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287A -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 Google Patents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287A
KR20110072287A KR1020090129147A KR20090129147A KR20110072287A KR 20110072287 A KR20110072287 A KR 20110072287A KR 1020090129147 A KR1020090129147 A KR 1020090129147A KR 20090129147 A KR20090129147 A KR 20090129147A KR 20110072287 A KR20110072287 A KR 2011007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ignal
input
search area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287A/en
Publication of KR2011007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2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Abstract

PURPOS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a contents upload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search or upload contents on the basis of an input word. CONSTITUTION: A control unit establishes a search area according to a received search area setup command(S1210). In case an upload command is received, a display unit displays a word input request message(S1220,S1230). In case the word is received, the controller refers to contents having a file name which includes the word(S1240,S1250). In case an upload progressing request is received, the controller uploads the searched contents to a connected server(S1270,S1280).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업로드 방법{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 content uploa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uploading content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uploading content to a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종래의 방송 수신기는 방송사에서 제작하는 컨텐츠(content)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해서 송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각 전달 매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통해 시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었다.Conventional broadcast receivers are serviced in such a manner that content produced by a broadcaster is transmitted through a radio wave transmission medium such as terrestrial, cable, or satellite broadcasting, and a user views the receiver through a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the respective delivery media. .

그러나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방송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나 유선 케이블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as digital-based digital broadcast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real-time broadcasting, contents on demand, games, and news using Internet networks connected to homes in addition to existing radio waves or wired cable media. It is now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services to the user.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수신기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는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광케이블 망, 동축 케이블 망, FTTH(Fiber To The Home), 전화망, 무선망 등 여러 종류의 망 상에서 구현이 가능하다.An example of providing a content service using the Internet network is IPTV (Internet Protocol TV). The IPTV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video contents, and broadcasts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provides them to the receiver of the user. The Internet network may be implemented on various types of networks such as an optical cable network, a coaxial cable network, a fiber to the home (FTTH), a telephone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n Internet Protocol (IP).

상기와 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의 경우, 일반 지상파방송 등과 달리, 양방향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보고 싶은 컨텐츠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rvice using the Internet network as described above, unlike general terrestrial broadcasting, the interactivity may be added, and the user may watch a content service that he / she wants to see at a convenient ti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용이하게 업로드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업로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 content upload method for easily uploading content store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a content upload method on a comput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로드 방법은, 서버에 접속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를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ontent uploa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uploading content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onnected to a server, the message requesting the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upload on the screen; Displaying a word, receiving a word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message, retrieving content having a filename including the received word, and uploading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connected server.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ay be a network TV.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업로드 방법은,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는 공간 리모컨으 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The content upload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file name of the searched content and 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to be uploaded among the displayed content. In the uploading step, the selected content may be uploaded.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content to be uploaded may be input from a spatial remote controller.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업로드 방법은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업로드 진행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가질 수 있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업로드 진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upload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message asking whether the uploaded content is uploaded or not, and when the upload progress command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message, uploading the content.

바람직하게,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초기값으로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earching, the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may be searched for in the search area set as an initial value.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업로드 방법은 검색영역의 설정을 요청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검색영역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검색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가질 수 있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upload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for requesting setting of a search area and setting the search are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arch area setting command. In the search region, the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may be searched fo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서버에 접속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화면에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를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be uploaded on a screen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nected to a server; And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word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message, and a controller for searching for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the received word and uploading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connected server. Her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ay be a network TV.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받으면 상기 서 버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업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o display a file name of the searched content and to upload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rver when the content to be uploaded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content.

바람직하게, 상기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는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content to be uploaded may be input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업로드 진행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업로드 진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display a message asking whether to proceed with uploading the searched content, and control to upload the content to the server when an upload progress command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message. .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초기값으로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The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may be searched for in the search area set as an initial value.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검색영역의 설정을 요청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검색영역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검색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face unit receives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for requesting setting of a search area, and the controller sets the search are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arch area setting command and has the file name in the set search area. You can search for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업로드 방법에 의하면, 입력된 단어를 기초로 컨텐츠를 자동으로 검색 및 업로드하므로,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일일이 찾아서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업로드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the content uploa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ent is automatically searched and uploaded based on the input word,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find and select specific content is alleviated, and the upload time is saved. Can b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by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widely used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a new technology.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로 송출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정보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디지털 형태로 텔레비전 신호를 압축하여 내보내기 때문에 쌍방향 운용, 재생, 축적이 가능한 방송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별도의 에러 정정 정보를 전송하므로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방송국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refers to a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 transmitted by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Here, unlike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a broadcasting technology capable of two-way operation, reproduction, and accumulation because the television signal is compressed and exported in a digital form that encodes and records information signals.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such digital broadcasting is more resistant to noise, has a lower data loss, and transmits additional error correction information, which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and provides a high resolution and clear picture. In addition,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an interactive service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broadcasting station.

