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974A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974A
KR20110073974A KR1020090130791A KR20090130791A KR20110073974A KR 20110073974 A KR20110073974 A KR 20110073974A KR 1020090130791 A KR1020090130791 A KR 1020090130791A KR 20090130791 A KR20090130791 A KR 20090130791A KR 20110073974 A KR20110073974 A KR 2011007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focusing
photographing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수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3974A/en
Publication of KR2011007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9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3Bracketing, i.e. taking a series of images with varying exposure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image process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focus a plurality of selected focus points and perform sequential image photographing if a user selects one or more focus points in the same image. CONSTITUTION: An area setting unit(171) receives one or more area selection signals from a live view image. The area setting unit establishes a focus area. A sequential photographing unit(172) focuses on the each set area with the one-time reception of a photographing signal. The sequential photographing unit performs sequential photographing. A controller(17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quential photographing unit with the photographing signal of a user.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택된 포커스 지점에 포커스를 맞춰 연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a selected focus poi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포커스를 맞추고 싶은 부분을 선택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동일한 영상에서 포커스 지점을 다른 곳을 선택하고 싶을 때마다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그로 인해 매번 같은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AE, AWB를 수행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과 시간이 소요된다.In a gener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user selects a portion to focus on and photographs an image, and the same operation must be repeated whenever the user wants to select a different point of focus from the same image. Therefore, although it is the same image every time, unnecessary work and time such as performing AE and AWB are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동일한 영상에서 사용자가 포커스 지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면, 선택된 복수의 포커스 지점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사 촬영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n which, when a user selects at least one focus point in the same image, the camera performs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a plurality of selected focus points.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선택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means for receiving continuous region selection signals from a live view image and then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lected regions. desir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포커스를 맞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및 한 번의 촬영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설정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연속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eans may include: an area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area selection signal from the live view image and set an area to be focused; And a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continuous photograph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t areas by receiving a photographing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부는 첫 번째 영상 촬영 시에 촬영 조건을 조정한 후 상기 선택된 첫 번째 영역에 포커스를 맞추고, 나머지 영상 촬영 시에 상기 첫 번째 영상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나머지 선택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출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adjusts a shooting condition at the time of capturing the first image and then focuses on the selected first area, and selects the rest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mage capturing condition at the time of capturing the remaining images. You can focus on each are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a)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선택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t least one region selection signal from a live view image; And (b)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lected area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촬영 조건을 조정하고 상기 선택된 첫 번째 영역에 포커스를 맞추어 첫 번째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b-2) 상기 첫 번째 영상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나머지 선택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나머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comprises the steps of (b-1) adjusting the shooting conditions and focusing on the selected first area to take a first image; (b-2) focusing on each of the remaining selection areas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mage capturing condition, and photographing the remaining imag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영상에서 사용자가 포커스 지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면, 선택된 복수의 포커스 지점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사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영상 촬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focus point in the same image, continuous shooting is performed by focusing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focus points to enhance user convenience and shorten the image shooting time.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광학부(110), 광학 구동부(111), 촬상소자(115), 촬상소자 제어부(116), 조작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1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hat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unit 110, an optical driver 111, an imaging device 115, an imaging device controller 116, an operation unit 120, and a program storage unit 130. The buffer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data storage unit 150, a display unit 160,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70.

광학부(110)는 피사체로부터의 입력된 광학 신호를 촬상 소자(115)로 제공한다. 광학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 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unit 110 provides an optical signal input from a subject to the imaging device 115. The optical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such as a zoom lens that controls the angle of view to be narrowed or widened according to a focal length, and a focus lens that focuses a subject. In addition, the optical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apertur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광학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1)가 광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driver 111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ens, opening and closing of the iris, and the like. You can focus by shif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In addition, the amount of light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ris. The optical driver 111 may control the optical unit 1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d by an image signal input in real time or a control signal manually input by a user's manipulation.

상기 광학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unit 110 reaches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imaging device 115 to form an image of a subject. The imaging device 115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CIS) that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Such an image pickup device 115 may be controll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control unit 116 sensitivity and the like. The imaging device controller 116 may control the imaging device 115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d by an image signal input in real time or a control signal manually input by a user's operation.

