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232A -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232A
KR20110075232A KR1020090131619A KR20090131619A KR20110075232A KR 20110075232 A KR20110075232 A KR 20110075232A KR 1020090131619 A KR1020090131619 A KR 1020090131619A KR 20090131619 A KR20090131619 A KR 20090131619A KR 20110075232 A KR20110075232 A KR 2011007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
layer
light diffusing
diffu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기환
허현주
이용준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5232A/en
Publication of KR2011007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2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PURPOSE: A light diffusion plate, a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lighting apparatus are provided to reduce a thickness thereof by enhancing diffusion performance in spite of a short interval between a diffusion plate and a light source. CONSTITUTION: A base material layer(110) includes a light incidence surface which i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in order to receive the light. A light emission unit i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layer and emits the light to the outside thereof. A plurality of patterns are arranged in a shape of lattice. A bottom surface of the patterns has a shape of a polygon. The patterns are formed with at least three-layer structure.

Description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조명장치{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ghting Device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diffusion plate, a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illumination device.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의 경우, 자체 발광 소자가 아니므로 그 후면에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TV,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과 같이 대형에 주로 응용되는 직하형 방식(Direct Type)과 모니터 및 노트북과 같이 소형에 주로 응용되는 에지형 방식(Edg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since it is not a self-light emitting device, a backlight unit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Such a backlight unit may be broadly classified into a direct type that is mainly applied to a large size such as a TV and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and an edge type that is mainly applied to a small size such as a monitor and a notebook.

직하형 방식의 경우, 막대 모양(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ighting) 또는 점 모양(Light Emitting Diode)의 광원을 다수 배열하여 사용하고 있어 전면에 균일한 휘도를 얻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광확산판을 이용하여 광을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그 후 광확산판 상측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마이크로 렌즈 시트 또는 필요시 가장 상측에 광휘도 편광 시트를 조합하여 전면으로 광을 균일하게 출광시키거나 집광하는 방식으로 해결한다.In the case of the direct type method, it is difficult to obtain uniform luminance on the front surface becaus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having a bar shap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ighting) or dot shape (Light Emitting Diode) are used. Therefore, light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a light diffusing plate, and then a diffuser sheet, a prism sheet, a micro lens sheet or a light luminance polarizing sheet is arrang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light diffusing plate above, if necessary. This is solved by uniformly emitting or condensing light to the front.

상기한 백라이트 유닛은 고휘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광원으로 다수의 램프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램프 사용시 상기 램프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증가되고 또한 사용되는 전력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램프의 수를 절감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이 필요하다. 램프의 수를 절감하기 위해서 광확산판에 일정한 패턴 형상을 형성하고 있으나, 패턴의 형상에 따라 휘도와 균일도가 달라짐에 따라 그 패턴의 형상은 매우 중요하다. The backlight unit uses a plurality of lamps as a light source to implement high brightness. 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lamps ar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is increased because the lamps are expensi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 backlight unit in which the number of lamps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lamps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light diffusion plate, the shape of the pattern is very important as the brightness and uniformit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attern.

한편, 광확산판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조립, 보관하거나 이송하는 등 여러 가지 상황에서, 광확산판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광확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광이 정상적으로 확산되지 못해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호 필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보호 필름을 추가할 경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광확산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광확산판,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필요하다.Meanwhile, scratches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assembling, storing or transport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or the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If a scratch occurs in the light diffusion plate, the light is not diffused normally and the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degraded. In order to prevent this, a protective film is additionally requir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when adding a protective film.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light diffusion plate, a backligh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and reduce the cost.

본 발명은도 휘도 및 균일도가 우수하여 광원수의 감소가 가능하며, 스크래치에 강하여 보호 필름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확산판과 광원사이의 거리가 가까워도 확산 성능이 우수하여 슬림화가 가능한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brightness and uniformity can be reduced the number of light sources, strong scratches do not require a protective film as well as a light diffusion plate that can be slimmed excellent diffusion performanc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ight source, It is to provide a backlight uni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The light diffusion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저면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구비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외측으로 광이 출사되는 광출사면이 구비되고 격자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은 저면이 다각형이고, 측단면의 하단 내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3개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다각뿔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ase layer having a light incidence surface into which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incident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light emission surface on which the light exits from the outside, the plurality of patterns being arranged in a lattice shape; The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a polygonal, polygonal pyramidal shape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inner corner of the side cross-section is gradually reduced.

상기 패턴은 저면이 사각형이고, 측단면의 하단 내각이 점차 감소하는 제1층, 제2층 및 제3층으로 이루어진 다각뿔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ttern is preferably a polygonal pyramid consisting of a first layer, a second layer, and a third layer, the bottom of which is rectangular in shape, and the lower inner corner of the sid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상기 패턴은 저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변의 길이를 P라 했을 때 상기 P는 100㎛ 내지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pattern has a square bottom face, and P is 100 micrometers-350 micrometers when length of one side is P.

상기 패턴의 높이 h는 50㎛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h of the said pattern is 50 micrometers-500 micrometers.

상기 제1층의 높이를 h1, 제2층의 높이를 h2, 제3층의 높이를 h3라 했을 때 h1>h2>h3 일 수 있다.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layer is h1, the height of the second layer is h2, and the height of the third layer is h3, h1> h2> h3.

상기 패턴과 이웃한 다른 패턴은 이격거리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거나, 상 기 패턴과 이웃한 다른 패턴과의 사이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이격 거리 c는 0.1㎛ 내지 20㎛일 수 있다. Another pattern adjacent to the pattern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spacing distance, or the pattern may be spaced apart from another pattern adjacent thereto, and the separation distance c may be 0.1 μm to 20 μm.

상기 패턴은 기재층상에 상부로 돌출된 양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기재층 상에 하부로 만입된 음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pattern may b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protruding upward on the base layer or in an intaglio shape recessed downward on the base layer.

상기 기재층의 광입사면 또는 패턴의 광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거칠기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oughness is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ight incidenc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layer or the light emission surface of the pattern.

