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312A -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312A
KR20110076312A KR1020090132991A KR20090132991A KR20110076312A KR 20110076312 A KR20110076312 A KR 20110076312A KR 1020090132991 A KR1020090132991 A KR 1020090132991A KR 20090132991 A KR20090132991 A KR 20090132991A KR 20110076312 A KR20110076312 A KR 20110076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ound source
metadat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4566B1 (en
Inventor
이윤주
임태범
이석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566B1/en
Publication of KR2011007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sound source recommending method using situ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recommend a sound source by the low costs, is provided not to be biased to a center of current popular music and is provided to recommend a sound source which is suitab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a user. CONSTITUTION: A music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and accid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S300). A recommendation sound source is selected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and user terminal information(S302). A message included in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S304).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weight about preferred item transmitted form the user terminal among a preference item including singer, genre, and title and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downloading time and sound source which the user terminal downloaded.

Description

상황 정보를 이용한 음원 추천 방법{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Sound recording recommendation method using context information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본 발명은 음원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재생 이력,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상황 정보 등의 정보를 이용한 음원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method using information such as user playback history, user preferences, user context information, and the like.

디지털 음악 데이터베이스(DB)가 점점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디지털 음악 검색, 자동 음악 요약, 음악 추천 시스템에 대한 수요 역시 커지고 있으며, 특히 상업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음악 자동 추천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Digital music databases are growing and the demand for effective digital music retrieval, automatic music summaries, and music recommendation systems is growing, and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automat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s that can generate commercial value is growing. .

음악 추천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판도라(Pandara)와 라스트.FM(Last.FM)이 있다. 판도라는 아이템 기반(Item-based) 추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음악전문가들이 사전에 약 400개의 음악속성값을 기준으로 모든 서비스곡들을 분석하여 DB화한 뒤에 소비자가 시트 데이터(seed data)를 입력하면 이와 유사한 곡들을 연속 재생시켜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Common methods for recommending music are Pandora and Last.FM. Pandora adopts an item-based recommendation scheme. Music experts adopt a method of analyzing all service songs based on about 400 music attribute values in advance and DBizing them, and then replaying similar songs continuously when a consumer inputs sheet data.

Last.FM은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CF)에 의한 추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협업 필터링 방식은 나와 비슷한 취향을 가진 다른 사용자들이 듣는 음악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판다라는 아이템 기반 추천 방식인데 비해 Last.FM은 사용자의 이용 통계를 기반으로 추천해주는 방식이다. Last.FM adopts a recommend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CF). The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recommends music that other users with similar tastes listen to. Panda is an item-based recommendation method, whereas Last.FM recommends it based on user usage statistics.

판도라의 경우는 음악 신호로부터 하위 레벨(예로서, 에너지, 피크값 등과 같은 신호의 물리적 레벨)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음악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게 된다. 이처럼, 음악 간의 유사도를 구하여 유사 음악을 추천하는 방식의 경우, 사용자 질의 음악과 유사한 음악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preference)를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위 레벨(예로서, 에너지, 피크값 등과 같은 신호의 단순한 물리적 레벨)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그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Pandora, the similarity between music is calculated by extracting feature vectors of lower levels (for example, physical levels of signals such as energy and peak values) from the music signal.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recommending similar music by finding similarity between music,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preference can be reflected by recommending music similar to user's query, but the lower level (for example, energy, peak) Since a feature vector of a simple physical level of a signal such as a value is extracted and processed, the accuracy is lowered.

Last.FM의 경우, 사용자들의 음악 다운로드 목록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곡들의 다운로드가 많이 겹치는 사용자 집단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취향이 비슷한 사용자 집단의 전체 다운로드/스트리밍 목록을 구성한 후, 이 목록과 비교하여 사용자 목록에 없는 곡을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이때, 사용자의 음악 다운로드 목록을 토대로 집단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또는 다운로드한 음악의 분위기를 기쁨, 슬픔, 쾌활함 등으로 간단하게 분류하여 사용자의 보유 음악의 분위기 분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취향을 집단화하여 같은 취향을 가진 집단의 보유 음악을 같은 집단의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Last.FM, the music download list of users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extract a user group in which downloads of the same songs overlap a lot. Based on this, a complete list of downloads / streamings of a similar user group is constructed, and then compared to this list, the song is not recommended to the user list. In this case, a group may be formed based on the user's music download list, but the signal distribution technology simply classifies the mood of the user's owned or downloaded music into joy, sadness, cheerfulness, etc.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is, users' tastes may be grouped to recommend music held by a group having the same taste to other users of the same group.

