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941A -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941A
KR20110078941A KR1020090135867A KR20090135867A KR20110078941A KR 20110078941 A KR20110078941 A KR 20110078941A KR 1020090135867 A KR1020090135867 A KR 1020090135867A KR 20090135867 A KR20090135867 A KR 20090135867A KR 20110078941 A KR20110078941 A KR 2011007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gg
ifn
tnf
inflammation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서
주성미
송하용
최수영
강일준
원무호
배영수
이재선
권동주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8941A/ko
Publication of KR2011007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로부터 유래되는 PGG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염증 질환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GG는 in vitro 상에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에 의한 피부염증관련 인자 CCL-17/TARC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의 발현을 억제 시키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NF-κB and STAT1)의 활성화를 억제시켰으며, 또한 in vivo 상에서 TPA 에 의한 귀 부종 억제 및 염증관련 분자 (TNF-α, IL-1β, IL-6) 의 발현을 억제 시키는 바,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 과 TPA에 의한 피부 염증 및 피부 관련 염증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래나무, TNF-α, IFN-γ, PGG, CCL-17/TARC, TPA, 전사인자, 피부관련 염증 질환

Description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GG AS SPEICIAL COMPONENT OF JUGLANS MANDSHURICA FOR THE PREVENTING INFLAMMATION-RELATED-MOLECULES INDUCED SKIN INFLAMMATORY DISEASES}
본 발명은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 과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피부면역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제제로는 우선 타르제제 (Tar preparation)가 있으나 냄새가 좋지 않으며 건조한 피부를 자극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Bruner CR., et al., Dermatol. Online. J., 9(1):2, 2003). 또한 바르거나 먹는 스테로이드 제제의 경우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과 같은 엷은 피부에는 사용이 제한 되어 있으며, 사용 양과 기간에 따라서 피부가 얇아 지거나 피부의 탈색 및 발진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경구용 스테 로이드 제제인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은 스테로이드 성분이다. 이러한 제제는 백내장, 골다공증, 고혈압 등 부작용이 있어 급성·악화를 보이는 경우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참조: Seth A and Aggarwal A., Indian. Pediatr. 41:349-57, 2004; Butani L., Ann. Allergy. Asthma. Immunol., 89:439-45; quiz 445-6, 502, 2002).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많은 제약회사들이 non-steroid 계 소염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non-steroid 계열의 면역조절 치료제로서 프로토닉(Protopic) 과 엘리델과(Elidel) 같은 치료제가 있는데 이들 역시 바른 직후 가려움증과 화끈거림 있으며, 바이러스성 피부염에는 사용이 제한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2005년 3월 미국 FDA 에서는 이들 약제의 고용량 및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에 대한 검토를 요하는 경고가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최근에는 부작용이 없는 소재를 천연물에서 개발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 천연물 PGG(1,2,3,4,6-Penta-O-galloyl-β-D-glucose)는 생물체에 작용하는 탄닌 (tannin)으로, 많은 약제식물에 존재하고 항 산화 작용, 항암작용, 항 바이러스작용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B.M. Choi, et al., Neurosci. Lett, 328:185-189, 2002; L.L. Ho, et al., Eur. J. Pharmacol., 453:149-158, 2002; D.G. Kang, et al., Eur. J. Pharmacol., 524:111-119, 2005; S.J. Lee, et al., Biol. Pharm. Bull., 29:2131-2134,2006).그리고 PGG는 항 염증 활성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기전은 완벽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이전연구에서 PGG가 인간 단핵세포에서 PMA 에 따른 NF-κB 와 IkB 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L-8의 발현을 조절 하였다(참조: G.S. Oh, et al., Int. Immunopharmacol., 4:377-386, 2004). 