본 발명에서 디지털 방송은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뿐 만 아니라 인터넷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방송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즉 디지털 방송은 IP(Internet Protocol) 방송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broadcast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broadcasts transmitted through terrestrial waves, satellites and cables, but also broadcasts transmitted through Internet networks. That is, digital broadcasting is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IP (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또한 본 발명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인터넷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넷 서비스는 CoD(Content's on Demand) 서비스, 유튜브 서비스, 날씨, 뉴스, 지역 정보 및 검색 등의 인포메이션 서비스, 게임, 노래방 등의 엔터테이먼트 서비스, TV 메일, TV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 인터넷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 웹 TV 및 브로드밴드 TV를 포함한다. 또한 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ncludes a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providing an Internet service to a viewer. The Internet service includes content services such as CoD (Content's on Demand), YouTube service, weather, news, local information and search, entertainment services such as games and karaoke, TV mail, TV SMS (Short Message Service), etc. It means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such as a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ncludes a network TV, a web TV and a broadband TV. In addition, the broadcast service may include an internet service as well as a broadcast service provided through terrestrial, satellite, and cable.

디지털 방송을 전송하는 다양한 시스템 아키텍처가 존재할 수 있다. 일예로, IPTV(Internet Protocol TV) 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크게 서버(Server)와 네트워크, 그리고 수신기(client)로 구성될 수 있다.There may be various system architectures for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s. For example, an Internet Protocol TV (IPTV) system is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contents using an Internet network, and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server, a network, and a client.

상기 IPTV의 서버는 서비스 발견, 선택에 관한 정보(Service Discovery, Selection) 서버, 스트리밍(Streaming) 서버, 컨텐츠 가이드(Contents Guide) 정보 서버, 고객정보 서버, 지불 정보 서버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rvers of the IPTV are server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service discovery and selection server, streaming server, contents guide information server, customer information server, and payment information server. It can be configured as.

상기 서버 가운데 스트리밍 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MPEG4 등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에게 전송한다. 상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등을 이용할 수 있다.Among the servers, a streaming server transmits video data encoded in a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 2, MPEG4, or the like stored to a user through a network. As a protocol for the transmission, a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a RTP Control Protocol (RTP), or the like may be used.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시정지(Pause), 리플레이(Replay), 정지(Stop) 등 네트워크 트릭 플레이(Trick Play)라 불리는 기능을 통해 동영상 스트림 재생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In case of using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video stream playback can be controlled to some extent through a function called network trick play such as pause, replay, and stop. . The protocols are one example and other real time transmission protocol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컨텐츠 가이드 정보 서버는 상기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컨텐츠 가이드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가이드 정보 서버는 컨텐츠 가이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신기에 제공한다.The content guide information server is a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various contents provided. The content guide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information and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about content. The content guide information server stores content guide information data, and provides the stored data to the receiver.

상기 서버 가운데 서비스 발견 및 선택에 관한 정보 서버는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등의 각종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대한 접속 정보, 재생 정보 등을 수신기에 제공한다.The information server related to service discovery and selection among the servers provides the receiver with access information, playback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servers providing various content services such as broadcasting, contents on demand (COD), and games.

네트워크 시스템은 인터넷 기반 망과 게이트웨이(Gateway)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넷 기반 망은 IP를 기반으로 광케이블 망, 동축 케이블 망, FTTH(Fiber To The Home), 전화망, 무선망 등 여러 종류의 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에서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달뿐만 아니라,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캐스트(Multicast) 그룹 관리, QoS(Quality of Service)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consists of an internet based network and gateways. The Internet-based network may use various types of networks such as an optical cable network, a coaxial cable network, a fiber to the home (FTTH), a telephone network, a wireless network, and the like based on IP. In addition to general data transfer, the gateway may perform multicast group management and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using protocols such as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IPTV의 수신기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신기를 말한다. 상기 수신기에는 IPTV 셋톱(IPTV Settop), 홈넷 게이트웨이(Homenet Gateway), IPTV 임베디드 TV(IPTV embedded TV) 등이 있다.A receiver of an IPTV is a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ata transmit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The receiver includes an IPTV settop, a homenet gateway, an IPTV embedded TV, and the like.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IPTV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존의 각종 방송 컨텐츠들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각종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개인 방송 등과 같은 각종 방송 컨텐츠나, 다양한 인터넷 영상 컨텐츠, 영상 이외의 데이터 컨텐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들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요청에 따라 주문형(on demand)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hybrid IPTV system, various contents of the Internet may be provided as well as various existing broadcasting contents. That is, the user can provide various broadcasting contents such as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broadcasting, satellite broadcasting, personal broadcasting, various internet video contents, data contents other than video, and the like. The contents may be provided in real time or may be provided on dem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영상/음성 처리부(101), 인터페이스부(150), 사용자 입력부(155), 저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음성출력부(17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deo / audio processor 101, an interface unit 150, a user input unit 155, a storage unit 160, and a display unit ( 170, a voice output unit 175, and a controller 180.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디스플레이부(170) 및 음성출력부(175)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신호 입력부(110), 복조부(120), 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튜너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3), 무선신호 입력부(114), 네트워크 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deo / audio processor 101 processes an input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o output an image or an audi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audio output unit 175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o this end, the image / audio processor 101 may include a signal input unit 110, a demodulator 120, and a signal processor 140.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tuner unit 111, an A / V input unit 112, a USB input unit 113, a wireless signal input unit 114, and a network unit 115.

