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176A - 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176A
KR20110075176A KR1020090131541A KR20090131541A KR20110075176A KR 20110075176 A KR20110075176 A KR 20110075176A KR 1020090131541 A KR1020090131541 A KR 1020090131541A KR 20090131541 A KR20090131541 A KR 20090131541A KR 20110075176 A KR20110075176 A KR 20110075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ty
data
outlier
terrain
high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6299B1 (en
Inventor
권재현
제켈리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299B1/en
Publication of KR2011007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1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solving equations, e.g. nonlinear equations, general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G06F17/141Discrete Fourier trans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struct gravity simulation data by combining virtual gravity data and actual gravity data. CONSTITUTION: An ideal gravity value estimator(100) estimates an ideal gravity value using topography data which is stored to a topography data storage unit(30). The ideal gravity value is used for compens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vity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An ideal gravity model generator(200) creates an ideal gravity model similar to an actual gravity value using an end matching algorithm and stores the created value to an ideal gravity model storage(40). The ideal gravity value model applies the estimated ideal gravity value to an ideal free air value.

Description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METHO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실이 반영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gravity simulation data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gravity simulation data for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data reflecting reality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지오이드(geoid)는 해양의 평균해수면과 이를 대륙까지 연장시킨 가상의 해수면과 일치하는 지구모습의 모형이다. 즉, 지오이드는 한 나라의 수직기준으로써 보다 정확한 높이값을 제공하고 지구 동역학적인 분석, GPS를 이용한 간접 수준측량의 활성화, 조석 분석 등에 필수적인 공학적, 과학적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공간정보 인프라이다. In general, the geoid is a model of the earth that matches the average sea level of the ocean and the imaginary sea level that extends to the continents. In other words, geoid is a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at is the most engineering and scientific basis that provides more accurate height values as a vertical standard of a country, and is essential for geodynamic analysis, activation of indirect leveling using GPS, and tidal analysis.

지오이드는 어디서나 중력에 의한 인력방향에 대해 직각이며, 그 모양은 편평한 타원체에 가깝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지하에 집적된 물질이 있고(지하에서 측면방향이 불균질함) 대륙과 해저 사이의 고도차가 있기 때문에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다. 수학적으로 지오이드는 등퍼텐셜면이다. 즉, 전체 지오이드에서는 포텐셜 함수가 상수인 특징이 있다. 포텐셜 함수는 지구 질량에 의한 중력과 축을 중심으로 한 지구의 회전원심력에 의한 척력이 결합된 효과를 나타낸다.Geoids ar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due to gravity everywhere, and their shape is close to a flat ellipsoid. However, it is irregular in part because of the accumulation of material underground (unevenly lateral in the basement) and the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continents and the sea floor. Mathematically, geoid is an equipotential plane. In other words, the potential is constant in all geoids. The potential function shows the combined effect of gravity due to the Earth's mass and repulsive force due to the Earth's rotational centroid around the axis.

특히, 최근 위성에 의해 정밀한 측지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밀한 타원체고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형도에서 등고선으로 나타나거나 건설공사 등에 활용되고 있는 표고로 환산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정밀한 지오이드 모델이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이 널리 부각되고 있다. In particular, as the technology for determining the precise geodetic position by satellites has recently been develop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 accurate ellipse height, which needs to be efficiently converted into elevations that appear as contours on topographic maps or are used for construction work. It is widely highlighted that a precise geoid model must be built.

여기서, 표고는 등중력포텐셜면의 하나인 지오이드를 기준한 것이다. 즉, 각 지역의 정확한 지오이드는 표고의 결정에 있어서 GPS 기술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GPS 측량에 의한 타원고체의 측정정밀도는 수 cm 이하의 고정밀도에 달하는 반면, 표고 결정에 필요한 지오이드의 계산은 이상적으로는 전 지구상에 걸쳐 중력자료로부터 계산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들이 수 cm 정확도의 정밀 지오이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각 나라의 중력측정자료와 인공위성 자료들을 합성한 지구중력장 모델을 개발해오고 있다. Here, the elevation is based on the geoid, which is one of the planes of equipotential potential. That is, accurate geoids in each region can effectively operate GPS technology in determining elevation. While the measurement accuracy of ellipsoids by GPS survey reaches a high precision of several centimeters or less, the calculation of the geoid required to determine the elevation is ideally difficult to be calculated from the gravitational data all over the earth. Therefore, many countries have developed a global gravitational field model that synthesizes the gravity measurement data and satellite data of each country to develop a precision geoid model with a few cm accuracy.

이처럼, 정밀한 지오이드 모델의 구축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는 높은 정밀도와 높은 분포밀도를 갖는 중력관측자료와 지형자료이다. 중력관측자료의 정밀도와 분포밀도는 최종 지오이드 결정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As such, the essential elements in the construction of precise geoid models are gravity observation data and terrain data with high precision and high distribution density. The precision and distribution density of gravity observation data directly affects the final geoid determination.

기존에는 확보할 수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지오이드 모델을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실정이다. Previously, researches related to algorithms that can calculate geoid models based on available data have been conducted.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형자료를 기반으로 가상 중력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중력자료와 실제 중력자료를 병합하여 현실이 반영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cus on this poi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virtual gravity data based on the terrain data, merge the generated virtual gravity data and the actual gravity data to create a gravity simulation data reflecting reality It provides a way to build gravity simulation data to buil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vity simulation data construc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gravity simulation data construction metho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은, 측정된 중력값과 실제 중력값 간의 상이함을 보정하여 실제 중력값에 근사하는 중력이상모델을 얻기 위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에서, (a) 지형자료에 아이소스타시(Isostasy) 이론을 포함한 중력이상 추정 공식을 이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하는 단계와, (b) 정밀한 해상도의 지형자료로부터 추정된 중력이상치를 낮은 해상도로 분포하는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결합을 위해, 엔드-매칭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추정 중력이상과 측정 프레이어 이상치를 결합하여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vity simulation dat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gravity simulation for obtaining a gravity anomaly model approximating the actual gravity value by corr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gravity value and the actual gravity value In the data construction method, (a) estimating the gravity outlier using a gravity anomaly formula including the isostasy theory in the terrain data, and (b) lowering the estimated gravity outlier from the terrain data with precise resolution. In order to combine the measured gravity outliers distributed at the resolution, the method includes generating the gravity anomaly model by combining the estimated gravity anomaly and the measured frayer outliers by applying an end-matching algorith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계(a)는 (a-1) 상기 지형자료에 대응하는 대상지역이 육상인지 해양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값을 적용하는 단계와, (a-2) 특정 포인트에서의 지형 응축에 의한 포텐셜 값을 계산하여 아이소스타시 효과가 고려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여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는,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a) is a step of (a-1) applying different density values according to whether the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terrain data is land or ocean, and (a-2) at a specific point Computing the potential value due to the terrain condensation of may generate a gravity outlier in consideration of the isostasis effect to generate a terrain-corrected gravity outlier. Here, the terrain-corrected gravity outlier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1
(여기서, 지형자료는 Δx와 Δy의 간격을 갖는 j*k의 행렬이고, G는 뉴턴의 중력상수이며, ρ는 지형의 밀도이며, D는 3km임)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2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3
에 의해 정의되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4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5
각각은 지오이드를 평면으로 근사하였을 때의 공간 주파수로서, 아래의 수학식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1
(Where topography is a matrix of j * k with a space between Δx and Δy, G is Newton's gravity constant, ρ is the density of the terrain, and D is 3km),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2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3
Is defined by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4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5
Each is a spatial frequency when the geoid is approximated in a plane, and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6
(여기서, l은 0부터 J-1이고, m은 0부터 K-1까지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6
Where l is 0 to J-1 and m is 0 to K-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계(b)는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와 실제 측정된 중력이상치를 근거로 상기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데이터에서 최적화된 평면을 제거하여 저해상도의 삼각망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삼각망 위에 존재하거나 개수가 3개 이하인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단계에서,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삼각망 위에 존재하거나 개수가 3개 이하로 체크되면,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 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단계에서,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삼각망 밖에 존재하거나 개수가 3개 초과로 체크되면,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 을 적용하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 applies a low resolution triangular network by removing an optimized plane from the high resolu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rain corrected gravity outlier based on the terrain corrected gravity outlier and the actual measured gravity outlier. And checking whether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the number is 3 or less, and if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the number is 3 or less, Generating a consistent high resolution gravitational abnormality model of the same order as the gravitational outlier measured from the terrain by applying a mathematical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ed gravitational outlier; and in the checking step, the high resolution data is outside the triangle network or If the number is more than 3, the terrain is applied by applying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And generating a consistent high resolution gravitational outlier model of the same order as the gravitational outliers measured from. Here,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8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9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0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7
(her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8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09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0
May be defined by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to which the high 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lattice gener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is mapped.