또한, PGG가 사람 제대정맥내피세포 (HUVEC)에서 TNF-α 에 의해 유도된 염증 관련 분자 및 부착 분자 (adhesion molecules)의 발현을 억제 하였다(참조: D.G. Kang, et al., Eur. J. Pharmacol., 524:111-119, 2005). 게다가 PGG는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iNOS와 COX-2의 활성을 억제하였다(참조: S.J. Lee, et al., Arch. Pharm. Res, 26:832-839, 2003). 앞선 여러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PGG가 다양한 항 염증 활성을 가진 것으로 예상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으로 피부관련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 하 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1,2,3,4,6-penta-O-galloyl-β-D-glucose)가 in vitro 상에서 염증 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 에 의한 염증 관련 키모카인(chemokines) CCL-17 과 CXCL-9,10,11 발현을 억제함과 동시에 그에 관련된 전사인자(NF-κB 와 STAT1)의 활성화를 억제함을 확인하고, in vivo 상에서 TPA 에 의한 귀 부종 억제 및 염증관련 분자 (TNF-α, IL-1β, IL-6) 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PGG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염증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PGG는 염증 유도 관련 분자 (TNF-α, IFN-γ and TNF-α+IFN-γ) 및 TPA 의한 피부 염증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발생된 피부 염증을 억제 할 수 있으므로, 염증 유도 관련 분자 (TNF-α, IFN-γ and TNF-α/IFN-γ) 및 TPA 에 의한 피부 염증의 예방 및 염증 억제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PGG) 는 생물체에 작용하는 탄닌 (tannin)으로, 많은 약제식물에 존재하고 항 염증, 항 산화 작용, 항암작용, 항 바 이러스작용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B.M. Choi, et al., Neurosci. Lett, 328:185-189, 2002; L.L. Ho, et al., Eur. J. Pharmacol., 453:149-158, 2002; D.G. Kang, et al., Eur. J. Pharmacol., 524:111-119, 2005; S.J. Lee, et al., Biol. Pharm. Bull., 29:2131-2134,2006).
본 발명의 가래나무 PGG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 되었다.
가래나무의 수피를 채취 한 후, 수피를 기건 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3.2 kg을 20L유리병에 아세톤-물 (7:3,v/v)용액으로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를 사용하여 감압플라스크로 여과하고 여과액은 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농축하여 아세톤을 모두 제거하였다. 농축을 완료 한 후 분획깔떼기상에서 농축액에 n-hexane, CH2Cl2 및 EtOAc를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용해되는 각 부분을 분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용성 분획물을 얻었다. 각각의 분획물은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하였다. 수피 EtOAc용성 분말 28.4 g을 유리컬럼에 Sephadex LH-20으로 충진하고 MeOH-H2O (3:1,v/v)을 용리용매로 사용하여 Fraction collector로 용출액을 모았다. 용출액은 일정 단위로 TLC (DC Plastikfolien cellulose F plates)에 점적하여 6% HOAc (전개용매)에 전개시켜 건조시킨 후 UV 램프 254 nm와 365nm에서 전개된 spot을 관찰하고 FeCl3 발색제 (1% FeCl3 (in EtOH))를 분무하고 가열하여 색을 관찰하였다. 비슷한 Rf (화학적 이동값) 값을 나타내는 부분을 하나의 소분획으로 하여 총 3개의 소분획으로 분리하였다. 그 중 3번째 분획을 메탄올에 재결정하여 PGG (589 mg)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NMR은 Bruker Avance DPX 600 MHz 기기를 사용하여 1H-NMR (600MHz), 13C-NMR (125MHz) 및 2D-NMR인 HSQC, HMBC 등을 측정하였으며 분석용매는 TMS를 첨가한 CD3OD (MeOH-d4)를 사용하였다. 분자량은 Voyager-DE STR 기기를 이용하여 MALDI-TOF-MS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in vitro 상에서 PGG가 염증 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 을 처리한 인간의피부세포주(HaCaT)에서 CCL-17 의 발현을 저해함을 규명 하였다. 또한 chmokines 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NF-κB 와 STAT-1 의 활성화가 PGG 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in vivo 상에서 TPA 에 의한 귀 부종 억제 및 염증관련 분자 (TNF-α, IL-1β, IL-6) 의 발현을 억제함을 규명 하였다. 