튜너부(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1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The tuner unit 111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To convert. 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analog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SIF). That is, the tuner 111 may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SIF output from the tuner 111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또한, 튜너부(11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uner 111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che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튜너부는 제1튜너부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include at least two tuner units. When the second tuner unit includes at least two tuner units, the second tuner unit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similarly to the first tuner unit, and intermediate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Convert to frequency signal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또한, 제2튜너부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튜너부는 주기적으로 모든 방송 채널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제1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제2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여러 채널의 영상을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튜너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제2튜너부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uner may sequentially select the RF broadcast signals of all the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s and convert them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s. The second tuner may periodically perform conversion of all broadcast channels. Accordingly,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display an image of a broadcast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first tuner unit and provide images of various channels converted through the second tuner unit in a thumbnail form. In this case, the first tuner converts the main RF broadcast signal selected by the user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and the second tuner selects all RF broadcast signals except for the main RF broadcast signal sequentially / periodically. This may be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복조부(120)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1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1 is an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1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DDMA demodulation.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to perform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Solomon decoding can be performed.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 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ransport Stream (TS)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may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After the signal processor 140 performs demultiplexing and signal processing, the signal processor 140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70 and outputs an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unit 175.

또한, 적어도 2개의 튜너부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의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ving at least two tuners, a number of demodulators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rovided. The demodulat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연결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신호처리부(140)로 입력한다.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e external device refers to various types of video or audio output devices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a game device,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and the like. The signal input unit 110 inputs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to the signal processor 140 capable of processing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신호 입력부(110)의 A/V 입력부(11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 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 / V input unit 112 of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input an Ethernet terminal, a USB terminal, and a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o input a video and audio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 Terminal, component terminal, S-video terminal (analog),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RGB terminal, D-SUB terminal, IEEE 1394 terminal, SPDIF terminal, Liquid HD terminals and the like. The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CVBS terminal and the S-video terminal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The digital signal input through other input terminals may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without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process.

USB 입력부(113)는, USB 단자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The USB input unit 113 may input a video and audio signal through a USB terminal.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inputter 114 may connect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o a wireless network.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signal input unit 114.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input unit 114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it may be networked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communication standards.

무선신호 입력부(114)외에도, 이더넷(Ethernet) 단자를 통하거나, 혹은 신호 입력부(110)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연결 및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네트워크부(미도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PSTN, LAN, CABLE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wireless signal input unit 114, or via an Ethernet terminal, or the signal input unit 110 further includes a network unit (not shown) for efficient network connection and management, the network unit (not shown) The broadcast receiver 10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a PSTN, a LAN, a cable, or the like.

한편, 신호 입력부(11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 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 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 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be connec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arious set top boxes and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 top box. For example, if the set-top box is a set-top box for an Internet Protocol (IP) TV, the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processed by the set-top box for the IPTV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may be transferred to the set-top box for IPTV.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전파매체를 통한 방송신호, 외부입력장치에 의한 신호 이외에도,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signals transmitted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s well as broadcast signals through radio waves and signals from external input devices.

신호처리부(14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demultiplex the received stream signal, for example, MPEG-2 TS, and separate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and the data signa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it may be decoded. Specifically,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of MPEG-2 standard, it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cheme or DVB-H, it may be decoded by the H.264 decoder.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rocess brightness, tint, and color of the image signal.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4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voic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speech signal, it can be decoded. Specifically,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speech signal of MPEG-2 standard, it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speech signal of MPEG 4 Bit Sliced Arithmetic Coding (BSAC) standard according to th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cheme, it may be decoded by an MPEG 4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audio signal of the AAC (Advanced Audio Codec) standard of MPEG 2 according to the satellite DMB scheme or DVB-H, it may be decoded by the AAC decoder.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rocess a base, treble,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175)로 음성 출력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40 is output to the voice output unit 175.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n encoded data signal, it may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i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A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TSC scheme, and may include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 the case of the DVB scheme. . The ATSC-PSIP information or the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stream, that is,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 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 상에 메뉴 및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제어장치(200)는 공간 리모컨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On Screen Display (OSD) processing. In detail,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display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70 based on an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at least one of the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data signal, and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the remote controller 200. Menus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a graphic or text. Her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a space remote control.

