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148A - Bathroom system module - Google Patents

Bathroom system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148A
KR20110079148A KR1020090136123A KR20090136123A KR20110079148A KR 20110079148 A KR20110079148 A KR 20110079148A KR 1020090136123 A KR1020090136123 A KR 1020090136123A KR 20090136123 A KR20090136123 A KR 20090136123A KR 20110079148 A KR20110079148 A KR 20110079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case
bathroom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2279B1 (en
Inventor
남기용
Original Assignee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79B1/en
Publication of KR2011007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03D11/143Mounting frames for toilets and 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Abstract

PURPOSE: A bathroom system module is provided to improve strength by stably coupling decorative plates, exposed to the outside a shielding unit, to frames. CONSTITUTION: A bathroom system module comprises a frame unit(10), a case(20), and a connection pipe(30). The frame unit comprises multiple frames(12,14,16) coupled to form a space of a water supply pipe. the water supply pipe is exposed to the wall surface of a bathroom. The case comprises support plates(22) and decorative plates(24). The support plates are coupled to a part of the frame unit. The decorative plates shield a part of the frame unit. The connection pipe is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Description

욕실 시스템 모듈{Bathroom System Module}Bathroom System Module

본 발명은 욕실 시스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관 및 연결배관을 차폐하는 차폐유닛을 구비하고, 차폐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욕실 시스템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system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hroom system module having a shielding unit for shielding a water supply pipe and a connecting pipe, and stably coupling a decorative plate forming an exterior of the shielding unit.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세면기, 좌변기, 샤워기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욕실의 벽면에는 상기 세면기, 좌변기, 샤워기 등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설치되고, 급수관은 다양한 형태의 연결배관으로 상기 세면기, 좌변기, 샤워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세면기, 좌변기, 샤워기 등은 욕실의 벽면에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결합이 되게 된다. 그리고 욕실의 벽면은 타일 등 다양한 소재의 마감재로 마감되게 된다. In general, the bathroom is installed washbasin, toilet, shower. A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to supply water to the wash basin, the toilet bowl, and the shower. And washbasin, toilet seat, shower, etc. are coupl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by a variety of fastening means. And the wall of the bathroom is finished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tiles.

그러나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수관, 연결배관 및 세면대 등을 욕실에 벽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 등이 노후되어 변질되고, 변질에 따라 녹물 등이 스며들어 전체 욕실 벽면을 지저분하게 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급수관 및 체결부재의 둘레를 실리콘 등으로 마감하는 경우 실리콘의 탈색 등 변질에 의해서 전체 욕실이 지저분하다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문제점도 있었 다. However, after construction, as the time passes, the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water supply pipe, the connecting pipe, and the sink to the wall is deteriorated due to aging,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ntire bathroom wall is caused by the infiltration of rust. there was. In addition, when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fastening member is finished with silic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provided with an image that the entire bathroom is dirty due to deterioration such as discoloration of silicon.

그리고 특히 세면기, 샤워기 및 좌변기의 교체 작업을 하는 경우, 세면기 등이 설치된 욕실의 벽면을 마감하고 있는 타일이 깨어지는 등 마감재가 훼손될 수 있고, 세면기 샤워기 및 좌변기가 설치되었던 부분의 마감재가 변질이 되어, 세면기 등의 교체작업 이외에 욕실 벽면 전체에 마감된 마감재를 다 제거를 하고 다시 새로운 마감재로 마감작업을 해야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placing the washbasin, shower and toilet, 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damaged, such as breaking the tiles covering the wall of the bathroom in which the washbasin is install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n addition to the replacement of the washbasin, all the finishing materials that are finished on the entire bathroom wall are removed and finished with new finishing material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 연결배관 등을 간단하게 차폐할 수 있는 모듈화된 차폐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odular shielding unit that can simply shield the water supply pipe, the connection pipe and the like expos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그리고 차폐유닛에 결합되는 세면기, 좌변기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차폐유닛을 제공하고, 차폐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결합을 하면서, 강도를 보강하여 다양한 재질의 장식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차폐유닛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욕실 시스템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And it provides a shielding unit to stably support the washbasin, toilet seat, etc. coupled to the shielding unit, while stably bonding the decorative plat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shielding unit, while reinforcing the strength to shield using a decorative plate of various materials It is to provide a bathroom system module that can form the appearance of the unit.

또한,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급수관을 차폐하는 차폐유닛을 모듈화하여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차폐유닛의 장식플레이트에 동일 패턴의 장식을 형성하여 디자인적 일체감을 줄 수 있는 욕실 시스템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construct by modularizing the shielding unit for shielding a plurality of water pipes expos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bathroom system that can give a sense of unity by forming the same pattern of decoration on the decorative plate of the plurality of shielding unit In providing a module.

나아가 보조차폐유닛을 이용하여 각 차폐유닛간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욕실 시스템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Furthermore, it is to provide a bathroom system module that can shield the space between each shield unit using the auxiliary shield uni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욕실 시스템 모듈은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에 결합되고, 일정 강성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장식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포함한다. Bathroom system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fram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expos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frame portion A case including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surface and having a rigidity and a decorative plate coupled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frame, and a connection pip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t includes.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과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자석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s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in particular, one side of the case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that is caught by the frame, and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part connected by the frame and magnetic force.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 일단이 상기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급수배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급수배관의 타단과 연통되는 좌변기를 포함하는 좌변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ase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is provided in the case, the water storage tank in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is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pipe, one end is the water storage tank It may further include a toilet seat uni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case, and the toilet se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through the opening.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물급수부 및 상기 물급수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세면대를 포함하는 세면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wash basin uni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d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through the opening and a wash basin provided under the water supply unit.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샤워기를 포함하는 샤워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hower unit provided outside the case and including a shower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through the opening.

한편, 상기 욕실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급수관이 노출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급수관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차폐유닛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어 연결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좌변기 유닛, 세면기 유닛 및 샤워기 유닛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are exposed on the side of the bathroom, the shielding unit is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front of the shielding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pipe to the left toilet unit receiving water from the connection pipe One of the wash basin unit and the shower unit may be installed.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장식 플레이트는 동일한 장식패턴을 가질 수있다. Here, the plurality of decorative plates may have the same decorative pattern.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차폐유닛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차폐유닛 사이의 공간이 형성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 면을 차폐하는 보조차폐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차폐유닛은 상기 차폐유닛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부 및 상기 보조 프레임부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에 결합되고, 일정 강성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 프레임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장식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hielding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 an auxiliary shielding unit that shields at least some of the surfaces formed by the spaces between the shielding units. And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is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a surface defined by the auxiliary frame part and the auxiliary frame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hielding unit, and the support plate having a certain rigidity and the It may include an auxiliary case including a decorative plate coupled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auxiliary frame.