이러한 PGG는 피부염증이 발생한 후에 처리하여 염증을 완화 시킬 수도 있고, 피부염증이 발생하기 전에 처리하여 피부염증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 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인간의 피부세포주HaCaT 세포에 미치는 PGG 의 세포독성 및 염증 유도 분자 ( TNF -α, IFN -γ 그리고 TNF -α+IFN-γ)에 따른 CCL -17의 발현에 있어서 PGG 의 억제효과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의 화학적 구조(참조: 도 1A)를 갖는 PGG가 인간의 피부 세포주 HaCaT 세포에서 세포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0×105의 세포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옮기고, 10%(v/v)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각 농도의 PGG(1, 5, 10 ㎍/ml)을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mg/ml 농도의 MTT가 포함된 배지를 넣어 준 후 3시간 반응시키고 57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참조: 도 1B). 이 때, 배지에 포함되어 있는 MTT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생성되는 미토콘드리아 디하이드로게나제(mitochondria dehydrogenase)에 의해 검붉은 포마잔(formazan)을 생성함으로써, 살아있는 세포의 숫자를 상대적으로 확인하게 한다. 도 1B는 PGG의 농도에 따른 인간의 피부세포주의 세포독성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 에서 보듯이, PGG의 농도가 1-10 ㎍/ml 일 때 인간의 피부세포주의 생육에 별다른 영향을 주시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PGG 1-10 ㎍/ml 의 농도를 이용하여 다음의 실험을 진행 하였다.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에 의한 CCL-17의 발현에 있어서 PGG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X106의 인간의 피부 세포주 HaCaT 세포를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옮기고 10%(v/v)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PBS로 세척한 후 serum free media 1ml에 PGG를 각각 1, 5, 10 ㎍/ml 농도로 1시간 처리 한 후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 +IFN-γ)를 처리한 다음 4시간(RNA level) 또는 18시간(protein level) 동안 배양 하였다(참조: 도 1C).RNA level에서의 CCL-17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Trizol reagent kit(Invitrogen, Gaithersburg, MD)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주형으로 역전사를 수행하여 cDNA를 수득하였다. 즉, 2ug 에 역전사 완충용액(5mMMgCl2,1mMdNTP,2.5U/ulreversetranscriptase,and2.5uMoligo(dT)15asaprimer(omniscriptRTkit,Qiagen),0.5units의 RNase 억제제, 2.5 uM 올리고(dT)(oligo(dT)) 및 2.5 units 의 역전사 효소를 첨가하여 37°C에서 반응하여 cDNA를 수득 하였다.
수득한 cDNA를 정량하기 위하여, CCL-17을 위한 프로브 1:5'- CTT CTC TGC AGC ACA TCC-3' (서열번호1) 및 프로브 2:5'- AAG ACC TCT CAA GGC TTT G-3'(서열번호2)를 사용하고, 대조군으로서 β-actin을 위한 프로브 3: 5'- GCG GGA AAT CGT GCG TGA CAT T-3' (서열번호3) 및 프로브 4:5'- GAT GGA GTT GAA GGT AGT TTC GTG.-3'(서열번호4)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증폭된 DNA는 1% agarose gel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단백질 수준에서 PGG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PGG를 각각 1, 5, 10㎍/ml 농도로 1시간 처리 한 다음,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를 처리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배지에 존재하는 CCL-17에 대한 단백질 양은 ELISA kit(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96 웰판에 2 ㎍/ml capture 항체 (항-CCL17 항체) 50ul씩을 넣어 2시간 동안 코팅한 후, 1 % BSA 가 포함된PBS로 1시간 동안 블러킹(blocking) 하였다. 이어, 회수된 sample를 각각의 웰에 100 ul넣어 준 후 2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PBST로 3회 세척 하고 각 웰에 100 ng/well 의 detector 항체 (항-CCL17 항체) 50 ul 를 넣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T로 3회 세척하고 HRP가 접합된 항체를 1:200으로 희석하여 50ul씩 넣은 다음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PBST로 충분히 세척한 후에 기질액(TMB)을 첨가하고 45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C에서 보듯이, PGG (1, 5 and 10㎍/ml) 을 1시간 처리 후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를 처리 하였을 때, RNA 와 protein level 모두에서 CCL-17의 발현이 PGG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TNF -α, IFN -γ 그리고 TNF -α+ IFN -γ 에 따른 CCL -17 발현 증가에 있어서 NF -κB( nuclear factor kappa B) 와 STAT1(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1) 역할