이와 같은 '사용자 기 청취 곡 또는 다운로드 곡 목록을 통해 사용자 집단 화를 통해 음악을 추천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A라는 사용자의 보유 또는 기 청취 곡의 분포가 사용자B의 보유 또는 기 청취 곡의 분포와 유사하다고 가정했을 때, 사용자B의 새로운 청취 곡을 사용자A에게 추천하거나 음악의 분위기를 단순하게 분류한 후에 이를 토대로 추천하는 방식이다. Such a method of recommending music through user grouping through a user's existing listening song or a list of downloaded songs is, for example, a user's possession of A or a distribution of existing listening songs is maintained by User B or distribution of existing listening songs. Assuming that is similar to, a new listening song of user B is recommended to user A, or simply classified based on the mood of music.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취향을 일부 반영할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특성(예로서, 리듬, 음색 등)으로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이미 청취했거나 다운로드한 음악의 분포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추천하므로, 그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게 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특성(예로서, 리듬, 음색 등)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보유 음악들의 분위기를 단순히 4개 또는 5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이의 분포도로 사용자들을 집단화하여 서로 간의 보유 음악을 추천하는 방식은 음악 분위기의 애매성(ambiguity)과 다양성에 따라 그 정확도가 상당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is may reflect some of the user's preferences for music, but ultimately, it is not recommended for the user's preference of the music (eg, rhythm, timbre, etc.) Since the music is selected by other users using the distribution of music, the accuracy is very low,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eg, rhythm, tone, etc.) cannot be properly reflected. 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the user-owned music is simply classified into four or five categories and the users are grouped in the distribution thereof to recommend the music held by each other is highly accurate according to the ambiguity and diversity of the music atmosphere. There is a problem falling.

하지만, 사용자의 선호 의사는 곡 특성 자체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음악 특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 질의 음악 또는 사용자 과거 질의 음악들의 특성 패턴과 유사한 음악을 검색하여 추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However, since the user's preferred intention is often based on the song characteristics itself, it may be more effective to grasp the music characteristics and to search for and recommend music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the user's query music or the user's past queries.

부가하여 설명하면, 아이템 기반 추천 방식인 판도라는 음악전문가들이 모든 곡들을 손수 분석하기 때문에 상당히 정교한 음악 메타DB를 쌓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매우 다양한 곡들을 추천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규모를 확장하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Pandora, an item-based recommendation method, can analyze a lot of music by hand, so it is possible to build a highly sophisticated music metaDB and recommend various songs based on this. There is a limit that it is not easy to scale up.

Last.FM은 사용자의 이용 통계를 기반으로 추천하기 때문에 사전에 음악 메타DB를 구축할 필요는 없으나, 추천되는 곡들이 현재의 인기곡 중심으로 쏠리는 경향이 생기게 되는 단점이 있다.Since Last.FM recommends based on user usage statistics, it is not necessary to build a music metaDB in advance, but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recommended songs tend to be centered on current popular song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원을 추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source suitable for a user in consideration of a user's situ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대한 정보와 서비스로부터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음원을 추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source more suitable to the user from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and servi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음원을 추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source at a low cos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원 추천 장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 가수, 장르, 제목 등을 포함하는 선호 항목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저장하는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DB, 음원 추천을 요청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사건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상황 정보 분석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DB와 상기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DB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정보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별 추천 음원에 대 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the user's preferred items, including user profile metadata database (DB) that stor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rtists, genres, titles, etc. A user preference metadata DB for storing weights, a user context information analyzer for analyzing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e information for requesting sound source recommend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nd the user profile metadata DB and the user preference metadata DB It includes a user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pecific recommended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stor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analysis un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원 추천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사건 정보를 포함한 음원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와 사건 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할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reviously stored; Selecting a sound source to be recommended,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원을 추천하며, 더불어 방대한 정보와 서비스로부터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음원을 추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음원을 추천할 수 있으며, 현재의 인기곡 중심으로 편향되지 않고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음원을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commends a sound source suitable for a user in consideration of a user's situation, and recommends a sound source more suitable for a user from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and servic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mmend a sound source at a low co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commend the appropriat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without bias toward the current popular songs.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원 추천 방법은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한 이력 목록, 전문가들의 추천 음악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원을 추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원 추천하는 시스템의 구성과 컨 텐츠 및 메타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method recommends a sound source that the user prefers in consideration of a user profile, a user preference, a history list of playing the user audio content, recommended music of experts, and the lik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system and a flow of content and meta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의하면, 실선은 메타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으며, 점선은 컨텐츠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컨텐츠 생성부(100), 메타데이터 편집부(102), 메타데이터 수집부(104), 컨텐츠 저장부(106), 사용자 입력부(108)를 포함한다.1, the solid line shows the flow of metadata, and the dotted line shows the flow of contents. 1 includes a content generating unit 100, a metadata editing unit 102, a metadata collecting unit 104, a content storing unit 106, and a user input unit 108.