한편, 상기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On the other hand,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1

(여기서, α, β 및 δ는 저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삼각형의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이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2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4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Where α, β and δ are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triangle created by the low resolution data,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2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3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4
May be defined by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to which the high 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lattice gener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is mapped.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은 중력이상치 추정부 및 중력이상모델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력이상치 추정부는 측정된 중력값과 실제 중력값 간의 상이함을 보정하기 위해, 지형자료 저장부에 저장된 지형자료에 아이소스타시(Isostasy) 이론을 포함한 중력이상 추정공식을 이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한다. 상기 중력이상모델 생성부는 추정된 중력이상을 측정된 프리에어 이상치에 적용하기 위해, 엔드-매칭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실제 중력값에 근사하는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여 중력이상 모델 저장부에 저장한다.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vity simulation data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gravity outlier estimation unit and a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on unit. The gravity outlier estimator estimates the gravity outlier using a gravity anomaly estimation formula including an isostasy theory in the terrain data stored in the terrain data storage to corr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gravity value and the actual gravity value. do. The gravity anomaly model generation unit generates a gravity anomaly model approximating the actual gravity value by applying an end-matching algorithm to apply the estimated gravity anomaly to the measured free air anomaly and stores it in the gravity anomaly model storage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력이상치 추정부는 상기 지형자료 저장부에 저장된 지형자료를 리딩하는 지형자료 리딩모듈과, 상기 지형자료 리딩모듈에 의해 리딩된 지형자료에 아이소스타시 이론을 적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하는 아이소스타시 이론 적용모듈과, 상기 지형자료 리딩모듈에 의해 리딩된 지형자료의 대상지역이 해양지역인지 육상지역인지를 판단하는 대상지역 판단모듈과, 상기 대상지역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지형자료가 해양지역으로 판단되면, 해양지역에 상응하는 밀도값을 적용하는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과, 상기 대상지역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지형자료가 육상지역으로 판단되면, 육상지역에 상응하는 밀도값을 적용하는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과, 상기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 또는 상기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에 의해 서로 다른 밀도값이 적용된 지형자료에서 특정 포인트에서의 지형 응축에 의한 포텐셜 값을 계산하여 아이소스타시 효과가 고려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여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는 중력이상치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ity outlier estimating unit applies gravity to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for reading the terrain data stored in the terrain data storage unit, and isostasis theory to the terrain data read by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An isostasis theory application module for estimating outliers, a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target area of the terrain data read by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is a marine area or a land area, and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If the terrain data is determined to be a marine area, the marine area density value application module applying a dens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rine area, and if the terrain data is determined to be a land area by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the density corresponding to the land area. Land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and a marine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or land area density application Comprising a gravity outlier generating section that calculates the potential value due to terrain condensation at a specific point in the terrain data to which different density values are applied by the module, and generates a gravity-corrected terrain outlier considering the isostasi effect. can do.

상기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는, The terrain-corrected gravity outlier,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5
(여기서, 지형자료는 Δx와 Δy의 간격을 갖는 j*k의 행렬이고, G는 뉴턴의 중력상수이며, ρ는 지형의 밀도이며, D는 3km임)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6
는 아래의 수학식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5
(Where topography is a matrix of j * k with a space between Δx and Δy, G is Newton's gravity constant, ρ is the density of the terrain, and D is 3km),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6
Is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7
에 의해 정의되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8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9
각각은 지오이드를 평면으 로 근사하였을 때의 공간 주파수로서, 아래의 수학식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7
Is defined by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8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19
Each is the spatial frequency when the geoid is approximated to the plane, and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0
(여기서, l은 0부터 J-1이고, m은 0부터 K-1까지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0
Where l is 0 to J-1 and m is 0 to K-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력이상모델 생성부는 지형보정된 고해상도의 중력이상치를 저장하는 제1 저장모듈과, 실제측정된 저해상도의 중력이상치를 저장하는 제2 저장모듈과,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에서 최적화된 평면을 제거하고 상기 저해상도의 중력이상치의 삼각망을 적용하는 중력이상치 매칭모듈과,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이하로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과,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 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이하로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 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제1 중력이상치 적용모듈과,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 위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초과로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 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제2 중력이상치 적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ity anomaly model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terrain-compensated high-resolution gravity outlier, a second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actually measured low-resolution gravity outlier, and the high resolution data. A gravitational outlier matching module for removing a planarized plane and applying the triangular network of low resolution gravitational outliers, and a high resolu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within three areas defined by the triangular network If the data determination module and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check that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not more than three in the area defined by the triangular network, it corresponds to the first corrected gravity outlier. Apply the equation to the same order of gravity outlier A first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 inertial high resolution gravity anomaly model, and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causes the high resolution data not to exist on the triangle network or to exceed three in an area defined by the triangle network; A second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sistent high resolution gravity anomaly model of the same order as the gravity outlier measured from the terrain by applying an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if checked to be present. Can be. Here,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1
(여기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2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4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1
(her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2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3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4
May be defined by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to which the high 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lattice gener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is mapped.

한편, 상기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On the other hand,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5

(여기서, α, β 및 δ는 저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삼각형의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이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6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7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8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Where α, β and δ are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triangle created by the low resolution data,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6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7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8
May be defined by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to which the high 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lattice gener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is mapped.

이러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지형자료를 기반으로 가상 중력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중력자료와 실제 중력자료와 병합함으로써, 현실이 반영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gravity simulation data and the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the virtual gravity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terrain data and merged with the generated virtual gravity data and the actual gravity data, so that the gravity simulation data reflecting the reality can be constructed. hav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 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an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기재되는 용어들을 간단히 정리를 하면 아래와 같다. Then, 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일반적으로 실측중력은 관측지점들간의 고도, 지형, 물질분포 등이 상이하여 그 값의 크기를 서로 비교할 수 없다. 그러므로 비교값을 구하려면 동일한 물리적 조건으로 그 값을 보정해야 하는데, 이를 중력보정이라 한다. 상기 중력보정에는 3가지가 있는데 이중 한가지가 부우게보정이다. 상기 부우게보정은 측정지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의 물질로 인한 인력이 중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제거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In general, the actual gravity cannot be compared with each other because the altitude, topography, and material distribution among the observation points are different. Therefore, to obtain a comparison value, the value must be corrected under the same physical condition, which is called gravity correc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gravity correction, one of which is bool correction. The bouncy correction is a correction by removing the attraction force due to the material between the measuring point and the geoid surface affects gravity.

각 지점에서 관측한 중력치를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보정을 한다. 보정된 관측 중력과 표준 중력의 차이를 중력이상(즉, 보정 중력-표준 중력)이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표준 중력이란 지구가 지오이드에 근사한 기하학적인 회전타원체이며 지구내부 물질의 밀도분포가 수평방향으로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각 위도에서 이론적으로 계산한 중력값이다. 한편, 필요한 모든 정보를 보정을 통해 기준면에서의 중력값으로 환산한 것을 보정중력이라고 한다. Calibrate to compare the gravity values observed at each poi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rected observed gravity and the standard gravity is called gravity anomaly (ie corrected gravity-standard gravity). Here, the standard gravity is a gravity value calculated theoretically at each latitude, assuming that the earth is a geometric spheroid close to the geoid and the density distribution of the material inside the earth is consta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gravity is the conversion of all necessary information into the gravity value on the reference plane through the correction.