전사인자NF-κB와 STAT1은 TNF-α 와 IFN-γ 에 의해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조절인자(regulator) 이기 때문에(참조: J.E. Darnell Jr, et al., Science, 264:14151421, 1994; A. Dhar, et al., Mol. Cell. Biochem., 234235:185193, 2002), 우리는 먼저 HaCaT 세포주에서 시간 별로 TNF-α 와 IFN-γ 에 의한 NF-κB와 STAT1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전사인자 NF-κB와 STAT1의 활성을 알아 보았다. 1X106의 인간의 피부 세포주 HaCaT 세포를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옮기고 10%(v/v)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PBS로 세척한 후 serum free media 1ml에 PGG를 10 ㎍/ml 농도로 1시간 처리 한 후 TNF-α (10 ng/ml) 또는IFN-γ (10 ng/ml)또는 TNF-α (10 ng/ml)/IFN-γ (10 ng/ml)를 처리한 다음 15, 30 그리고 60분 동안 배양 하였다(참조: 도 2A). 배양된 세포를 세포 용해 완충용액 (150ml NaCl, 1mM EDTA, 1mM PASF, 1ug/ml leupeptin, 1mM Na3VO4, 1mM NaF, 1% NP-40, 0.25% Sodium deoxycholate) 40ul 를 처리하고, 4℃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13000 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으로 10% SDS-PAGE를 수행 하였다. 이어 래빗-항-포스포-p65 항체, 래빗-항-IκBa 항체, 래빗-항-포스포-STAT1 항체, 래빗-항-STAT1 항체, 래빗-항-actin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 을 수행 하였다(참조 도2A). 도 2A에서 보듯이, 예측한 대로 TNF-α 에 의해 자극된 세포는 p65의 인산화(phosphorylation) 와 IkB의 분해(degradation)를 증가시켰고, IFN-γ 에 의해 자극된 세포는 STAT1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또한 TNF-α+IFN-γ 에 의해 자극된 세포는 p65와 STAT1의 인산화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TNF-α+IFN-γ 에 의한 CCL-17의 발현에 있어서 NF-κB 와 STAT1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NF-κB inhibitor와 JAK/STAT pathway inhibitor를 사용하였다. 도 1C(proteinlevel,ELIS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된 인간의 피부 세포주 HaCaT 세포에 NF-κB inhibitors (TLCK 50 μM and BMS345541 25 μM) 또는 JAK/STAT pathway inhibitors (Jak inhibitor I 20 μM, AG490 50 μM, and WHI-P154 30 μM) 1시간 처리 한 다음, TNF-α (10 ng/ml)+IFN-γ (10 ng/ml)를 18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참조: 도 2B). 배지에 존재하는 CCL-17 의 양은 ELISA 를 통해 확인하였다. 도 2B에서 보듯이, 전처리한 NF-κB inhibitor (TLCK, BMS345541)는 TNF-α +IFN-γ 에 따른 CCL17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 한 JAK/STAT pathway inhibitor (Jak inhibitor 1, AG490, WHI-P154) 역시 TNF-α +IFN-γ 에 따른 CCL17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HaCaT 세포주에서 TNF-α +IFN-γ 에 따른 CCL17의 발현은 NF-κB와 STAT1의 활성에 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실시예 3: TNF -α+ IFN -γ에 따른 세포 내의 신호전달 경로에 있어서 PGG 의 효과
다음은 신호전달 경로에 있어서 PGG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X106의 인간의 피부 세포주 HaCaT 세포를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옮기고 10%(v/v)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PBS로 세척한 후 serum free media 1ml에 PGG를 10 ㎍/ml 농도로 1시간 처리 한 후 TNF-α (10 ng/ml)+IFN-γ (10 ng/ml)를 처리한 다음 15분 동안 배양 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핵 추출물(nucleus extract)을 얻기 위하여, 세포배양 플레이트로부터 배양액을 제거하고 미리 준비해 둔 10 ml ice-cold PBS로 2회 세척 한 후 cell scraper로 긁어주어 세포를 회수 하였다.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 하였고 cytosolic extract buffer(10mM HEPES, pH 7.9, 10mM KCl, 0.1mM EDTA, 1mM DTT, 0.5mMPMSF)를 넣어 준 다음 4℃에서 15분 동안 보관 하였다. 이 후 NP-40를 6.25 % 되게 처리 한 후 suspension 하였다. 13000 rpm으로 4℃에서 2분간 원심 분리 하였다. 하층의 pellet 에 nuclear extract buffer(20mM HEPES, pH 7.9, 0.4M NaCl, 1mM EDTA, 1mM DTT, 1mM PMSF, 10% NP-40) 넣고 suspension 한 후 10 분 동안 vortex을 하였다. 13000 rpm으로 4 ℃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핵 추출물로서 사용 하였다.