그리고 상기 보조 케이스의 장식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장식플레이트와 동일한 장식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차폐유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보조 케이스는 보조차폐유닛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차폐유닛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ecorative plate of the auxiliary case may have the same decorative pattern as the decorative plate of the case. In addition, an auxiliary case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may b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and a storage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욕실 시스템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bathroom system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모듈화된 차폐유닛을 간단한 설치작업을 통하여, 시공을 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되는 급수관, 연결배관 및 세면기, 좌변기 등이 설치되는 욕실의 벽면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를 한다. 따라서 시공 후 시간이 경과를 하더라도 시공시의 욕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through the simple installation of the modular shielding unit, the construction is shielded so that the wall portion of the bathroom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the connecting pipe and the wash basin, the toilet seat, etc. are installed over tim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ven when the time elapses after construction, the bathroom stat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can be maintained.

둘째, 차폐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지지플레이트 및 장식플레이 트의 이중 구조를 형성을 하여, 차폐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플레이트를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결합을 하면서, 강도를 보강하여 다양한 재질의 장식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차폐유닛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shielding unit forms a double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decorative plate, while stably bonding the decorative pl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unit to the frame, reinforcing the strength of various material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shielding unit can be formed using a decorative plate.

셋째,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되어 모듈화된 차폐유닛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차폐유닛의 장식플레이트를 동일 패턴으로 형성하여 전체 욕실 내부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ird, by using a modular shielding unit produced in a certain standard, it can be easily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corative plate of a plurality of shielding unit can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to form a sense of design inside the entire bathroom .

넷째, 규격화된 차폐유닛으로 시공을 하여 욕실의 크기, 구조 등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차폐유닛간의 공간을 보조 차폐유닛으로 차폐를 하고, 보조 차폐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를 차폐유닛의 장식플레이트와 동일한 패턴의 장식으로 형성을 하여, 욕실의 크기 및 구조 등에 상관없이 디자인적 일체감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space between the shielding units, which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bathroom, is shielded with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and the decorative plat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is installed with the decorative plate of the shielding unit. Forming with the same pattern of deco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ive a sense of design unity regardless of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bathroom.

다섯째,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 및 연결배관을 일정 공간이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이용하여 차폐를 한다. 따라서 일정공간을 차지하는 전자식 수전을 욕실의 벽면에 매립을 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를 할 수 있고, 나아가 전자식 수전의 수리 및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expos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is shielded by using a frame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refore, the electronic faucet occupying a certain space can be installed using the space of the frame portion without being embedded in the wall of the bathroom, and furthermore, the electric faucet has the advantage of easy repair and maintenance.

본 발명이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 시스템 모듈이 욕실에 시공된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욕실 시스템 모듈은 차폐유닛(100),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을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system module constructed in a bat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bathroom system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hielding unit 100, a toilet seat unit 200, a wash basin unit 300, and a shower unit 400.

차폐유닛(100)은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2) 및 급수관(2)에 연결되는 연결배관(30)을 차폐한다. 차폐유닛(100)는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2)의 수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에 물을 공급하는 3개의 급수관(2) 및 3개의 연결배관(30)을 차폐하는 3개의 차폐유닛(100)이 욕실의 벽면에 설치된다. The shielding unit 100 shields the water supply pipe 2 and the connection pipe 3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2 expos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The shielding uni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water supply pipes 2 expos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water supply pipes 2 and three connection pipes 30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bowl unit 200, the wash basin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Three shielding units 100 for shielding ar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상기 복수 개의 차폐유닛(100)의 구성은 전체적으로 동일하고, 이하 좌변기 모듈(2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차폐하는 차폐유닛(100)을 기준으로 차폐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shielding unit 100 is the same as a whole,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unit 100 on the basis of the shielding unit 100 for shielding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seat module (200).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좌변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좌변기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 unit and the toilet bowl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ield unit and the toilet seat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차폐유닛(100)는 프레임부(10), 케이스(20) 및 연 결배관(30)을 포함한다. 2 and 3, the shielding unit 100 includes a frame portion 10, a case 20, and a connection pipe 30.

프레임부(10)는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2)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즉 프레임부(10)는 욕실의 벽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프레임부(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결국 프레임부(10)가 욕실의 벽면에 결합된 경우 프레임부(10)는 전체적으로 욕실의 벽면에서 돌출되게 된다. The frame part 10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2 expos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is located. That is, the frame portion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the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frame portion 10. As a result, when the frame unit 10 is coupl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the frame unit 10 protrudes from the wall of the bathroom as a whole.

한편, 복수 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전체 프레임부(10)의 형상은 욕실 내부 구조나 디자인적 요소를 반영하여 원형, 기하학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부(10)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사각형의 박스 형상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Meanwhile, the shape of the entire frame unit 10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mbine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d a geometric shape by reflec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bathroom or a design element. And the frame portion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so that a plurality of frames form a rectangular box-shaped skeleton.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차폐유닛(100)에는 좌변기 모듈(200)이 결합되는 바 프레임부(10)의 내부의 공간에는 연결배관(30), 물저장탱크(210), 급수배관(40)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배관(30), 물저장탱크(210) 및 급수배관(40)은 후술하는 케이스(20)가 프레임부(10)가 형성하는 면을 차폐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And the shielding unit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pipe 30, the water storage tank 210, the water supply pipe 40 in the space inside the bar frame portion 10 to which the toilet seat module 200 is coupled Will be located. The connection pipe 30, the water storage tank 210 and the water supply pipe 4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case 20 to be described later shields the surface formed by the frame portion 10.

프레임부(10)는 다양한 형상의 복수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rame unit 10 may form a frame having various shap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having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 바 형상의 프레임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골격을 형성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프레임간에 개구된 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면은 후술하는 케이스(20)에 의해서 차폐되고, 프레임부(10) 내부의 급수관(2), 물저장탱크(210) 및 급수배관(4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For example, a bar-shaped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upled while forming a skeleton to form a space therein. In this case, an opening surface is formed between adjacent frames. And the opening surface is shielded by the case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supply pipe 2, the water storage tank 210 and the water supply pipe 40 in the frame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프레임부(10)는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임부(10) 내부의 급수관(2), 물저장탱크(210) 및 급수배관(4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10)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장식플레이트(24)가 결합되거나, 지지플레이트(22)와 장식플레이트(24)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unit 10 may be coupled to form a space therein with a plate-shaped frame.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pipe 2, the water storage tank 210, and the water supply pipe 40 inside the frame part 1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each frame. And the outer surface of each frame 10 may be coupled to the decorative plate 24 to be described later, or the support plate 22 and the decorative plate 24 may be sequentially coupled.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10)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 및 바 형상의 제2프레임(14)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10 includes a plate-shaped first frame 12 and a bar-shaped second frame 14.

여기서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은 2개가 구비되고, 좌, 우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전체 프레임부(10)의 좌, 우측면을 형성한다. Here, two plate-shaped first frames 12 are provided an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form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entire frame part 10.

