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578A -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578A
KR20110078578A KR1020090135426A KR20090135426A KR20110078578A KR 20110078578 A KR20110078578 A KR 20110078578A KR 1020090135426 A KR1020090135426 A KR 1020090135426A KR 20090135426 A KR20090135426 A KR 20090135426A KR 20110078578 A KR20110078578 A KR 20110078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tribution line
distribution
line impedan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566B1 (ko
Inventor
정점수
윤기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13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5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by converting frequency into phase shi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배전 선로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배전 선로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 배전 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부하 장치, 분산 전력을 생성하여 배전 선로에 공급하는 분산 전력 발생 장치 및 부하 장치 또는 분산 전력에 의해서 배전 계통에 발생하는 상시전압변동, 순시전압변동, 기준 역률 유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전력 품질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 계통, 실험

Description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F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의 소비 증가로 전력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전력설비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또한 분산 전원의 도입 역시 증가하고 있다. 분산 전원의 도입 및 전력설비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서 안정적이면서 우수한 전력 품질의 전력 공급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수한 전력 품질의 전력 공급을 위해서 분산 전원 또는 주변 환경에 의한 배전 계통의 동작 특성 및 전력 품질에 대한 시험 방법 및 시험 장치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수행되어온 배전 계통의 동작 특성 및 전력 품질에 대한 시험 방법은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험 방법이다. 즉, 실제적인 실험에 의해서 배전 계통의 동작 특성 및 전력 품질에 대한 시험이 수행된 것이 아니라, PSCAD/EMTDC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형태의 시험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배전 계통의 동작 특성 및 전력 품질에 대한 시험 은 실제 배전 계통의 동작 특성 및 전력 품질과 차이가 있으므로, 실증시험 설비 기반에 의한 실증 시험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확한 배전 계통의 동작 특성 및 전력 품질 측정이 가능한 실증 실험 설비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배전 선로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배전 선로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 배전 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부하 장치, 분산 전력을 생성하여 배전 선로에 공급하는 분산 전력 발생 장치 및 부하 장치 또는 분산 전력에 의해서 배전 계통에 발생하는 상시전압변동, 순시전압변동, 기준 역률 유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전력 품질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는 배전 선로에 적용될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는 배선 선로 임피던스 입력부, 입력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수신하여 배선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배선 선로 임피던 스 생성부로부터 배선 선로 임피던스 값을 수신하여 배전 선로에 적용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에 상응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는 저항 및 리액터(Reactor)를 이용하여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는 배전 선로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배전 선로에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비정상 상태의 전력은 순간전압강하, 순간전압상승, 순간정전, 주파수 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전력일 수 있다.
부하장치는 배전 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를 운전하는 모터 부하 장치 및 배전 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고조파를 생성하고, 위상을 변환하여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전자 부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부하 장치는, 모터에 브레이크 벨트가 장착되고, 모터의 브레이커 동작에 의한 토크량을 조절함으로써 모터의 부하를 조절 할 수 있다.
전자 부하 장치는, 공급받은 전력에서 각 상별 위상각, 고조파, 전류의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전자 부하 장치와 연결된 전자 장치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분산 전력 발생 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생한 전력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1 분산 전력을 배전 선로에 공급하는 태양광 전력 발생 장치 및 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발생한 전력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2 분산 전력을 배전 선로에 공 급하는 연료 전지 전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에 의한 배전 계통 시험 방법에 있어서, (a) 배전 선로에 적용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설정하는 단계, (b) 부하를 설정하는 단계, (c)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d) 분산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e) 부하 및 분산 전력에 의해서 배전 계통에 발생하는 상시전압변동, 순시전압변동, 기준 역률 유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f)단계에서, 분석된 전력 품질이 안정된 전력 품질에 대한 기준 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a) 단계의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에 의하면, 실증 시험을 통해 정확한 배전 계통의 동작 특성 및 전력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전력 공급 장치(100),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 부하 장치(300), 분산 전원 발생 장치(400) 및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배전 선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배전 선로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배전 선로에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정상 상태의 전력은 순간전압강하, 순간전압상승, 순간정전, 주파수 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전력일 수 있다.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전력 공급 장치(100)에 의해 배전 선로에 공급되는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의 전력이 배전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는 배전 선로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는 저항 및 리액터(Reactor)를 이용하여 배전 선로의 종류, 규격, 길이 등이 고려된 배전 선로의 임피던스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배전 계통 연계 시험 장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에 의해서 배전 선로의 임피던스 값이 배전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부하 장치(300)는 배전 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부하 장치(300)는 부하 장치(300)는 모터 부하 장치(310) 및 전자 부하 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부하 장치(310)는 배전 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를 운전할 수 있다. 모터 부하 장치(310)는 별도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Y-△방식으로 모터가 운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모터 부하 장치(310)의 Y-△방식에 의하면, 우선 모터를 Y 결선 방식으로 기동하고, 이후, △ 결선 방식으로 변환되면 모터의 운전이 시작된다. 이때, Y 결선 방식으로 모터가 기동될 때 정격 전류의 3~4배 크기의 기동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모터 부하 장치(310)에서 모터는 브레이크 벨트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 부하 장치(310)는 모터에 장착된 브레이크 벨트를 이용하여 모터의 브레이커 동작에 의한 토크량이 조절됨으로써, 모터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모터 부하 장치(310)에 의해서 모터의 운전시 발생하는 기동 전류가 배전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부하 장치(320)는 배전 선로를 통해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통해 고조파를 생성하고 위상을 변환하여 배전 계통에 제공할 수 있다.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배선 선로를 통해 공급 받은 교류 전력을 통한 고조파 생성 및 위상 변환이 배전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할 수 있다.