얻어진 nuclear extract는 bradford assay 방법으로 단백질의 양을 정량 하였다. nuclear extract 8ug 에 reaction solution(10U/ml poly dI-dC 3.1ul, 50% Glycerol 3.2ul, TB buffer(10mM HEPES(pH 7.9), 100mM KCl, 0.05mM EDTA(pH 8.0), 2.5mM MgCl2, 6% Glycerol) 18ul, 0.2M DTT 4.5ul, H2O 1.2ul) 21ul와 32P로 표지된 oligomer 2ul를 넣고 37℃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반응 후 4% nondenaturing PAGE 를 수행 하였다. gel dryer를 이용하여 gel 을 말린 후 필름을 덮고 필름을 현상하여 EMSA를 수행 하였다(참조: 도 3A). 도 3A에서 보듯이, 5 와 10 ㎍/ml 의 PGG 을 1시간 처리 후 TNF-α+IFN-γ을 처리하였을 때, TNF-α+IFN-γ에 의한 NF-κB DNA binding activity 가 PGG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ell lysates를 얻어 NF-κB 및 STAT1 의 활성을 western blot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PGG는 TNF-α+IFN-γ 에 의해 증가된 p65의 핵으로의 이동 및 p65 와 STAT1 의 인산화 정도가 PGG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참조: 도 3B, 3C).
또한 우리는 GAS promoter 활성에 대한 PGG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pGAS promoter luciferase construct 또는 pCMV-b-galactosidase construct 를 AMAXA nucleofector system (Amaxa biosystems, Germany) 을 이용하여 transfection 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PBS로 세척한 후 serum free media 1ml 에 교환 한 후 IFN-γ (10 ng/ml) 처리 1시간 전에 PGG(1, 5, 10 ㎍/ml)를 처리 하였다. 24 시간 동안 배양 후 luciferase and b-galactosidase 활성을 측정 하였다. 도 3D 에서 보듯이, IFN-γ 에 의한 pGAS promoter 활성 증가가 PGG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NF-α+IFN-γ 에 따른 CCL-17의 발현에 있어서 PGG의 억제 효과는 NF-κB와 STAT1 모두의 활성억제에 의해 조절 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IFN -γ에 따른 CXCL -9, CXCL -10 그리고 CXCL -11 발현 증가에 있어서 PGG 의 억제효과
Th1 (T helper 1) chemokines인 CXCL-9, 10, 11의 발현은 IFN-γ의 자극에 있어서 STAT과 같은 전사인자의 활성에 조절을 받는다 (참조: N. Kanda, et., Eur. J. Immunol., 37:338350, 2007; N. Kanda, et al., Endocrinology, 148:23172325,2007). 도 3C에서 IFN-γ의 자극에 따른 STAT1 의 활성화가 PGG에 의해 억제 되었으므로, 전사인자 STAT 에 조절 받은 chemokines (CXCL 9, 10 and 11) 의 발현에 있어서 PGG의 효능을 확인 하였다. 도 1C(proteinlevel,ELIS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된 인간의 피부 세포주 HaCaT 세포에 각각 0.1, 0.5, 1, 5, 10 ㎍/ml 농도의PGG를 1시간 처리 한 다음, IFN-γ (10 ng/ml)를24 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참조: 도 4A). 배지에 존재하는 chemokines (CXCL-9, 10 and 11) 의 양은 ELISA 를 통해 확인하였다. 도 4A 에서 보듯이, IFN-γ 에 의해 증가된 CXCL-9, 10의 단백질의 발현이 PGG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CXCL-11의 단백질의 경우는 우리의 실험환경에서는 생산되지 않았다. 