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562A -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562A
KR20110071562A KR1020090128175A KR20090128175A KR20110071562A KR 20110071562 A KR20110071562 A KR 20110071562A KR 1020090128175 A KR1020090128175 A KR 1020090128175A KR 20090128175 A KR20090128175 A KR 20090128175A KR 20110071562 A KR20110071562 A KR 20110071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hotographer
reflectance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연지
류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562A/en
Publication of KR2011007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5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PURPOS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minimize an unnecessary power loss. CONSTITUTION: A detection unit(160) is arranged in one side of a view finder.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lighting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The lighting emitting portion omits the ligh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a photographer. A controller(141) controls power supply to a display unit on the basis of am output value outputted in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light reflexibility of the photographe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unit.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unnecessary power loss is minimized.

최근, 전문가급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여기서, 일안 반사식이란 한 개의 렌즈를 통해서 뷰파인더로 사물을 보내기도 하고, 사진을 찍는 센서에 빛을 보내기도 하는 방식을 말한다. In recent years, 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cameras capable of taking professional photographs have been widely used. Here, the single-lens reflex type means to send an object to the viewfinder through a single lens or to send a light to a sensor for taking a picture.

이러한 종래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렌즈의 광축 상에 미러(mirror)가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평상시에는, 렌즈부에서 얻어진 피사체 빛은, 미러에서 반사되고, 초점판에서 결상되어, 촬영자는 초점판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을 펜타프리즘과 뷰 파인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면, 미러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햐여 렌즈부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하기 위하여 상승하고, 셔터가 셔터 구동 회로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오픈 상태가 되면, 촬상 소자 상에 피사체의 상이 형성된다. In such a conventional single-lens reflex camera, a mirror is form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axis. Normally, the subject light obtained by the lens unit is reflected by the mirror and formed in the focus plate, so that the photographer can check the image of the subject formed in the focus plate by using the pentaprism and the viewfinder. At this time, when the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 the mirror is driven to rotate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bout the axis to rise from the optical axis, and when the shutter is opened by the drive control of the shutter driving circuit, the imaging device An image of the subject is formed on the image.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 중 일부에는 아이 센서(eye sensor)가 적용되었다. 상세히,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는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고 나아가 라이브-뷰(live-view)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촬영자가 뷰 파인더를 통하여 피사체를 확인하고 있을 동안에도 디스플레이부가 온(ON) 되어 있다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 중 일부에는 뷰 파인더의 주위에 아이 센서(eye sensor)를 적용하여, 뷰 파인더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촬영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를 자동으로 오프(OFF)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였다. Some of such conventional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s have been applied with an eye sensor. In detail, a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to check the captured image and to implement a live-view function. This is consumed. Therefore, if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while the photographer is checking the subject through the viewfinder, unnecessary power is consum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some of the conventional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s apply an eye sensor around the viewfinder, and automatically turn off the display unit when a photographer is detec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iewfinder. This prevent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unnecessary power loss is minimized.

본 발명은 촬영자가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 및 화상이 전기적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뷰 파인더의 일 측에 배치되며,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상기 촬영자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하는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에 따라 상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view finder for observing a subject and a display unit in which an image is electrically implemented, the light emitter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iew finder and emitting light; A detector including a ligh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reflected by the detect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based on an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detector,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a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according to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Provide a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상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고,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상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a reference reflectivity, and increa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less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unit by adjust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and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less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된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출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compares the output value V eye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and if the output valu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outputs the output value. When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may be reduc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 또는 펄스의 듀티비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part by adjust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part or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the frequency of the puls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짧게 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par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part, increas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shorten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s.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길게 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part by reduc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part, reduc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촬영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촬영자가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 및 화상이 전기적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출부의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작을 경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클 경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소 또는 증가한 최대인식거리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viewfinder for a photographer to observe a subject and a display unit on which an image is electrically implemented,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V ref ); Reduc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In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And storing the reduced or increased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value.