분산 전원 발생 장치(400)는 분산 전원을 발생하고, 발생된 분산 전원을 배 전선로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분산 전원 발생 장치(400)는 태양광 전력 발생 장치(410), 연료 전지 전력 발생 장치(42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전력 발생 장치(410)는 태양광 모듈에 의해서 발전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태양광 전력 발생 장치(410)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태양광 전력인 제1 분산 전력을 전력 공급 장치(100)와 부하 장치가 연결된 배전 선로로 공급할 수 있다. 태양광 전력 발생 장치(410)의 제1 분산 전력의 공급으로 역조류가 발생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전력 발생 장치(420)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발생한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전력 발생 장치(420)은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연료 전지 전력인 제2 분산 전력을 전력 공급 장치(100)와 부하 장치가 연결된 배전 선로로 공급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전력 발생 장치(420)의 제2 분산 전력의 공급으로 역조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는 배전 선로의 특성 변화를 추출하여 전력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는 전력 공급 장치(100),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 모터 부하 장치(310), 전자 부하 장치(320), 분산 전원 발생 장치(40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가 분산계통에 영향을 주었을 때, 배전 선로의 특성 변화를 추출할 수 있다.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는 추출한 배전 선로의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전력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는 전력 공급 장치(100)에서 비정상 상태의 전력이 배전 선로로 공급되었을 때, 정상 상태의 전력에 비해 어느 정도 크기를 가지며, 비정상 상태의 전력이 얼마 동안 지속되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는 비정상 상태의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배전 계통에 연계된 장치의 고장제거시간이 연계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대해서 분석할 수 있다.
전력 품질 장치(500)는 분산 전원이 배전 선로에 공급되었을 때, 배전 계통에 미치는 상시전압변동, 순시전압변동 및 기준 역률 유지에 대한 전력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다수의 장치에 따라서 변화되는 배전 선로의 특성을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에서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전력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입력부(210), 제어부(220),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입력부(210)는 배전 선로에 적용될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입력부(210)는 입력 받은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제어부(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입력부(210)와 제어부(22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여기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는 배전 선로의 종류, 규 격 및 길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는 배전 선로에 요구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입력부(210)로부터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수신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에 따라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수신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에 따라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에 포함된 스위치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에 의해서 생성된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수신한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배전 선로(700)에 적용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는 저항, 리액터(Reactor) 및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는 제어부(220)에 의해서 제어되어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에 포함된 스위치 소자가 제어부(220)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저항 및 리액터의 값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에 해당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230)는 생성한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제어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는, 외부로부터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는 수신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에 따라서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배전 선로 임피던스를 설정할 수 있다.(S310)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하여 배전 선로가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은 0~500m 사이의 배전 선로가 갖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모터 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S320) 모터 부하 장치(310)는 모터에 장착된 브레이크 벨트를 이용하여 모터의 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부하 장치(310)에 의해서 생성된 모터 부하는 0~30kW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전자 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S330) 전자 부하 장치(310)는 각 상별 위상각, 고조파, 전류의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자 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하 장치(310)에 의해 생성된 전자 부하는 0~60kW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배전 계통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S340) 전력 공급 장치(100)는 배전 선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 치(100)는 배전 선로에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분산 전원을 설정할 수 있다.(S350) 분산 전원 발생 장치(400)는 배전 선로에 분산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전력 발생 장치(410) 및 연료 전지 전력 발생 장치(420)는 각각 15kW의 전력을 배전 선로에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은 배전 선로 특성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S360)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는 단계S310에서 단계S340의 수행에 의한 배전 선로의 특성 변화를 추출할 수 있다.