실시한다.
[실시 예 3] 왕복 유압펌프(1)를 왕복 기체압축기(往復 氣體壓縮耭)로 대용(代用)하여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하는 실시 예
왕복 유압펌프(1) 대신에 왕복 유압펌프(1)와 같은 내용으로 조성한 공지의 왕복 기체압축기(往復 氣體壓縮耭, 기계적 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기체의 유동운동으로 변환하는 모든 기체압축기기를 포함한다. 이하 왕복압축기라 한다)를 이용하고, 유압회전장치(油壓回轉裝置)(2) 대신에 유압회전장치(2)와 같은 내용으로 조성한 공지의 기압회전장치(氣壓回轉裝置)(기압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모든 회전기기를 포함한다)를 이용하며, 왕복압축기, 기압회전장치 및 파이프(V)에 미리 정한 기압에 이르기까지 가압한 압축기체를 충전(充塡)하여 구성하고, 다른 구성내용은 위에 기술한 과제해결수단의 구성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하고, 완충스프링의 신축운동에 동조하면서 왕복압축기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면에 밀착하여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며 실린더 내의 기존 압축기체를 상하로 가압하고, 기존 압축기체에 가압하는 기압(氣壓)으로 기압회전장치(氣壓回轉裝置)의 회전축과 회전축기어를 회전시키며, 회전축기어와 맞물려 있는 발전기기어(3-1)를 회전시켜 발전하고, 다른 실시내용은 위에 기술한 과제해결수단의 실시(작용)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한다.
1. 왕복 유압펌프 1-1. 실린더 1-2. 피스톤 1-3. 로드(rod)
1-4. 상부 흡입구 1-5. 상부 송출구 1-6. 하부 흡입구 1-7. 하부 송출구
2. 유압회전장치 2-1. 유체유입구 2-2. 유입 분기관 2-3. 유체유출 구
2-4. 유출 분기관 2-5. 유압회전체 2-6. 회전 축 2-7. 회전축기어
3. 발전기 3-1. 발전기기 P. 파이프 V. 체크밸브

Claims (3)

  1. 주행하는 자동차(모든 동력주행장치를 포함한다)의 프레임(frame)과 차축(axle)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油壓回轉裝置)(유압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각종 유압회전기기를 포함한다)(2) 및 발전기(3)를 1개씩 조합하고,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2) 및 파이프(P)에 유체(油體)를 가득 채워 1개의 유압발전장치(油壓發電裝置)(도 1)를 구성하고 실시함에 있어,
    왕복 유압펌프(1)의 로드(rod)(1-3) 상단은 프레임(frame)(F)의 걸개에 걸고 실린더(1-1) 하단은 차륜(車輪) 가까이 차축(車軸)에 결부하여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왕복 유압펌프(1)를 설치하고,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상 하부송출 구(1-5, 1-7)는 유압회전장치(2)의 각 유입 분기관(分岐管)(2-2)에 파이프(P)로 기밀(氣密)하게 연결하며, 유압회전장치(2)의 각 유출 분기관(2-4)은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상 하부 흡입구(1-4, 1-6)에 파이프(P)로 각각 기밀하게 연결하고, 왕복 유압펌프(1)의 각 상 하부 흡입구(1-4, 1-6)와 상 하부 송출구(1-5, 1-7) 및 유압회전장치(2)의 유출입분기 관(2-2, 2-4)에는 유체의 유동이 정지상태인 때에는 닫혀있다가 유체의 유동방향으로만 열리고 역류방향으로는 닫히는 밸브(valve)(이하 체크밸브라 한다)(V)를 부착하며, 유압회전체(2-5)의 회전 축(2-6)에 고정한 회전축기어(2-7)는 발전기(3)의 회전 축에 고정한 발전기기어(3-1)와 맞물려 연결하고, 왕복 유압펌프(1), 유압회전장치(2) 및 파이프(P)의 각 내부에 유체(油體)를 가득 채워 유압발전장치(도 1)를 구성하며,
    주행하는 자동차가 완충스프링(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든 완충장치를 포함한다)의 신축작용에 동조(同調)하여 상하로 출렁이며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피스톤(1-2)이 실린더(1-1)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하여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며 실린더(1-1) 내의 유체를 상하로 가압하고, 피스톤(1-2)의 운동방향에 따라 각 상 하부송출 구(1-5, 1-7)의 체크밸브(check valve)(V)가 교대로 개폐되면서 각 상 하부송출 구(1-5, 1-7)에서 송출되는 압력 유체는 유압회전장치(2)에서 유압회전체(2-5), 회전 축(2-6)과 회전축기어(2-5)를 회전시키고 유출 분기관(2-4)을 통하여 유출한 후, 피스톤(1-2)의 흡입작용으로 체크밸브(V)가 열려는 각 상 하부 흡입구(1-4, 1-6)를 통하여 교대로 실린더(1-1) 내부로 흡입되는 유체의 상하 양방향유동작용이 반복되면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하 직선 운동에너지를 왕복 유압펌프(1)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유체의 유동에너지는 유압회전장치(2)에서 회전운동에너지로 변환하고, 회전운동에너지로 발전기(3)를 구동.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서, 피스톤(1-2)이 실린더(1-1) 내의 유체(油體)를 압축하는 때 발생하는 압축저항에너지, 유압회전장치(2)와 발전기(3)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저항에너지를 합한 저항에너지가 피스톤(1-2)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면서 발생하는 댐퍼(damper) 효과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기존 쇽 앱소버(shock absorber)를 왕복 유압펌프(1)로 대체하여 왕복 유압펌프(1)를 쇽 앱소버로 겸용(兼用)하거나, 피스톤(1-2)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면서 발생하는 댐퍼 성능만큼 댐퍼 성능을 축소한 쇽 앱소버를 병설(倂設)하여 왕복 유압펌프(1)와 쇽 앱소버를 병용(倂用)하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서, 왕복 유압펌프(1) 대신에 왕복 유압펌프(1)와 같은 내용으로 조성한 왕복 압축기(往復 壓縮機, 기계적 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기체의 유동운동으로 변환하는 모든 기체압축기기를 포함한다)를 이용하고, 유압회전장치(油壓回轉裝置)(2) 대신에 유압회전장치(2)와 같은 내용으로 조성한 기압회전장치(氣壓回轉裝置)(기압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모든 회전기기를 포함한다)를 이용하며, 왕복압축기, 기압회전장치 및 파이프(V)에 미리 정한 기압에 이르기까지 가압한 압축기체를 충전(充塡)하여 구성하고, 완충스프링의 신축운동에 동조하면서 왕복압축기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하여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며 실린더 내의 기존 압축기체를 상하로 가압하고, 기존 압축기체에 가압하는 기압(氣壓)으로 기압회전장치(氣壓回轉裝置)의 회전축과 회전축기어를 회전시키며, 회전축기어와 발전기기어(3-1)를 맞물려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KR1020100000026A 2010-01-04 2010-01-04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KR20110079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26A KR20110079929A (ko) 2010-01-04 2010-01-04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26A KR20110079929A (ko) 2010-01-04 2010-01-04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929A true KR20110079929A (ko) 2011-07-12