본 발명에 있어서, 검출부의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작고,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클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omparing the output value (V eye ) of the detect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he output value (V eye ) of the detector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Less than) and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may be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상기 촬영자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조절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increasing and / or de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unit.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감소시켜서 상기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고,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증가시켜서 상기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Here, in the increasing and / or de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is reduced 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길게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reducing of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erform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unit, reduc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짧게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increasing of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erform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unit, increas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s, or shorten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 이후,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촬영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er exist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the step of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effect of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loss can be obta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ppearanc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앞쪽에는 셔터-릴리스 버튼(111), 모드 다이얼(113), 렌즈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hutter-release button 111, a mode dial 113, and a lens unit 120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영상 취득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OM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영상 취득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shutter-release button 111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pens and closes to expose an image capturing element (eg, CCD or COMS)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orks in conjunction with an aperture (not shown). Record the image on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by properly exposing.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 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한다. 제1 영상 촬영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 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어 영상을 촬영한다.The shutter-release button 111 generates first and second image capturing signals by a photographer input. When the first image capturing signal as the half shutter signal is inpu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focuses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When focus is achieved by the input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signal and the amount of light is adjusted, the second image capturing signal as a full shutter signal is input to capture an image.

모드 다이얼(113)은 촬영 모드 선택을 위해 입력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모드 다이얼(113)에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 모드, 연속촬영 또는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상기 모드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The mode dial 113 is input for the shooting mode selection.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mode dial 113 has an optimum mode according to the AUTO (automatic shooting) mode, a shooting situation, or a subject state, which is used to minimize user settings and to record images quickly and easily according to a purpose of use. A / E is used to record images by manually setting various functions including the EFFECT mode, the aperture and the shutter speed, which are used to give special effects to the video shooting such as the SCENE mode, continuous shooting or scene shooting. It supports S / M mode and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odes.

렌즈부(12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The lens unit 120 receives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processes an image.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er appearanc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33),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119w), 망원(telephoto)-줌 버튼(119t), 기능 버 튼(115) 및 디스플레이부(117)가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a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has a view finder 133, a wide angle zoom button 119w, a telephoto zoom button 119t, a function button. There is a cotton 115 and a display 11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뷰 파인더(133)는 촬영할 피사체를 보고 구도를 설정하기 위한 작은 창이다.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view finder 133 is a small window for setting a composition by looking at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광각-줌 버튼(119w) 또는 망원-줌 버튼(119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할 수 있다. 광각-줌 버튼(119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19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The wide-angle zoom button 119w or the tele-zoom button 119t may have a wider angle of view or a narrower angle of view depending on an input. In particular, the wide-zoom button 119w or telephoto-zoom button 119t may be input when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changed. When the wide-zoom button 119w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tele-zoom button 119t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increased.

기능 버튼(115)은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우향 버튼 및 메뉴/OK 버튼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기능 버튼(115)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들은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으며 기능 버튼(115)은 각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The function button 115 includes a total of five buttons including an up button, a down button, a left button, a right button and a menu / OK button. The function button 115 is input to execute various menu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Each of the keys may also be used as a shortcut key, and the function button 115 may vary according to each manufacturer.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배면에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검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출부에 대하여는 도 4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detect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etection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카메라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41)와, 상기 제어부(14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 개의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렌즈부(120), 셔터(126), 촬상 소자(127), 파인더 광학계(13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141 serving a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camera,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operating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ler 141. Elements (eg, lens unit 120, shutter 126, imaging device 127, finder optics 130, etc.).

렌즈부(120)는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를 포함하고,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 사이에 조리개(1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부(120)의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는 렌즈 구동 회로(135)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상기 조리개(122)는 조리개 구동 회로(136)에 의해 구동 제어가 이루어진다. The lens unit 120 includes a first lens 121 and a second lens 123, and an aperture 12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121 and the second lens 123. The first lens 121 and the second lens 123 of the lens unit 120 are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lens driving circuit 135, and the aperture 122 is controlled by the aperture driving circuit 136. Is done.

상기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의 광축 상에서 상기 제2 렌즈(123)의 뒤쪽에는, 대략 중앙부분이 반투명경(half mirror)으로 이루어져 있는 미러(mirror)(124)가 형성된다. 상기 미러(124)는 축(124a)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On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121 and the second lens 123, a mirror 12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lens 123, the center portion of which is composed of a half mirror. do. The mirror 124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axis 124a.

그리고, 상기 미러(124)의 배면에는 서브 미러(sub mirror)(125)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부(120)에 입사한 빛의 일부는 미러(124)를 투과하여 서브 미러(125)에 의해 반사된다. 상기 서브 미러(125)의 반사광 축 상에는 2상 분리를 위한 세퍼레이터(separator) 광학계(128)가 배치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광학계(128)에 의한 피사체 상의 결상 위치에는 AF 센서(129)가 배치된다. AF 센서(129)는 AF 센서 구동 회로(138)에 접속되어 있다. In addition, a sub mirror 125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124.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unit 120 passes through the mirror 124 and is reflected by the sub-mirror 125. A separator optical system 128 for two-phase separation is disposed on the reflected light axis of the submirror 125. The AF sensor 129 is disposed at an image forming position on the subject by the separator optical system 128. The AF sensor 129 is connected to the AF sensor driving circuit 138.