상기 기재층의 광입사면 또는 패턴의 광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기능성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functional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or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상기 기재층 또는 기능성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수지와 광확산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재층 또는 기능성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형광증백제, 이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base layer or the functional lay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resin and a light diffusing agent.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base layer or the functional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ultraviolet absorber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fluorescent brighteners, and release agents.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light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 및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llu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 diffusion plate and a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cklight unit and a light source includ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조명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서 광원은 LED일 수 있으며, 상기 LED는 렌즈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lighting device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light source may be an LED, and the LED is preferably a lens type.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은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시 휘도 및 균일도가 높아 램프의 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에 강하여 별도의 보호 필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상기 광확산판은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brightness and uniformity when applied to the backlight unit can reduce the number of lamps, it is resistant to scratches has the effect of no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protective film.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plate may be usefully applied to a backlight unit,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n illumination devic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확산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패턴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tern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view 1 is a plan view of the pattern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ttern shown in FIG.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100)은 기재층(110)과, 상기 기재층(1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120)이 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in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layer 110 and a plurality of patterns 120 formed on the base layer 110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

상기 기재층(110)은 광원 또는 램프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대략 평평한 광입사면(111)을 구비한다. The base layer 110 includes a substantially flat light incident surface 111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from a light source or a lamp.

상기 패턴(120)은 기재층(110)의 광입사면(111)의 반대면상에 형성되며, 외측에 광출사면(112)이 구비되며, 다수의 패턴(120)이 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 The pattern 120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of the base layer 110, the light exit surface 112 is provided on the outside, a plurality of patterns 120 are arranged in a grid shape.

상기 기재층(110)의 두께는 제한되지 않으나 0.1mm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0)의 두께가 0.1mm 미만일 경우에는 광확산판(100)이 일정한 강성을 유지하기 힘들고, 따라서 광확산판(100) 상부에 올라가는 광학부자재를 지지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상기 기재층(110)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광확산판(100)으로서의 필요한 강성이 얻어짐과 동시에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로부터 광학 부자재를 보호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 기재층(110)의 두께가 4㎜를 초과할 경우 원부자재의 양이 증가하여 광확산판(100)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중량이 증가한다.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110 is not limited, but may be 0.1 mm to 4.0 mm.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110 is less than 0.1mm,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stiffness, and thus has the disadvantage of not supporting the optical subsidiary material that rises above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 Accordingly, the base layer 110 has a certain thickness, so that the necessary rigidity as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 is obtained and the optical subsidiary material must be protected from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110 exceeds 4mm, the amount of raw and subsidiary materials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 In addition, as the thickness increases, the weight of the direct backlight unit increases.

상기 기재층(110)은 투명수지와 확산기능을 하는 광확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se layer 110 may include a transparent resin and a light diffusing agent having a diffusion function.

상기 투명수지는 가격이 저렴하면서 광투과성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parent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acrylic resin, a styrene-acrylic copolymer resin, a styrene resin, a styrene-acrylonitril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which is inexpensive and has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shows excellent durability. desirable.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틸아크릴레 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아릴에스테르; 페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독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rylic resin may be a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such as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Alkyl acrylates such a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and butyl acrylate; Methacrylic acid cycloalkyl esters such as cyclohexyl methacrylate, 2-methylcyclohexyl methacrylate and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Acrylic acid cycloalkyl esters such as cyclohexyl acrylate and 2-methylcyclohexyl acrylate; Methacrylic acid aryl esters such as phenyl methacrylate and benzyl methacrylat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y one homopolymer or 2 or more types of copolymers chosen from acrylic acid aryl ester, such as phenyl acrylate and benzyl acrylate.

또한 스티렌-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아릴에스테르, 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yrene-acrylic copolymer resi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acrylic acid alkyl ester, methacrylic acid cycloalkyl ester, acrylic acid cycloalkyl ester, methacrylic acid aryl ester and acrylic acid aryl ester, and styrene and α-methyl. Preference is given to at least one copolymer selected from styrene, m-methylstyrene, p-methylstyrene, p-methoxystyrene.

또한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yrene resin is preferably any one homopolymer or a copolymer thereof selected from styrene, α-methylstyrene, m-methylstyrene, p-methylstyrene, and p-methoxystyrene.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디히드록시 페놀과 포스겐을 반응시키거나 디히드록시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선형 및 가지 달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단일 중합체, 폴리에스터 공중합체 또는 이들 일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이 바람직하다. Polycarbonate resins are also groups of linear and branched aromatic polycarbonate homopolymers, polyester copolymers, or mixtures of one or more thereof, prepared by reacting dihydroxy phenol with phosgene or by reaction of dihydroxy phenol with a carbonate precursor. This is preferred.

상기 광확산제는 유기입자, 무기입자 중 일종 이상의 입자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실리콘계, 아크릴계, 스티렌계, 메타크릴산메틸ㆍ스티렌 공중합물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부틸아크릴레이트, 올리핀계 가교 또는 미가교의 미립자, 실리카, 탈크(Talc),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Ti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제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기재층(110)에 다공을 형성하는 등 광확산을 위해 가해지는 모든 구성도 포함된다.The light diffusing agent is preferably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organic particles and inorganic particles. For example, silicone-based, acrylic, styrene-based, methyl methacrylate / styrene copolymer-based, polycarbonate-based, butyl acrylate, olefin-based crosslinked or uncrosslinked fine particles, silica, talc,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TiO 2 )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use of a material, the light diffusing agent includes all components applied for light diffusion, such as forming pores in the base layer 110.

상기 광확산제의 크기는 0.5㎛ 내지 50㎛가 적당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확산제는 0.8㎛ 내지 35㎛가 적당하다. 상기 광확산제의 크기가 0.5㎛ 미만일 경우는 투명수지와의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광확산제의 크기가 50㎛를 초과할 경우 동일 첨가량 대비 광확산 성능이 저하되어 빛을 확산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The size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suitably 0.5 μm to 50 μm. Preferably,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suitably 0.8 μm to 35 μm. When the size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less than 0.5 μ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persibility with the transparent resin is poor. If the size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exceeds 50㎛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ght diffusion performance is reduced compared to the same amount of light can not diffuse.

상기 광확산제는 기재층(110)에 사용되는 투명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2중량부가 좋다. 상기 광확산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입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없으며,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어 휘도가 낮아 질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agen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about 0.001 parts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ransparent resin used in the base layer 110, and more preferably 0.01 parts by weight to 2 parts by weight. When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 incident light cannot be diffused, and when the light diffusing agent is more than 2 parts by weight,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is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luminance.