상기 중력이상은 대체로 밀도가 작은 대륙지각은 '-', 밀도가 큰 해양지각은 '+' 인 경우가 많다. 상기 중력이상은 해안에서 0에 가깝고, 해양에서 심해저 쪽으로 갈수록 양의 값으로 증가하며, 대륙에서는 고지대 쪽으로 갈수록 음의 값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사실은 해수면 아래에 대륙지각은 밀도가 작은 곳이, 해양지각은 밀도가 큰 곳이 존재함을 시사한다.The gravity anomaly generally has a small continental crust of '-' and a large ocean crust of '+'. The gravitational anomaly is close to zero at the coast, increases with a positive value toward the ocean floor in the ocean, and decreases with a negative value toward the highlands on the continent. This suggests that continental crusts are less dense and sea crusts are denser below sea level.

상기 중력 보정에는 고도 보정, 부우게 보정, 지형 보정 등이 있고, 중력이상에는 보정 정도에 따라 고도 이상과 부우게 이상 등이 있다.Gravity correction includes altitude correction, bouncy correction, terrain correction, and the like, and gravity correction includes altitude abnormality and boulder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ction.

지표에서의 중력은 1m의 높이 변화에 대하여 대략 0.3mGal정도의 비율로 높이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관측된 중력치에 관측 장소의 높이 때문에 감소된 중력치를 더해 주면 지오이드 면상에서의 중력치를 얻을 수 있다. 이를 고도 보정이라 칭한다. Gravity at the surface decreases with height at a rate of approximately 0.3 mGal for a height change of 1 meter. Therefore, the gravity value on the geoid plane can be obtained by adding the gravity value reduced due to the height of the observation site to the observed gravity value. This is called altitude correction.

실측한 중력값에서 고도 보정을 한 후 표준 중력을 뺀 값을 고도 이상이라 칭한다. 이러한 고도 이상에는 중력 측정 지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의 물질에 의한 인력의 영향이 남아 있으므로 육지 지역의 고도 이상은 통상 (+)값을 나타내는 반면 바다 지역에서는 (-)값을 나타낸다.After the altitude is corrected from the measured gravity value,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tandard gravity is referred to as altitude or higher. Above this altitude, the influence of the attraction of the material between the gravimetric point and the geoid surface remains, so above the altitude in land areas it is usually positive, while in the sea area it is negative.

관측된 중력 값에 고도 보정을 해주어도 중력 측정 지점과 지오이드 면 사이의 물질에 의한 인력의 영향이 남아 있다. 이러한 영향은 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측정된 중력값에 고도 보정을 한 후 이의 영향을 감하면 지오이드 면 이상에는 물질이 없는 상태의 중력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을 부우게 보정이라 칭한다. 상기한 부우게 보정은 지오이드면 이상의 물질을 두께가 관측 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의 거리 즉, 관측점의 표고인 무한 평판으로 가정하여 보정하고 있다.Altitude correction to the observed gravity values also retains the influence of the attraction by the material between the gravity measurement point and the geoid plane. This effect serves to increase gravity. Therefore, if the altitude correction is applied to the measured gravity value and the influence is subtracted, the gravity value without the substance above the geoid plane can be obtained. This correction is called boolean correction. The bouncy correction is corre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aterial above the geoid plane is an infinite plate whose thickness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bservation point and the geoid plane, that is, the elevation of the viewpoint.

상기 부우게 보정은 지오이드면 이상의 물질을 무한 평판으로 가정하여 보정하고 있으나 실제의 지형은 기복이 있으며, 따라서 부우게 보정은 지형의 기복에 의한 영향만큼 과보정이 되는 셈이다. 이러한 무한평판과 지형의 기복에 의한 영향의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 지형 보정이다.The bouncy correction is corrected assuming that the material above the geoid plane is an infinite plate, but the actual terrain has ups and downs, so the bouncy correction is overcorrected as much as the influence of the ups and downs of the terrain. Terrain correction is to corr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inite flat and the influence of the terrain ups and downs.

또한, 관측된 중력 값에 고도 보정, 부우게 보정 및 지형 보정을 한 후 표준 중력을 뺀 것을 부우게 이상이라고 한다. 부우게 이상은 지오이드면 이상의 물질의 영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는 지하 구성물질의 밀도의 분포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암시하여 준다. 따라서 부우게 이상은 지구 내부 연구의 열쇠가 되는 것이다. 부우게 이상은 지각 균형의 영향으로 육지에서는 통상 (-)값을 나타내는 반면, 해양에서는 (+)값을 나타내고 있다. 즉, 지각평형설을 증명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said that the observed gravity value is subtracted from the standard gravity after altitude correction, boolean correction, and terrain correction. As the Bouge anomaly does not include the influence of matter above the geoid plane,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regional difference in the density distribution of underground constituents. So boogie ideals are the key to internal research. Bougain Anomaly is usually negative on land and positive on sea due to crustal balance. In other words, it will prove perceptual equilibrium.

그러면, 이하에서, 지형자료를 기반으로 가상의 중력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의 중력자료를 실제 중력자료와 병합하여 현실을 반영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Then, 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to create a virtual gravity data based on the topographical data, merge the generated virtual gravity data with the actual gravity data to build a gravity simulation data reflecting the reality.

본 실시예에서, 지형자료는 전통적으로 지형도 등을 이용하여 2차원적으로 표현되어 왔으나 최근에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정보 저장 매체의 할당 및 처리 능 력의 향상으로 수치 지형 자료인 디지털 테라인 모델(Digital Terrain Model: DTM)의 필요가 대두되면서 전 세계에서 각종의 수치 지형 자료가 개발되고 또한 여러 분야에서 이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지형자료는 공식적으로 건설교통부(국토해양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관장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최근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대한민국 일원에 대한 각종 축척의 지형도를 기본으로 하는 전자 지도를 발간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ographical data has been traditionally represented two-dimensionally by using topographical maps, etc., bu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the digital tereline model, which is a digital topographical data, has been improv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allocation and processing capability of information storage media. As the need for Digital Terrain Model (DTM) emerges, various digital terrain data have been developed around the world, and its use is becoming common in many fields. The topographical data of Korea is officially manag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under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response to recent social demands,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published electronic maps based on topographic maps of various scales of Korea.

한편, 중력자료는 지구표면의 중력장내에서 중력의 작은 변화를 측정한 자료로서, 지하지질구조, 지하형상을 분석하여 광물탐사뿐만 아니라, 지구내부 기수권 시스템, 해양조석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이다. 즉, 모든 물체는 지구중심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중력이다. 중력 값이나 중력 방향은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기본적인 흐름으로부터 지구의 형상을 결정하려는 과제는 뉴튼 이래 중력측정의 주된 목적의 하나이다. 중력값은 지하구조에 따라서 좌우되기 때문에 중력값을 측정하여 그 지리적인 분포로부터 역으로 지하구조를 추정하는 이른바 중력이상에 관한 문제는 중력에 관한 중심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Gravity data is a measure of the small changes in gravity in the gravitational field of the earth's surface, and it can be used not only for mineral exploration by analyzing subterranean geometries and subterranean geometries, but also for geothermal systems and ocean tidal studies within the earth. to be. In other words, all objects have the property of moving to the center of the earth. In this phenomenon, the force acting on the object is gravity. The task of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earth from the basic flow that the value of gravity or direction of gravity varies with latitude i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gravity measurement since Newton. Since the gravity value depends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so-called gravity anomaly, which measures gravity and estimates the underground structure inversely from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is a central problem of gravity.

중력 탐사는 조사지역의 중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지하의 밀도 분포 구조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암석이나 광물의 밀도차에 의한 중력이상을 측정하고 해석하는 탐사방법이다. 지하에 밀도가 큰 암반이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밀도의 암반이라도 그 깊이가 얕으면 더 큰 중력값이 지표에서 측정된다. 반대로 지하에 공동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지표에서 측정되는 중력값은 작아진다. 따라서 중력탐사는 중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지하 지질구조나 지하자원 탐사에 활용된다.Gravity exploration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gravity of an irradiated area and estimating the density distribution structure underground from the measurement result.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rock with a high density underground, if the rock is the same depth and the depth is shallow, the greater gravity value is measured at the surface. On the contrary, when there are cavities in the basement, the gravity value measured at the surface becomes small. Therefore, gravity exploration measures the change of gravity and is used for exploration of underground geological structures and underground resour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avity simulation data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10)은 중력이상치 추정부(100) 및 중력이상모델 생성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10)은 사용자 컴퓨터(20)와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논리적으로 분리하였을 뿐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10)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프로그래밍되어 사용자 컴퓨터(20)에 의한 억세스가 가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gravity simulation data build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avity outlier estimator 100 and a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or 200. Although the gravity simulation data building system 10 is shown as a separate system from the user computer 20, this is logically sepa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not separated in hardware. That is, the gravity simulation data building system 10 may be programm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be accessed by the user computer 20.