상기 서브 미러(125), 세퍼레이터 광학계(128) 및 AF 센서(129)는 공지의 위상차법에 의한 초점 검출 장치를 구성한다. AF 센서(129)는 제어부(141)의 제어 하에서, AF 센서 구동 회로(138)에 의해서 구동 제어된다. 즉, 제어부(141)는 AF 센서(129)에서 생성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디포커스 양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렌즈 구동 회로(135)를 제어하여 렌즈부(120)의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를 구동하여 초점을 맞춘다. 여기서, 렌즈 구동 회로(135)는 전자 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 등의 구동원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encoder) 장치 등을 포함한다. The submirror 125, the separator optical system 128, and the AF sensor 129 constitute a focus detection apparatus by a known phase difference method. The AF sensor 129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AF sensor driving circuit 138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1. That is, the controller 141 calculates the defocus amount based on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AF sensor 129, and controls the lens driving circuit 135 using the same to control the first lens 121 of the lens unit 120. ) And the second lens 123 to focus. Here, the lens driving circuit 135 includes a driving source such as an electronic motor or an ultrasonic motor, a driver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ame, an encoder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and the like.

상기 미러(124)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 상에는, 초점판(131), 펜타프리즘(132) 및 뷰 파인더(133)를 포함하는 파인더 광학계(130)가 배치된다. 상기 렌즈부(120)의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에서 얻어진 피사체 빛은, 미러(124)에서 반사되고, 초점판(131)에서 결상된다. 촬영자는 상기 초점판(131)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을 상기 펜타프리즘(132)과 뷰 파인더(133)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A finder optical system 130 including a focus plate 131, a pentaprism 132, and a view finder 133 is disposed on the path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mirror 124. The subject light obtained by the first lens 121 and the second lens 123 of the lens unit 120 is reflected by the mirror 124 and formed in the focusing plate 131. The photographer may check an image of a subject formed on the focus plate 131 using the pentaprism 132 and the view finder 133.

상기 미러(124)와 서브 미러(125)는 미러 구동 회로(137)에 의하여 미러(124)의 축(124a)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렌즈부(120)의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20)의 광축 상의 미러(124) 뒤쪽에는 셔터(shutter)(126)와, 촬상 소자(127)가 배치된다. The mirror 124 and the sub-mirror 125 are formed to be rotatable by a mirror driving circuit 137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axis 124a of the mirror 124. The first lens 121 and the second lens 123 may be driven to retract from the optical axis. A shutter 126 and an imaging device 127 are disposed behind the mirror 124 on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20.

상기 셔터(126)는, 셔터 구동 회로(139)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 오픈(open)되어, 상기 촬상 소자(127)에서 피사체의 상이 촬상된다. 즉, 미러(124)가 미러 구동 회로(137)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렌즈부(120)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하기 위하여 상승하고, 셔터(126)가 셔터 구동 회로(139)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오픈 상태가 되면, 촬상 소자(127) 상에 피사체 상의 형성되는 것이다. The shutter 126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drive control of the shutter driving circuit 139,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is picked up by the imaging device 127. That is, the mirror 124 is raised to retract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20 by the drive control of the mirror drive circuit 137, and the shutter 126 is opened by the drive control of the shutter drive circuit 139. When it is in a state, it is formed on the subject on the imaging element 127.

상기 렌즈 구동 회로(135), 조리개 구동 회로(136), 미러 구동 회로(137), AF 센서 구동 회로(138) 및 셔터 구동 회로(139)는 데이터 버스(152)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되는 제어부(141)에 접속되어 있다. The lens driving circuit 135, the aperture driving circuit 136, the mirror driving circuit 137, the AF sensor driving circuit 138, and the shutter driving circuit 139 are connected to a microprocessor through a data bus 152.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141 comprised by ().

또한, 스위치 입력 수단(142)과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143) 또한 데이터 버스(152)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되는 제어부(141)에 접속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witch input means 142 and the EEPROM 143 which is a nonvolatile memory are also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141 which consists of a microprocessor via the data bus 152. FIG.