컨텐츠 생성부(Content Creation)(100)는 컨텐츠나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컨텐츠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메타데이터 편집부(Metadata Editing)(102)는 생성된 컨텐츠를 사용할 유저를 위한 메터데이터 편집 기능을 하며, 메타데이터 수집부(Metadata Aggregation)(104)는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하여 독립적인 컨텐츠 생성자와 개발자들이 제공한 컨텐츠를 수집한다. 사용자 입력부(User Interaction)(108)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자 등록시에 사용자가 좋아하는 오디오의 타이틀, 가수, 작곡가, 장르 등을 입력시키는 기능을 하며, 컨텐츠 저장부(Content storage)(106)는 선택된 프로그램들이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저장된다.The content creation unit 100 generates content or a program, and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the program. Metadata Editing 102 provides metadata editing for users who will use the generated content, and Metadata Aggregation 104 allows independent content creators and developers to maintain the system. Collect the provided content. The user input unit 108 may input a title, singer, composer, genre, etc. of a favorite audio at the time of user registration to obtai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storage unit 106 may include a content storage unit 106. The selected program is stored for viewing at any time.

도 1에 의하면,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생성부(100), 메타데이터 편집부(102), 메타데이터 수집부(104), 사용자 입력부(108)로 이동하며, 컨텐츠는 컨텐츠 생성부(100), 컨텐츠 저장부(106), 사용자 입력부(108)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etadata moves to the content generating unit 100, the metadata editing unit 102, the metadata collecting unit 104, and the user input unit 108, and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content generating unit 100 and the content storage unit. The unit 106 moves to the user input unit 108.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을 추천하는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Database Manager)(200)는 메타데이터 관리부(Metadata Manager)(210)와 사용자 관리부(User Manager)(22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는 컨텐츠 목록 파일부(212)와 컨텐츠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Content Metadata Database)(214)와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Audio Content Database)(216)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목록 파일부(222)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User Database)(224)를 포함하며, 사용자 상황정보 분석부(226)와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8), 사용자 이력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30),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32)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for recommending sound sources using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database manager 200 includes a metadata manager 210 and a user manager 220. The database manager 210 includes a content list file unit 212, a content metadata database 214, and an audio content database 216. The user manager 220 includes a user list file unit 222 and a user database 224, and includes a user context information analyzer 226, a user profile metadata database 228, and a user history metadata database. 230, user preference metadata database 232.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이력의 메타데이터 DB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디오 컨텐츠를 요청한 시점에서 시간 정보, 위치정보, 사용자에게 일어난 사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최종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음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FIG. 2,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quick searching by separately configuring a metadata DB of a user profile, a user preference, and a user histor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source suitable for a user by finally analyzing the user's situation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ccurring to the user at the time the user requests audio content.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Password),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매핑 테이블을 관리한다. 매핑 테이블은 사용자별로 사용자 DB(224)의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이력, 사용자 선호도를 쉽게 접근 또는 검색할 수 있도록 연결 관계를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220)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활성 사용자 테이블(Active User Table)도 관리한다. 활성 사용자 테이블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사건 정보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컨텐츠 리스트,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사용자가 시청 중지한 컨텐츠의 중지시점(Stop Point)등의 사용자 상태를 기록 관리한다.The user manager 220 manages a mapping table that stores user IDs, passwords, and device information. The mapping table stores connection relations so that users can easily access or search the user profile, user history, and user preference of the user DB 224 for each user, and manage user devi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manager 220 also manages an active user table that manages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user. The active user table includes a list of contents created by considering the tim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used by the user, and a stop point of content that the user has stopped watching. Record user status.