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는 추출한 배전 선로의 특성 변화가 전력 품질 별 기준값 적정여부에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력 품질 별 기준값은 상시전압변동, 순시전압변동 고조파 등의 전력 품질별로 배전 선로의 이상적인 특성 여부를 나타내는 기준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의 배전 선로 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상시전압변동이 3%이하, 순시전압변동이 2%이하, 고조파가 5%이하인 경우, 배전 선로는 이상적인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갖는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의 배전 선로 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상시전압변동이 3%이상, 순시전압변동이 2%이상, 고조파가 5%이상인 경우, 배전 선로의 이상적인 특성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배전 선로의 이상적인 특성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배전 선로 임피던스를 재 설정할 수 있다.(S310)
만약, 배전 선로의 이상적인 특성에 만족하는 경우, 설정된 배전 선로 임피 던스 값은 실제 배전 계통에 적용될 수 있다.(S3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배전 계통 시험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배전 계통 시험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전 계통 시험 방법의 순서 및 배전 계통 연계 시험을 수행하는 장치는 본 발명과 유사한 목적과 효과를 추출하는데 있어서,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으로서 전력 공급 장치(100), 모터 부하 장치(310), 전자 부하 장치(320),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에 의해서 다양한 부하 상태 및 배전 계통의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 등을 재현할 수 있다.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에 의해서 부하 상태 및 배전 계통의 상태를 재현하여, 부하 장치에 의해 배전 계통의 전력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에 의해서 분산 전원에 의해 배전 계통의 전력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에 따른 분산 전원 발생 장치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 장치(100)는 배전 계통 내 기준전압의 50%의 전 압을 출력하여 10Cycle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전력 품질 분석 장치(500)의 측정 및 분석에 의해 나타난 분산 전원 발생 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2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에 따른 분산 전원 발생 장치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력 공급 장치 200 :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
310 : 모터 부하 장치 320 : 전자 부하 장치
400 : 분산 전원 발생 장치 500 : 전력 품질 분석 장치

Claims (11)

  1. 배전 선로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
    상기 배전 선로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
    상기 배전 선로를 통해 상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부하 장치;
    분산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배전 선로에 공급하는 분산 전력 발생 장치; 및
    상기 부하 장치 또는 상기 분산 전력에 의해서 배전 계통에 발생하는 상시전압변동, 순시전압변동, 기준 역률 유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전력 품질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는,
    상기 배전 선로에 적용될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는 배선 선로 임피던스 입력부;
    상기 입력된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수신하여 배선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선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로부터 배선 선로 임피던스 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전 선로에 적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배전 선로 임피던스 정보에 상응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 선로 임피던스 장치는,
    저항 및 리액터(Reactor)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배전 선로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배전 선로에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상태의 전력은 순간전압강하, 순간전압상승, 순간정전, 주파수 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연계 시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부하장치는,
    상기 배전 선로를 통해 상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를 운전하는 모터 부하 장치; 및
    상기 배전 선로를 통해 상기 전력을 공급받아 고조파를 생성하고, 위상을 변환하여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전자 부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부하 장치는,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벨트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브레이커 동작에 의한 토크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부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하 장치는,
    상기 공급받은 전력에서 각 상별 위상각, 고조파, 전류의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상기 전자 부하 장치와 연결된 전자 장치의 부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분산 전력 발생 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생한 전력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1 분산 전력을 상기 배전 선로에 공급하는 태양광 전력 발생 장치; 및
    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발생한 전력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2 분산 전력을 상기 배전 선로에 공급하는 연료 전지 전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10.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에 의한 배전 계통 시험 방법에 있어서,
    (a) 배전 선로에 적용되는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설정하는 단계;
    (b) 부하를 설정하는 단계;
    (c)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d) 분산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e) 상기 부하 및 상기 분산 전력에 의해서 배전 계통에 발생하는 상시전압변동, 순시전압변동, 기준 역률 유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분석된 전력 품질이 안정된 전력 품질에 대한 기준 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a) 단계의 배전 선로 임피던스 값을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 시험 방법.