상기 스위치 입력 수단(142)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셔터-릴리스 버튼(도 1의 111 참조)의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에 의해 온(on) 되는 제1 릴리스 스위치, 셔터-릴리스 버튼(도 1의 111 참조)의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에 의해 온(on) 되는 제2 릴리스 스위치, 파워 버튼(미도시)에 연동하는 파워 스위치 등의 복수의 스위치(switch)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입력 수단(142)의 어느 한쪽의 스위치 조작에 의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141)에 공급한다. The switch input means 142 is a first release switch and a shutter that are turned on by a first image capturing signal as a half shutter signal of the shutter-release button (see 111 in FIG. 1)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 plurality of switches such as a second release switch that is turned on by the second image capture signal as a complete shutter signal of the release button (see 111 in FIG. 1), and a power switch that is linked to a power button (not shown) ), The operation signal by any one switch operation of the switch input means 142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41.

상기 제어부(141)는 제1 릴리스 스위치가 온(ON) 되면 AF 센서 구동 회로(138)를 구동 제어하여, AF 센서(129) 상의 2상 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거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렌즈 구동 회로(135)를 구동 제어하여, 렌즈부(120)의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의 초점 조정을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141 controls to drive the AF sensor driving circuit 138 when the first release switch is turned on,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wo phases on the AF sensor 129, and uses the lens driving circuit from the distance data. The drive control of the 135 is performed to perform focus adjustment of the first lens 121 and the second lens 123 of the lens unit 120.

상기 제어부(141)는 제2 릴리스 스위치가 온(ON) 되면 미러 구동 회로(137)를 구동 제어하여, 미러(124)를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 구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AF 센서(129)의 출력에 근거하는 피사체 휘도 정보를 기초로 적정 단면 수축값과 셔터 노출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수축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개 구동 회로(136)를 구동 제어하여 조리개(122)를 구동하고, 상기 셔터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 구동 회로(137)를 구동 제어하여 셔터(126)를 구동한다. The control unit 141 controls to drive the mirror driving circuit 137 when the second release switch is turned on to drive the mirror 124 out of the optical axis, and to the output of the AF sensor 129. An appropriate cross-sectional shrinkage value and a shutter exposure time are obtained based on the subject luminance information on which it is based. Then, the aperture driving circuit 136 is driven and controlled using the contraction value to drive the aperture 122, and the shutter driving circuit 137 is driven and controlled using the shutter exposure time to control the shutter 126. Drive.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촬상 소자(127)의 촬상 면에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면, 상기 피사체의 상은 아날로그(analog)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이는 신호 처리 회로(145)에서 디지털(digital)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If the image of the subject is imaged on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e pickup device 127 by such an operation, the image of the subjec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image signal, which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mage signal by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45. do.

신호 처리 회로(145)는 데이터 버스(151)를 이용하여 EPROM(147), SDRAM(148)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50)에 접속되어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45 is connected to the EPROM 147, the SDRAM 148, and the flash memory 150 using the data bus 151.

EPROM(147)에는 신호 처리 회로(145)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memory)(148)은 화상 처리 전의 화상 데이터나 화상 처리 중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150)는,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다. SDRAM(148)은 휘발성의 일시적 기억 수단으로, 고속 동작이 가능하지만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기억 내용이 소멸되는 반면, 플래시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기억 수단이고, 저속으로 동작하지만,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기억 내용이 보존된다. The EPROM 147 stores programs executed by a processor included i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45. The 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 memory (SDRAM) 148 is 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image data before image processing and image data during image processing. The flash memory 150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stores finally determined image data. The SDRAM 148 is a volatile temporary storage means capable of high speed operation but the memory contents are destroyed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whereas the flash memory 150 is a nonvolatile storage means and operates at a low speed, but the power supply is cut off. Even if it is, the contents of memory are preser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검출부를 이용한 최대인식거리 조절 메커니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adjusting mechanism using the detector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검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피부색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a)는 발광부(161)가 온(ON)/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b)는 발광부(161)에 인가되는 펄스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ector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reflectance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skin color, and FIG. 6 (a) shows that the light emitter 161 is turned on ( FIG. 6B is a graph showing waveforms of pulse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161. FIG.

