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144A -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144A
KR20110074144A KR1020090131030A KR20090131030A KR20110074144A KR 20110074144 A KR20110074144 A KR 20110074144A KR 1020090131030 A KR1020090131030 A KR 1020090131030A KR 20090131030 A KR20090131030 A KR 20090131030A KR 20110074144 A KR20110074144 A KR 2011007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tic
shell
particles
group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훈
김영미
허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144A/ko
Publication of KR2011007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속 응답이 가능한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광 파장 영역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으로 빛을 전환하여 방출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는 쉘 및 광전환 입자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NH2 말단기 또는 -COOH 말단기를 가지는 차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영동, 광전환, 입자, 리간드, 전하

Description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A ELECTROPHORETIC LIGHT CONVERTING PARTICLE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속 응답이 가능한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화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표시 장치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요구가 증대되면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 Luminescen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등 평판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압이 인가되는 한쌍의 전극을 콜로이드 용액에 담그면 콜로이드 입자가 어느 한쪽의 극성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로서,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며 넓은 시야각, 높은 반사율, 읽기 쉬움 및 저소비 전력 등의 특성을 갖는바, 전기 종이(electric paper)로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14)이 형성된 하부 기판(10)과 상부 전극(24)이 형성된 상부 기판(20) 사이에 전기 영동체(30)가 개재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 전극(24)과 상부 기판(20) 사이에 R, G, B의 컬러필터층(22)이 형성되어 컬러를 구현하고, 하부 전극(14)과 하부 기판(20) 사이에는 구동 어레이(12)가 형성되어 전극에 전위를 가한다.
하부 전극(14) 및 상부 전극(24)에 전위가 인가되면, 전기 영동체(30) 내의 화이트 또는 블랙의 대전 입자가 한 전극 또는 다른 하나의 전극으로 이동하는데, 이것에 의해 화상 이미지가 구현된다.
이러한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기 영동체(30)가 화이트 또는 블랙만을 표현하므로 화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컬러필터층(22)을 사용하는데, 컬러필터층(22)을 사용할 경우 투과율 및 반사 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할 경우 플렉서블한 상부 기판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하는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또한, 전기 영동체(30)의 캡슐 사이즈와 화소의 크기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컬러 구현이 가능한 광전환 입자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광전환 입자는 전계 반응 특성이 없어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기 영동 특성을 부여한 광전환 입자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속 응답이 가능한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광 파장 영역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으로 빛을 전환하여 방출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는 쉘 및 광전환 입자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NH2 말단기 또는 -COOH 말단기를 가지는 차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상기 쉘의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 및 상기 앵커링기 및 상기 차징기 사이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상기 코어 및 상기 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입자와, 상기 다수개의 입자를 캡슐화한 담지체와, 상기 담지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 및 상기 앵커링기 및 상기 차징기 사이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상기 코어 및 상기 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입자와, 상기 다수개의 입자를 캡슐화한 담지체와, 상기 입자의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 및 상기 담지체 및 상기 차징기 사이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다수의 서브 화소로 정의된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의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와,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하는 상부 기판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기판에 형성되는 제 2 전극과, 상기 하부 기판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 및 코어,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는 쉘, 앵커링기, 스페이서 및 -NH2 말단기 또는 -COOH 말단기를 가지는 차징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상기 코어와 상기 쉘로 구성된 입자를 다수개 캡슐화하는 담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기는 상기 입자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담지체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앵커링기와 상기 차징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차징기는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의 최외곽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쉘은 1-3 개층이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쉘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는 상기 코어의 표면에서 상기 쉘의 외곽 표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차징기가 -NH2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음의 전하를 띠거나, 상기 차징기가 -COOH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양의 전하를 띤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광전환 입자가 방출하는 색으로 화상을 표시하게 되므로 컬러 필터층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투과율 및 반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환 입자는 다수개의 광전환 입자마다 양의 극성 또는 음의 극성을 가지면서 서브 화소 내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서브 화소 내에 형성되는 전계에 반응하는 속도가 빨라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고속 응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다수의 서브 화소가 형성된 하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10)에 대향하는 상부 기판(120)과,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120) 사이에 형성된 광전환 입자(130) 및 백라이트 유닛(190)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10) 상에는 전계 형성을 위한 제 1 전극(112), 블랙 매트릭스(114) 및 서브 화소 분리를 위한 격벽(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판(120)에는 전계 형성을 위한 제 2 전극(122) 및 편광판(14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120)은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공지의 투명 기판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탁이 사용된다.