저장부(16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신호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브라우저 화면 내에 입력영역에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store a signal processed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to the signal input unit 110. In addition, the storage 160 may store a search list including a search word input in an input area in the browser screen.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저장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such as RAM, ROM (EEPROM, etc.).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provide a user with a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로부터 컨텐츠 업로드를 요청하는 업로드 명령 또는 검색영역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요청하는 검색영역 설정 메시지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업로드 명령 또는 검색영역 설정 메시지 요청을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업로드 명령 및 검색영역 설정 메시지 요청은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에 형성된 핫키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항목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50 may receive an upload command for requesting content upload or a search area setting message request for requesting a message for setting a search area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user input unit 155. The command or search area setting message request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80. The upload command and the search area setting message request may be input through a hot key formed o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user input unit 155, and may be input through a menu item displayed on a screen.

제어부(18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제어장치(200)는 공간 리모컨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e controller 18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Her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a space remote control.

제어부(180)는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한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선택한 채널이 신호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튜너부(111)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a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rough the received signal and controls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o correspond thereto.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uner 111 to input the selected channel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110.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is controlled to process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or the audio output unit 17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signal and the audio signal.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신호 입력부(110)의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통하여 처리되고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nother type of video or audio output command throug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at is, the user may want to watch the video signal of the camera or camcorder input through the USB input unit 113 instead of the broadcast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input unit 113 of the signal input unit 110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140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70 or the audio output unit 175. The video / audio processor 101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video / audio processor.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포커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focus signal for positioning the focus on a specific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 외에도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형성된 사용자 입력부(155)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별하고 그 에 대응하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온/오프 명령, 채널 변경명령, 볼륨 변경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5)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형성된 버튼이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55)의 조작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user command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155 forme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in addition to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controls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o correspond thereto. can do.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n on / off command, a channel change command, a volume change command, etc.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55. The user input unit 155 may be formed of a button or a key forme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155 is manipulated and control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ccordingly.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업로드 명령 또는 검색영역 설정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면,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n upload command or a search area setting message request from the interface unit 150,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be uploaded or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do.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리모컨에 대한 일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202)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은,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포인터(202)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공간 리모컨(201)이 앞뒤로 이동할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표시되는 그래픽이 드래그될 수 있다.2 and 3,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2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er 202 is set to mov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set to be input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For example, whe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oves back and forth,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be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ic displayed 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be dragg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한편, 포인터(202)가 메뉴(도 2 및 도 3에서 'a' 로 표시)의 특정 영역 내에서만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거나, 정지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기능(function)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포커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inter 202 moves or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within a specific area of a menu (indicated by 'a' in FIGS. 2 and 3),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 function)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to control the focu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과 메뉴를 대응시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키고 리모컨 이용하는 절차를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aging the space remote control and the menu correspon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and simplify the procedure of using the remote contro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리모컨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for selecting a menu using a spatia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메뉴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어서,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의 위치에 따라,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4, a menu may be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some screens of the entire scree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control areas. In addition, each control area corresponds to a function unique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nd thus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pointing signal input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and the interfa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공간 리모컨(201)은,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그리고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 storage unit 270, and The controller 280 may be included.

무선통신부(22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 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한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includes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ay include an IR module 2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리모컨(2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In additio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In additio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ransmits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as necessary.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push) 동작을 통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 리모컨(201)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가 있다.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pad or a button. The user may manipulate a user input unit 230 to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and a jog key.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공간 리모컨(201)의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43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moving speed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250 is an LED module 251 which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vibration module 253 for generating vibration, a sound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may be provided.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 리모컨(2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space remote controller 201. When the space remote controller 201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included in the space remote controller 201 is operated.

저장부(270)는,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공간 리모컨(201)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 리모컨(201)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부(280)는, 공간 리모컨(201)과 페어링(paring)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I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relessly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do. The control unit 280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1 stor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or the lik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paired with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1 to the storage unit 270. Can be stored and referenced.

제어부(280)는, 공간 리모컨(2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he controller 280 may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unit 150.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공간 리모컨(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51)와, 좌표값 산출부(154), 디스플레이 모듈(155), 판단 모듈(156), 그리고 제어 모듈(157)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151)는 RF 모듈(152) 및 IR 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 coordinate value calculating unit 154, a display module 155, and a determination. Module 156, and control module 157.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may include an RF module 152 and an IR module 153.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52)을 통해 공간 리모컨(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53)을 통해 공간 리모컨(2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 receive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hrough the RF module 152. In addition, the IR module 153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체 스크린 중 일부 스크린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트롤 영역으로 분할하고, 또한 상기 각 컨트롤 영역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에 대응되어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module 155 divides some screens of the entire scree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into at least two control areas, and each of the control areas is divided into respective functions unique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corresponding menu is displayed.