상세히,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는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고 나아가 라이브-뷰(live-view)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도 2의 117 참조)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촬영자가 뷰 파인더(도 2의 133 참조)를 통하여 피사체를 확인하고 있을 동안에도 디스플레이부가 온(ON) 되어 있다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일부에는 뷰 파인더의 주위에 아이 센서(eye sensor)를 적용하여, 뷰 파인더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촬영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를 자동으로 오프(OFF)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였다. In detail, a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see 117 of FIG. 2) such as an LCD in order to check a captured image and further implement a live-view function. A certain amount of power is consumed to drive the display unit. Therefore, if the display unit is ON while the photographer is checking the subject through the viewfinder (see 133 of FIG. 2), unnecessary power is consum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of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pplies an eye sensor around the viewfinder,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display unit when a photographer is detec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iewfinder. This prevent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그런데, 이와 같이 아이 센서가 적용된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경우, 특정한 반사율을 기준으로 촬영자 인식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의 평균 반사율(약 45%)을 기준으로 설정해놓고, 이를 기준으로 촬영자가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eye sensor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photographer recognition distance is set based on a specific reflectance. In other words, the average reflectance (about 45%) of the people is set as a reference, and based on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hotographe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러나, 대체로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들은 반사율이 작고, 피부색이 밝은 사람들은 반사율이 큰 경향이 있다. 즉, 피부색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도시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사율이 가장 큰 백인 여성과 반사율이 가장 작은 흑인 여성의 반사율은 거의 두 배 차이가 나게 된다. 이와 같은 개인별 반사율의 차이를 무시하고, 특정한 고정 값을 기준으로 촬영자가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경우, 검출 물체의 인식 거리가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흑인의 경우 반사율이 작기 때문에 인식 거리가 짧아져서,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부 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 되지 아니하고 계속 온(ON) 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반대로, 백인의 경우 반사율이 크기 때문에 인식 거리가 길어져서, 촬영자가 뷰 파인더에 기준 거리 이상 근접하지 아니할 때에도 촬영자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people with darker skin tend to have lower reflectances, and those with lighter skin tone tend to have higher reflectances. That is, as shown in FIG. 5 showing the reflectance according to the skin color difference, the reflectance of the white female having the largest reflectance and the black female having the smallest reflectance is almost doubled. When ignoring such a difference in individual reflectan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hotographer appro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specific fixed valu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object is chang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black people, since the reflectance is small, the recognition distance is shortened, and even if the photographer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ew finder, the display unit is not turned off and continues to be turned on, thereby consuming unnecessary power.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white people, the recognition distance is long because the reflectance is large, so that even when the photographer is not closer to the viewfind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display may be recognized and turned off.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촬영자의 광 반사율에 따라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according to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검출부(160)는 발광부(161)와 수광부(162)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detector 16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tter 161 and a light receiver 162.

상세히,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뷰 파인더(133)의 일 측에는 발광부(161)와 수광부(162)가 각각 배치된다. 발광부(161)는 소정의 광을 발산한다. 여기서, 발광부(161)로는 LED(light-emitting diode)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수광부(162)는 발광부(161)에서 발산되어 촬영자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162)는 상기 검출한 광을 기초로 소정의 출력값을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수광부(162)로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등 다양한 종류의 수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뷰 파인더(133)의 상측에 수광부(162)가 배치되고, 뷰 파인더(133)의 하측에 발광부(161)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발광부(161)로부터 나온 광이 촬영자에 반사되어 수광 부(162)로 입사할 수 있는 위치라면, 발광부(161) 및 수광부(162)의 위치는 자유롭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In detail, the light emitter 161 and the light receiver 162 ar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iew finder 133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light emitting unit 161 emits predetermined light. Here, various kinds of light sources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emitting unit 161. The light receiver 162 detec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61 and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outputs a predetermined output value to the control unit (see 141 of FIG. 3) based on the detected light. As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various types of light receiving devices such as a photo diode may be used. Here, although the light receiver 162 is disposed above the view finder 133 and the light emitter 161 is disposed below the view finder 133,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s long a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61 is reflected to the photographer and enters the light receiver 162,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er 161 and the light receiver 162 may be freely changed.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경우, 뷰 파인더(133) 주변에 어떤 물체도 존재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발광부(161)에서 발산되는 광은 수광부(162)로 입사하지 아니한다. 반면,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를 통해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하여 눈(EYE)을 뷰 파인더(133)에 접근시킬 경우, 발광부(161)에서 발산된 빛은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어 수광부(162)로 입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162)는 입사 광량에 대응하는 수광 신호를 출력값으로써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로 출력하게 된다. When the photographer is separated from the view finder 133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since no object exists around the view finder 133,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61 does not enter the light receiver 162. .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tographer approaches the eye EYE to the view finder 133 to observe the subject through the view finder 133,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61 is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to receive the light receiver 162. Will be entered.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outputs a light rece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light amount to the controller (see 141 of FIG. 3) as an output value.