제 1 전극(112)은 하부 기판(110) 상에 블랙 매트릭스(114)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1 전극(112)의 구성 재료로는 도전성을 가진 투명 금속 물 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112)으로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주석산화물(Tin Oxide: 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주석아연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14)는 상부 기판(120)의 제 2 전극(122)과 대향하는 위치의 제 1 전극(112)들 사이의 하부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격벽(152)은 하부 기판(110)을 서브 화소 단위로 분리함과 동시에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120) 사이에 갭을 두는 역할을 한다. 격벽(152)은 공지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기판(120)에 형성된 제 2 전극(122)은 하부 기판(110)의 블랙 매트릭스(114)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 2 전극(122)은 상부 기판(120)을 바라볼 때, 블랙 매트릭스(114)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제 2 전극(122)의 구성 재료로는 도전성을 가진 불투명 금속 물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편광판(140)은 상부 기판(120) 상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광에 의한 기판의 반사를 방지하고, UV 광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광전환 입자(130)는 특정 광 파장 영역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으로 빛을 전환하여 방출하는 입자로,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120) 사이의 서브 화소마다 다수개 형성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전환 입자(130)는 코어(132), 코어(132)를 감싸는 쉘(134) 및 전하를 갖는 리간드(136)를 포함한다.
코어(132)는 특정 밴드 갭을 가져 특정 광 파장 영역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으로 빛을 전환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반도체 특성의 나노 크리스탈이다. 코어(132)는 주기율표 상의 Ⅱ-Ⅵ 족 또는 Ⅲ-Ⅴ 족으로 2nm~20nm의 구형의 콜로이드 나노 크리스탈 구조이다.
코어(132)는 사이즈 및 재료 성분의 조성비에 따라 R, G, 또는 B 광을 방출한다. 코어(132)는 CdS, CdSe, CdTe, ZnS, ZnSe, ZnTe, GaAs, GaP, GaAs,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Sb, AlAs, AlP, AlSb 등의 화합물 또는 위 원소들을 이용한 2~4종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132)를 구성하는 성분은 쉘(134)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쉘(134)은 코어(132)의 표면을 감싸고 있으며 CdS, CdSe, CdTe, ZnS, ZnSe, ZnTe, GaAs, GaP, GaAs,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Sb, AlAs, AlP, AlSb 등의 화합물 또는 위 원소들을 이용한 2~4종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광전환 입자(1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쉘(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쉘(135)은 쉘(134)의 표면을 감싸고 있으며, dS, CdSe, CdTe, ZnS, ZnSe, ZnTe, GaAs, GaP, GaAs,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Sb, AlAs, AlP, AlSb 등의 화합물 또는 위 원소들을 이용한 2~4종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쉘(134)은 1-3 개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쉘(134)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는 코어(132)의 표면으로부터 쉘(134)의 외곽 표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표면 쉘(135)이 1~2 개 더 존재할 경우에 코어(132) 표면의 쉘(134)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는 표면 쉘(135)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보다 낮을 수 있다.
리간드(136)는 광전환 입자(130), 즉 쉘(134)의 최외곽 표면에 부착되어 광전환 입자(130)의 표면 전하 특성을 부여하고 표면 전하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으로, 양(+)의 전하 또는 음(-)의 전하를 띠는 유기 리간드이다.