KR1020090135426A 2009-12-31 2009-12-31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 KR10113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426A KR101131566B1 (ko) 2009-12-31 2009-12-31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426A KR101131566B1 (ko) 2009-12-31 2009-12-31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578A true KR20110078578A (ko) 2011-07-07
KR101131566B1 KR101131566B1 (ko) 2012-04-04

Family

ID=4491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426A KR101131566B1 (ko) 2009-12-31 2009-12-31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5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9593A (zh) * 2012-07-05 2012-10-24 安徽中兴继远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电源并网检测系统及方法
KR101327748B1 (ko) * 2012-07-05 2013-11-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품질 분류 방법의 평가를 위한 전력신호 생성 방법
CN104483527A (zh) * 2014-12-23 2015-04-01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分配板电压监测的装置及方法
KR102328080B1 (ko) * 2021-03-31 2021-1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분산 전원의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03107A1 (ko) * 2021-03-26 2022-09-29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음압 컨테이너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80B1 (ko) * 2013-08-16 2013-12-02 한국 전기안전공사 가정용 연료전지의 단독운전시 부하설비의 전압 및 전력 품질 평가 시스템
KR101333176B1 (ko) * 2013-08-16 2013-12-02 한국 전기안전공사 가정용 연료전지의 단독운전시 부하설비의 전압 및 전력 품질 평가 방법
CN107328981B (zh) * 2017-08-11 2020-01-10 华北电力大学 一种变压器中性点故障电压的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254B1 (ko) * 1999-09-09 2002-03-27 권영한 전원의 전압가변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0789412B1 (ko) * 2005-10-05 2007-12-28 (주)신우디엔시 인공지락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장점 표정 방법
KR100863672B1 (ko) * 2006-10-31 2008-10-15 한국전력공사 배전 자동화 교육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147347B1 (ko) * 2010-05-26 2012-05-2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압배전선로에 연계된 신에너지(태양광) 전원의 양방향 보호협조 시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9593A (zh) * 2012-07-05 2012-10-24 安徽中兴继远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电源并网检测系统及方法
KR101327748B1 (ko) * 2012-07-05 2013-11-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품질 분류 방법의 평가를 위한 전력신호 생성 방법
CN102749593B (zh) * 2012-07-05 2014-10-15 安徽中兴继远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电源并网检测系统及方法
CN104483527A (zh) * 2014-12-23 2015-04-01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分配板电压监测的装置及方法
WO2022203107A1 (ko) * 2021-03-26 2022-09-29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음압 컨테이너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방법
KR20220134729A (ko) * 2021-03-26 2022-10-0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음압 컨테이너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방법
KR102328080B1 (ko) * 2021-03-31 2021-1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분산 전원의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11193A1 (ko) * 2021-03-31 2022-10-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분산 전원의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566B1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566B1 (ko) 배전 계통 시험 시스템 및 시험 방법
JP6147342B2 (ja) 電気供給系統に電気エネルギー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254008B1 (ko) 신재생 에너지 모듈을 위한 성능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GB2446418B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cognition, metering and energy output prediction of renewable energy devices
JP2012005346A (ja) 発電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A201200193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егенеративной установки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RU26657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ойчивостью местной электросети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м местной электросети
KR101531365B1 (ko) 선박 전력계통 시뮬레이터
CN109075740A (zh) 太阳能发电系统
Subramanian et al. Intelligent system to monitor and diagnose performance deviation in Industrial Equipment
KR101632831B1 (ko) 태양광 모듈의 고장 위치 검출 장치
KR101197040B1 (ko) 피시험장치 모의용 기상-부하 시뮬레이터
KR102044226B1 (ko) 전력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20136192A (ko) 계통 연계형 모의운전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5891251B2 (ja) 電力変換装置の電源供給装置
KR20170000563A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테스트 장치
Lakshmikhandan et al. Real time exploited BLDC motor drive BLDC motor drive in lab view virtual instrumentation environment
CN109787235A (zh) 新能源发电机组全功率范围谐波特性模型获取方法及系统
Tabrizi et al. Utilization of low voltage in-line power regulator for reliable integration & performance of DER technologies
KR101414276B1 (ko) 발전기 여자시스템 점검장치의 인버터 방식의 전압출력 시스템
KR102040604B1 (ko) 풍력발전 시스템을 위한 전력 품질 시험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JP2021069170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riste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regarding the dynamic behaviour of the mechanical system relation to electrical system of the synchronous machine in wind turbine applications
CN216531243U (zh) 光伏逆变器测试设备及光伏发电系统
Dlamini et al. An improved motor replacement strategy using non-intrusive motor efficiency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