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474A - lock - Google Patents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474A
KR20110079474A KR1020100074883A KR20100074883A KR20110079474A KR 20110079474 A KR20110079474 A KR 20110079474A KR 1020100074883 A KR1020100074883 A KR 1020100074883A KR 20100074883 A KR20100074883 A KR 20100074883A KR 20110079474 A KR20110079474 A KR 2011007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amp
housing
outdoo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ublication of KR2011007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47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with transverse, i.e. vertically movable bolt or drop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 locking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locking device and to remarkably improve durability by limiting the forceful retreat of a locking unit. CONSTITUTION: A locking device(100) comprises a housing(10), a locking unit(20), one or more groove units, and one or more protrusion units. The housing is coupled to a door(1). The locking unit is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locks and unlocks the door. Both surfaces of the locking unit are inclined. The groove and protrusion units are formed on the inward surface or outward surface of the locking unit. Elastic member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units.

Description

잠금장치{Locking device}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 출입문, 자동차 도어 및 금고 등과 같이 특정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device that can open or close a specific space, such as a front door, a car door and a safe.

잠금장치는 주택의 도어, 금고, 차량의 도어 등과 같이 특정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 중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잠금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 인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한 후에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잠금쇠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locking device is widely used as being configured to open or close a specific space, such as a door of a house, a safe, a door of a vehicle, and the like. Among the locking devices, the door lock device is widely used in general homes or public buildings. Typically, locks are used for entrance doors, bank vaults, and access controls to restrict access to specific areas. Recently, a digital door lock device that can lock and unlock a door by linearly moving a clamp by operating a motor or a solenoid after authenticating a user through a password input or a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has been widely used.

이러한 도어록 장치의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록 장치(100')는 도어(1)에 결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도 1에서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진 잠금쇠(2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에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서, 모터나 솔레노이드의 작동시 잠금쇠(20')가 직선 구동된다. 또한, 문설주(2)의 실내측 부분에는 캡부재(30')가 설치된다. 캡부재(30')는 문설주(2)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캡부재(30')에는 잠금쇠 삽입공(31')이 형성되며, 잠금쇠 삽입공(31')은 잠금쇠(20')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캡부재(30')가 문설주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잠금쇠 삽입공(31')은 문설주(2)에 의해 막혀서 잠금쇠(20')의 직선 이동방향을 따라서 일측으로만 개방된다. 즉, 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쇠(20')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문설주(2)나 캡부재(30')에 의해 막히게 되어 잠금쇠(20')의 직선 이동이 방지된다. One example of such a door lock device is shown in FIGS. 1 and 2.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oor lock device 100 ′ includes a housing 10 ′ coupled to the door 1 and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 (horizontal direction in FIG. 1). It is linearly movable and has a clamp 20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 motor or solenoid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 and the clamp 20' is linearly driven when the motor or the solenoid is operated. In addition, the cap member 30 'is provided in the indoor side part of the door post 2. The cap member 30 'is fixed to the door post 2 by bolts. The cap member 30 'is formed with a fastener inserting hole 31', and the fastener inserting hole 31 'is opened to both sides along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fastener 20'. Then, in the state where the cap member 30 'is fixed to the door holder, the clamping hole insertion hole 31' is blocked by the door holder 2, and is opened to only one side along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clamp 20 '. That is, even if the clamp 20 'is inserted into the clamp insertion hole 31', even if it mov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clamp 20 ', it is blocked by the door holder 2 or the cap member 30'. This prevents the linear movement of the clamp 20 '.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잠금쇠(20')는 직선 구동되어 잠금쇠 삽입공(31')을 출입하게 된다. 그리고, 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1')에 삽입되면 도어(1)가 록킹되며, 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1')으로부터 이탈되어 하우징(10')에 몰입되면 도어(1)가 록킹 해제된다. In the door lock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lamp 20 'is linearly driven to enter and exit the clamp insertion hole 31'. When the clamp 20 'is inserted into the clamp insertion hole 31', the door 1 is locked, and the clamp 20 'is separated from the clamp insertion hole 31' and immersed in the housing 10 '. The door 1 is unlocked.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도어(1) 및 문설주(2) 사이에 형성된 틈(3)을 통해서 물리적 해킹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즉, 틈(3)에 소위 빠루라 불리우는 가늘고 긴 해킹도구(미도시)를 삽입한 후에 잠금쇠(20')를 젖히면, 잠금쇠(20')가 변형됨과 동시에 문설주가 부서지거나 잠금장치의 하우징이 파손되면서 도어(1)가 강제로 록킹해제된다. 특히, 잠금쇠가 젖혀질 때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쇠가 도어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잠금쇠 삽입공(31')의 내측면과 선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므로, 잠금쇠(20')가 쉽게 움직이면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1 as shown in Figure 1, there is a limitation that physical hacking is possible through the gap (3) formed between the door 1 and the door holder (2). That is, when the clamp 20 'is flipped after inserting a long elongated hacking tool (not shown) into the gap 3, the clamp 20' is deformed and the door jam is broken or the housing of the locking device is broken. Door 1 is forcibly unlocked. In particular, when the clamp is turned down, the clamp is moved toward the door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clamp is slid in lin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lamp insertion hole 31 ′, so that the clamp 20 'is easily It can be deformed while moving.