리간드(136)는 구체적으로 앵커링기(Anchoring Function; 136a)와, 스페이서(Spacer; 미도시) 및 차징기(Charging Function; 136c)를 포함한다. 앵커링기(136a)는 쉘(134)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된 o=p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미도시)는 앵커링기(136a)와 차징기(136c) 사이에 존재하여 앵커링기(136a)와 차징기(136c)를 연결시킨다. 차징기(136c)가 쉘(134)의 표면에 바로 부착되면 코어(132)의 특성이 손상되므로 스페이서(미도시)를 사이에 두어 코어(132)의 특성 손상을 방지한다.
리간드(136)의 차징기(136c)가 -NH2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리간드(136)는 양(+)의 전하를 띠어 광전환 입자(130)가 양(+)으로 대전된다. 리간드(136)의 차징기(136c)가 -COOH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리간드(136)는 음(-)의 전하를 띠어 광전환 입자(130)가 음(-)으로 대전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전환 입자(230)는 코어(232)와 쉘(234)로 구성된 다수개의 입자(231)를 캡슐화한 담지체(238)와 담지체(238) 표면에 부착된 리간드(236)를 포함한다.
코어(232)는 주기율표 상의 Ⅱ-Ⅵ 족 또는 Ⅲ-Ⅴ 족으로 2nm~20nm의 구형의 콜로이드 나노 크리스탈 구조이다. 코어(232)는 사이즈 및 재료 변형에 따라 R, G, 또는 B 광을 방출한다.
코어(232)는 CdS, CdSe, CdTe, ZnS, ZnSe, ZnTe, GaAs, GaP, GaAs,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Sb, AlAs, AlP, AlSb 등의 화합물 또는 위 원소들을 이용한 2~4종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232)를 구성하는 성분은 쉘(234)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쉘(234)은 코어(232)의 표면을 감싸고 있으며 CdS, CdSe, CdTe, ZnS, ZnSe, ZnTe, GaAs, GaP, GaAs,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Sb, AlAs, AlP, AlSb 등의 화합물 또는 위 원소들을 이용한 2-4종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쉘(234)은 1~3 개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쉘(234)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는 코어(232)의 표면에서 쉘(234) 외곽 표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담지체(238)는 다수개의 코어(232) 및 쉘(234)로 구성된 입자(231)를 감싸는 구형의 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입자(231)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간드(236)는 담지체(238)의 최외곽 표면에 부착되어 광전환 입자(230)의 표면 전하 특성을 부여하고 표면 전하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으로, 양(+)의 전하 또는 음(-)의 전하를 띠는 유기 리간드이다.
리간드(236)는 구체적으로 앵커링기(236a)와, 스페이서(미도시) 및 차징기(236c)를 포함한다. 담지체(238)의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236a)는 도시된 o=p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미도시)는 앵커링기(236a)와 차징기(236c) 사이에 존재하여 앵커링기(236a)와 차징기(236c)를 연결시킨다.
리간드(236)의 차징기(236c)가 -NH2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리간드(236)는 양(+)의 전하를 띠어 광전환 입자(230)를 담지한 담지체(238)가 양(+)으로 대전된다. 리간드(236)의 차징기(236c)가 -COOH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리간드(236)는 음(-)의 전하를 띠어 광전환 입자(230)를 담지한 담지체(238)가 음(-)으로 대전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전환 입자(330)는 코어(332), 쉘(334) 및 앵커링기(336a)로 구성된 다수개의 입자(232)를 캡슐화한 담지체(338)와 담지체(338) 표면에 부착된 스페이서(미도시) 및 차징기(336c)를 포함한다.
코어(332)는 주기율표 상의 Ⅱ-Ⅵ 족 또는 Ⅲ-Ⅴ 족으로 2nm~20nm의 구형의 콜로이드 나노 크리스탈 구조이다. 코어(332)는 사이즈 및 재료 변형에 따라 R, G, 또는 B 광을 방출한다.