한편,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은 욕실의 벽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프레임부(10)의 전면에 결합이 된다. 따라서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의 무게에 의한 부하는 프레임부(10)의 욕실의 벽면으로부터의 폭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가장 많이 가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toilet seat unit 200, the wash basin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unit 10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Therefore, the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toilet bowl unit 200, the wash basin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is most applied to the frame forming the width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of the frame unit 10.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의 무게에 의한 부하가 가장 많이 가해지는 프레임부(10)의 좌, 우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으로 형성하고, 전달되는 부하가 면 형상에 플레이트에 분산이 되게 된다. 결국 프레임부(10)는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part 10 to which the load by the weight of the left toilet unit 200, the wash basin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is most applied is formed. Formed with one frame 12, the load to be transmitted is distributed to the plate in the plane shape. As a result, the frame unit 10 stably supports the toilet seat unit 200, the wash basin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그리고 바 형상의 제2프레임(14)는 2개의 제1프레임(12) 사이에 연결되어 전체 골격을 형성한다. 따라서 프레임부(10) 전체를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전체 프레임부(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프레임부(10)의 무게에 따라 프레임부(10)를 욕실의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6)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bar-shaped second frame 14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first frames 12 to form an entire skeleton. Therefore, the weight of the entire frame portion 10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tire frame portion 10 is formed as the first frame 12 having a plate shape, and the frame portion 10 is form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rame portion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n the bolt 6 fix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부(10)의 좌, 우측면은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에 의해서 차폐된 면이 형성되고, 프레임부(10)의 상면, 전면, 하면은 제2프레임(14)에 의해서 개방된 면을 형성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frame par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with a shielded surface by the first frame 12 having a plate shape, and the top and front surfaces of the frame part 10 are formed. , The lower surface forms an open surface by the second frame 14.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10)를 형성하는 프레임(10)을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와 바 형상의 제2프레임(14)으로 형성하여 전체 하중을 줄이면서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10 forming the frame portion 10 is formed as a plate-shaped first frame 12 and a bar-shaped second frame 14 to reduce the overall load while the toilet seat unit 200 The stator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can be stably supported.

나아가 후술하는 케이스(20)를 프레임부(10)에서 분리하는 경우 프레임부(10)의 개구된 전면 또는 상면을 통하여 프레임부(10) 내부 공간의 배관 등의 간단한 수리 또는 청소 등의 간단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when the case 20 to be described later is separated from the frame portion 10, a simple operation such as simple repair or cleaning of piping of the space inside the frame portion 10 is performed through the opened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done easily.

한편, 차폐유닛(100)의 전면에 좌변기 유닛(100)이 결합되는 경우 프레임부(10)의 내부에는 좌변기(220)로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탱크(210)가 구비되고, 프레임부(10)는 물저장탱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16)이 2개의 제1프레임(12) 사이에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ilet seat unit 10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hield unit 100, the water storage tank 2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bowl 220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portion 10, the frame portion 10 ) Is a fixed frame 16 that can stably fix the water storage tank is coupled between the two first frame (12).

그리고 프레임부(10)는 앵커볼트(6) 등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서 욕실의 벽면에 고정이 된다. And the frame portion 1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by a variety of fastening means, such as anchor bolts (6).

케이스(20)는 프레임부(10) 및 프레임부(10)가 형성하는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그리고 케이스(20)는 지지플레이트(22) 및 장식플레이트(24)를 포함한다. The case 20 shields the space formed by the frame unit 10 and the frame unit 1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case 20 includes a support plate 22 and a decoration plate 24.

지지플레이트(22)는 일정 강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장식플레이트(24)가 접착될 수 있는 면적을 형성하고, 장식플레이트(24)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plate 2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a certain rigidity. And it is coupled to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frame portion 10. And to form an area to which the decorative plate 24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bonded, and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decorative plate 24.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는 욕실의 구조 및 디자인적 요소를 반영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22)는 프레임부(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부(10)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일부 면에 결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22)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장식플레이트(24)가 접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part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reflecting the structure and design elements of the bathroom, and the support plate 22 is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ame part 10 to form the frame part. Some aspects of the face defined by (10) may be coupled to the bond. And the decorative plate 2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22)가 복수 개의 프레임에 의해서 정의되는 개구면에 결합되는 경우 지지플레이트(22)는 개구면에 장식플레이트(24)가 접착될 수 있는 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장식플레이트(24)의 후면을 지지하면서 케이스(20) 전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결국 이 경우 장식플레이트(24)를 프레임부(20)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개구면에 결합이 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support plate 22 is coupled to the opening surface defined by the plurality of frames, the support plate 22 forms an area to which the decorative plate 24 can be adhered to the opening surface. And while supporting the rear of the decorative plate 24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entire case (20). As a result, in this case, the decorative plate 24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surface without hav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the frame portion 20.

한편, 지지플레이트(22)가 개구면에 설치되는 경우, 지지플레이트(22)는 개구면을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장식플레이트(24)가 결합될 수 있는 일정 면적을 형성하면서 개구부의 일부만을 차폐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plate 22 is installed on the opening surface, the support plate 22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shields the opening surface, forming a predetermined area to which the decorative plate 24 can be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opening Only some of them may be shielded.

따라서 전체 욕실 시스템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체결부재 및 체결홀이 노출되지 않고, 장식플레이트(24)의 외측면에 장식을 위한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장식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hole are not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entire bathroom system module, and various decorations such as forming various patterns for decor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24 can be decorated.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그리고 지지플레이트(22)는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장식플레이트(24)는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의 외측면에 직접 접착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장식플레이트(24)의 재질이 프레임부(10)에 접착이 용이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장식 플레이트(24)를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에 직접 접착을 할 수 없거나 접착을 하더라도 장식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서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And the support plate 22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frame. On the other hand, the decorative plate 24 may be directly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frame. However, when the material of the decorative plate 24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easily adhered to the frame portion 10, o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weak strength, the decorative plate 24 cannot be directly adhered to the plate-shaped frame or Even when bonded, the decorative plate is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force.

따라서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22)를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의 외측면에 다양한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을 하고, 지지플레이트(22)의 외측면에 장식플레이트(24)를 다양한 방식으로 접착을 하는 시공을 할 수도 있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22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frame by various fastening members, and the decoration plate 24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 in various ways. It may be.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부(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부(10)가 욕실의 벽면에 결합되면서 프레임부(10)의 후면은 욕실의 벽면에 의해서 차폐된다. The frame part 10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s a whole. And the frame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while the rear of the frame portion 10 is shielded by the wall of the bathroom.

그리고 프레임부(10)의 좌, 우측면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이 구비되어 제1프레임(12) 자체가 좌, 우측면을 차폐한다. 그리고 프레임부(10)의 상면, 전면 및 하면은 개구면을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frame unit 10 are provided with a plate-shaped first frame 12 so that the first frame 12 itself shields the left and right surfaces. The upper,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portion 10 form an opening surfac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12)의 외측면에 장식플레이트(24)가 직접 결합이 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장식플레이트(24)의 재질이 제1프레임(12)에 직접 접착이 안되거나 접착력이 떨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제1프레임(12)의 외측면에 지지플레이트(22)를 결합하고, 지지플레이트(22)의 외측에 장식플레이트(24)를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접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corative plate 24 is direct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2.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terial of the decorative plate 24 is not directly adhered to the first frame 12 o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low adhesive strength, or when the material of the decoration plate 24 is formed of a weak strength material, the first frame 12 may be used. Coupling the support plate 22 to the outer side of the), and the decorative plate 24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22 may be bonded in various ways.