또한, RNA 수준에서 전사인자 STAT 에 조절 받은 chemokines (CXCL 9, 10 and 11) 의 발현에 있어서 PGG의 효능을 확인 하기 위하여 도 1C(RNAlevel,RT-PCR)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된 인간의 피부 세포주 HaCaT 세포에 각각 0.1, 0.5, 1, 5, 10 ㎍/ml 농도의PGG를 1시간 처리 한 다음, IFN-γ (10 ng/ml)를1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cDNA를 수득 하였다(참조: 도 4B). 수득한 cDNA를 정량하기 위하여, CXCL-9을 위한 프로브 5:5'- TGC AAG GAA CCC CAG TAG TGA -3' (서열번호5) 및 프로브 6:5'- GGT GGA TAG TCC CTT GGT TGG -3'(서열번호6)를 사용하고, CXCL-10을 위한 프로브 7:5'- GAA CCT CCA GTC TCA GCA CC-3' (서열번호7) 및 프로브 8:5'- GCT CCC CTC TGG TTT TAA GGA GAT-3'(서열번호8)를 사용하고, CXCL-11을 위한 프로브 9:5'- GCT ATA GCC TTG GCT GTG ATA TTG TG-3' (서열번호9) 및 프로브 10:5'- CTG CCA CTT TCA CTG CTT TTA CC '(서열번호10)를 사용하고 대조군으로서 β-actin을 위한 프로브 3: 5'- GCG GGA AAT CGT GCG TGA CAT T-3' (서열번호3) 및 프로브 4:5'- GAT GGA GTT GAA GGT AGT TTC GTG.-3'(서열번호4)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증폭된 DNA는 1% agarose gel에 의해 확인되었다. 도 4B 에서 보듯이, IFN-γ 에 의해 증가된 CXCL-9, 10, 11의 유전자 발현이 PGG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HaCaT 세포주에서 PGG는 STAT1의 활성에 따른 신호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Th1 chemokines의 발현에 억제 효능이 있음이 확인 되었다.
실시예 5: TPA (12-O- tetradecanoylphorbol -13- acetate ) 에 따른 생쥐 귀 부종에 있어서 PGG 의 억제 효과
앞선 실시예 1-4 에서 보듯이, 세포수준에서 PGG 의 염증관련 키모카인의 발현 억제 및 기작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PGG 의 억제 효과가 동물 수준에서도 나타나는지를 확인 하기 위하여 생쥐의 귀 부종 정도를 면역조직염색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과 귀 두께 및 무게를 측정 하였다. 생쥐의 귀에 TPA (1 ㎍/ear) 를 1 시간 동안 처리 후 PGG 각각 100, 200, 400 (㎍/ear) 을 하루에 한 번 3일 동안 하였다. 4일 째 되는 날에 귀 부종 정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면역조직염색을 위해서 실험동물은 질소와 산소 혼합가스가 들어있는 3% isoflurance로 마취시킨 후 관류 세척하였다. 관류세척이 끝난 후, 적출된 장기는 paraformaldehyde를 함유한 0.1MPBS(pH7.4)으로 고정하고 고정이 끝난 조직은 조직을 떼어내어 4% paraformaldehyde 용액에 담가 보존하였다. 조직을 embedding medium (Reichert-Jung, Germany)으로 포매하고 동결박절기 (cryostat; Reichert-Jung, Germany)를 이용하여 section한 다음 사용하였다. 조직 절편은 0.01MPBS(PBS)로 10 분간 완충시킨 후 다시 증류수로 10분간 세척하였다. 7분씩 2회 PBS로 세척을 한 다음 조직내의 내인성 과산화효소 (peroxidase)를 제거하기 위해서 0.5%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PBS 용액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PBS로 7분씩 회 세척한 후 비-특이적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직을 PBS에 들어있는 5% 정상 염소 혈청에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통상적인 streptavidin-biotin peroxidase 법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반응을 실시하여 면역조직염색을 하였다. 도 5A 에서 보듯이 TPA 에 의해 유도된 귀 부종이 PGG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귀 부종 정도를 두께 (참조: 도 5B)와 무게(참조: 도 5C)를 측정함으로써 그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한 결 과 PGG 에 의해 유의성 있게 귀의 두께와 무게 모두 회복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생쥐의 귀에서 TPA 에 따른 염증관련 유전자( proinflammatory ) 발현에 있어서 PGG 의 억제 효과