그리고,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는 상기 수광부(162)에서 출력하는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see 141 of FIG. 3) adjusts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based on the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light receiver 162.

상세히,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는 기준 반사율을 가진 촬영자를 기준으로 한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의 디폴트(default) 값이 설정되어 있다. In detail,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set to a default value of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based on the photographer having the reference reflectance.

예를 들어,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가 5cm이고, 기준 반사율을 가진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부터 5cm 거리에 접근했을 때의 수광부(162)의 출력값, 즉 기준값(Vref)이 1.3V일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기준 반사율을 가진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부터 5cm 거리에 접근했을 때,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는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 접근하였음을 검출하며, 이때의 수광부(162)의 출력값(Veye)은 1.3V가 된다.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is 5 cm and the photographer having the reference reflectance approaches 5 cm from the view finder 133,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 receiver 162, that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is 1.3. Assume the case of V. In this case, when a photographer having a reference reflectance approaches a 5 cm distance from the view finder 133, the controller (see 141 of FIG. 3) detects that the photographer approaches the view finder 13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at this time. ), The output value (V eye ) becomes 1.3V.

그런데,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높을 경우에는, 촬영자가 반사하는 빛의 양이 기준보다 많으므로, 수광부(162)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작을 때에도,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다. 즉,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 시점의 수광부(162)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작다면(즉, Vref > Veye),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높은 경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켜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By the way, when the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since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even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is smaller than 1.3 V, which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 the photographer It is detected that has approached the view finder 133. That is, if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at the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hotographer approaches the view finder 133 is smaller than 1.3 V which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that is, V ref > V eye ), the photograph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flect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발광부(161)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킨다. 즉, 발광부(161)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켜서, 결과적으로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Her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er 161 is reduced. That is, by reduc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61, and consequently 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unit 160 is reduced.

이와 같이 발광부(161)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는 발광부(161)의 펄스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길게 조절한다. 즉, 기존의 펄스 파형이 도 6(a) 및 도 6(b)과 같은 상태에서, 펄스 수를 감소시키거나, 펄스의 듀티비를 감소시키거나, 펄스의 주파수를 길게 조절하면, 발광부(161)가 광을 발산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며, 결과적으로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er 161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see 141 of FIG. 3) may reduce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er 161 or reduce the duty ratio of the pulses. Or adjust the frequency of the pulse long.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existing pulse waveform is as shown in Figs. 6 (a) and 6 (b), when the number of pulses is reduced, the duty ratio of the pulses is reduced, or the frequency of the pulses is adjusted, the light emitting unit ( The time for which 161 emits light is reduced, and as a result,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반면,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낮을 경우에는, 촬영자가 반사하는 빛의 양이 기준보다 적으므로, 수광부(162)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커야만,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다. 즉, 촬영자가 뷰 파인더(133)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 시점의 수광부(162)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크다면(즉, Vref < Veye),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낮은 경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켜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since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e output value (V eye )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is greater than 1.3V, the reference value (V ref ), the photographer It is detected that has approached the view finder 133. That is,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at the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hotographer approaches the view finder 133 is greater than 1.3 V, that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that is, V ref <V eye ), the photograph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flect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광부(161)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킨다. 즉, 발광부(161)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켜서, 결과적으로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Her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er 161 is increased. That is,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unit 160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61 and consequentl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이와 같이 발광부(161)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는 발광부(161)의 펄스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짧게 조절한다. 즉, 기존의 펄스 파형이 도 6(a) 및 도 6(b)과 같은 상태에서, 펄스 수를 증가시키거나,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펄스의 주파수를 짧게 조절하면, 발광부(161)가 광을 발산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결과적으로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검출부(160)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er 161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see 141 of FIG. 3) increase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er 161 or increases the duty ratio of the pulses. Or shorten the frequency of the pulse.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existing pulse waveform is as shown in Figs. 6 (a) and 6 (b), when the number of pulses is increased, the duty ratio of the pulses is increased, or the frequency of the pulses is shortened, the light emitting unit ( The time for which 161 emits light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160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각 촬영자별로 반사율이 다르기 때문에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 또한 각 촬영자별로 달라짐으로 인해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촬영자가 달라질 경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effect of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loss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reflectance is different for each photographer,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power loss occurs becau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is also different for each photographer. However,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is automatically adjusted when the photographer changes,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lo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영자가 검출부에 접근하는 단계(S110 단계), 검출부의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는 단계(S120 단계), 상기 비교 결과,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작을 경우(S130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S135 단계), 상기 비교 결과,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클 경우(S140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S145 단계) 및 상기 감소 또는 증가한 최대인식거리 값을 저장하는 단계(S150 단계)를 포함한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er approaches the detector (step S110), the output value V eye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of the detector. Comparing (S120), and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S130), reduc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120). Step S135),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step S140), in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ep S145); and And storing the reduced or increased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value (step S150).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경우, 뷰 파인더 주변에 어떤 물체도 존재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발광부(도 4의 161 참조)에서 발산되는 광은 수광부(도 4의 162 참조)로 입사하지 아니한다. When the photographer is separated from the viewfinder by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since no object exists around the viewfind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see 161 of FIG. 4) enters the light receiver (see 162 of FIG. 4). Not.