프레임부(10)의 개구된 상면, 전면 및 하면에는 지지플레이트(22)가 결합이 되어 장식플레이트(24)가 접착이 될 수 있는 면을 형성하면서 전체 케이스(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22 is coupled to the opened upper,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portion 10 to form a surface on which the decorative plate 24 can be bonded, there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entire case 20. .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10)는 상면, 전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바, 상면, 전면 및 하면 모두에 지지플레이트(22)가 설치될 수도 있고, 일부면에 지지플레이트(2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플레이트(22)는 개방된 전면에 설치되고, 장식플레이트(24)는 지지플레이트(22)의 외측면에 접착이 된다. 그리고 프레임부(10)의 개방된 상면에는 장식플레이트(24)가 직접 결합이 되고, 프레임부(10)의 개방된 하면은 물의 배수를 위해서 장식플레이트(24) 및 지지플레이트(22)가 결합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rame part 10 has the top, front, and bottom surfaces thereof open, and the support plate 22 may be installed on both the top, front, and bottom surfaces thereof, and the support plate 22 may be installed on some surfaces thereof. Can be. And the support plate 22 in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open front, the decorative plate 24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 The decorative plate 24 is directly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 and the decorative plate 24 and the support plate 22 are not coupled to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 to drain water. Do not.

장식 플레이트(24)는 프레임부(12)는 욕실의 벽면에 의해서 차폐되는 차폐유닛(100)의 후면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 전체 차폐유닛(100)의 외관을 형 성한다. 그리고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한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장식 플레이트(24)의 외측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e decorative plate 24 is the frame portion 12 is installed in other parts except the rear of the shield unit 100 that is shielded by the wall of the bathroom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shield unit (100). And it can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element, the pattern of the various shap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24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ways.

그리고 차폐유닛(100)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차폐유닛(100)의 좌측면, 우측면, 상면, 전면 및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유닛(100)의 하면을 제외한 좌측면, 우측면, 상면,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And when the shielding unit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s a whole, it can be coupled to the left side, right side, top, front and bottom of the shielding unit 100,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00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the top side, and the front side are formed.

즉 본 실시예의 차폐유닛(100)의 개구된 하면에는 장식플레이트(24) 및 장식플레이트(24)를 접착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22)가 설치되지 않고 개구 형성된다. 따라서 급수관(2), 연결배관(30), 급수배관(40) 및 물저장탱크(210)에서 누출되는 물은 욕실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배수관(4)을 통하여 욕실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That is, the opening of the shielding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out opening the support plate 22 for adhering the decorative plate 24 and the decorative plate 24. Therefore, water leak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2, the connection pipe 30, the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water storage tank 210 is dropped to the bottom of the bathroom,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throom through the drain pipe (4). .

차폐유닛(100)의 좌, 우측면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24)는 프레임부(10)의 좌, 우측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프레임(12)에 직접 접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 플레이트(24)가 제1프레임(12)에 직접 접착이 안되거나 접착력이 떨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2)와 장식플레이트(24)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22)가 구비될 수 있다.The decorative plate 24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ielding unit 100 may be directly bonded to the plate-shaped first frame 12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unit 10. And when the decorative plate 24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directly adhered to the first frame 12 or the adhesive strength is low, whe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weak strength,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rame 12 and the decorative plate ( The support plate 2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24.

차폐유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24)는 프레임부(10)의 개구된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면서 프레임부(10)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2) 의 외측면에 접착이 된다. The decorative plate 24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00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while shielding at least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 do.

차폐유닛(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24)는 프레임(10)의 개구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면서 프레임부(10)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2)의 외측면에 접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22)가 구비되지 않고 개구면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0)의 둘레부에 지지되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구된 상면으로 노출되는 프레임부(10)에는 상면에 구비되는 장식플레이트(24)가 고정될 수 있는 홈 등이 형성되거나, 상면으로 노출되는 프레임부(10)에 장식플레이트(24)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The decorative plate 24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00 may be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while shielding at least a part of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Can be.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22 may be coupl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periphery of the frame portion 10 forming the opening surface. In this case, a groove or the like for fixing the decorative plate 2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frame portion 10 exposed to the opened upper surface, or the decorative plate 24 may be formed in the frame portion 10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It can be glued together.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의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케이스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of the shield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케이스(20)는 프레임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20)를 프레임부(10)에서 분리하고, 프레임부(10) 내부 공간의 배관 등의 간단한 수리, 청소 등의 간단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4 and 5, the case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Therefore, the user can separate the case 20 from the frame portion 10 and facilitate a simple operation such as simple repairing or cleaning of the piping of the space inside the frame portion 10.

차폐유닛(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20)가 착탈 가능하게 프레임(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유닛(2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스(2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26)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부(10)와 자력에 의해서 결합되는 자석부(2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에는 걸림돌기(26)에 대응하는 걸림홈(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20)의 경우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되는 바, 걸림돌기 없이 자석부만 구 비하여 프레임부(10)에 고정될 수도 있다.Case 2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 unit 1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10, in this embodiment of the case 20 to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 unit 20 One sid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6,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magnet portion 28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by a magnetic force. In addition, the frame part 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10a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26. In addition, the case 20 forming the upper surface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part of the frame, and may be fixed to the frame part 10 by providing only the magnet part without a locking protrusion.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20)의 걸림돌기(26)을 프레임부(10)의 걸림홈(10a)에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스(20)를 회전시켜서 프레임부(10)에 결합할 수 있고, 반대의 과정으로 프레임부(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rotate the case 2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6 of the case 20 is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10a of the frame portion 10 to be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and the reverse process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portion 10.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세면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샤워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 unit and the wash basi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 unit and shower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연결배관(30)은 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2)에 연결된다. 그리고 차폐유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케이스(20)에는 개구부(20a)가 형성되고, 연결배관(30)은 개구부(20a)를 통하여 차폐유닛(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좌변기 유닛(200)의 좌변기(220), 세면기 유닛(300)의 물급수부(310) 및 샤워기 유닛(400)의 샤워기(410)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2, 6 and 7, the connection pipe 3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20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2 expos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An opening 20a is formed in the case 2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00, and the connection pipe 3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00 through the opening 20a. Left toilet 220), the water supply unit 310 of the basin unit 300 is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shower 410 of the shower unit 400.

그리고 개구부(20a)의 위치 및 형상은 각 연결배관(30)와 연통되는 좌변기(220), 물급수부(310) 및 샤워기(410)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pening 20a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toilet seat 220, the water supply part 310, and the shower 410 communicating with each connection pipe 30.