조작부(1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 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1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The operation unit 120 is a place that can input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such as a user. The operation unit 120 exposes the image pickup device 115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leases a shutter-release button for inputting a shutter-release signal for taking a picture, a power button for supplying power, and an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input. Wide-Zoom and Tele-Zoom buttons for wider or narrower angles of view, as well as various function buttons such as text input or shooting mode, playback mode selection, white balance setting function, and exposure setting function selection. . The operation unit 120 may have various types of buttons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that a user can input, such as a keyboard,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또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rogram storage unit 130 for storing a program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r an application system for driving the digital camera, and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or result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he unit 14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gram, including an image file including an image signal.

아울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60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thereof or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160 may provide visual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to a user. In order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DD),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for processing an input image signal and controlling each component in accordance with this or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reduces noise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data, performs gamma correction,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color matrix, color correction, Image signal processing for image quality improvement such as color enhancement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image data may be generated by compress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ing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r the image data may be restored from the image file. The compressed format of the video may be a reversible format or an irreversible format. As an example of a suitable format,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o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format, JPEG 2000 format, or the like. The data may be stored in the compressed data storage 150.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70 can also perform unsharpening, color processing, blur processing, edge emphasis processing, image analysis processing,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image effect processing, and the like. Face recognition, scene recognition processing,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by the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may perform display image signal processing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60. For example, luminance level adjustment, color correction, contrast adjustment, outline enhancement adjustment, screen division processing, character image generation and the like, and image synthesis processing can be perform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monitor to perform predetermined image signal processing to be displayed on an external monitor, and transmit the processed image data so that the correspond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monitor.

더 나아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선택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영역 설정부(171), 연속 촬영 부(172) 및 제어부(173)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영역 설정부(171), 연속 촬영부(172) 및 제어부(173) 등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Furthermo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may receive a region selection signal from the live view image and then perform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lected regions. To this e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the area setter 171,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172, and the controller 173. The area setting unit 171,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172, and the control unit 173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eparate component instead of a componen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70. It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의 기능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s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선택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 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region selection signal from the live view imag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may perform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lected regions.

영역 설정부(171)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포커스를 맞출 영역을 설정한다.The area setting unit 171 receives at least one area selection signal from the live view image and sets an area to be focused.

도 3에는 사용자가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영역을 설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제1 영역(P1)을 선택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동일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제1 영역(P1) 선택 후 제2 영역(P3)을 선택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에는 역시 동일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제1 영역(P1) 및 제2 영역(P2) 선택 후 하는 제3 영역(P3)을 선택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sets an area from a live view image. 3A illustrates an example of selecting the first region P1 from the live view image, and FIG. 3B illustrates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econd region P3 after selecting the first region P1 from the same live view image. In FIG. 3C, an example of selecting the third region P3 that is selected after the first region P1 and the second region P2 is also selected from the same live view image.

이와 같은 영역 설정이 완료되고, 제어부(173)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여 연속 촬영부(172)의 동작을 제어한다.After the region sett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73 receives the photographing signal input by the us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172.

연속 촬영부(172)는 설정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한다. 연속 촬영부(172)는 촬영할 영상에 대해 AE, AWB 등과 같은 촬영 조건을 조 정한 후, 선택된 첫 번째 영역에 포커스를 맞추어 첫 번째 영상을 촬영하고, 첫 번째 영상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로 나머지 선택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나머지 영상을 촬영한다.The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172 performs continuous photograph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t regions. The continuous capturing unit 172 adjusts shooting conditions such as AE, AWB, etc. for the image to be captured, captures the first image by focusing on the selected first area, and selects the remaining images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mage shooting condition. Focus on each area to capture the rest of the image.

도 4에는 선택된 영역에 따라 포커스를 조정하여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1은 연속 촬영전 선택된 제1 영역(P1)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고, 도 4a-2에는 제1 영역(P1)에 포커스가 맞아 촬영되었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영상 촬영 후 두 번째 영상 촬영 시에는 첫 번째 영상의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촬영이 수행되는데, 도 4b-1은 두 번째 영상 촬영전 선택된 제2 영역(P2)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고, 도 4b-2에는 제2 영역(P2)에 포커스가 맞아 촬영되었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 영상 촬영 후 세 번째 영상 촬영 시에는 역시 첫 번째 영상의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촬영이 수행되는데, 도 4c-1은 두 번째 영상 촬영전 선택된 제3 영역(P3)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고, 도 4c-2에는 제3 영역(P3)에 포커스가 맞아 촬영되었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by adjusting the focus according to the selected area. 4A-1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area P1 selected before continuous shooting, and FIG. 4A-2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image where the first area P1 has been focused in focus. When the second image is taken after the first image is taken, the recording i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hooting conditions of the first image. FIG. 4B-1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selected second area P2 before the second image is taken. 4B-2 shows an enlarged view in which the second area P2 is photographed with the focus in focus. When the third image is taken after the second image is taken, the shooting i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hooting conditions of the first image. FIG. 4C-1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selected third region P3 before the second image is taken. 4C-2 shows an enlarged view in which the third area P3 is photographed with the focus in focus.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동일한 라이브뷰 영상에서 선택한 영역에 맞추어 포커스를 조정하여 연속 촬영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촬영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adjusts the focus according to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ame live view image to perform continuous shooting,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hortening the shooting tim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side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 algorithm of the oper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help of peripheral components in the device. It may be perform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사용자에 의해 멀티 영역 촬영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를 멀티 영역 촬영 모드로 진입시킨다(510단계).When the multi-region photographing signal is received by the user,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enter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to the multi-region photographing mode in step 510.