TPA 에 의해 면역 반응이 일어난 생쥐 귀 조직에서 IL-1β, COX-2, iNOS, TNF-α, IL-6 등과 같은 염증관련 유전자(proinflammatory gene)등이 발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TPA에 의해 유도된 귀 부종에서 이러한 proinflammatory gene 발현에 PGG 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TPA 및 PGG를 처리한 다음 생쥐의 귀 조직에서 protein extract 얻어 ELISA assay 를 수행 하였다. 도 6A-C 에서 보듯이, TPA 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분자 (TNF-α, IL-1β, IL-6) 의 생성이 PGG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NA 수준에서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에서 PGG 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TPA 및 PGG를 처리한 다음 생쥐의 귀 조직에서 RNA를 얻은 후 cDNA를 수득 하였다. 수득한 cDNA를 정량하기 위하여, TNF-α을 위한 프로브 11:5'-ACAAGCCTGTAGCCCACG-3'(서열번호11) 및 프로브 12:5'-TCC AAA GTA GAC CTG CCC 3'(서열번호12)를 사용하고, IL-1β을 위한 프로브 13:5'-TGCAGAGTTCCCCAACTGGTACATC-3'(서열번호13) 및 프로브 14:5'-GTGCTGCCTAATGTCCCCTTGAATC-3'(서열번호14)를 사용하고, IL-6을 위한 프로브 15:5'-CAAGAAAGACAAAGCCAGAGTCCTT-3'(서열번호15) 및 프로브 16:5'-TGGATGGTCTTGGTCCTTAGCC-3'(서열번호16)를 사용하고 대조군으로서 β-actin을 위한 프로브 17: 5'-GGA CAG TGA GGC CAG GAT GG-3' (서열번호17) 및 프로브 18:5'-AGTGTGACGTTGACATCCGTAAAGA-3'(서열번호18)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증폭된 DNA는 1% agarose gel에 의해 확인되었다. 도 6D 에서 보듯이, TPA 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유전자 (TNF-α, IL-1β, IL-6) 의 발현이 PGG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도 1 은 인간의 피부세포주HaCaT 세포에 미치는 PGG의 세포독성 및 TNF-α, IFN-γ 그리고 TNF-α+IFN-γ 에 따른 CCL-17의 발현에 있어서 PGG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은 TNF-α, IFN-γ 그리고 TNF-α+IFN-γ 에 따른 CCL-17 발현 증가에 있어서 NF-κB(nuclear factor kappa B) 와 STAT1(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1) 역할을 나타내는 Western-blot 과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사진이다.
도 3은 TNF-α+IFN-γ 에 따른 세포 내의 신호전달 경로에 있어서 PGG의 효과를 나타내는 EMSA(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Western-blot 그리고 promoter assay 사진이다.
도 4은 IFN-γ 에 따른 CXCL-9, CXCL-10 그리고 CXCL-11 발현 증가에 있어서 PGG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RT-PCR(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과 ELISA 사진이다.
도 5은 TPA 에 따른 생쥐 귀 부종에 있어서 PGG 의 억제 효과를 면역조직염색(H&E staining)과 귀 두께 및 무게 측정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생쥐의 귀에서 TPA 에 따른 염증관련 유전자(proinflammatory gene) 발현에 있어서 PGG 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과 ELISA 사진이다.