상기 기재층(110)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형광증백제, 이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 함할 수 있다. The base layer 11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ultraviolet absorber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fluorescent brighteners, and release agents known in the art.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포름아미딘계 자외선 흡수제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기재층(110)에 사용되는 투명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부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상기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자외선에 안정된 광확산판(100)을 제공할 수 있다.The ultraviolet absorbers include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s,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s, and formamidine ultraviolet absorbers,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lthough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s not limited, it is 0.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ransparent resin used for the base layer 110. When the ultraviolet absorbent is included in the above range on the basis of the above may provide a light diffusion plate 100 stable to the ultraviolet.

상기 열안정제로서는 피페리디닐에스터류, 옥사졸리딘과 피페리디노옥사졸리딘류, 피레리디스피로아세탈류, 디아자사이클로알카논류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기재층(110)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부이다. 상기 열안정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상기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고온에 안정된 광확산판(100)을 제공할 수 있다.The thermal stabilizers include piperidinyl esters, oxazolidines and piperidino oxazolidines, pyrridispyroacetals, and diazacycloalkanones,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Can be. Although the content of the thermal stabilizer is not limited, it is 0.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ransparent resin used for the base layer 110. When the heat stabilizer is included in the above range on the basis of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diffusion plate 100 that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s.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페놀계 산화 방지제와 인계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투명성, 내열성 등을 저하시키지 않고, 열이나 산화 열화 등에 의한 성형체의 착색이나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량은 개재층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부이다. 상기 산화방지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상기 범위내에 포함될 경우 산화방지 특성이 우 수한 광확산판(100)을 제공할 수 있다. As said antioxidant, a phenolic antioxidant, phosphorus antioxidant, sulfur-type antioxidant,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a phenolic antioxidant and phosphorus antioxidant are preferable. In particular, the phenolic antioxidant can be most preferably used because it can prevent coloring of the molded body due to heat, oxidative degradation, or the like, without lowering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or the like. The content of the antioxidant is 0.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ransparent resin used for the intervening layer. When the antioxidant is included in the above range on the basis of the above may provide a light diffusion plate 100 having excellent antioxidant properties.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용성의 금속산화물 입자, 전도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친수성 모노머, 이온전도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 뛰어난 전도성 고분자와 투과도 및 대전방지 특성이 뛰어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뛰어난 대전 방지 특성 및 분산성의 장점을 갖는 4급 아민염 구조의 양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통상적으로 대전 방지성능을 보이기 위해서는 표면저항률이 1011Ω/㎠ 이하를 보여야 하며, 이를 고려하여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광확산판(100)의 경우 투명한 막을 형성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재료 및 함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Examples of the antistatic agent include water-soluble metal oxide particles, conductive polymers, surfactants, hydrophilic monomers, and ion conductive monomers. Among them, conductive polymers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surfactants having excellent permeability and antistatic properties are preferably used. Can be used. More preferably, a cationic surfactant having a quaternary amine salt structure having advantages of excellent antistatic properties and dispersibility is preferable. In general, in order to show the antistatic performance, the surface resistivity should show 10 11 Ω / ㎠ or less, and the cont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i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 it is important to form a transparent film, so it is good to adjust the material an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is.

상기 패턴(120)은 기재층(110)의 광입사면(111)의 반대면상에 형성된 것으로 광출사면(112)이 구비된 다수개가 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패턴(120)은 기재층(110)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패턴(120)은 기재층(110)상에 상부로 돌출된 양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attern 120 is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of the base layer 110, and a plurality of patterns 120 are provided in a lattice shape. In this case, the pattern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ase layer 110, and the pattern 120 may b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protruding upward on the base layer 110.

상기 패턴(120)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고 집광 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에 따라 광에 대한 전면 균일도 및 휘도가 향상된다. 또한, 광학 부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pattern 120 serves to diffus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nd increase light condensing efficiency. Of course, the front uniformity and brightness with respect to light are thus improved. In addition, cost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use of optical subsidiary materials.

일반적으로, 다수의 램프 사용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에 의해서 램프의 이미지가 육안으로 식별된다. 램프의 이미지가 육안으로 식별될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되어 광학부자재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이는 곧 원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다수의 램프를 사용할 경우 전력량이 많아져 액정표시장치의 소비전력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재층(110) 상에 다수의 패턴(120)이 격자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패턴(120)의 형상이 저면은 다각형이고, 측단면의 하단 내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3개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다각뿔체 형상인 경우 휘도 및 균일도가 우수하여 램프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램프의 이미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광학부자재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확산판과 광원사이의 거리가 가까워도 확산 성능이 우수하여 슬림화가 가능하다.In general, when using multiple lamps, the image of the lamp is visually identifi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and dark areas. If the image of the lamp is visually identified, the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graded, which requires the use of optical subsidiary materials, which increases the cost.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lamps are used, the amount of power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patterns 120 are disposed on the base layer 110 in a lattice shape, and the shape of the pattern 120 is polygonal at the bottom, and at least three lower inner corners of the side cross sections are gradually reduced. In the case of a polygonal pyramidal shape having a layered structure, the number of lamps can be reduced because of excellent brightness and uniformity, and the image of the lamp cannot be visually identified. Therefore, the use of optical subsidiary materials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iffuser and the light source is close, the diffusion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slimming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패턴(120)이 그 측단면의 하단 내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3개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다각뿔인 경우 저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굴절에 의하여 휘도 균일도가 매우 높아진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ttern 120 is a polygonal pyramid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layered structures in which the lower end angle of the side cross-section is gradually reduced, the luminance uniformity becomes very high due to the refra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사각형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면이 정사각형이고, 측단면의 하단 내각이 점차 감소하는 제1층(121), 제2층(122) 및 제3층(123)으로 이루어진 다각뿔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층의 측단면의 하단 내각 θ1과 제2층의 측단면의 하단 내각 θ2 및 제3층의 측단면의 하단 내각 θ3은 각각 θ1>θ2>θ3을 만족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ttern 120 has a bottom surface having a rectangular shape, more preferably, a bottom surface having a square shape, and a first layer 121 having a lower inner corner of a side cross-section gradually decreas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ygonal pyramid consisting of the second layer 122 and the third layer 123. That is, the lower inner angle θ1 of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first layer, the lower inner angle θ2 of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layer, and the lower inner angle θ3 of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third layer satisfy θ1> θ2> θ3, respectively.

