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695A -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695A
KR20110072695A KR1020090129740A KR20090129740A KR20110072695A KR 20110072695 A KR20110072695 A KR 20110072695A KR 1020090129740 A KR1020090129740 A KR 1020090129740A KR 20090129740 A KR20090129740 A KR 20090129740A KR 20110072695 A KR20110072695 A KR 20110072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information
interval
subframe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865B1 (ko
Inventor
윤미영
김경숙
박현서
최성구
문정모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865B1/ko
Priority to US12/977,413 priority patent/US20110151911A1/en
Publication of KR20110072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Abstract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데이터 송신 방법은,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으로 스케줄링 처리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 후, 스케줄링 정보를 미리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선택적으로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은 필요한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0129740
스케줄링, 스케줄링 구간, 서브프레임, 무선 자원 할당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SYSTEM FOR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수신되도록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06-02, 과제명: 유무선 환경의 개발형 IPTV(IPTV2.0) 기술개발].
3GPP(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패킷 서비스를 멀티미디어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로 제공하는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이라 함) 시스템은 무선망을 통해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수의 단말에 하나의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MBMS 시스템은 방송 서비스와 같은 일대일 전송에 비해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MBMS 시스템은 송신측 입장에서 볼 때, 단일 셀 전송 방식과, 다중 셀 전송 방식이 있다. 구체적으로, 단일 셀 전송 방식은 특정 셀들에만 MBMS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스케줄링 처리는 기지국(eNodeB)에서 수행된다. 또한, 다중 셀 전송 방식은 MBMS 영역 안에 존재하는 모든 셀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화 및 스케줄링 처리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이 경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케줄링은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단말은 다중 셀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합하여 이용한다.
한편, 송신측은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은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따라 무선 베어러를 설정한다. 그리고 난 후, 단말은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매 서브프레임 구간마다 물리 채널을 통해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은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무선 자원을 통해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 무선 자원 할당 정보가 단말 단위로 구분할 수 있는 유니캐스트 전송과는 달리 여러 개의 서비스가 공통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가지는 멀티캐스트 전송의 경우, 단말은 자신이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아니더라도 매 서브프레임 구간마다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가 있는지를 물리 채널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의 수신 속도가 저하되며 전력 소모가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스케줄링 처리하고, 각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보다 미리 전송하여,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은,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으로 스케줄링 처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에서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미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서 선택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은,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에서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으로 스케줄링 처리하는 스케줄링 처리부,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미리 전송하고,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장치는,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에서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매핑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스케줄링 처리하고, 각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보다 미리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해당 스케줄링 구간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 서, 단말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신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이라 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BMS 시스템은, 송신 장치인 기지국(100)과 수신 장치인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단말 그룹(200)(이하 '단말'이라 함)으로 구성되며, 기지국(100)과 단말(200)은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한다.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 처리한다. 스케줄링 처리는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수행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스케줄링 구간 및 제2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분할한 후, 제1 스케줄링 구간 및 제2 스케줄링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속하는 제1 스케줄링 구간과 제2 스케줄링 구간은 가변적인 스케줄링 구간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스케줄링 구간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스케줄링되는 임의의 단위(예를 들어, 수백 밀리초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케줄링 구간 및 제2 스케줄링 구간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스케줄링 구간은 제2 스케줄링 구간에 연속하여 더 존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각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스케줄링 정보는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 정보 및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는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와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가 동일한 경우,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0)은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을 전송하기 위한 대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이 어느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될 건지 에 대한 대한 정보로,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에 정의될 수 있다.
각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처리, 스케줄링 정보 생성 작업이 완료되고, 무선 자원 할당 정보가 결정되면, 기지국(100)은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미리 단말(200)에 전송하고,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과,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사실상 스케줄링 정보, 복수의 서브프레임 및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전송 구간(시간)에 차이가 있을 뿐, 하나의 데이터 형태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이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이 전송되는 구간을 미리 확인한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구간에서 수신 동작을 개시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구간에서만 서브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전력을 소모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기지국(100)은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면,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미리 전송하고,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및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200)은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 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방법으로, 제2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스케줄링 구간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단말(200)과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30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먼저, 기지국(100)은 MBMS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장치로, 스케줄링 처리부(110), 정보 생성부(120) 및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스케줄링 처리부(11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처리는 각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수행되는 것으로, 제1 스케줄링 구간 및 제2 스케줄링 구간, 그리고, 제2 스케줄링 구간에 연속하는 후속 스케줄링 구간들 각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케줄링 구간과 제2 스케줄링 구간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으며, 상이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120)는 스케줄링 처리부(110)와 연계되어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생성부(120)는 매체접근제어수단(Media Access Control Element)가 될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해당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 해당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 정보 및 해당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 함한다. 후속하는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는 이전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와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에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는,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와 동일한 경우 'O'의 값을 가질 수 있다. '0'이 아닌 다른 값을 갖는다면, 제1 스케줄링 구간과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각각의 길이가 상이함을 의미한다.