한편, 본 발명의 차폐유닛(100)에는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ield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the left toilet unit 200, the wash basin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좌변기 유닛(200)은 물저장탱크(210), 좌변기(220) 및 급수배관(230)을 포함한다. 물저장탱크(21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연결배관(30)과 연통되어 급수관(2)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된다. 급수배관(230)은 일단이 물저장탱크(210) 에 연통된다. 좌변기(220)는 케이스(20)의 외부에 구비되고, 개구부(20a)를 통하여 급수배관(230)의 타단과 연통된다. The toilet seat unit 200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210, the toilet bowl 220 and the water supply pipe 230. The water storage tank 21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pipe 30 to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30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torage tank 210. The toilet seat 220 is provided outside the case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30 through the opening 20a.

세면기 유닛(300)은 차폐유닛(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케이스(20)의 외부에 구비되고, 개구부(20a)를 통하여 연결배관(3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물급수부(310) 및 물급수부(3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물급수부(310)에서 급수되는 물이 낙하하는 세면대(320)을 포함한다. The wash basin unit 3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2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20 and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30 through the opening 20a and water It includes a wash basin 32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31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310 falls.

그리고 샤워기 모듈(400)은 차폐유닛(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케이스(20)의 외부에 구비되고, 개구부(20a)를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샤워기(410)를 포함한다. And the shower module 4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20 forming the front of the shielding unit 20, and includes a shower 410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through the opening (20a).

한편, 좌변기 유닛(200)이 결합되는 차폐유닛(100)의 프레임부(10)는 물저장탱크(2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세면대 유닛(300)이 결합되는 차폐유닛(100)의 프레임부(10)는 세면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8)을 포함하고, 샤워기 유닛(400)이 결합되는 차폐유닛(100)의 프레임부(10)에는 샤워기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9)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rame unit 10 of the shielding unit 100 to which the toilet seat unit 200 is coupled includes a fixing frame 16 for fixing the water storage tank 210. The frame unit 10 of the shield unit 100 to which the sink unit 300 is coupled includes a fixing frame 18 for fixing the sink, and the frame of the shield unit 100 to which the shower unit 400 is coupled. The unit 10 includes a fixing frame 19 for fixing the shower module.

그리고 세면기 유닛(300)이 결합되는 차폐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샤워기 유닛(400)이 결합되는 차폐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좌변기 유닛(200)이 결합되는 차폐유닛(100)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unit 100 to which the shower unit 400 is coupled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unit 100 to which the wash basin unit 300 is coupled include the shielding unit 100 to which the toilet bowl unit 200 described above is coupled.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description below.

일반적으로 욕실의 측면에는 물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이 복수개가 구비가 된다. 그리고 각 급수관은 샤워기, 세면기, 좌변기 등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 서 본 발명에서의 차폐유닛(100)은 급수관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20)도 급수관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In general,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for supplying water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throom. Each water supply pipe supplies water to a shower, a wash basin, and a toilet. Therefore, the shielding unit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water supply pipes.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2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may also be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water supply pipes.

급수관(2)의 개수는 욕실의 크기,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급수관(2)의 위치도 욕실의 벽면에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급수관(2)은 욕실의 일 측면에 3개가 형성이 되고, 각각의 급수관(2)은 좌변기 유닛(200), 세면기 유닛(300) 및 샤워기 유닛(400)에 물을 공급한다. The number of the water supply pipe 2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use, etc. of the bathroom,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2 may also be formed at various locations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Three water supply pipes 2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hroom, and each of the water supply pipes 2 supplies water to the toilet bowl unit 200, the basin unit 300, and the shower unit 400.

그리고 3개의 차폐유닛(100)이 3개의 급수관(2) 및 3개의 연결배관(30) 등을 차폐를 하고, 3개의 차폐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식플레이트(24)는 동일한 장식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three shielding units 100 shield three water supply pipes 2 and three connection pipes 30, and the decorative plates 24 forming the exterior of the three shielding units 100 have the same decorative pattern. It may be formed to have.

구체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장식플레이트(24)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의 무늬들이 형성되어 전체 욕실 시스템 모듈이 디자인적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i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the same color. And the three decorative plates 24 are formed with the same or similar pattern is formed so that the entire bathroom system module has a design sense of unity.

한편, 본 실시예의 욕실 시스템 모듈은 욕실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유닛(600)을 더 포함한다(도8 내지 도11 참조). 수납유닛(600)의 프레임부 및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차폐유닛(100)의 프레임(10) 및 케이스(20)와 동일하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athroom system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600 that can accommodate the bathroom goods and the like (see Figs. 8 to 11).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rame unit and the case of the storage unit 600 is the same as the frame 10 and the case 20 of the shielding unit 100,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a focus on differences.

수납유닛(600)의 프레임부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욕실의 벽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수납유닛(600)의 프레임부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차폐유닛(100)의 프레임부(10)와 동일하고, 다만 수납유닛(600)의 프레임부는 욕실의 벽면 중 급수관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된다. The frame part of the storage unit 600 includes a frame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to form a storage spac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rame portion of the storage unit 600 is the same as the frame portion 10 of the shielding unit 100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frame portion of the storage unit 600 is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the water supply pipe is not formed in the wall of the bathroom. .

그리고 수납유닛(600)의 좌, 우측면 및 상면 케이스는 상기 차폐유닛(100)의 케이스(20)와 동일하다. 그리고 전면케이스(620)의 전체적인 구성도 상기 차폐유닛(100)의 케이스와 동일하고, 다만 수납유닛(600)의 전면케이스(620)는 차폐유닛(100)의 전면케이스와 달리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프레임부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수납유닛(600)의 내부에는 급수관(2)이 위치하지 않고, 이에 따라 누수의 위험이 없어, 수납유닛(600)의 하부면은 차폐유닛(100)과 달리 케이스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The left, right and top surfaces of the storage unit 600 are the same as the case 20 of the shielding unit 100.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ront case 620 is also the same as the case of the shielding unit 100, except that the front case 620 of the storage unit 600 is rotatable to the frame portion unlike the front case of the shielding unit 100 And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water supply pipe 2 is not located inside the storage unit 6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risk of leakage,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600 is shielded by a case unlike the shielding unit 100 Can be.

그리고 수납유닛(600)의 장식플레이트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차폐유닛(100)의 장식플레이트(24)와 동일한 장식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ecorative plate of the storage unit 60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ecorative pattern as the decorative plate 24 of the shielding unit 100 as described above.

결국 차폐유닛(100)과 동일한 디자인의 장식플레이트를 가지는 수납유닛(600)을 욕실의 벽면에 설치하여, 수납공간을 확보하면서 욕실 전체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by installing the storage unit 600 having a decorative plate of the same design as the shielding unit 100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orm a sense of unity of the whole bathroom while securing the storage space.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시스템 모듈이 욕실에 시공된 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서 보조차폐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차폐유닛이 결합된 욕실 시스템 모듈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system module constructed in a bath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the auxiliary shield unit is coupled in FIG. 8, and FIG. 10 is an auxiliary shiel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system module to which a unit is coupled.