상기 중력이상치 추정부(100)는 추정된 중력값과 실제 중력값 간의 상이함을 보정하기 위해, 지형자료 저장부(30)에 저장된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중력이상치를 상기 중력이상모델 생성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지형자료는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이라는 전 세계의 수치고도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s)을 공개하고 있는데, 이는 우주비행선이 궤도 비용을 하면서 레이더를 통해 전지구의 고도를 측정한 데이터로서 90m*90m 간격으로 고도속성값이 저장되어 있다.The gravity outlier estimator 100 estimates the gravity outlier using the terrain data stored in the terrain data storage unit 30 to corr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gravity value and the actual gravity value, and estimates the estimated gravity outlier. Provided to the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on unit 200. The terrain data may includ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data. The world's first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called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s (SRTMs), are available at 90m * 90m intervals. Altitude attribute value is stored.

상기 중력이상모델 생성부(200)는 추정된 중력이상을 추정된 프리에어 이상치에 적용하기 위해, 엔드-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제 중력값에 근사하는 중력 이상모델을 생성하여 중력이상모델 저장부(40)에 저장한다. 즉, 상기 중력이상모델 생성부(200)는 엔드-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 중력이상과 측정 프레이어 이상치를 결합하여 측정된 중력이상치와 동일 차수의 일관성 있는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한다. The gravity anomaly model generation unit 200 generates a gravity anomaly model that approximates the actual gravity value by applying an end-matching algorithm in order to apply the estimated gravity anomaly to the estimated free air outlier. Save to 40). That is, the gravity anomaly model generation unit 200 generates a gravity anomaly model of the same order as the measured gravity anomaly by combining the estimated gravity anomaly and the measured Freyer anomaly using an end-matching algorithm.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력이상치 추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avity outlier estimation unit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중력이상치 추정부(100)는 아이소스타시 적용부(110) 및 중력이상치 생성부(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gravity outlier estimator 100 includes an isostasi application unit 110 and a gravity outlier generation unit 120.

상기 아이소스타시 적용부(110)는 지형자료 리딩모듈(111), 아이소스타시 이론 적용모듈(112), 대상 지역 판단모듈(113),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114) 및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115)을 포함한다. The isostasi application unit 110 is a topographical data reading module 111, isostasi theory theory module 112,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113, marine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114 and land area density value Application module 115 is included.

상기 지형자료 리딩모듈(111)은 상기 지형자료 저장부(30)에 저장된 지형자료를 리딩한다.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111 reads the terrain data stored in the terrain data storage unit 30.

상기 아이소스타시 이론 적용모듈(112)은 상기 지형자료 리딩모듈에 의해 리딩된 지형자료에 아이소스타시 이론을 적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한다. The isostasis theory application module 112 applies isostasis theory to the terrain data read by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to estimate the gravity outlier.

상기 대상 지역 판단모듈(113)은 상기 지형자료 리딩모듈에 의해 리딩된 지형자료의 대상지역이 해당지역인지 육상지역인지를 판단한다.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113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area of the terrain data read by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is a corresponding area or a land area.

상기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114)은 상기 대상지역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지형자료가 해양지역으로 판단되면, 해양지역 밀도값을 적용한다. The marine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114 applies the marine area density value when the terrain data is determined to be a marine area by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상기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115)은 상기 대상지역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지형자료가 육상지역으로 판단되면, 육상지역 밀도값을 적용한다. The land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115 applies the land area density value when the terrain data is determined to be the land area by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상기 중력이상치 생성부(120)는 이산푸리에 적용모듈(122)을 포함한다. The gravity outlier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 discrete Fourier application module 122.

본 실시예에, 상기 아이소스타시 적용부(110)가 지형자료 리딩모듈(111), 아이소스타시 이론 적용모듈(112), 대상 지역 판단모듈(113),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114) 및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115)로 분리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것이고,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sostar application unit 110 is a topographical data reading module 111, isostar theory theory application module 112,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113, marine area density value application module 114 And it was described that separated by the land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115, which is logically separated, not separated by hardware.

그러면, 이하에서, 중력이상치 추정부(100)에 의한 지형자료 기반 중력이상자료 시뮬레이션에 대해 설명한다. Then, a description of the terrain data-based gravity anomaly simulation by the gravity anomaly estima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지형자료의 표고(H)로부터 추정된 중력이상치와 실제 측정된 프리에어 중력이상치를 병합하는 과정의 첫단계는 추정된 중력이상치와 실제 측정된 프리에어 중력이상치간의 이론적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다.The first step in the process of merging the estimated gravity outlier from the elevation of terrain data (H) and the actual measured free-air gravity outlier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stimated gravity outlier and the actual measured free-air gravity outlier.

지표면상의 한 지점(P)에서의 부우게(Bouguer) 이상치(ΔgB(P))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he Bouguer outlier ΔgB (P) at a point P on the ground surface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9
Figure 112009080549267-PAT00029

여기서, G는 뉴턴의 중력상수이고, ρ는 지형의 밀도, c는 측정점 주변의 부우게판으로 가정한 값과 실제 지형간의 차이값에 의해 계산된 지형 보정량이다. Where G is Newton's gravitational constant, ρ is the terrain density, and c is the terrain correction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ssumption of a boogie board around the measurement point and the actual terrain.

수학식 1에서, 상수(c)를 무시하면 표고(H)와 부우게 이상치(ΔgB(P))의 선형 관계는 명백해진다. In Equation 1, ignoring the constant (c),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elevation (H) and the unduly outlier (ΔgB (P)) becomes apparent.

지역 전반의 부우게 이상치(Δg(P))을 장파장 신호나 특정 상수, 즉 B=ΔgB로 가정하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Assuming that the region-wide boolean outlier Δg (P) is a long wavelength signal or a specific constant, ie, B = ΔgB, the following equation is establishe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0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0

여기서, B=ΔgB, G는 뉴턴의 중력상수이고, ρ는 지형의 밀도이다. Where B = ΔgB, G is Newton's gravity constant, and ρ is the density of the terrain.

표고(H)와 중력이상치간의 상관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두번째 방법은 지각균형설(Isostasy) 이론을 이용하는 것이다. 아이소스타시 이론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형이 역학적 평형 상태를 이루려 하는 특징을 근거로 하는 이론이다. 아이소스타시 이론에 의하여 추정된 중력이상(ΔgI(P))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he second method for estim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vation (H) and gravitational outliers is to use the Isostasy theory. Isostasis theory is a theory based on the feature that the terrain is trying to achieve mechanical equilibrium with time. Gravity anomaly ΔgI (P) estimated by isostasis theory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3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1

여기서, C(P)는 지오이드 상부의 모든 질량에 따른 중력의 영향에 대응하는 정보이고, A(P)는 아이소스타시 이론에 입각하여 계산된 보정 효과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Here, C (P)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luence of gravity according to all masses on the top of the geoid, and A (P)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effect calculated based on the isostasi theory.

만일, C(P)를 제거하면 지오이드 위의 공간은 균일해지며, 이러한 지형의 효과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지형 질량의 중력 포텐셜에 대하여 음의 방향으로의 변화율로 표현된다. If C (P) is removed, the space on the geoid becomes uniform, and the effect of the terrain is expressed as the rate of change in the negativ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avity potential of the terrain mass,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2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2

여기서, σQ는 적분영역에서 단위구, SPQ’는 P점과 질량내의 Q점 사이의 거 리(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3
)이다. Where σQ is the unit sphere in the integral region and SPQ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 point and the Q point in the mass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3
)to be.

A(P)는 보상 깊이 이하에서 맨틀(mantle)을 균질하게 만들기 위해 더해지는 질량 때문에 발생하는 인력을 의미한다. 에어리(Airy)에 의한 지각균형설(Airy-Isostasy, 이하, 에어리-아이소스타시) 모델을 이용하여 이러한 효과는 지각과 그 아래의 맨틀의 밀도 차이에 의해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A (P) refers to the attraction caused by the mass added to make the mantle homogeneous below the compensation depth. Using the Airy-Isostasy (Airy-Isostasy) model, this effect is expressed by Equation 5 below by the difference in density between the crust and the mantle beneath it.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4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4

여기서, ρ는 지각의 밀도이고, ρm은 맨틀의 밀도이다. Where ρ is the density of the crust and ρm is the density of the mantle.