이와 같이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물리적 해킹시 잠금쇠(20')가 쉽게 변형될 수 밖에 없어 물리적 해킹에 매우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clamp 20 'can be easily deformed at the time of physical hacking, and thus is very vulnerable to physical hack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해킹이 발생하더라도 잠금쇠 삽입공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부가 잠금쇠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 또는 돌출부에 걸리게 되어 잠금쇠의 강제적인 후퇴가 제한을 받게 되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잠금쇠의 변형 및 이에 따른 잠금장치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잠금장치의 내구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hysical hack occurs, the lock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amp insertion hole is caught in the groove or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clamp so that the clamp is forced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retraction is limited to provide a lock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deformation of the clamp and the damage of the locking device an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해킹이 발생하더라도 잠금쇠 삽입공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부가 잠금쇠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진 부분에 걸리게 되어 잠금쇠의 강제적인 후퇴가 제한을 받게 되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잠금쇠의 변형 및 이에 따른 잠금장치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잠금장치의 내구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physical hacking occurs,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amp insertion hole is caught on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clamp so that the forced retraction of the clamp is limited It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locking device and thereby significant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쇠;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의 실내 및 실외를 각각 향하는 상기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에 대해 오목한 홈부 또는 상기 측면에 대해 돌출된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coupled to the door; And a lock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door, the lock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wherein the door has an interior side surface of the lock that faces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door,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outdoor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concave groove portion or a protrusion portion projecting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잠금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쇠;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의 실내 및 실외를 각각 향하는 상기 잠금쇠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측면이 상기 도어의 실내를 향하는 측면이면,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실외측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 및 상기 도어의 실내를 향하는 경사진 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며, 상기 경사진 측면이 상기 도어의 실외를 향하는 측면이면, 상기 가상의 평면 및 상기 도어의 실외를 향하는 경사진 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type of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the door; And locks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doors, the locks being coupled to the housings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s, and both sides of the locks facing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door, respectively. At least one side of the door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if the inclined side is a side facing the interior of the door, is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and the virtual side parallel to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The distance between the plane and the inclined side toward the interior of the door decreases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oor, and if the inclined side is the side toward the outdoor of the door,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plane and the exterior of the door The distance between the inclined sides increas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oor. .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을 통한 물리적 해킹시에 잠금쇠 삽입공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부가 잠금쇠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 또는 돌출부 또는 경사진 부분에 걸리게 되어 잠금쇠의 강제적인 후퇴가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잠금쇠의 변형 및 이에 따른 잠금장치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잠금장치의 내구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ysical hac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holder,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ng on the inner side of the clamp insertion hole is caught in the groove portion or the protrusion or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clamp so that the forced retraction of the clamp is limited. Will receive. Therefore, to provide a lock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deformation of the clamp and thereby the damage of the locking device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내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물리적 해킹 시도시 잠금쇠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실내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물리적 해킹 시도시 잠금쇠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Ⅴ-Ⅹ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as viewed from an indoor side.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II line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II line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clamp in the attempt of physical hackin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indoor sid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V line of FIG. 4 and schematically shows the shape of the clamp when attempting physical hackin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of principal parts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XV of FIG. 14.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실내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물리적 해킹 시도시 잠금쇠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inside,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V line of FIG. 4, and FIG. 6 is a schematic of the V-V line of FIG. 4. A cross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clamp in a physical hacking attemp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100), 즉 도어록 장치는 기계식 도어록 장치나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구분없이 적용될 수 있다. 4 to 6, the lock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door lock device may be applied to a mechanical door lock device or a digital door lock device driven by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or a solenoid.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100)는 하우징(10)과, 잠금쇠(20)와, 캡부재(30)와,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The lock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 a clamp 20, a cap member 30,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하우징(10)은 도어(1)에 결합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설치공간에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미도시)가 설치된다.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서 각각 회전 구동력 또는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하우징(10)에는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11)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에는 수동조작 노브(12)가 설치되어 있어서, 노브(12)의 회전시 잠금쇠는 직선 이동한다.The housing 10 is coupled to the door 1. An installation space (not shown) is formed in the housing 10 to allow various components to be installed. A motor or solenoid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10. The motor or solenoid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and generates rotational or linear driving force, respectively. In addition, a button 11 for operating a motor or a solenoid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In addition,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manual operation knob 12, so that the locking clasp moves linearly when the knob 12 is rotated.