도8 및 도10을 참조하면, 차폐유닛(100)의 복수 개의 프레임 각각의 크기는 다양한 형태로 생산될 수 있다. 8 and 10,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rames of the shielding unit 100 may be produced in various forms.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결합하면서 정의되는 면을 차폐 하면서 외측에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적 면을 고려한 장식이 되어 있는 장식플레이트(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식플레이트(24)는 장식을 위한 별도의 생산공정에 따라 생산이 되고, 장식플레이트(24)는 일정한 규격으로 대량생산이 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corative plate 24 that is deco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surface in various forms on the outside while shielding the surface defined while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Therefore, the decorative plate 24 is produced according to a separate production process for decoration, the decorative plate 24 is to be mass produced to a certain standar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복수 개의 프레임은 장식플레이트(24)의 크기에 따라 규격화된 치수로 생산이 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lurality of frames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roduced in a standardized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corative plate 24.

한편,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2)의 위치는 욕실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욕실의 복수 개의 급수관(2) 에 규격화된 치수로 생산되는 차폐유닛(100)이 설치되는 경우, 각 급수관(2)의 위치에 따라 각 차폐유닛(100)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2 expos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may be formed at various loca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throom. Therefore, when the shielding unit 100 is produced in a standardized dimension in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2 of the bathroom, the space (S) is formed between each shield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water supply pipe (2) Can be.

그리고 상기 공간(S)은 좌, 우 차폐유닛(100) 사이에 형성되는바, 욕실 내부의 공간으로서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디자인된 각 차폐유닛(100)의 장식플레이트(24)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디자인적 일체감을 저감시키게 된다. And the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hielding unit 100,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as a space inside the bathroom, the decoration of each shielding unit 100 designed to form a sense of unity in consideration of design elements It is located between the plates 24, reducing the sense of design unity.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욕실 시스템 모듈은 상기 차폐유닛(100) 사이의 공간(S)이 형성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보조차폐유닛(500)을 포함한다. 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hroom system module includes an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for shielding at least a part of a surface formed by the space S between the shielding units 100.

그리고 보조차폐유닛(500)는 차폐유닛(100) 사이의 공간(S)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부(510) 및 상기 보조 프레임부(510)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에 결합되고, 일정 강성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522) 및 상기 보조 프레임부(510)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을 차 폐하도록 결합되는 장식플레이트(524)를 포함하는 보조 케이스(52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includes an auxiliary frame part 510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installed in the space S between the shielding units 100 and at least part of a surface defined by the auxiliary frame part 510. The auxiliary case 520 includes a support plate 522 coupled to a surface, and a decorative plate 524 coupled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auxiliary frame part 510. It includes.

결국 보조차폐유닛(500)의 장식플레이트(522) 및 차폐유닛(100)의 장식플레이트(24)는 욕실의 내부에 일정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케이스(520)의 장식플레이트(524)는 상기 케이스(20)의 장식플레이트(24)와 동일한 장식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ecorative plate 522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and the decorative plate 24 of the shielding unit 100 form a predetermined surface inside the bathroom. The decorative plate 524 of the auxiliary case 5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ecorative pattern as the decorative plate 24 of the case 20 to form a sense of unity of design.

보조차폐유닛(500)의 구성 및 결합은 상기 설명한 차폐유닛(100)의 구성 및 결합과 전체적으로 동일하고, 차폐유닛(100)과 달리 보조차폐유닛(500)의 내부의 공간에는 급수관(2), 연결배관(30) 등이 위치하지 않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of the shielding unit 100 described above, and unlike the shielding unit 100, the space inside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2, An empty space is formed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like are not located.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는 욕실 용품 등의 수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보조차폐유닛(500)의 전면은 보조차폐유닛(500)의 전면을 개폐할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storage spaces may be formed in the space for storing bathroom items.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일례로, 보조차폐유닛(5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보조케이스(520)가 도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복수 개의 서랍이 설치되고, 서랍의 전면에 장식플레이트(24)가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auxiliary case 52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500 may be formed in a door shap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rein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drawers sliding in the front, rear direction is installed, the decorative plate 24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rawer will be able to form a sense of design as a whole.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욕실 시스템 모듈도 욕실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수납유닛(6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athroom system module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600 capable of accommodating bathroom goods, etc.,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unit 600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The sam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좌변기 유닛 및 프레임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1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좌변기 유닛의 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욕실 시스템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고, 프레임부(10)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 중 전면을 차폐하는 전면케이스의 결합구조가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toilet unit and the frame uni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shielding unit and toilet uni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throom system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ront case shielding the front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frame portion 10 is the embodiment Since it differs from an example,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e difference hereafter.

그리고 차폐유닛(100)의 전면에 세면기 유닛, 좌변기 유닛 및 샤워기 유닛이 결합되는 경우, 각 유닛의 구성에 따라 전면케이스 개수, 복수 개의 전면케이스의 결합순서 및 각 전면 케이스의 형상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한 바, 이하 차폐유닛(100)의 전면에 좌변기 유닛(200)이 결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When the wash basin unit, the toilet bowl unit, and the shower unit ar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00, the number of front cases, the coupling order of the plurality of front cases, and the shape of each front case may vary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unit. have. However,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the same bar,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toilet seat unit 20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hielding unit 100.

본 실시예의 차폐유닛은 프레임부(10), 체결부재(50) 및 전면케이스(60,70)을 포함한다. The shielding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portion 10, a fastening member 50 and the front case (60, 70).

프레임부(10)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전면케이스(60,70)의 지지플레이트(62,72)가 프레임에 직접 결합이 되지 않고, 지지플레이트(62,72)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66,76)이 욕실의 벽면에 결합되는 프레임부(10)에 결합이 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rame portion 1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plates 62 and 72 of the front cases 60 and 70 are not directly coupled to the frame, but the support frames 66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s 62 and 72. , 76 is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체결부재(5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프레임부(10)을 관통하여 프레임(1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몸체부(52) 및 몸체부(52)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부(54) 및 몸체부(52)의 다단에 결합되어 체결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56)를 포함한다. Fastening member 5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dy portion 52 which is penetrated through the frame portion 10 to the front of the frame 10 and the engaging portion 54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portion 52 And coupled to the multi-stage of the body portion 52 includes a fixing portion 56 for fixing the fastening member (50).