Claims (3)

  1. PGG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염증 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 및 TPA 에 의한 피부 염증 및 피부 손상을 치료하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염증 유도 관련 분자(TNF-α, IFN-γ and TNF-α+IFN-γ)에 의한 전사인자 NF-κB(nuclear factor kappa B) 와 STAT1(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1)의 활성화 증가에 따른 피부염증 및 피부 손상을 치료하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염증을 예방하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090135867A 2009-12-31 2009-12-31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867A KR20110078941A (ko) 2009-12-31 2009-12-31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867A KR20110078941A (ko) 2009-12-31 2009-12-31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941A true KR20110078941A (ko) 2011-07-07

Family

ID=4491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867A KR20110078941A (ko) 2009-12-31 2009-12-31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89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28B1 (ko) * 2020-10-14 2021-03-15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80523A1 (ko) * 2020-10-14 2022-04-21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737664A (zh) * 2023-01-05 2023-03-07 中央民族大学 一种具有抗炎活性的元宝枫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
WO2023128630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제넨셀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28B1 (ko) * 2020-10-14 2021-03-15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80523A1 (ko) * 2020-10-14 2022-04-21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8630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제넨셀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737664A (zh) * 2023-01-05 2023-03-07 中央民族大学 一种具有抗炎活性的元宝枫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esh et al. Berberine, an isoquinoline alkaloid suppresses TXNIP mediate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MSU crystal 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the upregulation of Nrf2 transcription factor and alleviates MSU crystal induced inflammation in rats
Cui et al. Polysaccharide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meliorates colitis via suppressing NF-κB signaling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Hung et al. Bavachin attenuates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and inhibits the activation of NLRP3 inflammasome in macrophages
Zhu et al. Baicalin ameliorates experimental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rough polarization of macrophages to an M2 phenotype
Shin et al. Ischemic brain extract increases SDF-1 expression in astrocytes through the CXCR2/miR-223/miR-27b pathway
Pahlevan Kakhki et al. HOTAIR but not ANRIL long non‐coding RNA contributes to the pathogenesis of multiple sclerosis
Ju et al. Suppression of thymus-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production by 1, 2, 3, 4, 6-penta-O-galloyl-β-d-glucose via blockade of NF-κB and STAT1 activation in the HaCaT cells
Bi et al. Catalpol inhibits LPS plus IFN-γ-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astrocytes primary cultures
Kong et al. Anti-obesity effect of carboxymethyl chitin by AMPK and aquaporin-7 pathways in 3T3-L1 adipocytes
Rahman et al. Cryptotanshinone, a compound of Salvia miltiorrhiza inhibits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by regulation of adipogenesis-related genes expression via STAT3 signaling
Mao et al. MicroRNA‐155 inhibition up‐regulates LEPR to inhibit osteoclast activation and bone resorption via activation of AMPK in alendronate‐treated osteoporotic mice
Lu et al. Sedum sarmentosum Bunge extract alleviates inflammation and kidney injury via inhibition of M1-macrophage polarization
Wang et al. Upregulation of microRNA‐200a i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enhances the repair of spinal cord injury in rats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 regulating Keap1/Nrf2 pathway
Xu et al. Inhibitory effect of fucosylated chondroitin sulfate from the sea cucumber Acaudina molpadioides on adipogenesis is dependent on Wnt/β-catenin pathway
KR20110078941A (ko) 가래나무의 특이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GG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유도 관련 분자(TNF-α,IFN-γ,TNF-α+IFN-γ and TPA)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12996541A (zh) 去除衰老细胞的方法和衰老细胞的制备方法
Sun et al. TGF-β1 promotes proliferation and invas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 by activating GLI-1 signaling.
Kulyar et al. Chlorogenic acid suppresses miR-460a in the regulation of Bcl-2, causing interleukin-1β reduction in thiram exposed chondrocytes via caspase-3/caspase-7 pathway
Shen et al. Over-expression of AQP7 contributes to improve insulin resistance in adipocytes
Costantini et al. Neuroprotective potential of Bacopa monnieri: Modulation of inflammatory signals
Jang et al. Anti‐adipogenic activity of the naturally occurring phenanthroindolizidine alkaloid antofine via direct suppression of PPARγ expression
Prasanna Kumar et al. Withaferin A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Ehrlich ascites tumor cells via Sp1 transcription factor
Shin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7-hydroxyl-1-methylindole-3-acetonitrile, a synthetic arvelexin derivative, on the macrophages through destabilizing mPGES-1 mRNA and suppressing NF-κB activation
Park et al. Dichroa febrifuga Lour. inhibits the production of IL-1β and IL-6 through blocking NF-κB, MAPK and Akt activation in macrophages
An et al. Fructus Ligustrum lucidi inhibits inflammatory mediator release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factor‐κB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