도 3은 에어리-아이소스타시(Airy-Isostasy)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y-Isostasy mode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리-아이소스타시 모델에 따르면, 지형이 맨틀 위에서 부력 원리에 따라 균형을 이루며 떠 있다고 가정한다.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Airy-Isostatashi model, it is assumed that the terrain floats in balance on the mantle according to the buoyancy princip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깊이의 밀도(ρH)는 아래의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된다. As shown in FIG. 3, the density ρH of the compensation depth is defined by Equation 6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5

여기서, H’은 보상 깊이에 대한 뿌리의 깊이이다. Where H 'is the depth of the root relative to the depth of compensation.

이와 유사하게, 해양지역에서는 물이 지각에 비하여 밀도가 낮기 때문에, 맨틀이 지각 하부로 칩입하여 평형상태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수학식 6은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Similarly, in oceans, the water is less dense than the crust, so the mantle penetrates into the crust and becomes in equilibrium. In summary, Equation 6 may be defined as Equation 7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6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6

여기서, B는 바다 밑바닥에 대한 수심, B’은 맨틀 뿌리 반대쪽으로의 높이, ρw는 해수의 밀도이다. Where B is the depth to the bottom of the sea, B 'is the height away from the mantle root, and ρw is the density of the seawater.

만일, 지각균형 보정이 완벽하게 적용된다면, 프리에어 중력이상치(Δg(P))은 지형에 대비되는 밀도와 지각균형 보상값에 의한 값이므로 아이소스타틱 어노멀리(Isostatic anomaly)는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지각균형 이상은 ?gI(P)?0일 때, 매우 작은 값이기 때문에, 수학식 3의 프리에어 중력이상치(Δg(P))은 아래의 수학식 8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If the tectonic balance correction is applied perfectly, the isostatic anomaly is eliminated since the pre-air gravitational outlier Δg (P) is a value due to the density and the tectonic balance compensation value compared to the terrain. In general, since the perceptual balance abnormality is very small when? GI (P)? 0, the pre-air gravity abnormality value Δg (P) of Equation 3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8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7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7

여기서, C(P)는 지오이드 상부의 모든 질량에 따른 중력의 영향에 대응하는 정보이고, A(P)는 아이소스타시 이론에 입각하여 계산된 보정 효과에 대응하는 정보이다.Here, C (P)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luence of gravity according to all masses on the top of the geoid, and A (P)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effect calculated based on the isostasi theory.

그러므로, 프리에어 중력이상치(Δg(P))은 지오이드 위에 존재하는 밀도가 ρ인 지형의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과 보상 깊이 밑에 존재하는 질량에 의한 인력으로부터 계산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 pre-air gravitational outlier Δg (P) is calculated from the attraction caused by the mass of the terrain whose density is ρ present on the geoid and the mass present below the compensation depth.

이중에서 보상 깊이 밑에 존재하는 질량을 (-)으로 가정하면 아래의 수학식 9와 같다. Assuming that the mass existing under the compensation depth is negative, the following equation (9) is give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8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8

상기한 수학식 9에서 우변은 다양한 가정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In Equation 9, the right side may be defined through various assumptions.

그 중 하나는 지형을 헬머트(Helmert) 응축에 따라 지오이드 상으로 응축하는 것으로, 중력에 의한 효과는 아래의 수학식 10에서와 같이 지오이드 상의 점에서 주어진 밀도를 갖는 2차원의 질량층으로부터 계산된다. One of them is to condense the terrain onto the geoid with Helmert condensation, and the effect of gravity is calculated from a two-dimensional mass layer with a given density at points on the geoid, as shown in Equation 10 below.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9
Figure 112009080549267-PAT00039

유사한 방법으로, 지형 밑에 존재하는 해양에서의 중력의 효과는 지오이드 상에서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모델링될 수 있다. 이는 지각과 비교하여 해양에서 밀도의 부족량을 의미한다. 이층에서의 밀도는 음의 값으로, 아래의 수학식 1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n a similar way, the effect of gravity in the oceans that exist beneath the terrain can be modeled by forming layers on the geoid. This means a lack of density in the ocean compared to the earth's crust. Density in the two-layer is a negative value, can be defined as shown in Equation 11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0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0

한편, 지오이드 상이 아닌 한 지점(P)에서 지형의 응축으로 인한 포텐셜(V)은 아래의 수학식 12와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potential (V) due to the condensation of the terrain at a point (P) that is not the geoid phase is shown in Equation 12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1

여기서, S는 한 지점(P)와 적분지점간의 거리이고, Q∈land는 육상지역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칭하고, Q∈ocean은 해양지역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칭한다. Here, S is the distance between one point P and the integration point, Q∈land refers to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the land area, and Q∈ocean refers to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the marine area.

포텐셜(V)과 그 변화량은 지점(P)가 지오이드 보다 위에 위치하는 한 연속적인 값이다. 또한, 한 지점(P)의 고정된 높이에 대한 수학식 12는 표고(H)와 거리(s)의 역수간의 컨볼루션(convolution)으로 표현된다. Potential (V) and its variation is a continuous value as long as point (P) is above the geoid. In addition, Equation 12 for the fixed height of a point P is expressed as a convolution between the elevation H and the inverse of the distance s.

평균 근사식에 의하여 거리(s)는 아래의 수학식 13과 같이 정의된다.By the average approximation equation, the distance s is defined as in Equation 13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2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2

여기서, (x’, y’)는 지오이드 상의 지역좌표이다. Where (x ', y') is the local coordinate on the geoid.

z>0인 경우, 포텐셜에 대한 푸리에변환(Fourier transform)을 설명하기 위하여 콘볼루션 이론을 적용하면 아래의 수학식 14와 같다. In the case of z> 0, if the convolution theory is applied to explain the Fourier transform with respect to the potential, the following equation (14) is use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3

여기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4
일 때, μ, ν는 지오이드를 평면으로 근사하였을 때의 공간 주파수이다.her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4
Is the spatial frequency when the geoid is approximated in a plane.

결과적으로, 질량층(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5
로 가정) 때문에 발생하는 중력에 대한 푸리에변환은 아래의 수학식 15와 같으며, 위의 관계는 수학식 3에서 고려된 바와 같이 선형이다. As a result, the mass layer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5
The Fourier transform for gravity caused by the equation is as shown in Equation 15 below, and the relationship is linear as considered in Equation 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6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6

만일, 모델이 지형층에 대한 에어리 이론에 따른 지각균형 보정량을 포함하고 있다면, 다른 층은 보상 깊이에서의 값으로 규명될 수 있다. If the model includes the perceptual balanc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Airy theory for the topographic layer, the other layer can be identified by the value at the compensation depth.