잠금쇠(20)는 도어(1)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쇠(20)는 하우징(1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쇠(20)는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즉, 잠금쇠(2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잠금쇠(20)에는 한 쌍의 홈부(211,221)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잠금쇠(20)는 잠금쇠(20)의 직선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The catch 20 is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1. The catch 2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The catch 20 moves linear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clamp 20 moves in a direction projecting or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 pair of grooves 211 and 221 are formed in the clasp 20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lamp 20 is formed long in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clamp 20.

한 쌍의 홈부(211,221)는 잠금쇠의 실내측면(21) 및 실외측면(22)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실내측면(21)은 도어(1)의 실내측을 향하며, 실외측면(22)은 도어(1)의 실외측을 향하는 면을 말하며,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은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한다. 실내측면(21) 및 실외측면(22)은 서로 평행하며, 도어의 두께방향에 대해 각각 직교한다. 그리고, 각 홈부(211,221)는 잠금쇠(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홈부(211,221)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된 형상과 달리 톱니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걸림부가 물리적 해킹시에 잘 걸릴 수만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홈부(211,221)는 실내측면(21) 및 실외측면(22)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잠금쇠(20)의 상측면 및 하측면까지 연장된다.The pair of grooves 211 and 221 are recessed in the indoor side 21 and the outdoor side 22 of the clamp, respectively. Here, the indoor side 21 is toward the interior side of the door 1, the outdoor side 22 refers to the side toward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1,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Facing direction. The indoor side 21 and the outdoor side 22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orthogon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respectively. Each of the grooves 211 and 221 is elonga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amp 20. The cross sections of the grooves 211 and 221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unlike the shape shown in FIG. 4, and the shape of the grooves 211 and 221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hook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aught well during physical hacking. In addition, each of the grooves 211 and 221 is formed lo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indoor side 21 and the outdoor side 22 extends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lasp 20.

캡부재(30)는 문설주(2)에 결합된다. 캡부재(30)는 사출이나 압축 또는 벤딩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캡부재(30)에는 잠금쇠(20)가 삽입되는 잠금쇠 삽입공(31)이 형성된다. 잠금쇠 삽입공(31)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잠금쇠(20)는 잠금쇠 삽입공(31)에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캡부재(30)는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는 막혀 있다. 여기서, 막혀있다는 의미는 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잠금쇠(20)가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캡부재(30)에 의해 막혀서 캡부재(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잠금쇠(20)는 잠금쇠 삽입공(31)의 일측으로만 출입할 수 있게 된다.Cap member 30 is coupled to the jamb (2). The cap member 30 is formed by an injection, compression or bending process. The cap member 30 is formed with a clamp insertion hole 31 into which the clamp 20 is inserted. Clamp insertion hole 31 is open to one side, the clasp 20 is able to enter and exit the clasp insertion hole (31). The cap member 30 is clo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 Here, the meaning of being blocked means that the clamp 20 is blocked by the cap member 30 even if the clamp 20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 in the state where the clamp 20 is inserted into the clamp insertion hole 31. Deviation from is meant. As a result, the catch 20 is allowed to enter only one side of the clamp insertion hole 31.