본 실시예서의 체결부재(50)로는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되고, 상기 걸림부(54)는 볼트의 머리, 몸체부(52)는 볼트의 몸체에 대응되고, 고정부(56)는 너트에 대응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의 머리 및 몸체의 일부가 프레임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술하는 지지프레임(66)의 하부가 볼트의 몸체에 걸리면서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66)이 지지된 다음 너트를 회전시켜서 전체 전면케이스(60)를 프레임부(10)에 안정적으로 결합을 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50 uses a bolt and a nut, the locking portion 54 corresponds to the head of the bolt, the body portion 52 corresponds to the bolt body, and the fixing portion 56 corresponds to the nut. .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rt of the head and the body of the bolt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am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6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while being caught by the body of the bolt. Then, the support frame 66 is supported, and then the nut is rotated so that the entire front case 60 is s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전면케이스(60,70)는 개구 형성된 전면을 차폐를 하여 프레임(10) 내부에 위치하는 급수관(2) 및 연결배관(3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전면케이스(60,70)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케이스는 상부 케이스(70) 및 하부 케이스(60)을 포함한다. 한편, 프레임부(10)의 좌, 우측면 및 상면을 차폐하는 케이스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The front cases 60 and 70 shield the front surface formed with an opening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2 and the connection pipe 30 positioned inside the frame 1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front cases 60 and 70 may be formed as one, and the front case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case 70 and a lower case 60. On the other hand, the case shielding the left, right and upper surfaces of the frame portion 10 is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bar will be omitted.

하부케이스(60)는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플레이트(64), 장식플레이트(64)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62) 및 지지플레이트(62)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66)을 포함한다. The lower case 60 includes a decorative plate 64 exposed to the outside, a support plate 62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64, and a support frame 66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2. .

장식플레이트(64)의 전체적인 구성 및 지지플레이트(62)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플레이트(62)에는 체결부재(50)의 걸림부(54) 및 몸체부(52)가 통과하는 홈(62a)가 형성된다. 즉 홈(62a)는 하부케이스(60)를 프레임부(10)에 결합시, 프레임부(1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걸림부(54) 및 몸체부(52)가 통과할 수 공간을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된 경우 걸림부(54)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corative plate 64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62 are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However, the support plate 6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groove 62a through which the locking portion 54 and the body portion 52 of the fastening member 50 pass. That is, the groove 62a forms a space through which the engaging portion 54 and the body portion 52 which ar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ame portion 10 can pass when the lower case 60 is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 And when combined, it forms a spac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54 is located.

그리고 홈(62a)은 체결부재(5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지지플레이트(62)의 각 모서리 부분이 절개되면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grooves 62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astening members 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ooves 62a may be formed by cutting each corn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62 having a rectangular shape.

지지프레임(66)은 지지플레이트(62)의 후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프레임부(1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몸체부(52)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66)의 하면에는 몸체부(52)가 삽입되는 삽입홈(66a)이 지지프레임(66)을 지지하는 체결부재(5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The support frame 66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2 and is supported by the body portion 52 whose lower surface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ame portion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66, the insertion groove (66a)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52 is forme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astening members 50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66.

결국 몸체부(52)가 삽입홈(66a)에 삽입되어 고정이 되면서 하부케이스(60)는 프레임부(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이 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60)과 프레임부(10)의 결합시 하부케이스(60)가 프레임부(10)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의 삽입홈(66a)는 지지프레임(66)의 하부면에 상부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하부 케이스(60)를 프레임부(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시키면서 결합을 하는 경우 삽입홀(66a)에 체결부재(50)의 몸체부가 삽입되면서 하부케이스(60)는 프레임부(10)에 결합이 되게 된다. As a result, the body part 5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6a and fixed, and thus the lower case 60 is more stably fixed to the frame part 10. And when the lower case 60 and the frame unit 10 is combined, the lower case 60 also serves to guide the coupling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rame unit 10. In particular, the insertion groove 66a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recessed up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66, while the operator slides the lower case 6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 to the lower portion. When coupling, the lower case 60 is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while the body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66a.

하부케이스(60)가 프레임부(10)에 결합된 다음 작업자는 너트를 회전시키고, 하부케이스(60)는 프레임부(10)에 안정적으로 결합이 되게 된다. After the lower case 60 is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the worker rotates the nut, and the lower case 60 is s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

한편, 지지프레임(60)의 상부에는 '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부케이스(70)의 지지플레이트(72) 및 장식플레이트(74)의 하면을 지지하는 연결프레임(68)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68)의 수평부(68a)는 상부케이 스(70)의 지지플레이트(72) 및 장식플레이트(74)의 하면을 지지하고, 지지플레이트(72) 및 장식플레이트(74)의 크기에 따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60 is bent in a 'b' shape, the connection frame 68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2 and the decorative plate 74 of the upper case 7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Can be. The horizontal portion 68a of the connecting frame 68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2 and the decorative plate 74 of the upper case 70, and the size of the support plate 72 and the decorative plate 74. According to the step may be formed.

상부케이스(70)는 전체적으로 하부케이스(60)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케이스(70)의 지지플레이트(72)에는 상기 설명한 하부 케이스(60)의 지지플레이트(62)에 형성된 홈(62a)이 형성되지 않는다. The upper case 70 may b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lower case 60 as a whole. In addition, in the support plate 72 of the upper case 7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oove 62a formed in the support plate 62 of the lower case 60 is not formed.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상부케이스(70)는 연결프레임(68)의 단차지게 형성된 수평부(68a)에 상부케이스(70)의 하면을 맞춘 다음,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으로 지지프레임(76)과 프레임부(10)를 체결하여 고정이 된다. Accordingly, the upper case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fit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70 to the horizontally formed portion 68a of the connecting frame 68, and then the support frame 76 and the frame portion with various fastening means. (10) is fastened and fixed.

결국 작업자는 하부프레임(60)을 개구 형성된 프레임부(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시키면서 프레임부(10)의 하부로 이동시킨 다음, 하부 프레임(6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70)의 하부를 연결프레임(68)의 단차진 수평부(68a)에 위치시킨 다음, 지지프레임(76)를 프레임부(10)의 상부와 체결을 하여 전체적으로 개구 형성된 프레임부(10) 전체를 차폐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worker moves the lower frame 6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 while sli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 formed with an opening, and then fixes the lower frame 60. The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70 is positioned on the stepped horizontal portion 68a of the connecting frame 68, and then the support frame 76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 to form an overall open frame portion ( 10) It will shield the who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 시스템 모듈이 욕실에 시공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system module constructed in a bat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좌변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 unit and the toilet bowl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좌변기 유닛의 횡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ield unit and the toilet bowl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의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of the shield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d;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케이스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a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세면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 unit and wash basi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샤워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 unit and shower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시스템 모듈이 욕실에 시공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system module installed in a bath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도8에서 보조차폐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the auxiliary shield unit is coupled to FIG.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차폐유닛이 결합된 욕실 시스템 모듈의 사시도.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hroom system module coupled to the secondary shielding uni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좌변기 유닛 및 프레임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toilet bowl unit and the frame uni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폐유닛 및 좌변기 유닛의 횡단면도;Fig. 1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hielding unit and a toilet seat uni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케이스의 종단면도.Figure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2: 급수관 6: 볼트2: water pipe 6: bolt