육상지역에서 이러한 층은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7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8
밀도에 대한 보정의 깊이가 응축된다. 밀도이며, 이것은 레벨 D 아래의 맨틀의 밀도와 확정된 깊이 H’에 대한 밀도에서의 부족량을 의미한다. 또한, 해양지역에서는 In land areas these layer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7
of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8
The depth of correction for the density is condensed. Density, which means the deficiency in the density of the mantle below level D and the density for a defined depth H '. In marine areas,

육상지역과 해양지역 각각에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9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0
밀도를 갖는 이상층(anomalous layer)을 포함함으로 인한 지형과 지각균형 보상값 때문에 발생하는 전체 포텐셜의 푸리에변환은 지표면층의 값으로 근사하면 아래의 수학식 1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n land and sea
Figure 112009080549267-PAT00049
W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0
The Fourier transform of the entire potential caused by the terrain and the crustal equilibrium compensation value due to the inclusion of an anomalous layer having a density can be defined as Equation 16 below when approximated to the surface layer valu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1

이로부터 중력이상에 상응되는 푸리에변환은 아래의 수학식 1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rom this, the Fourier transform corresponding to the gravity error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17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2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2

즉, z>0 수준에서의 중력이상치는 아래의 수학식 18로 정의된다. That is, the gravity outlier at the level z> 0 is defined by Equation 18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3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보상면 깊이인 D=30km에 대한 지각균형 보정량 요소는 수학식 19와 같다. D/2=15km보다 상세한 해상도의 지형으로부터 추정된 중력값이라면, 보정량을 무시할 수 있다.In general, the perceptual balance correction amount factor for D = 30 km, which is a compensation surface depth, is expressed by Equation 19. If the gravity value estimated from the terrain with a resolution more than D / 2 = 15 km, the correction amount can be ignore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4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4

상기한 수학식 18의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 브링햄(Brigham)에 의해 정의된 이산 푸리에변환을 적용하면 아래의 수학식 20과 같은 중력이상치를 산출할 수 있다.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quation 18 above, applying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defined by Brigham can yield a gravitational outlier as shown in Equation 20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5

여기서, 지형자료는 Δx와 Δy의 간격을 갖는 j*k의 행렬이고, G는 뉴턴의 중력상수이며, ρ는 지형의 밀도이며, D는 3km이다. 수학식 20에 의해 산출되는 중력이상치의 단위는 mGal이다. Here, the topographic data is a matrix of j * k with a space between Δx and Δy, G is Newton's gravity constant, ρ is the density of the terrain, and D is 3km. The unit of gravity outlier calculated by Equation 20 is mGal.

상기한 수학식 20에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6
는 아래의 수학식 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In Equation 20,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6
May be defined by Equation 21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7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7

상기한 수학식 21에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8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9
각각은 지오이드를 평면으로 근사하였을 때의 공간 주파수로서, 아래의 수학식 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및 In Equation 2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8
Figure 112009080549267-PAT00059
Each is a spatial frequency when the geoid is approximated in a plane, and may be defined by Equation 22 below.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0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0

여기서, l은 0부터 J-1이고, m은 0부터 K-1까지 이다. Where l is from 0 to J-1 and m is from 0 to K-1.

즉, 수학식 20은 지형자료의 표고(H)로부터 중력이상을 계산하는 과정으로 지각균형설(Isostasy) 이론을 적용하여 추정된 중력이상치 모델이다. In other words, Equation 20 is a process of calculating gravity anomaly from the elevation of terrain data, and is an estimated gravity outlier model by applying the theory of isostasy.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중력이상모델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on unit shown in FIG. 1.

도 4을 참조하면, 중력이상모델 생성부(200)는 제1 저장모듈(210), 제2 저장모듈(220), 중력이상치 매칭모듈(230),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240), 제1 중력이상치 적용모듈(250) 및 제2 중력이상치 적용모듈(26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storage module 210, a second storage module 220, a gravity abnormality matching module 230, a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240, and a first gravity. The outlier applying module 250 and the second gravity outlier applying module 260 are included.

상기 제1 저장모듈(210)은 중력이상치 추정부(100)에서 제공되는 지형 보정된 고해상도의 중력이상치 데이터(또는 FR(Fine Resolution)-data)를 저장한다. The first storage module 210 stores the terrain-corrected high-resolution gravity outlier data (or Fine Resolution-data) provided by the gravity outlier estimation unit 100.

상기 제2 저장모듈(220)은 실제 측정된 저해상도의 중력이상치 데이터(또는 CR(Coarse Resolution)-data)를 저장한다. The second storage module 220 stores the actual measured low resolution gravitational outlier data (or CR (Coarse Resolution) -data).

상기 중력이상치 매칭모듈(230)은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에서 최적화된 평면을 제거하고 상기 저해상도의 중력이상치의 삼각망을 적용한다. The gravity outlier matching module 230 removes the optimized plane from the high resolution data and applies a triangular network of the low resolution gravity outliers.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240)은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이하로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2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 or less than three in an area defined by the triangular net.

상기 제1 중력이상치 적용모듈(250)은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 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이하로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실제 중력자료에 의해 보정된 지형자료 기반의 시뮬레이션 중력자료를 생성하여 중력이상모델 저장부(40)(도 1에 도시됨)에 제공한다. If the first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250 is check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that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is present in three or less areas within the area defined by the triangular network, the first correction is performed. Applying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gravity outliers generated by the generated gravity data based on the terrain data corrected by the actual gravity data to provide to the gravity abnormality model storage unit 40 (shown in Figure 1).

상기 제2 중력이상치 적용모듈(260)는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 위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초과로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실제 중력자료에 의해 보정된 지형자료 기반의 시뮬레이션 중력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중력이상모델 저장부(40)에 한다. The second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260 checks that the high resolution data is not present on the triangle network or is more than three in the area defined by the triangle network by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Applying a mathematical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ed gravity outliers to generate a simulation gravity data based on the terrain data corrected by the actual gravity data to the gravity abnormality model storage unit 40.

본 실시예에서는 중력이상모델 생성부(200)가 제1 저장모듈(210), 제2 저장모듈(220), 중력이상치 매칭모듈(230),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240), 제1 중력이상치 적용모듈(250) 및 제2 중력이상치 적용모듈(260)로 분리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것이고,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on unit 200 applies the first storage module 210, the second storage module 220, the gravity outlier matching module 230,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240, and the first gravity outlier. Although the separation into the module 250 and the second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260 has been described, this is logically separated and not separated into hardware.

그러면, 이하에서, 중력이상모델 생성부(200)에 의한 실제 중력이상과 지형 기반 중력이상의 2차원 엔드-매칭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two-dimensional end-matching between the actual gravity abnormality and the terrain-based gravity abnormality by the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on unit 2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밀한 해상도의 지형자료로부터 추정된 중력이상치와 낮은 해상도로 분포하는 측정한 프리에어 중력이상치를 서로 매칭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엔드-매칭(end-matching)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matching algorithm is used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tch the estimated gravity outliers estimated from the terrain data with precise resolution and the measured free air gravity outliers distributed at low resolution.

우선, 주어진 낮은 해상도의 자료망을 삼각형으로 분할한다. 예를들어, 딜라우니 삼각법(Delaunary triangulation)은 각 절단된 삼각형의 최소값을 최대화시키는 최적의 알고리즘이다. 이후, 높은 해상도의 데이터를 삼각형의 꼭지점에 최적화된 면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First, divide a given low resolution data network into triangles. For example, Deluanary triangulation is an optimal algorithm that maximizes the minimum value of each truncated triangle. The higher resolution data can then be adjusted to fit the triangle's vertices.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을 설명하기 위한 엔드-매칭(end-matching)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d-matching algorithm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gravity simul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삼각형과 정규 격자상의 높은 해상도의 데이터는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삼각형 꼭지점에 의해 최적 평면으로 조정된다. 우선, 평면의 방정식을 가정하면 아래의 수학식 2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triangles created by the resolution data and the high 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grid are adjusted to the optimal plane by the triangle vertices that contain them. First, assuming the equation of the plane can be defined as shown in Equation 23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1

여기서, z는 중력이상치고, (x,y)는 평면좌표이다. Where z is gravity anomaly and (x, y) is the plane coordinate.

만일, 삼각형에서 n>3인 지형좌표로부터 시뮬레이션된 중력이상점이 있다면, 이상치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2
에 대해 평면으로 조정하고, 산출된 추정치는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3
와 같다. If there is a gravitational outlier simulated from the geocoordinate of n> 3 in the triangle, then the outlier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2
With respect to th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3
Same a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4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4

한편, 정규 격자상의 높은 해상도의 데이터를 행렬로 표현하면 아래의 수학식 25와 같다. On the other hand, if the high-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grid is expressed in a matrix, the following equation (2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5

지형자료 기반의 중력이상점에서 수학식 25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을 제거할 수 있고, 주어진 식에 의해서 실제 중력자료의 꼭지점이 포함된 평면을 추가할 수 있다. We can remove the plane defined by Equation (25) from the terrain data-based gravity outliers, and add the plane containing the vertices of the actual gravity data by the given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6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6

여기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7
은 실제 삼각망에 매핑된 저해상도의 중력 이상치 집합 데이터이고,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8
는 고해상도 데이터에서 평면을 제거하기 위한 변수이고,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9
은 지형 자료 기반의 중력 이상치 집합 데이터이다. her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7
Is a low resolution set of gravity outliers mapped to a real triangle network,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8
Is a variable for removing planes from high resolution data,
Figure 112009080549267-PAT00069
Is a set of gravity outlier data based on terrain data.