또한, 캡부재(30)에는 한 쌍의 걸림부(32)가 형성된다. 한 쌍의 걸림부(32)는 잠금쇠 삽입공(31)의 입구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걸림부(32)는 물리적 해킹이 없는 평상시에는 잠금쇠(20)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걸림부(32) 사이에는 잠금쇠(20)가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부(32)는 각각 잠금쇠의 홈부(211,221)에 대응되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ap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engaging portions 32. The pair of catching portions 3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the inlet of the clamping hole 31.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32 are normally spaced apart from the linear movement path of the clamp 20 when there is no physical hacking, and in a state where the clamp 20 is inserted into the clamp insertion hole 31, The catch 20 is dispos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32 of the.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32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groove portions 211 and 221 of the clamp and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동력전달수단은 모터의 회전 구동력 또는 솔레노이드의 직선 구동력을 잠금쇠로 전달하여 잠금쇠를 직선 구동한다. 동력전달수단은 기어나 링크 또는 회전부재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동력전달수단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780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13122호 등 다양한 형태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ransmit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or the linear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to the clamp so as to drive the clamp straight.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or a link or a rotating memb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re already known in various forms,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No. 278038 and Korean Patent No. 813122,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100)에 있어서,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 도어(1) 및 문설주(2) 사이의 틈(3)을 통해 빠루 등과 같은 해킹도구를 삽입한 후에 잠금쇠(20)를 젖히면, 잠금쇠(20)가 도어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잠금쇠에 형성된 홈부(211)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32) 중 하나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쇠의 홈부(211,221) 중 어느 하나의 홈부(211)에 지지부재의 걸림부(32)가 걸리게 되면, 잠금쇠(20)는 후퇴 방향, 즉 케이스(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저항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쇠(20)가 저항하면, 도어(1)가 강제적으로 록킹 해제되면서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음), 잠금장치(100)의 물리적 해킹에 대한 보안성이 크게 개선된다. 아울러 잠금쇠의 변형 및 이에 따른 잠금장치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잠금장치의 내구성도 크게 향상된다. In the locking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inserting a hacking tool such as parru through the gap 3 between the door 1 and the door holder 2 while the door 1 is locked, When the 20 is flipped, the catch 20 moves toward the door. And, as shown in Figure 6, the groove portion 211 formed in the clasp is caught by one of the pair of engaging portions 32 formed in the cap member. When the locking portion 32 of the support member is caught by any one of the groove portions 211 and 221 of the clasp as described above, the clasp 20 moves linearly in a retracting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case 10. You resist. In this way, when the clamp 20 resists, the door 1 is forcibly unlocked and not opened (the lock 20 is not detached from the clamp insertion hole 31), thereby physically hacking the lock 100. Security is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deformation of the clamp and consequent breakage of the locking device are effectively blocked, and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is greatly improved.

특히, 홈부(211,221) 및 걸림부(32)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잠금쇠(20)가 젖혀지는 방향에 무관하게 홈부 및 걸림부 간의 걸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잠금쇠(20)가 도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면 실내측면에 형성된 홈부(211)가 걸림부(32)에 걸리게 되며, 잠금쇠(20)가 도어(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젖혀지면 실외측면에 형성된 홈부(221)가 걸림부(3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보안성이 크게 개선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grooves 211 and 221 and the locking portion 32 are formed in pairs, the locking portion 20 and the locking portion 32 can be form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amp 20 is folded down. That is, when the catch 20 is flipped away from the door 1, the groove 211 formed in the indoor side is caught by the catching part 32, and the catch 20 is flipp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door 1. The groove 221 form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ground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32. Therefore, the security of the locking device is greatly improved.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캡부재에 한 쌍의 걸림부가 한 몸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부재(30a)가 서로 결합되는 제1캡요소(35) 및 제2캡요소(36)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캡요소(35) 및 제2캡요소(36)에는 각각 걸림부(32)가 형성된다. 제1캡요소(35)는 앞선 실시예의 캡부재(30)와 외형적으로는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며 잠금쇠 삽입공(31)을 포함한다. 다만, 제1캡요소(35)는 앞선 실시예의 캡부재(30)와 달리 걸림부가 하나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캡요소(36)는 제1캡요소(35)에 볼트결합, 접착제 또는 돌기 및 홈에 의한 결합구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제1캡요소(35)에 형성된 홈부(351)에 제2캡요소(36)에 형성된 돌기(361)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제2캡요소(36)에는 걸림부(32)가 형성된다. 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p member is configured to have a pair of engaging portions formed in one body, but as shown in FIG. 7, the first cap element 35 and the first cap element 35a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wo cap element (36). Here, the engaging portion 32 is formed in the first cap element 35 and the second cap element 36, respectively. The first cap element 35 is formed to be almost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cap member 30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includes a clamping hole 31. However, unlike the cap member 3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cap element 35 is provided with only one locking portion. In addition, the second cap element 3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ap element 35 in various ways such as a bolted structure, an adhesive structure or a coupling structure by protrusions and grooves, and the first cap element 3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s 361 formed on the second cap element 36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351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351. The second cap element 36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32.