이때, 상기 패턴(120)은 저면 정사각형상에서 한변의 길이를 P라 했을 때, 상기 p는 100㎛ 내지 350㎛이고, 특히 상기 p는 200㎛ 내지 3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패턴(120)의 높이 h는 50㎛ 내지 500㎛일 수 있다. 상기 한변의 길이 p와 높이 h는 상호간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로서 그 임계적 효과를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p 및 h의 상의 범위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광효율이 저하되어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pattern 120 is P, the p is 100 μm to 350 μm, and more preferably, p is 200 μm to 300 μm. In addition, the height h of the pattern 120 may be 50㎛ to 500㎛. The length p and height h of the one side are mutually influential data, and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critical effect.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brightness is lowered when the range of the p and h phases is out of the above range.

여기서, 제1층과 제2층의 경계를 기준으로 외측까지의 거리를 P3라하고, 제2층과 제3층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경계까지의 거리를 P2라하고, 제3층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2층과 제3층의 경계까지의 거리를 P1이라고 했을 때, P는 2(P1+P2+P3)를 만족한다. 여기서 P1, P2 및 P3는 각각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도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Here, the distance to the outside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called P3, and the distanc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Whe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hird layer to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is P1, P satisfies 2 (P1 + P2 + P3). Here, P1, P2, and P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the same,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또한 제1층의 높이를 h1 이라 하고, 제2층의 높이를 h2라하고, 제3층의 높이를 h3이라 했을 때 h는 h1+h2+h3를 만족한다. 여기서 h1, h2 및 h3는 각각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도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h1, h2 및 h3는 각각 h1>h2>h3인 것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layer is h1, the height of the second layer is h2, and the height of the third layer is h3, h satisfies h1 + h2 + h3. Here, h1, h2, and h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the same, and thi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Preferably, h1, h2 and h3 preferably satisfy h1> h2> h3.

상호간 영향을 끼치는 데이터로서 그 범위 및 임계적 의의를 명확히 하기는 어렵지만, 대략적으로, 상기 p가 100㎛ 미만인 경우 이러한 사이즈의 패턴(120) 형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p가 350㎛를 초과하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패턴(120)이 인식되고, 이에 따라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패턴(120)의 높이 h는 50㎛ 미만인 경우 상기한 사이즈의 패턴(120) 형성이 어 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패턴(120)의 높이 h가 500㎛를 초과하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패턴(120)이 인식되고, 이에 따라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It is difficult to clarify the range and critical significance as data affecting each other, but in general, when p is less than 100 μm, it is difficult to form a pattern 120 of this size. The pattern 120 is recogniz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which may deteriorate the quality. In addition, when the height h of the pattern 120 is less than 50 μm, it is difficult to form the pattern 120 of the size. When the height h of the pattern 120 exceeds 500 μm,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attern 120 is recognized, thereby degrading the quality.

이때 상기 패턴(120)과 이웃한 다른 패턴(120)은 이격거리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패턴(120)들은 서로 이격거리 없이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attern 120 and another neighboring pattern 120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separation distance. That is, the plurality of patterns 120 may be densely arranged withou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상기 광확산판(100)을 제조하기 위한 형성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압출성형, 진공성형, 열프레스성형, 공압출성형, 필름적층법, 용제접착법, 표면코팅법, 자외선 경화법, 열 경화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이중 제조상 가장 용이한 방식은 압출성형이다. 또한, 상기 패턴(12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통 형상의 롤을 절삭가공하여 패턴(120)과 동일한 형상을 음각형상으로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Form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 is not limited, extrusion molding, vacuum molding, hot press molding, co-extrusion molding, film lamination method, solvent bonding method, surface coating method, ultraviolet curing method, thermal curing method Various methods can be used. The easiest way to do this is by extrusio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attern 120 may be manufactured by cutting a cylindrical roll to form the same shape as the pattern 120 in an intaglio shap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판(100a)은 기재층(110)과, 상기 기재층(1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재층과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6,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a includes a base layer 110 and a plurality of patterns 120 formed on the base layer 110. Here, since the substrate layer and the pattern ar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패턴(120)과 이웃한 다른 패턴(120)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이격거리 c는 0.1㎛ 내지 20㎛일 수 있다. 상 기 이격거리가 0.1㎛ 미만일 경우 이러한 사이즈의 패턴(120)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격 거리가 20㎛를 초과할 경우 램프의 이미지가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된다.In this case, the pattern 120 and the other pattern 120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c may be 0.1 μm to 20 μm. If the separation distance is less than 0.1㎛,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the pattern 120 of such a size, if the separation distance exceeds 2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of the lamp is visible and the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teriorated do.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판(100b)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111)을 구비한 기재층(110)과, 상기 기재층(110)의 광입사면(111)의 반대면상에 형성된 것으로 광출사면(112)이 구비된 다수의 패턴(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입사면(111) 및 광출사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 위해 기능성층(130,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b includes a base layer 110 having a light incident surface 111 through which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incident, and a light incident surface 111 of the base layer 110. It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s 120 having a light exit surface (112). In this cas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may be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and the light exit surface 112 to improve dur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상기 기재층(110)과 패턴(120)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ubstrate layer 110 and the pattern 120 ar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기능성층(130,140)의 두께는 제한되지 않으나 0.05mm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층(130,140)의 두께가 상기 범위내에 포함되는 경우 양호한 내구성이 얻어짐과 동시에 우수한 광확산율을 달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unctional layer (130, 140) is not limited, but 0.05mm to 1.5mm is preferred. When the thicknesses of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are included in the above range, good durability may be obtained and excellent light diffusion rate may be achieved.

상기 광입사면(111)과 광출사면(112)에 모두 기능성층(130,140)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광입사면(111)에 형성되는 기능성층(130)의 두께와 상기 광출사면(112)에 형성되는 기능성층(140)의 두께는 같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르게 형성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입사면(111)에 형성되는 기능성층(130)의 두께를 t1이라 하면, 상기 두께 t1은 0.01mm 내지 0.1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면(112)에 형성되는 기능성층(140)의 두께를 t2라 하면, 상기 두께 t2는 0.0025mm 내지 0.1mm일 수 있다. When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are formed on both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and the light exit surface 112, the thickness of the functional layer 130 form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and the light exit surface 112 are described. The thickness of the functional layer 140 to be formed in the same or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functional layer 130 form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is t1, the thickness t1 may be 0.01 mm to 0.1 mm.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functional layer 140 formed on the light exit surface 112 is t2, the thickness t2 may be 0.0025mm to 0.1mm.