반면, 촬영자가 뷰 파인더를 통해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하여 눈을 뷰 파인더에 접근시킬 경우(S110 단계), 발광부(도 4의 161 참조)에서 발산된 빛은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어 수광부(도 4의 162 참조)로 입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도 4의 162 참조)는 입사 광량에 대응하는 수광 신호를 출력값으로써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로 출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tographer approaches the eye to the viewfinder to observe the subject through the viewfinder (step S11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see 161 of FIG. 4) is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to receive the light receiver (FIG. 4). (See 162). The light receiving unit 162 of FIG. 4 outputs a light rece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light amount to the controller (see 141 of FIG. 3) as an output value.

다음으로, 제어부(도 3의 141 참조)는 검출부의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여(S120 단계),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작을 경우(S130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고(S135 단계),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클 경우(S140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킨다(S145 단계). Next, the controller (see 141 of FIG. 3) compares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step S120), so that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If smaller (step S130),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reduced (step S135), and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step S140), the digital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increased (step S145).

상세히,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는 기준 반사율을 가진 촬영자를 기준으로 한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의 디폴트(default) 값이 설정되어 있다. In detail,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default value of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based on the photographer having the reference reflectance is set.

예를 들어,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가 5cm이고, 기준 반사율을 가진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부터 5cm 거리에 접근했을 때의 수광부의 출력값, 즉 기준값(Vref)이 1.3V일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기준 반사율을 가진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부터 5cm 거리에 접근했을 때, 제어부는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 접근하였음을 검출하며, 이때의 수광부의 출력값(Veye)은 1.3V가 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is 5 cm, and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 receiver, that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 is 1.3 V when the photographer having the reference reflectance approaches the distance of 5 cm from the viewfinder. In this case, when the photographer with the reference reflectance approaches 5 cm from the viewfinder,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photographer has approached the viewfinder, and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light-receiving unit at this time is 1.3V.

그런데,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높을 경우에는, 촬영자가 반사하는 빛의 양이 기준보다 많으므로, 수광부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작을 때에도,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다. 즉,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 시점의 수광부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작다면(즉, Vref > Veye),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높은 경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켜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By the way, when the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so that even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1.3 V which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 Detects approaching That is, the photographer hayeoteum access to the viewfinder, if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detection point (V ey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V ref) 1.3V (i.e., V ref> V eye), than a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d person based on the reflectance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high case.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이와 같이,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킨다. 즉,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켜서, 결과적으로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As such, in order to redu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er is reduced. That is, by reduc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consequently 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portion is reduced.

여기서,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어부는 발광부의 펄스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길게 조절한다. Here, in order to reduce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the control part reduce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part, or decreases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pulse long.

반면,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낮을 경우에는, 촬영자가 반사하는 빛의 양이 기준보다 적으므로, 수광부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커야만,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다. 즉, 촬영자가 뷰 파인더로 접근하였음이 감지된 시점의 수광부의 출력값(Veye)이 기준값(Vref)인 1.3V보다 크다면(즉, Vref < Veye), 촬영자의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낮은 경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켜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tographer's reflect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since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the photographer needs to view the viewfinder only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light receiver is larger than 1.3 V, which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 Detects approaching That is, if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light receiver is greater than 1.3 V, that is, the reference value V ref (ie, V ref <V eye ), the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It can be judged that the case is low.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이와 같이,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킨다. 즉,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켜서, 결과적으로 촬영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As such, in order to increa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er is increased. That is, by increas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part, and consequent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part is increased.

여기서,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어부는 발광부의 펄스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짧게 조절한다. Herein,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divergence time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part,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puls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part, increases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shortens the frequency of the puls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각 촬영자별로 반사율이 다르기 때문에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 또한 각 촬영자별로 달라짐으로 인해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촬영자가 달라질 경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effect of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loss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reflectance is different for each photographer,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power loss occurs becau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is also different for each photographer. However,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is automatically adjusted when the photographer changes,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los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ppearanc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er appearanc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검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ector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피부색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showing the reflectance according to the skin color difference.