코어(332)는 CdS, CdSe, CdTe, ZnS, ZnSe, ZnTe, GaAs, GaP, GaAs,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Sb, AlAs, AlP, AlSb 등의 화합물 또는 위 원소들을 이용한 3~4종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332)를 구성하는 성분은 쉘(334)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쉘(334)은 코어(332)의 표면을 감싸고 있으며 CdS, CdSe, CdTe, ZnS, ZnSe, ZnTe, GaAs, GaP, GaAs,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Sb, AlAs, AlP, AlSb 등의 화합물 또는 위 원소들을 이용한 3~4종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쉘(334)은 1~3 개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쉘(334)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는 코어(332)의 표면에서 쉘(334) 외곽 표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담지체(338)는 다수개의 코어(332), 쉘(334) 및 유기 리간드로 구성된 입자(331)를 감싸는 구형의 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쉘(334)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336a)는 도시된 o=p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지체(338)의 표면에 부착되는 스페이서(미도시)는 차징기(336c)를 담지체(338)에 연결시켜 광전하 입자(330)가 전하를 띠게 한다. 차징기(336c)가 -NH2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3광전환 입자(330)는 양(+)으로 대전된다. 차징기(336c)가 -COOH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광전환 입자(330)는 음(-)으로 대전된다.
광전환 입자(130, 230, 330)는 각 서브 화소에서 R, G 또는 B 색을 방출한다. 광전환 입자(130, 230, 330)의 방출 색은 R, G, 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전환 입자(130, 230, 330)의 개수는 서브 화소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전환 입자(130, 230, 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112)과 제 2 전극(122)의 전계에 따라 제 1 전극(112) 또는 제 2 전극(122)으로 이동하여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광전환 입자(130)가 음의 전하를 가질 경우, 제 1 전극(112)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2 전극(122)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면 G 서브 화소처럼 광전환 입자(130)는 자신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띤 제 2 전극(122)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광전환 입자(130)가 백라이트 유닛(190)으로부터 G 보다 단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 및 전환하여 G 빛을 방출한다고 하더라도 광전환 입자(130)의 빛은 제 2 전극(122)에 의해 차단되고, 백라이트 유닛(190)으로부터의 광은 편광판(140)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부 기판(120)에는 블랙 화상이 표시된다.
또는, 제 1 전극(112)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2 전극(122)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면, R 서브 화소처럼 광전환 입자(130)는 자신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띤 제 1 전극(112)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광전환 입자(130)가 백라이트 유닛(190)으로부터 R 파장보다 단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 및 전환하여 R 빛을 방출하면, 광전환 입자(130)의 R 빛은 제 2 전극(122)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부 기판(120) 밖으로 방출되므로 상부 기판(120)에는 R 화상이 표시된다.
또는, 제 1 전극(112) 및 제 2 전극(122)의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B 서브 화소처럼 광전환 입자(130)가 서브 화소 내에 분산되도록 한다. 따라서, 광전환 입자(130)가 백라이트 유닛(190)으로부터 B 파장보다 단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 및 전환하여 B 빛을 방출하면, 일부 B 빛은 제 2 전극(122)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 일부 B 빛은 상부 기판(120) 밖으로 방출되어 그레이 레벨의 B 화상이 표시된다.