통상적으로 광확산판의 광출사면(112)은 광입사면(111)에 비해 표면적이 증가한다. 이때 광출사면(112)과 광입사면(111)의 기능성층(130,140)의 압출량을 동일하게 제조할 경우 표면적이 증가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고,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입사면(111)은 램프에서 나오는 자외선에 직접적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두께 t1은 두께 t2에 비해 두껍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ypically, the light exit surface 112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has an increased surface area compared to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At this time, when the same amount of extrusion of the functional layer (130,140) of the light exit surface 112 and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is made the same, the portion where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becomes relatively thin, the portion where the surface area is relatively small The thickness is formed thick. In addition, in the direct type backlight unit,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is directly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lamp. Therefore, the thickness t1 is preferably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t2.

상기 기능성층(130,140)은 투명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확산제(131,14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resin, and preferably, may further include light diffusing agents 131 and 141.

상기 기능성층(130,140)에 사용되는 투명수지는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층(110)과 동일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resin used for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is not limited, and preferably the same resin as the base layer 110 may be used.

또한 상기 기능성층(130,140)에 사용되는 광확산제(131,141)는 전술한 기재층(110)의 광확산제(113)로 예시한 것과 동일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10㎛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제(131,141)의 크기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양호한 기능성층(130,140)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diffusing agents 131 and 141 used in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may be the same as those exemplified as the light diffusing agent 113 of the substrate layer 110 described above, and the size thereof is 10 μm to 35 μm. Is preferably. When the sizes of the light diffusing agents 131 and 141 are in the above range, good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may be obtained.

상기 광확산제(131,141)는 기능성층(130,140)에 사용되는 투명수지 100 중량 부에 대하여 대략 0.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광확산제(131,141)가 상기의 기준으로 상기의 범위내에 포함될 경우 광의 분산효율을 우수한 양호한 품질의 광확산판(100b)을 얻을 수 있다. The light diffusing agents 131 and 141 may be used in an amount of about 0.5 parts by weight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ransparent resin used for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When the light diffusing agents 131 and 141 are included in the above ranges based on the above criteria, the light diffusing plates 100b of good quality having excellent light dispers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기능성층(130,140)은 기재층(1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형광증백제, 이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ultraviolet absorber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fluorescent brighteners, and release agents as described in the base layer 110.

상기 기능성층(130,140)은 기재층(110)의 광입사면(111) 또는 패턴(120)의 광출사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코팅방식을 적용하여 형성하거나, 시트형태로 제조한 후 접착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층(130,140)은 압출 공정 또는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좋다.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method to at least one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or the light exit surface 112 of the pattern 120, or manufactured in a sheet form. It can be formed by a method of bonding,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Particularly preferably,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may be form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or a coat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110)의 광입사면(111) 또는 패턴(120)의 광출사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거칠기(132,142)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칠기(132,142)는 기능성층(130,140)이 광확산제(131,141)를 포함하여 자연스럽게 소정의 거칠기(132,14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칠기(132,142)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거칠기(132,142)는 광을 상쇄시켜주어 램프의 이미지를 상쇄시킴으로써 균일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roughnesses 132 and 142 are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of the base layer 110 or the light exit surface 112 of the pattern 120. The roughness 132 and 142 may include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to include light diffusing agents 131 and 141 so that predetermined roughnesses 132 and 142 may be naturally formed. The roughness 132 and 142 serves to diffuse light. In addition, the roughness 132, 142 to cancel the light to cancel the image of the lamp to obtain a uniform image.

통상적으로 광확산판에 스크래치가 생기면 광이 정상적으로 확산되지 못해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호 필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소정의 거칠기(132,142)가 형성될 경우 스크래치가 발생하여도 광이 소정의 거칠기(132,142)에 의한 빛의 확산으로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보호 필름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원가 상승을 막을 수 있다.In general, when a scratch is generated on the light diffusion plate, light may not be diffused normally, thereby degrading the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 order to prevent this, a protective film is additionally required. However, when the predetermined roughnesses 132 and 142 are form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ligh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diffusion of light due to the predetermined roughnesses 132 and 142.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add a protective film, thereby preventing cost increases.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기서 거칠기(132,142)라 함은 기능성층(130,140)의 표면에 생기는 미세한 요철의 정도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값으로 중심선 평균조도(中心線 平均粗度; Arithmetical average roughness, centerline average roughness-중심선에서 단면 곡선까지의 평균 높이로서 Ra 기호로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roughness 132 and 142 herein refers to the degree of minute unevenness occurring on the surfaces of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Representative values can be represented by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which is the average height from the centerline to the cross-sectional curve.

상기 광입사면(111)에 형성되는 기능성층(130)에 형성되는 소정의 거칠기(132)의 중심선 평균조도 Ra 값은 제한되지 않으나 대략 1㎛ 내지 20㎛ 범위가 되도록 함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중심선 평균 조도 Ra는 3㎛ 내지 15㎛가 좋다. 상기 기능성층(130)의 중심선 평균조도 Ra가 3㎛ 미만일 경우는 광을 확산시켜주지 못하며, 스크래치 발생시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어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층(130)의 중심선 평균조도 Ra가 15㎛를 초과할 경우 광을 고르게 확산시켜주지 못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value of the predetermined roughness 132 formed on the functional layer 130 form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is not limited, but may be in a range of about 1 μm to 20 μm. Preferably,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is 3 µm to 15 µm. When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functional layer 130 is less than 3 μm, light cannot be diffused, and when a scratch occurs, it is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degraded and productivity may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functional layer 130 exceeds 15 μm, light may not be evenly diffused, and thus the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be degraded.