도 6(a)는 발광부가 온(ON)/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6 (a) is a graph showing a light emitting unit turned on / off.

도 6(b)는 발광부에 인가되는 펄스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6B is a graph showing waveforms of pulse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20: 렌즈부100: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lens unit

124: 미러 126: 셔터124: mirror 126: shutter

127: 촬상 소자 129: AF 센서127: imaging device 129: AF sensor

130: 파인더 광학계 131: 초점판130: finder optical system 131: focusing plate

132: 펜타 프리즘 133: 뷰 파인더132: penta prism 133: view finder

141: 제어부 145: 신호 처리 회로141: control unit 145: signal processing circuit

160: 검출부 161: 발광부160: detection unit 161: light emitting unit

162: 수광부162: light receiver

Claims (17)

촬영자가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 및 화상이 전기적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viewfinder for a photographer to observe a subject and a display unit to which an image is electrically implemented. 상기 뷰 파인더의 일 측에 배치되며,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상기 촬영자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A detecto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iew finder, the detect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And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하는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A control unit controlling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an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에 따라 상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a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상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고,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reduces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상기 검출부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less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in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검출부의 최대 인식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etector by adjust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e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고,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less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increase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된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여, By comparing the output value (V eye )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상기 출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고, If the output valu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increased. 상기 출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if the output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redu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 또는 펄스의 듀티비 또는 펄스의 주 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unit by adjust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unit or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the frequency of the puls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짧게 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par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part, increas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shorten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s.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길게 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unit by reduc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light emitting unit, reduc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촬영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the controller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촬영자가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 및 화상이 전기적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viewfinder for a photographer to observe a subject and a display unit to which an image is electrically implemented. 검출부의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상기 비교 결과,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작을 경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 Reduc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상기 비교 결과,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클 경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In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And 상기 감소 또는 증가한 최대인식거리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nd storing the reduced or increased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value. 제 10 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검출부의 출력값(Veye)과 소정의 기준값(Vref)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In the step of comparing the output value (V eye ) of the detect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작고,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he output value (V eye ) of the detector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검출부의 출력값(Veye)이 소정의 기준값(Vref)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nd if the photographer's light reflectance is less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an output value V eye of the detect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V ref . 제 10 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검출부는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상기 촬영자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 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photograp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는, Increasing and / or de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상기 발광부의 광 발산 시간을 조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adjusting the light divergence time of the light emitting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는, Increasing and / or de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크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감소시켜서 상기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고,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flectance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to reduc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상기 촬영자의 광 반사율이 기준 반사율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증가시켜서 상기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nd if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photographer is less than a reference reflectance,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 increase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Reduc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길게 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nd reducing the puls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part, reduc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최대인식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Increasing the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발광부의 펄스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펄스의 주파수를 짧게 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nd increasing the puls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part, increas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or shortening the frequency of the pulse. 제 10 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단계들 이후, After the above steps,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촬영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And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20090128175A 2009-12-21 2009-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201100715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75A KR20110071562A (en) 2009-12-21 2009-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75A KR20110071562A (en) 2009-12-21 2009-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62A true KR20110071562A (en) 2011-06-29

Family

ID=4440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175A KR20110071562A (en) 2009-12-21 2009-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156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2444B2 (en) Digital camera
JP5538549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finder device
JP2008242226A (en) Photographing device and focusing control method of photographic lens
JP2009192774A (en) Focus adjustment device and imaging device
US7970270B2 (en) Auto focu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ub-mirror
KR1016302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user recognition in Digital imaging processor
JP2003140236A (en) Camera
JP4105933B2 (en) Digital camera and image generation method
JP2010072320A (en) Camera
JP6742733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JP2006350253A (en) Single lens reflex type digital camera
JP2007006097A (en) Camera
JP2010074743A (en) Imaging device
JP5572564B2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715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20090087694A (en) Auto focus system and auto focus method using the same
JP2008283258A (en) Electronic camera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183188B2 (en) Imaging device and strobe device
JP2016151714A (en) Control method for optical device, lens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photography system
JP2006106201A (en) Camera
JPH09179014A (en)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JP2008257083A (en) Electronic camera
JP2005115385A (en) Photography method that protects against photographer error
KR101080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using auto focus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8219334A (en) Electronic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