광전환 입자(130)가 양의 전하를 가질 경우, 광전환 입자(130)는 상술한 바와 역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광전환 입자(130, 230, 330)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극성 종류 및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전극으로 이동을 하거나 서브 화소 내에 분산되어 광전환 입자(130, 230, 330)가 방출하는 색으로 화상을 표시하게 되므로 컬러 필터층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전환 입자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투과율 및 반사 효율을 향 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환 입자(130, 230, 330)는 다수개의 광전환 입자마다 양의 극성 또는 음의 극성을 가지면서 서브 화소 내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서브 화소 내에 형성되는 전계에 반응하는 속도가 빨라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고속 응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190)은 광을 발생시키는 UV 램프(192)와 UV 램프(192)에서 발생한 광을 널리 분포시키는 도광판(194)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술들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변경 및 다른 용도는 당업자들에게는 알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변경 및 다른 용도는 본 발명의 취지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하부 기판 112: 제 1 전극
114: 블랙 매트릭스 120: 상부 기판
122: 제 2 전극 130, 230, 330: 광전환 입자
132, 232, 332: 코어 134, 234, 334: 쉘
136a, 236a, 336a: 앵커링기 136c, 236c, 336c: 차징기
138: 담지체 140: 편광판
152: 격벽 190: 백라이트 유닛

Claims (10)

  1. 광 파장 영역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으로 빛을 전환하여 방출하는 코어;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는 쉘; 및
    광전환 입자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NH2 말단기 또는 -COOH 말단기를 가지는 차징기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 및
    상기 앵커링기 및 상기 차징기 사이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상기 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입자와,
    상기 다수개의 입자를 캡슐화한 담지체와,
    상기 담지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 및
    상기 앵커링기 및 상기 차징기 사이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상기 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입자와,
    상기 다수개의 입자를 캡슐화한 담지체와,
    상기 입자의 표면에 부착되는 앵커링기 및
    상기 담지체 및 상기 차징기 사이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5. 제 2 내지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1-3 개층이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쉘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는 상기 코어의 표면에서 상기 쉘의 외곽 표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징기가 -NH2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음의 전하를 띠거나,
    상기 차징기가 -COOH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양의 전하를 띠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7. 다수의 서브 화소로 정의된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사이의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하는 상부 기판;
    상기 블랙 매트릭스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기판에 형성되는 제 2 전극;
    상기 하부 기판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 및
    코어,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는 쉘, 앵커링기, 스페이서 및 -NH2 말단기 또는 -COOH 말단기를 가지는 차징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1-3 개층이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쉘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는 상기 코어의 표면에서 상기 쉘의 외곽 표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징기가 -NH2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음의 전하를 띠거나, 상기 차징기가 -COOH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는 양의 전하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관전환 입자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쉘로 구성된 입자를 다수개 캡슐화하는 담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기는 상기 입자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담지체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앵커링기와 상기 차징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차징기는 상기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의 최외곽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KR1020090131030A 2009-12-24 2009-12-24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KR20110074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030A KR20110074144A (ko) 2009-12-24 2009-12-24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030A KR20110074144A (ko) 2009-12-24 2009-12-24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144A true KR20110074144A (ko) 2011-06-30

Family

ID=4440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030A KR20110074144A (ko) 2009-12-24 2009-12-24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41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330B1 (ko) * 2011-12-28 2013-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 장치
CN111323983A (zh) * 2020-03-19 2020-06-23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电子纸耐低温性能的电泳液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330B1 (ko) * 2011-12-28 2013-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 장치
CN111323983A (zh) * 2020-03-19 2020-06-23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电子纸耐低温性能的电泳液
CN111323983B (zh) * 2020-03-19 2021-12-03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电子纸耐低温性能的电泳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0296B2 (en) Sub-pixel structure and pixel structure of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TWI435154B (zh)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47613B2 (en) Quantum dot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10698255B2 (en) Photoluminescence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80780B1 (ko) 더블 디스플레이, 더블 디스플레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30271445A1 (en) Dual mode display device
JP7130161B2 (ja) 表示装置
KR20140009727A (ko) 듀얼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782707B (zh) 彩色电泳式显示装置的像素结构与子像素结构
CN110441973A (zh)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电子纸显示装置
CN102289127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85764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CN204289453U (zh) 一种有机发光显示器件
WO2018107736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140953B2 (en) Reflective display apparatus
KR20110074144A (ko) 전기영동 광전환 입자 및 이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TW200933233A (en) Display device driven by electric field
CN108831319B (zh) 微led显示器件
KR20130130610A (ko) 듀얼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031944A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CN202383397U (zh) 双面显示电子纸及电子纸显示器
KR101630333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CN103186006A (zh) 双面显示电子纸及电子纸显示器
KR20110025538A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9085245U (zh) 一种oled显示面板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