상기와 같이 광입사면(111)의 기능성층(130)에 일정 범위의 소정의 거칠기(132)를 형성함으로써 스크래치에 강하고 광효율이 좋은 광확산판(100b)을 제공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스크래치에 강한 광확산판(100b)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100b)은 기재층(110)의 광입사면(111)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중심선 평균조도 Ra가 3㎛ 미만일 경우는 스크래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스크래치가 발생할 경우 품질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보호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원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재층(110)의 광입사면(111)에 중심선 평균조도 Ra가 3㎛ 이상인 소정의 거칠기(132)를 형성하면, 보호필름을 부착하지 않아도 스크래치에 강한 광확산판(100b)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곧 백라이트 유닛용 액정표시장치 또는 일반 조명장치의 품질향상에 도움이 되어 원가상승을 막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By forming a predetermined roughness 132 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functional layer 130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diffusion plate 100b that is strong against scratches and has good light efficiency. Of course, by providing a light diffusion plate 100b resistant to scratches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attach a protective film to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of the base layer 110. In other words, when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is less than 3 µm, scratches are more likely to occur, and when scratches occur, quality degradation may occu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a protective film may be attached to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However, attaching a protective film causes a cost increase. However, when a predetermined roughness 132 having a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3 μm or more is form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of the base layer 1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diffusion plate that is resistant to scratching without attaching a protective film 100b will be provided.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st increase by hel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general lighting device.

또한, 상기 광출사면(112)에도 거칠기(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출사면(112)에 소정의 거칠기(142)가 형성되면 광의 확산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거칠기(142)를 형성함으로써 스크래치 발생시 시인성 감소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품질이 우수한 광확산판(100b)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스크래치에 강한 광확산판(100b)을 제공함으로써 최상면에는 보호필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원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확산판(100b)을 채택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역시 원가상승을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roughness 142 may be formed on the light exit surface 112. If a predetermined roughness 142 is formed on the light exit surface 112, the light diffusion efficiency may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by forming a predetermined roughness 142,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visibility when a scratch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diffusion plate 100b of excellent quality. Of course, by provid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b resistant to scratches, no protective film is required on the uppermost surface, and therefore, the cost increase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backlight uni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100b may also prevent cost increase.

상기 광입사면(111) 또는 광출사면(112)에 거칠기(132,142)를 형성하는 방법 은 기능성층(130,140)에 첨가된 광확산제(131,141)에 의해 자연스럽게 거칠기(132,142)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기능성층(130,140)을 형성한 후 별도의 추가 공정을 통해 거칠기(132,14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거칠기가 형성된 형상 롤을 이용하여 거칠기(132,142)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롤은 에너지가 조절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롤 표면을 조각하거나, 미세한 공모양의 금속을 롤에 분사시켜 제작할 수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roughness 132, 142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or the light exit surface 112 allows the roughness 132, 142 to be naturally formed by the light diffusing agents 131 and 141 added to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or After the functional layers 130 and 140 are formed, the roughness 132 and 142 may be formed through additional processes.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roughnesses 132 and 142 may be formed by using a shape roll having a predetermined roughness, which is formed by engraving a roll surface using a laser whose energy is controlled, or by using a fine ball-shaped metal. Can be produced by spraying on a roll.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평면도이다. 8 is a plan view of a light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확산판(200)은 기재층(210)과, 상기 기재층(210) 상에 격자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패턴(2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light diffusion plate 200 includes a base layer 210 and a plurality of patterns 220 arranged in a lattice shape on the base layer 210.

상기 기재층(210)과 패턴(220)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다만, 상기 패턴(220)은 기재층(210) 상에 하부로 만입된 음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광확산판(200)의 기재층(210) 상에 형성되는 패턴(220)이 음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양각형상으로 패턴이 형성되는 것과 같이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시 램프 이미지가 식별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도 균일도가 높으며, 스크래치에 강하여 별도의 보호 필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The base layer 210 and the pattern 220 are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pattern 220 is formed in an intaglio shape recessed downward on the base layer 210.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attern 220 formed on the base layer 210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200 is formed in an intaglio shape, the lamp image is identified when applied to the backlight unit as the pattern is formed in the above embossed shape. Not only can the phenomenon be minimized, the luminance uniformity is high, and it is resistant to scratches, and thu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rotective film.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광원을 포함한다.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cklight unit and the light source.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방식(Direct Type)과 에지형 방식(Edge Type)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직하형 방식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 The backlight unit may be used in both a direct type and an edge type, but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direct type.

상기 광원은 열음극관, 냉음극관, 발광다이오드(LED), 유기전기발광소자(OLED) 등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LED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렌즈(Lens) 타입의 LED와 도 9b에 도시된 노말(Normal) 타입의 LED를 사용한다. The light sourc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a hot cathode tube, a cold cathode tu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OLED), and the like. Preferably LEDs can be used. Typically, the LED uses a lens type LED as shown in FIG. 9A and a normal type LED shown in FIG. 9B.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LCD 또는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 IPS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a reflection type, transmissive type, transflective type LCD, 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arious driving methods such as TN type, STN type, OCB type, HAN type, VA type, IPS type, and the like. Since it is well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과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조명 장치는 모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포함된다.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는 열음극관, 냉음극관,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전기발광소자(OLED) 등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에 관한 구성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diffusing plate and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lighting device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and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device, a hot cathode tube, a cold cathode tu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OLED), or the lik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Preferably LEDs can be use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se are present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조예 1 내지 5><Production Examples 1 to 5>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명수지와 광확산제(크기: 5㎛)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에 패턴을 갖는 기재층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기재층의 저면과 상면에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두께로 베이스 수지를 도포하여 기능성층을 형성하였다. As described in Table 1, using a composition consisting of a transparent resin and a light diffusing agent (size: 5㎛) to form a base layer h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the bottom and top of the base layer as shown in Table 1 The base resin was applied to the thickness to form a functional layer.