무선 통신부(151) 또는 수신 모듈(미도시)은, 공간 리모컨(201)으로부터 포인팅 신호를 수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or the reception module (not shown) receives a pointing signal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module 156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pointing signal is recognized within a specific control area within the displayed menu.

그리고 제어 모듈(157)은,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유의 기능 중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어 있는 특정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 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module 157 is recognized within a range within the specific control area, the control module 157 controls such that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rol area is activated among the unique functions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나아가,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상기 컨트롤 영역 및 상기 컨트롤 영역과 대응되어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요약 설명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만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판단 모듈(156)은, 상기 수신된 포인팅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내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 위치한 상황에서, 특정 버튼 신호(예컨대, '확인' 버튼 신호)가 인가된 경우를, 상기 특정 컨트롤 영역 이내의 범위에서 인식되는 경우로 간주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55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control area and a summary description of each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rea.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module 156 recognizes in the range within the specific control area only when the received pointing signal is stopped or has mobility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in the range within the specific control area in the displayed menu. It can be considered as the case. Alternatively, the determination module 156 may determine a case in which a specific button signal (for example, a 'confirmation' button signal) is applied when the received pointing signal is located within a range within a specific control area of the displayed menu. It can be regarded as a case where it is recognized within a range within the specific control area.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고유의 각 기능(function)은, 채널 번호, 오디오의 크기, 장르 설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공간 리모컨 및 메뉴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의 수많은 채널의 선택, 편집 및 다양한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가 있다.Each function unique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r more of channel number, audio size, and genre information.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bove-described spatial remote control and menu,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selection, editing and various functions of numerous channels of digital broadcastin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좌표값 산출부(154)는, 무선 통신 부(151)를 통해 수신된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 떨림으로 인한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 y)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or 154 corrects an error due to hand shaking from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The coordinate values (x, y) of the pointer 202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can be calculated.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입력된 공간 리모컨(201)의 전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공간 리모컨(2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 리모컨(2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input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and key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nd control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in response thereto.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리모컨(201)은 공간 리모컨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 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ay calculate a pointer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nd output the pointer coordinate value to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pointer coordinate value to the controller 180 without a separate hand shake or error correction process.

도 6은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upload.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화면에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600)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시지(600)는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를 입력받는 입력영역(610) 및 검색의 수행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 영역(6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message 600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be uploaded to a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he message 600 includes an input area 610 for receiving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upload and a graph area 620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search.

포커스 신호가 입력영역(610)에 위치한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입력영역(610)에 표시된다. 일예로,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단어 "강아지"인 경우에는, 입력된 단어 "강아지"가 입력영역(610)에 표시된다. 이때,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단어 "강아지"를 기초로 "강아지"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여기서 검색 명령은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사용자 입력부(155)의 특정 버튼에 할당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확인" 버튼에 할당된 신호가 인가되면, 검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focus signal is located in the input area 610,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user input unit 155 is displayed in the input area 610.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user input unit 155 is the word "dog", the input word "dog" is displayed in the input area 610. In this case, when a search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80 searches for a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doggy" based on the word "doggy". The search command may be a signal assigned to a specific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user input unit 155. For example, if a signal allocated to a "confirm" button is applied, the controller 180 may process that a search command is input.

또한 그래프 영역(620)은 검색의 진행율을 표시한다. 그리고 메시지(600)에서 90%는 검색이 90% 정도 수행됐다는 것을 지시한다.The graph area 620 also displays the progress of the search. And 90% in message 600 indicates that the search was performed about 90%.

도 7은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ssage including a file name of retrieved content.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검색된 컨텐츠를 업로드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700)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시지(700)는 입력영역(610)에 입력된 단어를 기초로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강아지 1.jpg, 강아지 2.jpg, 강아지3.jpg 강아지4.jpg, 강아지5.jpg 및 강아지6.jp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700)는 업로드 진행 요청을 수신받기 위한 버튼(720) 및 업로드 진행 취소 요청을 수신받기 위한 버튼(7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display 170 displays a message 700 asking whether to upload the searched content. The message 700 is a file name of the searched content based on the word entered in the input area 610 (dog 1.jpg, puppy 2.jpg, puppy 3.jpg puppy 4.jpg, puppy 5.jpg and puppy 6.jpg ) May be included. The message 700 also includes a button 720 for receiving an upload progress request and a button 730 for receiving an upload progress cancellation request.

버튼(720)이 클릭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검색된 컨텐츠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여기서 버튼(720)은 사용자 입력부(155) 및 원격제어장치(200)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클릭될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200)는 공간 리모컨일 될 수 있다.When the button 720 is clicked, the controller 180 uploads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server. Here, the button 720 may be clicked by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55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may be a spatial remote controller.

버튼(730)이 클릭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업로드를 진행하지 않는다.When the button 730 is clicked, the controller 180 does not proceed with the upload.