이와 같이 캡부재가 제1캡요소(35) 및 제2캡요소(3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앞선 실시예와 달리 생산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즉, 캡부재(30)가 한 쌍의 걸림부(32)를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 생산비가 크게 증가하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캡요소(35) 및 제2캡요소(36)로 분리하여 생산한 후에 결합하면 제조가 매우 용이해 진다.Thus, if the cap member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cap element 35 and the second cap element 36,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is, when the cap member 30 is formed to include all of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32,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but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ap element 35 and If separated after the production by the second cap element 36, the combination is very easy to manufacture.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에 각각 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에 각각 한 쌍 이상의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잠금쇠의 실내측면 또는 실외측면에만 홈부가 하나 또는 복수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어가 실내측으로 열리는 경우에는 물리적 해킹에 의해 도어가 실내측으로 움직이도록 힘을 받게 되므로 잠금쇠의 실내측면(21)에만 홈부가 설치되어도 충분하며, 도어가 실외측으로 열리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도어가 실외측으로 움직이도록 힘을 받게 되므로 잠금쇠의 실외측면에만 홈부가 설치되어도 충분하다.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lasp, respectively, but one or more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lasp, respectively. Only one or more grooves may be formed. In other words, when the door is opened to the indoor side, the door is forced to move to the indoor side by physical hacking, so a groove may be provided only on the indoor side 21 of the clamp,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o the outdoor side, the door is similarly opened to the outdoor side. The grooves are only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clamp because it is forced to move.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잠금쇠의 실내측면 또는 실외측면에 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쇠의 측면에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groove is formed on the indoor side or the outdoor side of the clasp, but as shown in FIG. 8,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lasp may be formed.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금쇠(20b)의 실내측면(21)에는 복수의 돌출부(212)가 돌출 형성된다. 각 돌출부(212)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잠금쇠의 상측면 및 하측면까지 연결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잠금쇠의 실외측면(22)에도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돌출부(212)와 동일한 형태의 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잠금쇠(20b)의 정상작동시에 잠금쇠의 돌출부(212)가 잠금쇠의 직선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캡부재의 잠금쇠 삽입공 및 하우징에 형성된 잠금쇠 출입구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잠금쇠에 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리적 해킹시에는 잠금쇠의 돌출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부재의 걸림부(3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물리적 해킹에 대한 보안성이 보다 향상되며, 나아가 잠금장치의 내구성도 증가한다. 그리고 돌출부(212)가 복수 형성되어, 물리적 해킹시 외력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걸림부(32)에 걸리는 돌출부(212)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돌출부(212)가 다시 걸림부(32)에 걸리게 되므로, 잠금쇠(20)의 후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2 protrude from the interior side surface 21 of the clamp 20b. Each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it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lamp.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outdoor side 22 of the clasp, a protrusio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f course, the clamping hole formed in the cap member insertion hole and the housing of the cap member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protrusion 212 of the clamping memb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clamping member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lamping member 20b.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212 is formed on the clamp,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212 of the clamp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32 of the cap member as illustrated in FIG. 9. Therefore, the security against physical hacking of the locking device is further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is further increased.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2 are formed, and external force is excessively applied during physical hacking so that the protrusions 212 caught on the catching part 32 are damaged, the other protrusions 212 are caught by the catching part 32 agai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the retraction of (20).

또한,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잠금쇠의 측면에 홈부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부나 돌출부 없이 잠금쇠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잠금쇠의 선단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grooves or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lamps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lamps may be configured without the grooves or protrusions as shown in FIG. 10. 10, only the tip of the clamp is shown for simplicity of the drawing.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금쇠(20c)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21c,22c)에는 홈부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만,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21c,22c)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도어(1)의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실내측면(21c) 및 실외측면(22c)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21c,22c) 사이의 거리는 도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no grooves or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surfaces 21c and 22c of the clamp 20c. However,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21c, 22c of the clasp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 That is, the indoor side 21c and the outdoor side 22c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ior side and the exterior side 21c, 22c of the clasp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oor 1.

이와 같이 잠금쇠의 실내측면(21c) 및 실외측면(22c)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물리적 해킹시에 잠금쇠의 경사진 측면(21c,22c) 중 어느 하나가 지지부재의 걸림부(32)에 걸리게 되어 잠금쇠(20c)의 후퇴가 방해를 받게 된다. 특히 경사진 측면(21c,22c)에는 물리적 해킹시 인가되는 하중이 대부분 지지됨으로써 잠금쇠의 후퇴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잠금쇠가 후퇴하지 않게 되면, 도어를 강제로 록킹해제할 수 없게 되므로, 잠금장치의 보안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실내측면(21c) 및 실외측면(22c) 중 어느 하나만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interior side surface 21c and the exterior side surface 22c of the clasp are inclined as described above, any one of the inclined side surfaces 21c and 22c of the clasp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32 of the support member during physical hacking. The retreat of 20c is hindered. In particular, the inclined side surfaces (21c, 22c) is supported most of the load applied during physical hacking,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retraction of the clamp. If the clasp does not retreat as described above, the door cannot be forcibly unlocked,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of the lock. In addition, only one of the indoor side 21c and the outdoor side 22c may be inclined.