구분division 확산 기재층Diffusion Base Layer 기능성층Functional layer 베이스 수지Base resin 광확산제Light diffusing agent 두께 (mm)Thickness (mm) 베이스 수지Base resin 두께 (mm)Thickness (mm) PC(중량부)PC (part by weight) PMMA(중량부)PMMA (parts by weight) PC(중량부)PC (part by weight)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100100 -- 1.91.9 100100 0.050.05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100100 0.50.5 1.91.9 100100 0.050.05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100100 1.01.0 1.91.9 100100 0.050.05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100100 2.52.5 1.91.9 100100 0.050.05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100100 3.53.5 1.91.9 100100 0.050.05

<실시예><Examples>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패턴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특히, 도 5에서 P는 300㎛, p1, p2 및 p3는 각각 50㎛, h는 303.95㎛, h1은 160.63㎛, h2는 97.96㎛, h3는 45.36㎛, θ1은 70°, θ2는 60°, θ3는 40°로 하여 광확산판을 제조하였다.In Preparation Examples 1 to 5, the pattern has a shape as shown in FIGS. 1 to 6, in particular, in FIG. 5, P is 300 μm, p1, p2, and p3 is 50 μm, and h is 303.95 μm, h1. The light-diffusion plate was manufactured so that 160.63 micrometers of silver, 97.96 micrometers of h2, 45.36 micrometers of h3, 70 degrees of (theta) 1, 60 degrees of (theta) 2, and 60 degrees of (theta)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기재층 상에 패턴를 형성하지 않은 광확산판`을 제조하였다. In the Production Examples 1 to 5, a light diffusion plate` without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layer was manufactur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기재층 상에 양각형상으로 저면 직경이 250㎛이고 높이 160㎛인 타원형의 입체 돌기가 격자형상으로 배치된 광확산판을 제조하였다. In the Production Examples 1 to 5, a light diffusion plate having an elliptical three-dimensional protrusion having a bottom diameter of 250 µm and a height of 160 µm in a lattice shape in an embossed shape was prepared on a substrate layer.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기재층 상에 마이크로 렌즈(크기 직경이 100㎛, 높이는 50㎛인 원통형의 돌기)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광확산판을 제조하였다. In the Production Examples 1 to 5, a light diffusing plate was prepared in which microlenses (cylindrical protrusions having a diameter of 100 μm and a height of 50 μm) we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와 같이 제조된 광확산판을 4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부착한 후 아래와 같이 휘도와 균일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3에 나타내었다. 이때, 광원은 노말 타입의 LED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After attach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manufactu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to the 42-inch backlight unit, brightness and uniformity were measured as follow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2 and 3 below.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is a result of measuring using a normal type LED.

- 휘도 및 균일도 테스트-Luminance and uniformity test

4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광확산판을 장착하여 휘도계(RISA-COLOR8, HI-LAND 社)로 측정하였다.A light diffuser plate was mounted on a 42-inch backlight unit and measured with a luminance meter (RISA-COLOR8, HI-LAND).

휘도는 단위면적당 나오는 빛의 밟기(cd/㎡)으로 하였으며 균일도는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비(균일도(%)=(최소 휘도/최대 휘도)*100)로 판단하였다. 측정에 대한 판단은 최대 휘도/최소 휘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판단 기준은 달리 하지 않고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Luminance was determined by the tread of the emitted light per unit area (cd / m2), and uniformity wa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lightest and darkest parts (uniformity (%) = (minimum luminance / maximum luminance) * 100). Judgment on the measurement can be used as the maximum luminance / minimum luminance and the criteria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without being different.

이때, 광원(LED)과 확산판 사이의 거리는 10mm로 하였으며, 광원 사이의 간격은 가로세로 각각 15mm로 조절하였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LED) and the diffusion plate was set to 10mm, the spacing between the light source was adjusted to 15mm each.

휘도 (단위: nit)Luminance in nit 실시예Example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878878 879879 878878 832832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827827 842842 730730 748748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753753 820820 671671 712712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667667 796796 617617 659659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621621 734734 574574 589589

균일도 (단위: %)Uniformity (Unit:%) 실시예Example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1313 00 1111 1212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4545 66 4040 3737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6262 1919 5757 4848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7474 4343 6262 6060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7474 5454 6969 6666

광원으로 노말 타입의 LED를 사용한 경우,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의 경우 다른 종래의 광확산판에 비하여 휘도 및 균일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균일도의 경우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확산판과 광원사이의 거리가 가까워도 확산 성능이 우수하여 슬림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normal type LED as a light source, as shown in Table 2 and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luminance and uniformity as compared to other conventional light diffusing plates.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is very excellent. Accordingly,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ight source is close, it can be seen that the diffusion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slim.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광원으로 노말 타입의 LED 대신 렌즈 타입의 LED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휘도 및 균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Except for using a lens type LED instead of a normal type LED as a light sourc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 1 to measure the brightness and uniformit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and Table 5.

휘도 (단위: nit)Luminance in nit 실시형상Shape 비교형상1Comparative Shape 1 비교형상2Comparative Shape 2 비교형상3Comparative Shape 3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535535 226226 501501 530530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695695 300300 684684 572572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704704 395395 690690 615615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681681 549549 597597 662662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689689 692692 685685 672672

균일도 (단위: %)Uniformity (Unit:%) 실시형상Shape 비교형상1Comparative Shape 1 비교형상2Comparative Shape 2 비교형상3Comparative Shape 3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4040 00 3333 3838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5555 66 5151 4444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6565 2323 6464 5454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7575 4848 7474 6666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8080 5454 7878 6262

광원으로 렌즈 타입의 LED를 사용한 경우, 상기 표 4 및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의 경우 다른 종래의 광확산판에 비하여 휘도 및 균일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균일도의 경우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lens type LED is used as the light source, as shown in Table 4 and Table 5,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luminance and uniformity as compared to other conventional light diffusing plates.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is very excellent.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와 같이 제조된 광확산판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내스크래치성 및 램프이미지 육안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Us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manufactu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the scratch resistance and a lamp image visual test were performed as shown below,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스틸울테스트기(WT-LCM100, 한국 프로텍 社)를 이용하여 1.0Kg/4㎠하에서 2회 왕복 운동시켜 내스크래치성을 시험하고,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스틸울은 #0000을 사용하였다(Test Cycle: 2 Times, 하중 : 250g/㎠(1.0㎏/4㎠)).Using a steel wool tester (WT-LCM100, Korea Protec Co., Ltd.), reciprocating twice under 1.0Kg / 4cm 2 to test scratch resistanc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t this time, steel wool used # 0000 (Test Cycle: 2 Times, Load: 250g / ㎠ (1.0kg / ㎠)).