메타데이터 관리부(210)는 컨텐츠 DB(216)의 컨텐츠 메타데이터를 쉽게 접근 또는 검색할 수 있도록 연결 관계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관리한다. 컨텐츠 DB는 오디오 컨텐츠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는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6)와 각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가진 컨텐츠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4)를 따로 구성한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10)는 컨텐츠의 상세정보를 가진 컨텐츠 메타데이터도 xml로 구성된 파일이므로 빠른 검색을 위해 컨텐츠 메타데이터에 쉽게 접근 및 검색할 수 있는 매핑 테이블을 만들어 관리한다.The metadata manager 210 manages a file that stores a connection relationship so that content metadata of the content DB 216 can be easily accessed or searched. The content DB separately configures an audio content database 216 for storing audio content files and a content metadata database 214 having metadata for each audio content.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210 creates and manages a mapping table for easily accessing and searching the content metadata for quick search since the content metadata hav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also a file consisting of xml.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DB(228)는 사용자의 나이, 연령, 성별 등 개인 정보를 XML 파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DB(232)는 사용자가 처음 서버 등록시 입력한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 작곡가, 장르, 타이틀, 키워드 그리고 각 선호하는 항목에 대한 가중치(Very High, High, Low, Very Low) 등 선호 정보를 XML 파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사용자 이력 메타데이터 DB(230)는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최근에 스트리밍받은 오디오 컨텐츠의 목록과 사용자가 오디오 컨텐츠를 이용한 시간 등을 저장, 관리한다. The user profile metadata DB 228 stores and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ge, age, and gender of the user in an XML file in the database. The user preference metadata DB 232 may include a favorite singer, composer, genre, title, keyword, and weights for each favorite item (Very High, High, Low, Very Low) that the user inputs when registering the server for the first time.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in a database as an XML file. The user history metadata DB 230 stores and manages a list of audio contents recently streamed from the server by the user accessing the server and a time when the user used the audio contents.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포맷의 오디오 컨텐츠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각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가수, 작곡가, 장르, 타이틀, 키워드 등 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The content database consists of a database that stores audio content files of various formats and a content metadata database that store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rtists, composers, genres, titles, and keywords for each audio content.

사용자 상황 정보 분석부(226)는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사건 정보를 고려하 여 분석한다. 시간 정보는 사용자의 음악에 대한 시간에 따른 성향을 반영하며, 시간 구분을 수치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어떤 특정 기간이나 때를 나타낸다. 일예로, 아침, 점심, 저녁, 봄, 여름과 같이 흔히 통용될 수 있는 때를 사용자는 표현하도록 하고, 이런 불명확한 시간 개념을 퍼지집합을 이용하여 특정 때를 명확한 시간으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예로 봄은 3월~5월로 매핑한다.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analyzer 226 analyzes the tim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e time information reflects the user's propensity over time for the music and cannot represent the time division numerically, but indicates any particular period or time. For example, a user may express a commonly used time such as morning, lunch, dinner, spring, and summer, and use the fuzzy set to convert a specific time to a specific time by using a fuzzy set. For example, spring maps from March to May.