한편, 제1실시예의 잠금장치에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로 구성된다. 탄성부재(40)는 홈부(211,221)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 구비된다. 탄성부재(40)의 외측면들은 각각 잠금쇠의 실내측면(21) 및 실외측면(22)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내측면(21) 및 실외측면(22)에 대해 약간 돌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40)는 홈부(211,221)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홈부를 완전히 메울 수 있도록 그 크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부(211,221)의 일부만 채우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에는 잠금쇠(20)가 출입하는 출입구(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출입구(13)는 하우징의 측면(101)에 관통 형성된다. 하우징의 측면(10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출입구(12) 부근의 하우징 측면의 두께는 모두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astic member 40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The elastic member 4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such as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for example, rubber, coil spring, leaf spring, etc.,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rubber. The elastic member 40 is provided in pair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211 and 221,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s of the elastic member 40 are preferably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the indoor side 21 and the outdoor side 22 of the clamp, respectively, but slightly protrude from the indoor side 21 and the outdoor side 22. It may be arranged. The elastic member 4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s of the grooves 211 and 221 so that the size thereof may be formed to completely fill the grooves, and may be formed to fill only a part of the grooves 211 and 221 as shown in the drawing. .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a doorway 13 through which the stopper 20 enters and exits. Specifically, the doorway 13 i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101 of the housing. The side surfaces 101 of the housing have a plate shape, and the thicknesses of the housing side surfaces near the entrance 12 are all the same.

이와 같이 탄성부재(40)가 홈부(211,221)에 결합되면, 잠금쇠(20)의 정상적인 직선 이동과정에서 잠금쇠(20)의 수평도가 약간 흔들리더라도 하우징의 출입구(13) 부근이 잠금쇠(20)의 홈부(211,221)에 삽입되지 않아 걸리지 않게 된다. 물론 캡부재의 걸림부(32)도 물리적 해킹 시도가 없는 경우에는 잠금쇠의 홈부(211,221)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잠금쇠(20)의 작동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측면(101) 두께가 홈부(211,221)의 폭 보다 작더라도, 잠금쇠(20)가 하우징 측면(101)에 형성된 출입구(13)를 통하여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거나 돌출되게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잠금쇠의 홈부(211,221)로 하우징의 측면(101)이 삽입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탄성부재(40)가 하우징의 측면(101)의 삽입에 저항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1실시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적 해킹 시도가 있는 경우에는, 잠금쇠(20)가 물리적 해킹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부재의 걸림부(32)에 걸리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40)가 걸림부(32)에 의해 가압되므로, 탄성부재(40)의 외측면이 잠금쇠의 실내측면(21)에 대해 몰입되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적 해킹 시도시에는 캡부재의 걸림부(32)가 홈부(211,221)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 When the elastic member 40 is coupled to the grooves 211 and 221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level of the clamp 20 is slightly shaken during the normal straight movement of the clamp 20, the door 13 of the housing is located near the door 20. It is not inserted into the grooves 211 and 221 of the so as not to be caught. Of course, the locking portion 32 of the cap member is also not caught by the grooves 211 and 221 of the clamp when there is no physical hacking attempt.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clamp 20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side surface 101 of the housing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s 211 and 221, the clamp 20 is linearly moved to immerse or protrude relative 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doorway 13 formed in the housing side 101. In the process, the side surfaces 101 of the housing are not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s 211 and 221 of the clamp. This is because the elastic member 40 resists the insertion of the side surface 101 of the hous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physical hacking attemp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tch 20 is moved by the physical hacking force in the direction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32 of the cap member as shown in FIG. . In this process, since the elastic member 40 is pressed by the locking portion 32,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40 is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interior side surface 21 of the clamp. Accordingly,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physical hacking attempt is attempted, the locking portion 32 of the cap member is caught by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s 211 and 221.

한편, 도 11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하우징의 측면 두께(t2)가 홈부의 폭(t1) 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측면(101) 두께(t2)가 홈부(211,221)의 폭(t1) 보다 크면, 잠금쇠의 작동과정에서 하우징의 측면이 잠금쇠의 홈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잠금쇠의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11, as shown in FIG. 12, the elastic member is not provided and the side thickness t2 of the housing is larger than the width t1 of the groove portion. You can configure the device. As such, when the thickness t2 of the side surface 101 of the housing is greater than the width t1 of the groove portions 211 and 221,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of the clasp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asp.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clamp is made more smoothly.