10: 프레임부 12: 제1프레임10: frame portion 12: first frame

14: 제2프레임 16,18,19: 고정프레임14: second frame 16, 18, 19: fixed frame

20: 케이스 22: 지지플레이트20: case 22: support plate

24: 장식플레이트 30: 연결배관24: decorative plate 30: connection piping

40: 급수배관 50: 체결부재40: water supply pipe 50: fastening member

52: 몸체부 54: 걸림부52: body portion 54: locking portion

56: 고정부 60: 하부케이스56: fixed portion 60: lower case

66: 지지프레임 68: 연결프레임66: support frame 68: connection frame

70: 상부케이스 100: 차폐유닛 70: upper case 100: shielding unit

200: 좌변기 유닛 300: 세면기 유닛200: toilet seat unit 300: wash basin unit

400: 샤워기 유닛 500: 보조차폐유닛400: shower unit 500: auxiliary shield unit

510: 보조프레임 520: 보조케이스510: auxiliary frame 520: auxiliary case

600: 수납유닛 620: 전면케이스 600: storage unit 620: front case

Claims (11)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A frame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form a space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exposed to a wall surface of a bathroom is located;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에 결합되고, 일정 강성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장식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A cas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frame portion and including a support plate having a certain rigidity and a decorative plate coupled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frame; And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A connection pip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을 포함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욕실 시스템 모듈. Bathroom system module comprising a shielding un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욕실 시스템 모듈.The case is a bathroom system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과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자석부가 구비되는 욕실 시스템 모듈.One side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that is caught by the frame,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bathroom system module is provided with a magnet portion connected by the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폐유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is formed in the case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 일단이 상기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급수배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급수배관의 타단과 연통되는 좌변기를 포함하는 좌변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욕실 시스템 모듈.A water storage tank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ipe to st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tank, and an outside of the case; The bathroom system module further comprises a toilet unit including a toilet seat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폐유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is formed in the case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물급수부 및 상기 물급수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세면대를 포함하는 세면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욕실 시스템 모듈.And a wash basin uni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d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through the opening, and a wash basin disposed under the water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폐유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is formed in the case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샤워기를 포함하는 샤워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욕실 시스템 모듈.And a shower unit provided outside the case and including a shower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through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욕실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급수관이 노출되고,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is exposed on the side of the bathroom,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급수관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구비되고,The shielding unit is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차폐유닛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배관과 연통되어 연결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좌변기 유닛, 세면기 유닛 및 샤워기 유닛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설치되는 욕실 시스템 모듈.The front of the shielding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pipe, the bathroom system module is provided with any one of the toilet unit, the wash basin unit and the shower unit to receive water from the connection pip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욕실의 벽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유닛을 더 포함하는 욕실 시스템 모듈.The bathroom system module coupl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med with a storage space therei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복수 개의 차폐유닛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The plurality of shielding units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상기 차폐유닛 사이의 공간이 형성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 면을 차폐하는 보조차폐유닛을 포함하고, An auxiliary shielding unit for shielding at least some of the surfaces formed by the space between the shielding units; 상기 보조차폐유닛은,The auxiliary shielding unit, 상기 차폐유닛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부 및 An auxiliary frame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shielding units; 상기 보조 프레임부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에 결합되고, 일정 강성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 프레임에 의해서 정의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장식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욕실 시스템 모듈.And an auxiliary cas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auxiliary frame portion, the auxiliary case including a support plate having a certain rigidity and a decorative plate coupled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defined by the auxiliary frame. Bathroom system modul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보조차폐유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보조 케이스는 보조차폐유닛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차폐유닛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욕실 시스템 모듈.The auxiliary case forming the front of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the bathroom system module is form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auxiliary shielding unit. 욕실의 벽면에 노출되는 급수관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면이 개구 형성된 프레임부;A fram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form a space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exposed to a wall surface of a bathroom is located;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A fastening member which is forme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body portion which penetrates the frame and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ame a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개구 형성된 프레임부의 전면을 차폐하는 장식플레이트, 장식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걸림부 및 몸체부가 통과하는 홈이 형성되며 일정 강성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몸체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면케이스; 및A decorative plate for shiel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frame portion,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and formed with a groove through which the locking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pass, and ar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 front case including a support frame having a lower surface supported by a body part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ame part; And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욕실 시스템 모듈. Bathroom system module including a shielding unit provided in the case,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KR1020090136123A 2009-12-31 2009-12-31 Bathroom System Module KR101162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23A KR101162279B1 (en) 2009-12-31 2009-12-31 Bathroom System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23A KR101162279B1 (en) 2009-12-31 2009-12-31 Bathroom System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48A true KR20110079148A (en) 2011-07-07
KR101162279B1 KR101162279B1 (en) 2012-07-04

Family

ID=4491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123A KR101162279B1 (en) 2009-12-31 2009-12-31 Bathroom System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443A (en) * 2016-02-29 2017-09-07 Toto株式会社 Lining unit
US10454058B2 (en) 2016-12-01 2019-10-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141173A (en) * 2022-03-31 2023-10-10 전상수 Construction method of wall mounted type tile washst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3280B1 (en) * 2022-10-11 2024-04-26 D Putman Holding B V A method for installing a conversion for a toilet reservoir and a kit suitable for apply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094B2 (en) 1999-10-26 2005-01-26 松下電工株式会社 Washroom uni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443A (en) * 2016-02-29 2017-09-07 Toto株式会社 Lining unit
US10454058B2 (en) 2016-12-01 2019-10-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879485B2 (en) 2016-12-01 2020-12-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575101B2 (en) 2016-12-01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141173A (en) * 2022-03-31 2023-10-10 전상수 Construction method of wall mounted type tile wash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279B1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279B1 (en) Bathroom System Module
US20100065699A1 (en) Mounting device for a sanitary body
US20150354200A1 (en) Mobile service block system and method
JP4501514B2 (en) Unit bus piping structure
WO2016128371A1 (en) Concealed toilet cistern assembly
KR10116259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Bathroom module
JP2007010251A (en) Reheating piping structure for bath unit
CN102797366B (en) Bathroom system module
JP4345557B2 (en) unit bus
JP725665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toilet counter
CN101991393B (en) Dishwasher for installation in a niche and device for fixing same
CN102762800B (en) Sanitary space
JP5635289B2 (en) Toilet cabinet
JP2006177093A (en) Bath-room unit
JP4640229B2 (en) Unit bathroom
JP4729335B2 (en) Base cabinet and piping inspection port cover
KR20140099624A (en) Integral shelf with cabinet and washbasin
JP2005296359A (en) Bath unit
JP3589627B2 (en) Counter mounting structure
JP7387403B2 (en) Faucet construction method and faucet fixing structure
JP7186553B2 (en) Coating member for sink, coat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JP2001224516A (en) Washing and dressing table
JP2022100525A (en) Storage device
KR200486177Y1 (en) A storage closet for sink
JP3589628B2 (en) Counter moun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