도 8은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message including a file name of searched content.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검색된 컨텐츠 중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받기 위한 메시지(800)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시지(800)는 입력된 단어를 기초로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강아지1.jpg, 강아지2.jpg, 강아지3.jpg 강아지4.jpg, 강아지5.jpg 및 강아지6.jpg) 및 각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체크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800)는 업로드 진행 요청을 수신받기 위한 버튼(820) 및 업로드 진행 취소 요청을 수신받기 위한 버튼(8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message 800 for selecting a content to be uploaded from the searched content. The message 800 selects the file name (Dog 1.jpg, Puppy 2.jpg, Puppy 3.jpg, Puppy 4.jpg, Puppy 5.jpg, and Puppy 6.jpg) of the searched content based on the entered word and each content. It may include a checkbox for doing so. The message 800 also includes a button 820 for receiving an upload progress request and a button 830 for receiving an upload progress cancellation request.

체크박스에 체크 표시가 되면, 해당 파일명이 지시하는 컨텐츠는 업로드 대상이 된다. 일예로, 체크박스(811)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으므로, "강아지1.jpg"가 지시하는 컨텐츠는 업로드 대상이 된다. 또한 "강아지4.jpg" 및 "강아지5.jpg"의 해당 체크박스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으므로, "강아지4.jpg" 및 "강아직5.jpg"가 각각 지시하는 컨텐츠는 업로드 대상이 된다. 여기서 체크 표시는 사용자 입력부(155)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체크박스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check box is checked,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file name is uploaded. For example, since the check box 811 is checked, the content indicated by "dog 1.jpg" is the upload target. In addition, since the corresponding check boxes of "Dog4.jpg" and "Dog5.jpg" are checked, the contents indicated by "Dog4.jpg" and "Dog5.jpg" respectively are uploaded. Here, the check mark may be displayed in the check box by signal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55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일예로, 공간 리모컨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체크박스(811)로 이동된 상태에서 공간 리모컨로부터 포커스 신호가 입력되면 체크박스(811)에 체크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체크박스에 체크 표시가 된 상태에서 포커스 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체크 표시가 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포커스 신호가 아닌 다른 버튼에 할 당된 신호가 입력되면 체크박스에 체크 표시가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체크 표시하는 신호와 체크 표시를 사라지게 하는 신호를 달리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focus signal is input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while the pointer is moved to the checkbox 81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 check mark may be displayed on the checkbox 811. Also, if the focus signal is input again while the check box is checked, the check mark may disappear. In this case, when a signal assigned to a button other than the focus signal is input, a check mark may be displayed in a check box or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a check mark signal and a signal disappearing the check mark.

버튼(820)이 클릭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텐츠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즉 제어부(180)는 해당 체크박스에 체크 표시된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업로드한다. 여기서 버튼(820)은 사용자 입력부(155) 및 원격제어장치(200)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클릭될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200)는 공간 리모컨일 될 수 있다.When the button 820 is clicked, the controller 180 uploads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rver. That is, the controller 180 uploads the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checked by the check box. Here, the button 820 may be clicked by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55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a spatial remote controller.

버튼(830)이 클릭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업로드를 진행하지 않는다.When the button 830 is clicked, the controller 180 does not proceed with the upload.

도 9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검색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ssage for requesting input of a search region setting command, an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earch reg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900)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검색영역 설정 메시지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70)가 메시지(900)를 디스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9 and 10,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message 900 requesting an input of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Herein, when the search area setting message reques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70 to display the message 900.

메시지(900)는 폴더의 폴더명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영역(910)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920)을 포함한다.The message 900 includes an input area 910 for receiving a folder name of a folder and a button 920 for receiving a graphic user interface request command.

버튼(920)이 클릭되면, 제어부(18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선택된 폴더의 경로 및 폴더명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영역(1010), 특정 폴더를 선택하기 위한 리 스트박스(1020), 확인버튼(1030) 및 취소버튼(1040)을 포함한다.When the button 920 is click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graphic user interface 1000 to be displayed.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1000 includes a display area 1010 for displaying a path and a folder name of a selected folder, a list box 1020 for selecting a specific folder, a confirmation button 1030 and a cancel button 1040. do.

리스트박스(1020) 내에 표시된 폴더명 중 특정 폴더가 선택되면, 선택된 폴더의 경로 및 폴더명이 표시영역(101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확인버튼(1030)이 클릭되면, 표시영역(1010)에 디스플레이된 경로 및 폴더명이 입력영역(910)에 표시된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 및 사용자 입력부(155)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키에 할당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입력영역(910)에 표시된 경로 및 폴더명이 지시하는 폴더를 검색영역으로 설정한다.If a specific folder is selected among the folder names displayed in the list box 1020, the path and folder name of the selected folder ar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1010. In this case,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1030 is clicked, the path and folder nam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1010 is displayed on the input area 910. At this time, when a signal assigned to a preset key is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the user input unit 155, the controller 180 confirms that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80 sets a folder indicated by the path and folder name displayed in the input area 910 as the search area.