전송부(130)는 점대다 무선베어러 설정을 위해 단말(200)에 무선 베러어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130)는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 미리 전송하여 단말(200)이 복수의 프레임 전송 전에 스케줄링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해당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매체접근제어수단(Media Access Control Eelment)을 통해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부(130)는 해당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과,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이 전송된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 즉,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 경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에 정의되는 것으로, 이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물리 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단말(200)에 전달될 수 있다.
단말(200)은 기지국(10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로, 수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300)을 통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부(210)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300)을 통하여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는 저장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300)을 통하여 해당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통하여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230)에 전달하고,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이 언제 전송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구간에서 수신 동작을 개시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어느 한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였다면, 후속하는 스케줄링 구간에 대해서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 계층(L1), 제2 계층(L2) 및 제3 계층(L3)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1 계층(L1), 제2 계층(L2) 및 제3 계층(L3) 사이에는 계층들을 연결해주는 물리 채널(340), 전송 채널(350) 및 논리 채널(36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계층(L1)인 물리 계층(310)은 물리 채널(340)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물리 계층(310)은 전송 채널(350)을 통해 상위의 데이터 링크 계층(320)과 연결된다. 또한, 데이터 링크 계층(320)은 매체접속제어계층 및 무선링크 제어계층을 포함하며, 무선링크 제어계층은 매체접속제어계층의 상위에 위치한다. 전송채널(350)을 통해 데이터 링크 계층(320)과 물리 계층(310)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제2 계층(L2)인 데이터 링크 계층(320)은 논리 채널(360)을 통해 상위 계층인 무선링크 제어계층에 RLC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 계층(L2)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하며, 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려온 RLC 서비스 데이터 단위의 분할 및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제3 계층(L3)인 무선자원 제어계층(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된 논리 채널(360), 전송 채널(350) 및 물리 채널(340)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한편, 제1 계층(L1), 제2 계층(L2) 및 제3 계층(L3) 사이에 형성된 물리 채널(340), 전송 채널(350) 및 논리 채널(360)들은 서로 매핑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물리 채널(340)은 단말(200)에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이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전송 채널(350)인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 또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Shared Channel)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전송 채널(350)인 멀티캐스트 채널 또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은 논리 채널(360)인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에 매핑될 수 있다.
논리 채널(360)에서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은 MCCH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로, 기지국(100)에서 단말(200)로 MCCH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MCCH 정보는 MBMS와 관련된 무선자원제어 메시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MCCH 정보는 MBMS 서비스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 점대다 무선베어러 설정 정보 및 MBMS 서비스를 위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요청을 알려주는 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이 같은 MCCH 정보는 변경주기와 반복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MCCH 정보는 MBMS 서비스 생성, 변경 또는 제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송신 장치인 기지국(100)은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Multicast Traffic Channel)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 경우,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은 다수가 존재할 수 있으며,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은 하향 링크 공유 채널(DL-SCH: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MCH:Multicast Channel)에 매핑된다. 그리고, 하향링크 공유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은 물리 채널(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에 매핑된다.
또한, 논리 채널에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은 MBMS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이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소정의 스케줄링 구간 단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스케줄링 처리한 후, 스케줄링 정보, 무선 자원 할당 정보가 매핑된 복수의 서버프레임을 단말(200)로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제1 스케줄링 구간, 제2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분할되며, 각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스케줄링 처리된다.
제1 스케줄링 구간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정보는 제1 스케줄링 구간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이는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200)에 미리 전송하여 단말(200)이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각 서브프 레임 앞에 위치하여 전송된다. 이 경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각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케줄링 구간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은 스케줄링 정보 및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첫 번째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은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각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스케줄링 정보는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 및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 정보 외에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는, 제1 스케줄링 구간과 제2 스케줄링 구간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0'의 값을 포함한다. 반면, 제1 스케줄링 구간과, 제2 스케줄링 구간의 길이가 상이하면, '0'이 아닌 다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전송 구간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구간에서 수신 동작을 개시하여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구간이 종료되면,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복수의 서브프레임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각 스케줄링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해당 스케줄링 구간 내에서 고정적이거나, 가변적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제1 스케줄링 구간 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이 고정적인 길이를 갖는다면, 제1 스케줄링 구간에서 첫 번째 위치하는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위치 및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할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말(200)은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할당 정보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매 서브프레임마다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지 않아도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이 가변적인 길이를 갖더라도, 단말(200)은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구간을 알고 있으므로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은 각 스케줄링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모두 수신하지 않고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구간에서만 수신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지국(100)은 점대다 무선 베어러 설정을 위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단말(200)에 전송한다(500 단계).
단말(200)은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점대다 무선 베어러를 설정한다(510 단계).
단말(200)에 무선 베러어가 설정되면, 기지국(10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 구간 단위로 스케줄링 처리한다(520 단계).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를 스 케줄링 구간 단위로 분할하고, 각 스케줄링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을 스케줄링 처리한다.