또한,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에만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쇠(20f)의 상측면(23) 및 하측면(24)에까지 홈부(231,24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홈부(231,241)가 형성되며, 상측면(23) 및 하측면(24)의 홈부(231,241)에 각각 대응되는 걸림부(미도시)가 캡부재에도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쇠(20f)가 실내측면, 실외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 등 어느 방향으로라도 물리적 해킹 시도가 이루어지더라도, 홈부 및 걸림부 간의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물리적 해킹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13은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잠금쇠만이 도시되어 있다. 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grooves are formed only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lasp, but as shown in FIG. 13, the grooves 231 and 241 are extended to the upper side 23 and the lower side 24 of the clasp 20f.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s 231 and 241 are formed, and locking portion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231 and 241 of the upper side 23 and the lower side 24 are also formed in the cap member. Therefore, even if the locking clasp 20f attempts to physically hack in any of the indoor side, the outdoor sid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locking between the groove and the engaging portion is made, thereby preventing physical hacking. For reference, FIG. 13 shows only the clamp for the sake of simplicity.

마지막으로, 앞선 실시예들에서 잠금쇠가 직선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직선이동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핀 및 장공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Finally,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lamp is configured to move linearly, which is configured to be guided by guide pins and holes as shown in FIGS. 14 and 15.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10e)은 상호 결합되며 내부에 잠금쇠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5) 및 커버(16)를 포함한다. 케이스(15)에는 봉 형상의 돌출부(151)가 형성되며, 돌출부(151)에는 잠금쇠의 실내측면(21)이 접촉 지지된다. Referring to FIGS. 14 and 15, the housing 10e includes a case 15 and a cover 16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a clamp is installed. The case 15 has a rod-shaped protrusion 151 formed therein, and the protrusion 151 has an inner side surface 21 of the clamp.

장공(25)은 잠금쇠(20e)에 잠금쇠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장공(25)에는 가이드핀(50)이 삽입되며, 가이드핀(50)의 일단부는 돌출부(151)에 나사결합된다. 즉 가이드핀(50)의 일단부에는 수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돌출부(151)에는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핀(50)의 타단부는 커버(16)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핀(50)의 외주면에는 환상부(51)가 돌출 형성되며, 환상부(51)는 잠금쇠(20e) 중 장공(25)의 단턱(251)에 접촉 지지된다. 따라서 잠금쇠(20e)는 가이드핀(5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The long hole 25 is formed long in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clasp to the clasp 20e. The guide pin 5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25, and one end of the guide pin 50 is screwed to the protrusion 151. That is, male threads (not shown)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pin 50, and female thread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protrusion 151.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n 50 is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6. The annular portion 51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n 50, and the annular portion 51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 251 of the long hole 25 of the clasp 20e. Therefore, the clamp 20e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pin 50.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쇠(20e)는 가이드핀(50) 및 장공(25)에 의해 그 직선이동이 가이드된다. 특히, 물리적 해킹 시도시에는 잠금쇠(20e)의 선단부가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눌려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도 잠금쇠(20e)는 케이스의 돌출부(151) 및 가이드핀의 환상부(51) 사이에서 지지되며 나아가 가이드핀(50)의 타단부가 케이스(16)에 의해 접촉 지지되므로, 케이스(15)나 커버(16)가 파손되지 않는 한 가이드핀(50)이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만약 가이드핀이 본 실시예에 비해 짧아서 가이드핀의 타단부와 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물리적 해킹시 잠금쇠에 외력이 인가되어 가이드핀이 케이스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잠금쇠의 파손이 더욱 가속화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핀(50)이 커버(16)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잠금쇠(20e)의 보안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lamp 20e is guided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guide pin 50 and the long hole 25. In particular, when attempting physical hacking, the distal end of the clamp 20e is pressed toward the indoor side or the exterior side, and even in this case, the clamp 20e is support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151 of the case and the annular portion 51 of the guide pin. Since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n 50 is supported by the case 16, the guide pin 50 does not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unless the case 15 or the cover 16 is damaged. If the guide pin is shorter than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n and the cover, when the physical hacking is appli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lamp so that the guide pin moves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case. Is accelerated. Thu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guide pin 50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ver 16,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curity of the clamp 20e is mor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에서는 모두 잠금장치가 도어록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나, 잠금장치는 금고의 잠금장치,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 또는 특정 공간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잠금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s, all of the locking device is configured as a door lock device, but the locking device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lock of a safe, a lock of a car door, or a lock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pecific space. have.