ACR은 수학식 26의 A와 같지만 삼각형의 꼭지점에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0
은 세 꼭지점에서 실제 중력자료의 값을 가진다. ACR is the same as A in Equation 26, but at the vertices of the triangl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0
Has the actual gravity data at three vertices.

그러므로, 아래의 수학식 27과 같이, 실제 중력 자료에 의해 보정된 지형 기반의 시뮬레이션 중력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Equation 27 below, the terrain-based simulation gravity data corrected by the actual gravity data can be generate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1

수학식 27에서, n=0이라면, 어떠한 계산도 수행되지 않는다. In equation 27, if n = 0, no calculation is performed.

한편, n이 1, 2, 3이거나 또는 지형 기반 중력자료가 삼각형에서 일직선상에 있다면, 아래의 수학식 28와 같이 정의된다. On the other hand, if n is 1, 2, 3 or terrain-based gravity data in a straight line in the triangle, it is defined as in Equation 28 below.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2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2

이러한 방법으로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 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way, a high resolution gravitational anomaly model of the same order as the gravitational anomalies measured from the terrain can be generated.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밀지오이드의 구축으로 최첨단 GPS 기술을 이용한 고정밀 높이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므로 공간정보의 획득방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precision height information by using a state-of-the-art GPS technology by constructing a precision geoid, thereby improving the method of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지오이드를 구축하는 것은 광역의 중력장, 예컨데, 대한민국의 중력장을 결정하는 것으로 지각운동과 지하자원 탐사, 해수면의 변화 등을 연구하는 기본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중력자료는 항공기, 미사일, 잠수함 등의 운항에 필요한 정밀한 중력값을 제공하게 되어 국방 분야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geo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gravitational field of the wide area, for example, the gravitational field of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tudying the crustal movement, underground resource exploration, changes in sea level. In particular, the gravit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ise gravity valu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aircraft, missiles, submarines, etc.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defense fie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avity simulation data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력이상치 추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avity outlier estimation unit shown in FIG. 1.

도 3은 에어리-아이소스타시(Airy-Isostasy)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y-Isostasy model.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중력이상모델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on unit shown in FIG.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을 설명하기 위한 엔드-매칭(end-matching)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d-matching algorithm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gravity simul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 20 : 사용자 컴퓨터10: gravity simulation data building system 20: user computer

30 : 지형자료 저장부 40 : 중력이상모델 저장부30: terrain data storage 40: gravity abnormal model storage

100 : 중력이상치 추정부 200 : 중력이상모델 생성부100: gravity outlier estimation unit 200: gravity failure model generation unit

110 : 아이소스타시 적용부 120 : 중력이상치 생성부110: isostar application unit 120: gravity outlier generating unit

111 : 지형자료 리딩모듈 112 : 아이소스타시 이론 적용모듈111: terrain data reading module 112: isostasis theory application module

113 : 대상 지역 판단모듈 114 :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113: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114: marine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115 :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 122 : 이산푸리에 적용모듈115: land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122: discrete Fourier application module

210 : 제1 저장모듈 220 : 제2 저장모듈210: first storage module 220: second storage module

230 : 중력이상치 매칭모듈 240 :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230: gravity outlier matching module 240: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250 : 제1 중력이상치 적용모듈 260 : 제2 중력이상치 적용모듈 250: first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260: second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Claims (12)