도 11은 검색영역 설정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message for requesting input of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1100)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검색영역 설정 메시지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70)가 메시지(1100)를 디스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message 1100 for requesting input of a search region setting command. Herein, when the search region setting message reques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70 to display the message 1100.

메시지(1100)는 폴더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영역(1110), 폴더의 폴더명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영역(1120, 1130, 1140) 및 각 입력영역(1120, 1130, 1140)에 연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1125, 1135, 1145)을 포함한다. The message 1100 includes a setting area 1110 for setting the number of folders, input areas 1120, 1130, and 1140 for receiving a folder name of a folder,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each input area 1120, 1130, and 1140. And buttons 1125, 1135, and 1145 for receiving a request command.

설정영역(1110)에 표시된 값에 따라 검색영역으로 설정되는 폴더의 숫자가 달라진다. 일예로 설정영역(1110)에 표시된 값이 3인 경우에는 3개의 폴더(폴더 1, 폴더 2, 폴더 3)가 검색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폴더의 경로 및 폴더명을 입력받기 위한 폴더 1의 입력영역(1120), 폴더 2의 입력영역(1130) 및 폴더 3의 입력영역(1140)이 디스플레이된다. 폴더 1에 연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1125), 폴더 2에 연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1135) 및 폴더 3에 연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1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버튼(1125, 1135, 1145)이 클릭되면, 도 10에 도시된 그랙피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가 디스플레이된다.The number of folders set as the search area varies according to the value displayed in the setting area 1110. For example, when the value displayed in the setting area 1110 is 3, three folders (folder 1, folder 2, and folder 3) may be set as a search area. In addition, an input area 1120 of folder 1, an input area 1130 of folder 2, and an input area 1140 of folder 3 are displayed to receive paths and folder names of three folders. A button 1125 for recei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request command associated with folder 1, a button 1135 for recei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request command associated with folder 2, and a button for recei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request command associated with folder 3; 1145. When the buttons 1125, 1135, and 1145 are clicked on here, the graffiti user interface 1000 illustrated in FIG. 10 is displayed.

설정영역(1110)에 표시된 값은 사용자 입력부(155)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버튼(1111)을 클릭되면 입력된 값을 증가될 수 있고, 버튼(1113)을 클릭되면 입력된 값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영역(1110)에 표시된 값에 따라 입력영역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The value displayed in the setting area 1110 may be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55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n addition, when the button 1111 is clicked, the input value may be increased, and when the button 1113 is clicked, the input value may be decreased. The number of input area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alue displayed in the setting area 111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로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ent uploa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50)는 검색영역의 설정을 요청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한다(S1200).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메시지(90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메시지(1100)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interface unit 150 receives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for requesting setting of a search area (S1200). Here, the interface unit 150 may receive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input through the message 900 illustrated in FIG. 9 or the message 1100 illustrated in FIG. 11.

제어부(180)는 수신된 검색영역 설정 명령에 따라 검색영역을 설정한다(S1210). 여기서 검색영역 설정 명령은 폴더의 경로 및 폴더명을 포함할 수 있 고,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및 폴더명이 지시하는 폴더를 검색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sets a search are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arch area setting command (S1210). The search region setting command may include a path and a folder name of a folder, and the controller 180 may set a folder indicated by the path and the folder name as a search region.

제어부(180)는 업로드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20).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an upload command has been received (S1220).

업로드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230).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는 도 6에 도시된 메시지(600)일 수 있다.When the upload command is received,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be uploaded to the screen (S1230). The message displayed here may be the message 600 shown in FIG. 6.

제어부(180)는 상기 단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40).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word has been received (S1240).

상기 단어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를 갖는 컨텐츠를 검색한다(S1250). 여기서 제어부(180)는 단계 S1210에서 설정된 검색영역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만일 설정된 검색영역이 없다면, 제어부(180)는 초기값으로 설정된 검색영역에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저장부(160)의 전체영역에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When the word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searches for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the word (S1250). Herein, the controller 180 can search for a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the word among contents stored in the search area set in step S1210. If there is no search area set, the controller 180 can search for content in the search area set as an initial value and search for content in the entire area of the storage unit 160.

디스플레이부(170)는 검색된 컨텐츠의 업로드 진행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260).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메시지(7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message asking whether to proceed with the upload of the searched content (S1260). Herein, the display 170 may display the message 700 illustrated in FIG. 7.

제어부(180)는 업로드 진행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70).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an upload progress request has been received (S1270).

업로드 진행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검색된 컨텐츠를 접속된 서버에 업로드한다(S1280).When the upload progress reques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uploads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connected server (S1280).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로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ent uploa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50)는 검색영역의 설정을 요청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한다(S1300).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메시지(90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메시지(1100)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interface unit 150 receives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for requesting setting of a search area (S1300). Here, the interface unit 150 may receive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input through the message 900 illustrated in FIG. 9 or the message 1100 illustrated in FIG. 11.