1...도어 2...문설주
3...틈 10,10e...하우징
13...출입구 15...케이스
16...커버 20,20b,20c,20f...잠금쇠
21,21c...실내측면 22,22c...실외측면
23...상측면 24...하측면
25...장공 30,30a...캡부재
31...잠금쇠 삽입공 32...걸림부
35...제1캡요소 36...제2캡요소
40...탄성부재 50...가이드핀
51...환상부 100...잠금장치
101...하우징 측면 151,212...돌출부
211,221,231,241...걸림부 251...단턱
1 ... door 2 ...
3 ... crack 10,10e ... housing
13 ... Entrance 15 ... Case
16.Cover 20, 20b, 20c, 20f ... Lock
21, 21c ... Indoor side 22, 22c ... Outdoor side
23 Top side 24 Bottom side
25.Long 30,30a ... Cap member
31 Locking hole 32
35 ... first cap element 36 ... second cap element
40.Elastic member 50.Guide pin
51.Fantasy 100 ... Lock
101 ... housing side 151,212 ... protrusions
211,221,231,241

Claims (9)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쇠;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의 실내 및 실외를 각각 향하는 상기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에 대해 오목한 홈부 또는 상기 측면에 대해 돌출된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 housing coupled to the door; And
A lock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the lock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interior side and the exterior side of the clasp facing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door, at least one groove portion concave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r at least one protrusion portion protruding with the sid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홈부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의 실내측면 및 실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홈부가 형성되며,
상방 및 하방을 각각 향하는 상기 잠금쇠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는 각각 상기 상측면 및 하측면에 대해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lamp, respectively.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each of the clasps facing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돌출부가 복수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device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is made of a rod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홈부가 형성된 상기 잠금쇠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홈부가 형성된 상기 잠금쇠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ch is formed with the groove portion,
The groov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and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of the clamp having the groove portion or the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clamp having the groove portion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쇠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출입구 부근의 상기 하우징 벽 두께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ch is formed with the groove portio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stopper enters,
And the width of the groove is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wall near the doorway.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쇠;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의 실내 및 실외를 각각 향하는 상기 잠금쇠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측면이 상기 도어의 실내를 향하는 측면이면,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실외측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 및 상기 도어의 실내를 향하는 경사진 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며,
상기 경사진 측면이 상기 도어의 실외를 향하는 측면이면, 상기 가상의 평면 및 상기 도어의 실외를 향하는 경사진 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A housing coupled to the door; And
A lock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the lock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clasp toward the indoor and outdoor of the door, respectively,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If the inclined side is a side facing the interior of the door,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inary plane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and parallel to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and the inclined side toward the interior of the door is from the door. Decrease in the direction away
And when the inclined side is a side facing the outdoor of the door, a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plane and the inclined side facing the outdoor of the door increas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o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의 실내 및 실외측을 각각 향하는 양 측면은 모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쇠의 양 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Both sides of the clasp toward bo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are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catch increas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oor.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잠금쇠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쇠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상기 케이스 및 커버에 고정되는 가이드핀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잠금쇠의 실내측면 또는 실외측면은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housing includes a case and a cover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clamp is installed,
The clasp is formed with a long hole in one direction,
The long hole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fixed to the case and cover,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guide pin is disposed to contact the case or cover,
The indoor side or the outdoor side of the clasp is disposed so as to contact with the case or cover.
KR1020100074883A 2009-12-30 2010-08-03 lock Ceased KR2011007947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7060 2009-12-30
KR2020090017060 2009-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74A true KR20110079474A (en) 2011-07-07

Family

ID=4491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83A Ceased KR20110079474A (en) 2009-12-30 2010-08-03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947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369B1 (en) * 2023-07-21 2025-01-09 (주)밴플러스 Sliding-Type Door Locking Unit for Cargo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369B1 (en) * 2023-07-21 2025-01-09 (주)밴플러스 Sliding-Type Door Locking Unit for Cargo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57333B2 (en)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101184217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KR101237642B1 (en) Multi-stage lock on sliding door
KR20110079474A (en) lock
KR20110010936U (en) Safety device for door
KR200452304Y1 (en) Door lock device with fixed hook
KR200428171Y1 (en) Lock on sliding door
KR20240148088A (en) Key operation part for the door safety switch of the safety fence in the danger area and how to operate the door safety switch of the safety fence in the danger zone using the key operation unit
KR101003230B1 (en) Sliding window automatic locking device
CN213980341U (en) Tapered end, tool to lock and sliding door
KR101804087B1 (en) Lock box of the door locking device
EP2532811A1 (en) Double-bit safety lock
CN101074590A (en) Safety electromagnetic lock
KR20100075421A (en) Door lock device
CN209704232U (en) The self-locking prying-resistant structure of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CN221722522U (en) Door lock with large bullet lock cylinder
KR102616066B1 (en) Smart door lock for sliding door
KR20130003055U (en) A lock for windows
KR200288731Y1 (en) Box ass'y for entrance door lock
US20210131152A1 (en) Latchbolt mechanism and latchbolt accommodating mechanism
KR20110023421A (en) Button-typ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windows
KR20210012757A (en) Lock handle for door
KR20100109102A (en) Door lock device
CN108798261B (en) Key with a key holder
RU116171U1 (en) LOCK LOCK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