위치 정보는 해변, 산, 도로 위, 건물 내 등 LBS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식당, 도서관, 화장실, 거실 등 의미 있는 장소 정보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사건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캘린더를 링크하여 기념일, 행사, 출장, 만남 등 개인사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황 정보에 알맞은 음원 추천을 할 수 있도록 한다.Location information can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LBS, such as on the beach, mountains, roads, buildings, etc., and can distinguish and process meaningful place information such as restaurants, libraries, bathrooms, and living rooms. The event information links the user's personal calendar to allow the user to recommend sound sources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personal history such as anniversaries, events, business trips, and meetings.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선호도,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추천 방법을 확장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에 활용 가능하고, 시간, 위치, 개인사건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나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에 적용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user's profile information, preference, and history information to search multimedia contents, and to apply to medical service or navigation service using time, location, and personal event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원과 음원 추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와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음원을 요청하는 단말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와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3 illustrates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storing sound sources and sound sourc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requesting sound sources to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and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300단계에서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추천 음원의 전송을 요청하는 음원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말은 음원 추천 요청 메시지에 현재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GPS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또는 단말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개략적인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략적인 위치 정보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단말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일예로 단말은 표시부에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입력하면, 단말은 입력된 위치 정보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In step S300, the terminal transmits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terminal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is located in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To this end, the terminal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GPS,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Alternatively, the terminal receives the schemat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currently connected, and transmits the received rough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terminal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nother method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For example, the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reques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inpu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the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단말은 위치 정보 이외에 사건 정보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물론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는 단말의 사건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을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에 사건 정보를 입력하면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으로 사건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The terminal transmits event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course,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may store the ev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advance,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may receive the event information in real time.

단말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념일, 행사, 출장, 만남 등과 관련된 사건 정보를 음원 추천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단말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념일, 행사, 출장, 만남 등과 같은 사건 정보 모두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거나, 현재일과 관련된 기념일, 행사, 출장, 만남 등과 같은 사건 정보를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transmits the ev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niversary, event, business trip, meeting, etc. stored in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The terminal may transmit all of the event information such as an anniversary, an event, a business trip, a meeting, etc. stored therein to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or may transmit event information such as an anniversary, an event, a business trip, a meeting related to the current day, to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S302단계에서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는 전달받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사건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스에 따라 단말로 전송할 음원을 선정한다.In step S302,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selects a sound sourc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a stored process by using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아침, 점심, 저녁, 봄, 여름과 같이 흔히 통용될 수 있는 때를 사용자는 표현하도록 하고, 이런 불명확한 시간 개념을 퍼지집합을 이용하여 특정 때를 명확한 시간으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예로 봄은 3월~5월로 매핑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expresses a time that can be commonly used, such as morning, lunch, dinner, spring, and summer, and converts an unclear time concept into a specific time by using a fuzzy set. For example, spring maps from March to May.

위치 정보는 해변, 산, 도로 위, 건물 내 등 LBS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식당, 도서관, 화장실, 거실 등 의미 있는 장소 정보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사건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캘린더를 링크하여 기념일, 행사, 출장, 만남 등 개인사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황 정보에 알맞은 음원 추천을 할 수 있도록 한다.Location information can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LBS, such as on the beach, mountains, roads, buildings, etc., and can distinguish and process meaningful place information such as restaurants, libraries, bathrooms, and living rooms. The event information links the user's personal calendar to allow the user to recommend sound sources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personal history such as anniversaries, events, business trips, and meetings.

S304단계에서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는 선정한 음원을 단말로 전송한다.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는 설정된 방법에 따라 하나의 음원만을 단말로 전송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음원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304,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transmits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terminal.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may transmit only one sound source to the terminal or at least two sound sources according to the set method.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는 단말로 음원을 직접 제공하거나, 음원에 대한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음원에 대한 정보만을 전송받은 단말은 음원을 소정의 절차를 거쳐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may directly provide a sound source to the terminal or transmit only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The terminal receiving only information on the sound source may download the sound source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단말은 다운로드받은 음원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재생하거나, 벨소리 또는 컬러링, 기타 단말에서 요구하는 음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play the downloaded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or use the ring tone or coloring, or other sound source required by the terminal.