측정된 중력값과 실제 중력값 간의 상이함을 보정하여 실제 중력값에 근사하는 중력이상모델을 얻기 위한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에서, In the gravity simulation data construction method to obtain the gravity anomaly model approximating the actual gravity value by corr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gravity value and the actual gravity value, (a) 지형자료에 아이소스타시(Isostasy) 이론을 포함한 중력이상 추정 공식을 이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a) estimating gravity outliers using gravity anomaly estimation formulas including isostasy theory in the topographical data; And (b) 정밀한 해상도의 지형자료로부터 추정된 중력이상치를 낮은 해상도로 분포하는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결합을 위해, 엔드-매칭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추정 중력이상과 측정 프레이어 이상치를 결합하여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b) Combine the estimated gravity anomaly with the measured frayer anomalies by applying an end-matching algorithm to combine the estimated gravity anomalies from the precise resolution terrain data with the low-resolution distribution. Gravity simulation data buil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제1항에 있어서, 단계(a)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a-1) 상기 지형자료에 대응하는 대상지역이 육상인지 해양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값을 적용하는 단계; 및 (a-1) applying different density values according to whether the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topographical data is land or ocean; And (a-2) 특정 포인트에서의 지형 응축에 의한 포텐셜 값을 계산하여 아이소스타시 효과가 고려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여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a-2) generating a gravity outlier considering the isostasi effect by calculating the potential value due to terrain condensation at a specific point, and generating a terrain-corrected gravity outlier. W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rain-corrected gravity outlier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3
(여기서, 지형자료는 Δx와 Δy의 간격을 갖는 j*k의 행렬이고, G는 뉴턴의 중력상수이며, ρ는 지형의 밀도이며, D는 3km임)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4
는 아래의 수학식
(Where topography is a matrix of j * k with a space between Δx and Δy, G is Newton's gravity constant, ρ is the density of the terrain, and D is 3km),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4
Is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5
에 의해 정의되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6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7
각각은 지오이드를 평면으로 근사하였을 때의 공간 주파수로서, 아래의 수학식
Is defined by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6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7
Each is a spatial frequency when the geoid is approximated in a plane, and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8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8
(여기서, l은 0부터 J-1이고, m은 0부터 K-1까지임)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Where l is 0 to J-1 and m is 0 to K-1).
제1항에 있어서, 단계(b)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comprises: (b-1)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와 실제 측정된 중력이상치를 근거로 상기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데이터에서 최적화된 평면을 제거하여 저해상도의 삼각망을 적용하는 단계;(b-1) applying a low resolution triangle network by removing an optimized plane from the high resolu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rain corrected gravity outlier based on the terrain corrected gravity outlier and the actual measured gravity outlier; (b-2)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삼각망 위에 존재하거나 개수가 3개 이하인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단계; (b-2) checking whether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a triangular network or the number is three or less; (b-3) 상기 체크 단계에서,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삼각망 위에 존재하거나 개수가 3개 이하로 체크되면,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 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 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b-3) In the checking step, when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the number is checked to be 3 or less, the gravitational outlier measured from the terrain by applying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cted gravitational outlier and Generating a consistent high resolution gravity anomaly model of the same order; And (b-4) 상기 체크 단계에서,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삼각망 밖에 존재하거나 개수가 3개 초과로 체크되면,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b-4) In the checking step, if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utside the triangular network or the number is checked more than three, the same as the gravity outlier measured from the terrain by applying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And generating a consistent, high resolution gravitational anomaly of ord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9
Figure 112009080549267-PAT00079
(여기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0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1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2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her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0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1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2
Is a variable and constant corresponding to each of x and y in the equation of a plane to which high resolution data on a regular lattice gener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is mapp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3
(여기서, α, β 및 δ는 저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삼각형의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이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4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6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 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방법.
(Where α, β and δ are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triangle created by the low resolution data,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4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5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6
Is a variable and constant corresponding to each of x and y in the equation of a plane to which high resolution data on a regular lattice cre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is mapped.
측정된 중력값과 실제 중력값 간의 상이함을 보정하기 위해, 지형자료 저장부에 저장된 지형자료에 아이소스타시(Isostasy) 이론을 포함한 중력이상 추정공식을 이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하는 중력이상치 추정부; 및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gravity value and the actual gravity value, the gravity outlier estimator estimates the gravity outlier by using the gravity anomaly formula including isostasy theory in the terrain data stored in the terrain data storage. ; And 추정된 중력이상을 측정된 프리에어 이상치에 적용하기 위해, 엔드-매칭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실제 중력값에 근사하는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여 중력이상모델 저장부에 저장하는 중력이상모델 생성부를 포함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In order to apply the estimated gravity anomaly to the measured free air anomaly, a gravity anomaly model generator which generates a gravity anomaly approximating the actual gravity value and stores it in the gravity anomaly model storag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n end-matching algorithm Gravity simulation data build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이상치 추정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ravity outlier estimation unit, 상기 지형자료 저장부에 저장된 지형자료를 리딩하는 지형자료 리딩모듈;A terrain data reading module for reading terrain data stored in the terrain data storage unit; 상기 지형자료 리딩모듈에 의해 리딩된 지형자료에 아이소스타시 이론을 적용하여 중력이상치를 추정하는 아이소스타시 이론 적용모듈;An isostasis theory application module for estimating gravity outliers by applying isostasis theory to the terrain data read by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상기 지형자료 리딩모듈에 의해 리딩된 지형자료의 대상지역이 해당지역인지 육상지역인지를 판단하는 대상지역 판단모듈;A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target area of the terrain data read by the terrain data reading module is a corresponding area or a land area; 상기 대상지역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지형자료가 해양지역으로 판단되면, 해양지역에 상응하는 밀도값을 적용하는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 A marine area density value application module for applying a dens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rine area when the terrain data is determined to be a marine area by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상기 대상지역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지형자료가 육상지역으로 판단되면, 육 상지역에 상응하는 밀도값을 적용하는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 및 A land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for applying a density value corresponding to a land area if the terrain data is determined as the land area by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module; And 상기 해양지역 밀도값 적용모듈 또는 상기 육상지역 밀도값 적용모듈에 의해 서로 다른 밀도값이 적용된 지형자료에서 특정 포인트에서의 지형 응축에 의한 포텐셜 값을 계산하여 아이소스타시 효과가 고려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여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를 생성하는 중력이상치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Calculate the potential outlier considering the isostasi effect by calculating the potential value due to terrain condensation at a specific point in the terrain data to which different density values are applied by the marine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or the land area density application module. Gravity outlier generation unit comprising a gravity outli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errain-corrected gravity outli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보정된 중력이상치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errain-corrected gravity outlier,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7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7
(여기서, 지형자료는 Δx와 Δy의 간격을 갖는 j*k의 행렬이고, G는 뉴턴의 중력상수이며, ρ는 지형의 밀도이며, D는 3km임)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8
는 아래의 수학식
(Where topography is a matrix of j * k with a space between Δx and Δy, G is Newton's gravity constant, ρ is the density of the terrain, and D is 3km),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8
Is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9
Figure 112009080549267-PAT00089
에 의해 정의되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0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1
각각은 지오이드를 평면으로 근사하였을 때의 공간 주파수로서, 아래의 수학식
Is defined by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0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1
Each is a spatial frequency when the geoid is approximated in a plane, and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2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2
(여기서, l은 0부터 J-1이고, m은 0부터 K-1까지임)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Where l is 0 to J-1 and m is 0 to K-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이상모델 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ravity abnormality model generation unit, 지형보정된 고해상도의 중력이상치를 저장하는 제1 저장모듈;A first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terrain-compensated high resolution gravity outlier; 실제측정된 저해상도의 중력이상치를 저장하는 제2 저장모듈;A second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actual measured low resolution gravity outlier;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에서 최적화된 평면을 제거하고 상기 저해상도의 중력이상치의 삼각망을 적용하는 중력이상치 매칭모듈;A gravity outlier matching module for removing the optimized plane from the high resolution data and applying a triangular network of the low resolution gravity outliers;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이하로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A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high resolution data exists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less than three in the area defined by the triangular network;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 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이하로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 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제1 중력이상치 적용모듈; 및If it is check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that the high resolution data is present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not more than three in the area defined by the triangular network,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applied. A first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sistent high resolution gravity outlier model of the same order as the gravity outliers measured from the terrain; And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가 상기 삼각망 위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삼각망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내에 3개 초과로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을 적용하여 지형으로부터 측정한 중력이상치와 동일한 차수의 일관성 있는 높은 해상도의 중력이상모델을 생성하는 제2 중력이상치 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If it is check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determination module that the high resolution data does not exist on the triangular network or exists more than three in the area defined by the triangular network,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applied. And a second gravity outlier appl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sistent high resolution gravity outlier model of the same order as the gravity outlier measured from the terrai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3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3
(여기서,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4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5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6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
(here,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4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5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6
And a variable and a constant corresponding to each of x and 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to which the high 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lattice gener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are mapp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된 중력이상치에 상응하는 수학식은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rrected gravity outlier is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7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7
(여기서, α, β 및 δ는 저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삼각형의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이며,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8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9
Figure 112009080549267-PAT00100
은 고해상도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정규 격자상의 고해상도 데이터가 매핑된 평면의 방정식에서 x 및 y 각각에 대응하는 변수 및 상수)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스템.
(Where α, β and δ are variables and constants corresponding to x and y respectivel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of the triangle created by the low resolution data,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8
,
Figure 112009080549267-PAT00099
And
Figure 112009080549267-PAT00100
And a variable and a constant corresponding to each of x and y in the equation of the plane to which the high resolution data on the regular lattice generated by the high resolution data are mapped.
KR1020090131541A 2009-12-28 2009-12-28 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076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541A KR101076299B1 (en) 2009-12-28 2009-12-28 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541A KR101076299B1 (en) 2009-12-28 2009-12-28 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176A true KR20110075176A (en) 2011-07-06
KR101076299B1 KR101076299B1 (en) 2011-10-26

Family

ID=4491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541A KR101076299B1 (en) 2009-12-28 2009-12-28 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2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6456B2 (en) 2014-02-19 2017-07-0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Method of processing a marine gravity data and a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same
CN114997313A (en) * 2022-06-07 2022-09-02 厦门大学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ocean online monitoring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431B1 (en) 2014-02-19 2014-07-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processing marine magnetic data and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315A (en) 2001-03-21 2002-09-25 Toshiba Tec Corp Sca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6456B2 (en) 2014-02-19 2017-07-0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Method of processing a marine gravity data and a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same
CN114997313A (en) * 2022-06-07 2022-09-02 厦门大学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ocean online monitoring data
CN114997313B (en) * 2022-06-07 2024-05-07 厦门大学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for ocean on-line monitorin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299B1 (en)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ckney et al. Geodetic versus geophysical perspectives of the ‘gravity anomaly’
Guo et al. Local normal height connection across sea with ship-borne gravimetry and GNSS techniques
Vu et al. A high-resolution gravimetric quasigeoid model for Vietnam
Guan et al. A method of establishing an instantaneous water level model for tide correction
CN113378471B (en) GPS elevation fitting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gravity terrain correction
Shen et al. Improved geoid determination based on the shallow-layer method: a case study using EGM08 and CRUST2. 0 in the Xinjiang and Tibetan regions
El-Ashquer et al. EGY-HGM2016: an improved hybrid local geoid model for Egypt based on the combination of GOCE-based geopotential model with gravimetric and GNSS/levelling measurements
Yilmaz et al. Evaluation of recent global geopotential models by GNSS/Levelling data: internal Aegean region
Wang Predicting bathymetry from the Earth's gravity gradient anomalies
Sánchez Strategy to establish a global vertical reference system
KR101076299B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gravity simulation material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Jekeli Omission error, data requirements, and the fractal dimension of the geoid
Yılmaz et al. The evaluation of high-degree geopotential models for regional geoid determination in Turkey
Dawod et al. Utilization of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for geoid modelling in Egypt
Al-Krargy et al. Towards an accurate definition of the local geoid model in Egypt using GPS/leveling data: a case study at Rosetta zone
Julzarika et al. Integration of the latest digital terrain model (DTM) with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bathymetry.
Koneshov et al. Estimating the navigation informativity of the Earth’s anomalous gravity field
Ssengendo A height datum for Uganda based on a gravimetric quasigeoid model and GNSS/levelling
Willberg et al. Analysis of GOCE omission error and its contribution to vertical datum offsets in Greece and its Islands
Märdla et al. Improving and validating gravity data over ice-covered marine areas
Yılmaz et al. The comparison of gravity anomalies based on recent high-degree global models
Pinon Development of a precise gravimetric geoid model for Argentina
Hsiao et al. Improved geoid modeling using observed and modeled gravity gradients in Taiwan
Din et al. Assessment of global geopotential models for modelling Malaysia Marine Geoid
Wang et al. Orthometric height connection across sea with ship-borne gravimetry and GNSS measurement along the ship rou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