◎ : 스크래치가 없음◎: No scratch

○ : 스크래치가 있으나 육안으로 시인되지 않음○: Scratched but not visible

× : 스크래치가 있으며 육안으로 시인됨×: scratches and visually recognized

- 램프이미지 육안 테스트-Visual test of lamp image

4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광확산판을 장착하여 육안테스트를 측정하였다. 이때, 광원은 노말 타입의 LED를 사용하였으며, 광원(LED)과 확산판 사이의 거리는 10mm로 하였으며, 광원 사이의 간격은 가로세로 각각 15mm로 조절하였다. A visual diffuser plate was mounted on a 42-inch backlight unit to measure visual inspection. In this case, a light source was used as a normal type LED,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LED) and the diffusion plate was set to 10mm, the spacing between the light source was adjusted to 15mm each.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램프이미지Lamp image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램프이미지Lamp image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램프이미지Lamp image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램프이미지Lamp image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양호Good ×× 불량Bad 불량Bad 불량Bad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양호Good 불량Bad 양호Good 양호Good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양호Good 불량Bad 양호Good 양호Good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의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램프이미지 육안테스트 결과도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6, the light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scratch resistance is excellent and the lamp image visual test results are also g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확산판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턴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tern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턴의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the pattern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패턴의 측단면도이다.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ttern shown in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의 평면도이다. 8 is a plan view of a light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렌즈타입의 LED 광원을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노말타입의 LED 광원을 나타낸 것이다.9A illustrates a lens type LED light source, and FIG. 9B illustrates a normal type LED light sour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a, 100b, 200 : 광확산판 110, 210 : 기재층100, 100a, 100b, 200: light diffusion plate 110, 210: base material layer

111 : 광입사면 112 : 광출사면111: light entrance plane 112: light exit plane

113, 131, 141 : 광확산제 120, 220; 패턴113, 131, and 141: light diffusing agents 120 and 220; pattern

130, 140 : 기능성층 132, 142 : 거칠기130, 140: functional layer 132, 142: roughness

Claims (20)

저면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구비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외측으로 광이 출사되는 광출사면이 구비되고 격자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패턴을 포함하며, A base layer having a light incidence surface into which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incident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light emission surface on which the light exits from the outside, the plurality of patterns being arranged in a lattice shape; 상기 패턴은: 저면이 다각형이고, 측단면의 하단 내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3개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다각뿔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The pattern is: a light diffus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a polygonal, polygonal pyramidal shape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inner corner of the side cross-section is gradually reduc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패턴은 저면이 사각형이고, 측단면의 하단 내각이 점차 감소하는 제1층, 제2층 및 제3층으로 이루어진 다각뿔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The pattern is a light diffus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a polygon, a polygonal pyramid consisting of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cross-section gradually decreases.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패턴은 저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변의 길이를 P라 했을 때 상기 P는 100㎛ 내지 3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The pattern is a light diffus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square, and the length of one side is P, wherein P is 100 µm to 350 µ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높이 h는 5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The light diffusing plate of claim 2, wherein the height h of the pattern is 50 μm to 500 μ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높이를 h1, 제2층의 높이를 h2, 제3층의 높이를 h3라 했을 때 h1>h2>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The light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layer is h1, the height of the second layer is h2, and the height of the third layer is h3, h1> h2> h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패턴과 이웃한 다른 패턴은 이격거리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And another pattern adjacent to the pattern is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separation dist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과 이웃한 다른 패턴과의 사이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이격 거리 c는 0.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The light diffusing plate of claim 1, wherein a space between the pattern and another adjacent patter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paration distance c is 0.1 μm to 2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기재층에 상부로 돌출된 양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The light diffusing plate of claim 1, wherein the pattern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기재층 상에 하부로 만입된 음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The light diffusing plate of claim 1, wherein the pattern is formed in an intaglio shape recessed downward on the substrat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광입사면 또는 패턴의 광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거칠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The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oughness is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ight incidence plane and the light outgoing plane of the pattern of the bas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광입사면 또는 패턴의 광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기능성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The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nctional layer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ight incidence planes or the light exit planes of the patter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또는 기능성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수지와 광확산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The light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is made of a transparent resin and a light diffusing agen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또는 기능성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형광증백제, 이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The light diffusing plate of claim 1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UV absorber, a heat stabilizer, an antioxidant, an antistatic agent, a fluorescent brightener, and a release agent. .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광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A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of any one of claims 1 to 13.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광확산판 및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An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of claim 1 and a light sourc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The illumin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light source is an LE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LED는 렌즈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illu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LED is a lens type. 청구항 14의 백라이트 유닛 및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backlight unit of claim 14 and a light sourc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19.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light source is an LED.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LED는 렌즈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20.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the LED is a lens type.
KR1020090131619A 2009-12-28 2009-12-28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201100752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19A KR20110075232A (en) 2009-12-28 2009-12-28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19A KR20110075232A (en) 2009-12-28 2009-12-28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32A true KR20110075232A (en) 2011-07-06

Family

ID=4491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619A KR20110075232A (en) 2009-12-28 2009-12-28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523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525A1 (en) * 2012-11-29 2014-06-0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same
KR20150049263A (en) * 2013-10-29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156274B1 (en) * 2020-01-16 2020-09-15 (주)코이즈 Lens structure for led lighting apparatus and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1049816A1 (en) * 2019-09-10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ight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525A1 (en) * 2012-11-29 2014-06-0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same
TWI626476B (en) * 2012-11-29 2018-06-11 東友精細化工有限公司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KR20150049263A (en) * 2013-10-29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WO2021049816A1 (en) * 2019-09-10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ight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56274B1 (en) * 2020-01-16 2020-09-15 (주)코이즈 Lens structure for led lighting apparatus and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5758B2 (en)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light using the same
US8184235B2 (en) Optical prism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9625120B2 (en)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light typ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sing same
JP2009075366A (en)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display
JP2010164657A (en) Optical sheet,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2007294295A (en) Direct-downward backlight device
KR20110075232A (en)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20110061843A (en)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2010250037A (en) Optical component,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KR20100001582A (en)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device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116219A1 (en) Prism sheet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49922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13051135A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is
KR20110082327A (en) Reflection sheet for back light unit
KR20120022198A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10067408A (en) Light diffusion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20160101637A (en) Light transmissive plate with protrusions
KR20090059545A (en) Diffusion plate, backlight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072255A (en)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JP2006171409A (en) Low water absorbing light diffusion plate
KR101626810B1 (en) Complex optical film, light source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mold for optical film
KR20110132041A (en) Optical sheet
JP2013191510A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2012215895A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2012093647A (en)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