멀티 영역 촬영 모드로 진입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영역 설정을 위해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520단계).When the multi-area photographing mode is enter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to set the area (step 520).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포커스를 맞출 영역을 적어도 한 개 이상(N개) 선택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이를 수신하여 라이브뷰 영상에 포커스를 맞출 영역을 설정한다(530단계)If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area (N) to focus from the live view imag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receives the set and sets an area to focus on the live view image (step 530).

영역 설정 완료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540단계).After the area setting is complet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a photographing button is input from the user (step 540).

사용자로부터 촬영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데, 먼저 첫 번째 촬영할 영상에 대해 AE, AWB 등과 같은 촬영 조건을 조정한 후, 선택된 첫 번째 영역에 포커스를 맞추어 첫 번째 영상을 촬영한다(550단계)When the shooting butt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70 performs continuous shooting. First, after adjusting shooting conditions such as AE, AWB, etc., for the first image to be shot,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first focuses on the selected first area. Shoot the first image (step 550)

첫 번째 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첫 번째 영상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로 나머지 선택 영역(N-1개)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나머지 영상을 촬영한다(560단계).When the first image capturing is complet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70 captures the remaining images by focusing on each of the remaining selection areas (N-1)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mage capturing condition (step 56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중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FIG. 1.

도 3은 도 2 중 영역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region setting in FIG. 2.

도 4는 도 2 중 연사 촬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inuous shooting photographing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선택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means for receiving a region selection signal from a live view image and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lected reg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eans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포커스를 맞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및An area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area selection signal from the live view image and set an area to be focused; And 한 번의 촬영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설정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연속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a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continuous photograph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t areas by receiving one photographing sig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unit 첫 번째 영상 촬영 시에 촬영 조건을 조정한 후 상기 선택된 첫 번째 영역에 포커스를 맞추고, 나머지 영상 촬영 시에 상기 첫 번째 영상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나머지 선택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Focusing on the selected first area after adjusting the shooting conditions at the first image capturing, and focusing on each of the remaining selected areas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mage capturing condition at the time of capturing the remaining images. Digital video processing device. (a)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 receiving at least one area selection signal from a live view image; And (b) 상기 선택된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b)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by focusing on each of the selected area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b) (b-1) 촬영 조건을 조정하고 상기 선택된 첫 번째 영역에 포커스를 맞추어 첫 번째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b-1) capturing a first image by adjusting a shooting condition and focusing on the selected first area; (b-2) 상기 첫 번째 영상 촬영 조건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나머지 선택 영역 각각에 포커스를 맞추어 나머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and (b-2) focusing on each of the remaining selection areas while capturing the remaining images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mage capturing condition.
KR1020090130791A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KR201100739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791A KR20110073974A (en)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791A KR20110073974A (en)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974A true KR20110073974A (en) 2011-06-30

Family

ID=4440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791A KR20110073974A (en)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397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87A1 (en) * 2011-11-25 201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use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87A1 (en) * 2011-11-25 201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user device
US9596412B2 (en) 2011-11-25 2017-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us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971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8520112B2 (en) Imag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US8749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jump image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50049233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200808044A (en) 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10004085A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JP2010103676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ing area display method, and imaging area display program
JP2008104069A (en) Digital camera and program of digital camera
JP4457929B2 (en) Imaging device
JP2012098594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5429588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23164919A (en) Video creating method
KR20110090098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KR20110062391A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smear correction method thereof
KR20110090093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KR101812656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663282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and program
US881069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6050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60299A (e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1007397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JP2004274284A (en) Electronic camera and imaging control program
JP2012049841A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