제어부(180)는 수신된 검색영역 설정 명령에 따라 검색영역을 설정한다(S1310). 여기서 검색영역 설정 명령은 폴더의 경로 및 폴더명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및 폴더명이 지시하는 폴더를 검색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sets a search are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arch area setting command (S1310). The search region setting command may include a path and a folder name of a folder, and the controller 180 may set a folder indicated by the path and the folder name as a search region.

제어부(180)는 업로드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20).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an upload command has been received (S1320).

업로드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330).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는 도 6에 도시된 메시지(600)일 수 있다.When the upload command is received,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be uploaded to the screen (S1330). The message displayed here may be the message 600 shown in FIG. 6.

제어부(180)는 상기 단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40).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word has been received (S1340).

상기 단어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를 갖는 컨텐츠를 검색한다(S1350). 여기서 제어부(180)는 단계 S1310에서 설정된 검색영역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만일 설정된 검색영역이 없다면, 제어부(180)는 초기값으로 설정된 검색영역에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저장부(160)의 전체영역에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When the word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searches for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the word (S1350). Herein, the controller 180 can search for a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the word among contents stored in the search area set in step S1310. If there is no search area set, the controller 180 can search for content in the search area set as an initial value and search for content in the entire area of the storage unit 160.

디스플레이부(170)는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한다(S1360).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70)는 도 8에 도시된 메시지(8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file name of the searched content (S1360). Herein, the display 170 may display the message 800 illustrated in FIG. 8.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 업로드될 컨텐츠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70).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content to be uploaded is selected among the displayed contents (S1370).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 업로드될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텐츠를 접속된 서버에 업로드한다(S1380).When the content to be uploaded is selected among the displayed contents, the controller 180 uploads the selected contents to the connected server (S138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pparatus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to networked computer device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리모컨에 대한 일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2 and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리모컨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for selecting a menu using a spatia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리모컨 및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and the interfa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essage for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upload;

도 7은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essage including a file name of searched content; FIG.

도 8은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message including a file name of retrieved content;

도 9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ssage for requesting input of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도 10은 검색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0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earch region;

도 11은 검색영역 설정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 시한 도면,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로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uploa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로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ent uploa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서버에 접속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uploading content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nected to a server, 화면에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Displaying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be uploaded to a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word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message; 상기 수신된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를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Searching for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the received word; And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Uploading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connected serv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file name of the retrieved content; And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to be uploaded among the displayed contents;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In the uploading, the content upload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uploading the selected content.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는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content to be uploaded is input from a spatial remote contro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업로드 진행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And displaying a message inquiring whether to upload the searched content.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업로드 진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And if the upload progress command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message, uploading the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In the step of searching, 초기값으로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And searching for the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in the search area set as an initial valu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검색영역의 설정을 요청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search region setting command for requesting setting of a search region; And 상기 수신된 검색영역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검색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And setting the search are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arch area setting command.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And searching for the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in the set search are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로드 방법.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s a network TV. 서버에 접속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nected to a server, 화면에 업로드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word for searching for content to be uploaded to a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word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message; And 상기 수신된 단어를 포함하는 파일명를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arch for content having a file name including the received word and to upload the searched content to the connected serv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검색된 컨텐츠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중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받으면 상기 서버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And controlling to display a file name of the searched content, and uploading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rver when the content to be uploaded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conten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업로드될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는 공간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content to be uploaded is input from a spatial remote controll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업로드 진행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업로드 진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And displaying a message inquiring whether to proceed with uploading the searched content, and if the upload progress command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message, uploading the content to the serv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초기값으로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And searching for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in a search area set to an initial valu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검색영역의 설정을 요청하는 검색영역 설정 명령을 수신하며,The interface unit receives a search area setting command for requesting setting of a search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검색영역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검색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검색영역 내에서 상기 파일명을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And the control unit sets the search are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arch area setting command, and searches for content having the file name within the set search area.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s a network TV.
KR1020090129147A 2009-12-22 2009-12-22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KR201100722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47A KR20110072287A (en) 2009-12-22 2009-12-22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47A KR20110072287A (en) 2009-12-22 2009-12-22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287A true KR20110072287A (en) 2011-06-29

Family

ID=4440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147A KR20110072287A (en) 2009-12-22 2009-12-22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28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8190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KR101570696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55807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645996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632879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24125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54380A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information
KR20110051896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84004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receiving content of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and client
KR20110065935A (en) Method for operating the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20120046988A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multimedia display device and voice recorder
KR20110132032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a system thereof
KR101608649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72287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uploading a content
KR101590355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26808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80352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ing osd(on screen display)
KR101668696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processing at least one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58507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70098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80019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KR20110095604A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KR20110067479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list
KR101683116B1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KR20110080024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