Family

ID=4491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026A KR20110079929A (ko) 2010-01-04 2010-01-04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99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16B1 (ko) * 2013-10-07 201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진동을 이용한 발전 장치
KR20180137255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14523811A (zh) * 2020-11-23 2022-05-24 何景安 车架车桥减震器往复运动综合做功发电技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16B1 (ko) * 2013-10-07 201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진동을 이용한 발전 장치
KR20180137255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14523811A (zh) * 2020-11-23 2022-05-24 何景安 车架车桥减震器往复运动综合做功发电技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9353B (zh) 液电馈能式减振器
CN202451682U (zh) 液压振动能量回收减振器
CN101939184B (zh) 压缩空气驱动的车辆及压缩空气产生装置
CN101929520A (zh) 一种液电馈能式减振器
CN107939893B (zh) 主动悬架系统、减振器以及减振部件
CN104389753B (zh) 振动能量回收装置
CN102797655B (zh) 汽车压电减振器发电系统
CN102926956B (zh) 叶片式能量回收减振器
CN102795114A (zh) 现代木牛流马车
CN104963981A (zh) 一种采用两个单向阀管路的液电馈能式减振器
CN203491870U (zh) 一种车辆发电装置
CN108590992A (zh) 一种汽车振动能回收发电装置
CN105508351B (zh) 一种具有能量回收功能的车用减振器装置
CN101474952A (zh) 车辆节能动力装置
KR20110079929A (ko) 주행하는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용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
CN204704306U (zh) 内置叶片马达式能量回收减振器
CN104728067A (zh) 压电式车体减震器能量采集系统
CN104819241A (zh) 内置叶片马达式能量回收减振器
CN204961675U (zh) 气动交换压电形变列车减震器
CN204253297U (zh) 振动能量回收装置
CN203756447U (zh) 磁悬浮箱体式动力转换装置
CN201621221U (zh) 液电馈能式减振器
CN201366949Y (zh) 车辆节能动力装置
CN102588096B (zh) 往复直线运动与圆周运动转换发动机
CN203114545U (zh) 汽车震动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