기지국(100)은 스케줄링 처리가 완료되면, 각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다(530단계). 그리고,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 중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200)에 전송한다(540 단계). 따라서, 단말(200)은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550 단계).
기지국(100)은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난 후,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단말(200)에 전송한다(560 단계). 이 경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것으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의 앞에 위치하여 전송한다.
단말(200)은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서비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570 단계). 구체적으로, 단말(200)은 기지국(100)에서 전송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모두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스케줄링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를 확인하여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구간에서 수신 동작을 개시하여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200)은 필요한 서브프레임이 존재할 때만 수신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200)은 제1 스케줄링 구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580 단계), 제1 스케줄링 구간이 종료되었으면, 후속하는 스케줄링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590 단계). 이는,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통해 확 인할 수 있는데, 스케줄링 정보는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스케줄링 정보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200)은 후속하는 스케줄링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540 단계 내지 58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즉, 기지국(100)으로부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동작은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안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기지국 200 : 단말
110 : 스케줄링 처리부 120 : 정보 생성부
130 : 전송부 210 : 수신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Claims (19)

  1.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으로 스케줄링 처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에서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미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서 선택적으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매체접근제어계층을 통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매핑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간의 간격 정보 및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에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는,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와 동일한 경우 'O'의 값을 갖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을 통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을 점대다 무선 베어러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6.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로 스케줄링 처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에서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을 통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점대다(Point-to-Multipoint)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간의 간격 정보 및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1.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으로 스케줄링 처리하는 스케줄링 처리부;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미리 전송하고,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스케 줄링 정보는,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전송 구간 정보,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간의 간격 정보 및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스케줄링에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는,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와 동일한 경우 'O'의 값을 갖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통해 상기 단말과 무선 연결되며,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매체접근제어계층;
    상기 무선자원할당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매핑되어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
    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는,
    점대다 무선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상기 단말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
    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이 미리 전송하고, 상기 제2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매핑시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
  17.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으로 스케줄링 처리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케줄링 구간들 중에서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케줄링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매핑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을 통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점대다(Point-to-Multipoint)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090129740A 2009-12-23 2009-12-23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292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40A KR101292865B1 (ko) 2009-12-23 2009-12-23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12/977,413 US20110151911A1 (en) 2009-12-23 2010-12-23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40A KR101292865B1 (ko) 2009-12-23 2009-12-23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695A true KR20110072695A (ko) 2011-06-29
KR101292865B1 KR101292865B1 (ko) 2013-08-02

Family

ID=4415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740A KR101292865B1 (ko) 2009-12-23 2009-12-23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51911A1 (ko)
KR (1) KR101292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120B2 (en) 2014-01-16 2019-04-3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for controlling small cell and apparatus for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9538A1 (en) * 2013-03-15 2014-09-18 Alcatel-Lucent Canad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Data Frames From a Cloud-Based System
US10158457B2 (en) * 2014-12-02 2018-12-18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Coordinat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s
US11317251B2 (en) * 2019-02-05 2022-04-26 Qualcomm Incorporated Numerologies that support broadcasting over a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42B1 (ko) * 2002-08-14 200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데이터의전송 방법
GB0407929D0 (en) 2004-04-07 2004-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KR101141350B1 (ko) * 2004-05-06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bms서비스를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통지 송수신방법
KR101141636B1 (ko) * 2004-09-24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점대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154961B1 (ko) * 2005-05-04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채널의 송신전력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점대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7129645A1 (ja) * 2006-05-01 2007-11-15 Ntt Docomo, Inc. 移動局、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526971B1 (ko) * 2007-06-18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120B2 (en) 2014-01-16 2019-04-3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for controlling small cell and apparatus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1911A1 (en) 2011-06-23
KR101292865B1 (ko) 201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523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866508B1 (en) Methods for processing multicast/broadcast service data
US7620061B2 (en)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MBMS data in UMTS
KR101343307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US10798532B2 (en) Radio terminal and network apparatus
KR101527737B1 (ko) 멀티미디어 동작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기지국 디바이스 및 이용자 디바이스
EP41064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bs data
WO2010051725A1 (zh) 调度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US10476694B2 (en)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cast data us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US20120134314A1 (en) Channel synchroniz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in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WO2010020134A1 (zh) 单频网上多播/广播子帧的获取/配置方法及获取装置
WO2013131438A1 (zh) 一种集群传输通知、处理方法及装置
US20230171791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230179963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20210104562A (ko) Mb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292865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WO2011022958A1 (zh) 一种传输动态调度信息的方法及系统
CN113728663B (zh) 一种drx配置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CN115699650A (zh) Mbs业务的tci状态管理方法及装置、终端设备
US9451546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KR20210104563A (ko) Mb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23536506A (ja) 無線通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Vikhrova et al. Group-based delivery of critical traffic in cellular IoT networks
JP7425259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KR20210104539A (ko) Mb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