부가하여 단말은 음원 추천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주기로 자동으로 전송하거나,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가 단말로 특정 주기 단위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매일 음원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수신한 음원을 이용하여 벨소리 또는 컬러링을 매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transmit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in a specific cycl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or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a specific cycle uni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transmits the daily sound source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the terminal may update the ringtone or coloring daily by using the received sound sourc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원 추천하는 시스템의 구성과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system and a flow of content and meta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을 추천하는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의 블록도이며,2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for recommending sound sources using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원과 음원 추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와 음원 추천 데이터베이스로 음원을 요청하는 단말을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storing sound sources and sound sourc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requesting sound sources to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A user profile metadata database (DB) that store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가수, 장르, 제목 등을 포함하는 선호 항목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저장하는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DB;A user preference metadata DB for storing a weight of a user's favorite item among preference items including a singer, a genre, and a title; 음원 추천을 요청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사건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상황 정보 분석부;A user context information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context information including tim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that has requested sound source recommendation;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DB와 상기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DB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정보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별 추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장치.And a user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pecific recommended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profile metadata DB, the user preference metadata DB, and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analysis unit. Sound source recommendation apparatus to assu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추천 장치는,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evice, 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오디오 컨텐츠 DB;An audio content DB storing a sound source; 상기 음원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메타데이터 D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장치.And a content metadata DB for storing metadata about the sound sour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추천 장치는,According to claim 2,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evice, 각 사용자가 다운로드받은 음원과 상기 음원을 다운로드받은 시간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이력 메타데이터 D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장치. And a user history metadata DB for stor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a sound source downloaded by each user and a time for downloading the sound sour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추천 장치는,According to claim 3,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device, 상기 오디오 컨텐츠 DB, 컨텐츠 메타데이터 DB를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DB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metadata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udio content DB, the content metadata DB and a user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user DB, 상기 사용자 관리부는 현재 음원 추천을 요청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현재 음원 추천을 요청하지 않은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장치.And the user manager divides and manages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has requested the current sound source recommend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has not requested the current sound source recommendation.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사건 정보를 포함한 음원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상기 위치 정보와 사건 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할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Selecting a sound source to be recommend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event information, and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선정된 상기 음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user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가수, 장르, 제목 등을 포함하는 선호 항목 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선호하는 항목에 대한 가중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다운로드받은 음원과 상기 음원을 다운로드받은 시간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preferred item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mong the preferred items including a singer, genre, title, etc., and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sound source download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time when the sound source was downloaded. Sound source recommend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vent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기념일, 행사, 출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건 정보 중 해당 날짜와 관련된 사건 정보만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And at least one of an anniversary, an event, and a business trip stored in the user terminal, wherein only the ev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te of the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음원 추천을 요청한 계절,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Sound source recommending method comprising the time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son, the time point for requesting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KR1020090132991A 2009-12-29 2009-12-29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KR101084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91A KR101084566B1 (en) 2009-12-29 2009-12-29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91A KR101084566B1 (en) 2009-12-29 2009-12-29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312A true KR20110076312A (en) 2011-07-06
KR101084566B1 KR101084566B1 (en) 2011-11-17

Family

ID=4491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991A KR101084566B1 (en) 2009-12-29 2009-12-29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56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57A1 (en)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giving notification of latest content
KR20140031422A (en) * 2012-08-28 2014-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 based on user context
WO2014208992A1 (en) * 2013-06-25 2014-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usic recommendation, and server and terminal applied to same
KR101981748B1 (en) * 2018-08-27 2019-05-27 양정민 Music streaming servic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323B1 (en) 2012-09-06 2019-1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anding contents based on user context
KR102552867B1 (en) 2022-12-20 2023-07-10 (주)위치스컬쳐 User personality type analysis resul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ustomized instrument, instructor, and practice song recommend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57A1 (en)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giving notification of latest content
KR20140031422A (en) * 2012-08-28 2014-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 based on user context
WO2014208992A1 (en) * 2013-06-25 2014-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usic recommendation, and server and terminal applied to same
KR101981748B1 (en) * 2018-08-27 2019-05-27 양정민 Music streaming servi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566B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0611B2 (en) Method for sharing and searching playlists
US20230418872A1 (en) Media content item recommendation system
US88866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edia recommenda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based on tagging play history inform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US8666525B2 (en) Digital media playe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usic recommendation
US8117193B2 (en) Tunersphere
US8983937B2 (en) Tunersphere
US75906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laylists
US694132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playlists
US7613736B2 (en) Sharing music essence in a recommendation system
US734523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 persona processing media content-associated metadata
US20090158155A1 (en) Playlist generation, delivery and navigation
KR101084566B1 (en) Method of Music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Information
CN102857471A (en) Multimedia interacting method and system
KR102100964B1 (en)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 feedback, and service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CN101925897A (en) Method of suggesting accompaniment tracks for synchronised rendering with content data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