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411A -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411A
KR20110071411A KR1020090127975A KR20090127975A KR20110071411A KR 20110071411 A KR20110071411 A KR 20110071411A KR 1020090127975 A KR1020090127975 A KR 1020090127975A KR 20090127975 A KR20090127975 A KR 20090127975A KR 20110071411 A KR20110071411 A KR 2011007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lity
media
qos
qos parameter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781B1 (ko
Inventor
이경희
이현우
엄태원
이성근
류원
최성곤
김현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781B1/ko
Priority to US12/972,809 priority patent/US20110149775A1/en
Publication of KR2011007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7Network analysis or design for predicting network behavi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67Customer-centric QoS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미디어 체감 품질을 측정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영상품질 모니터링 시스템(MQMS); 및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Qo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며,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과 예측한 체감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SCS)에 전송하는 미디어 품질 및 전송 QoS 연동 제어 시스템(QCS)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127975
품질, 예측, 패킷, SCS, MQMS.

Description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MEDIA QUALITY ASSESSMENT AT TERMINAL DEVICE AND QOS CONTROL IN TRANSPORT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계층의 전송 QoS 지표를 이용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에서의 객관적인 체감품질(QoE: Quality of Experience)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IT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2008-S-006-02, 과제명: 품질 보장 형 4A서비스 네트워킹 기술 개발].
근래에 들어 IP 기반의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및 통방융합 네트워크의 형태로 통신 인프라가 통합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합 망을 통해 기존의 인터넷 서비스는 물론 IPTV, VoIP 및 VoD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통합 망 환경에서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제공자는 사용자의 지속적인 서비스 사용을 유인하기 위해 실제 서비스 사용자들이 서비스 품질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 지를 예측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IP 기반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 측정은 ITU-T, IETF 등 국제 표준 기구에서 권고하는 패킷 전송 지연(Delay), 전송 지연변이(Jitter), 패킷 손실(Packet Loss)과 같이 네트워크 전송 계층의 성능과 관련된 지표를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네트워크 전송 계층의 성능과 관련된 지표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품질 변화가 정확하게 비례하는 것은 아니므로, 전송 QoS 만으로 서비스 사용자의 품질 만족도를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네트워크 계층의 품질 지표를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품질을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전송 망에서의 QoS 지표 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체감품질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실제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한 체감품질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품질 장애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하부 전송 망 및 서비스 제어에 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미디어 체감 품질을 측정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영상품질 모니터링 시스템(MQMS); 및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Qo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며,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과 예측한 체감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SCS)에 전송하는 미디어 품질 및 전송 QoS 연동 제어 시스템(QCS)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의 QCS는,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하는 패킷 수집 모듈; 상기 패킷 수집 모듈이 수집한 패킷을 이용하여 QoS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 상기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이 측정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 품질을 예측하는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 과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에서 예측된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는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 및 상기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에서 산출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상기SCS로 전달하는 QoS 파라미터 조정 값 전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은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Qo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단말 영상품질 모니터링 시스템(MQMS)으로부터 상기 MQMS가 측정한 미디어 체감 품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이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이 상기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보다 큰 경우에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SCS)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전송 망에서의 QoS 지표 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체감품질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실제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한 체감품질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품질 장애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하부 전송 망 및 서비스 제어에 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품질 및 전송 QoS 연동 제어 시스템(QCS: QoS/QoE Control System)(110)와, 멀티미디어 단말 영상품질 모니터링 시스템(MQMS: Media Quality Measurement System)(120) 및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SCS: Service QoS Control System)(130)로 구성된다.
QCS(110)는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Qo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며, MQMS(120)가 측정한 체감 품질(QoE: Quality of Experience)과 예측한 체감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SCS(130)에 전송한다.
이때, QCS(110)는 NGN 환경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인터넷 회선으로부터 필터링 및 수집하는 인터페이스(Qr), MQMS(120)으로부터 QoS 요구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인터페이스(Qb), 단말 품질 모니터링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인터페이스(Qu), 및 QCS에서 도출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SCS(130)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Qm)를 외부 인터페이스로 가질 수 있다. 이때, QoS 요구 정보는 멀티미디어 영상 수신에 요구되는 대역폭이 포함될 수 있다.
QCS(1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MQMS(120)는 단말기(140)가 수신하는 미디어의 미디어 체감 품질을 측정한다.
이때, 단말기(140)가 수신하는 미디어는 스트리밍 서버(160)에서 네트워크(150)을 통하여 전송된 미디어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150)는 복수의 라우터를 포함하는 NGN(Next Generation Network)과 같은 차세대 유무선 통합 망 환경일 수 있다.
SCS(130)는 QCS(110)로부터 수신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에 기초하여 QoS 파라미터를 제어함으로써 체감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품질 및 전송 QoS 연동 제어 시스템(QC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품질 및 전송 QoS 연동 제어 시스템(QCS)(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수집 모듈(210),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 및 QoS 파라미터 조정 값 전달 모듈(2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패킷 수집 모듈(210)은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패킷 수집 모듈(210)은 단말기(140)가 수신하는 미디어로부터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하고, 추출한 패킷을 Qr 인터페이스를 통해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패킷 수집 모듈(210)은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제어 메시지 패킷을 상기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수집 모듈(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헤더 선행 처리부(211), 패킷 추출 기능부(212) 및 네트워크 정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헤더 선행 처리부(211)는 단말기(140)가 수신하는 미디어에서 QoS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이 추출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140)가 수신하는 미디어에서 QoS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을 판별하고, 판별된 패킷의 해더에 QoS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이라는 표시를 첨가함으로써 패킷 추출 기능부(212)가 판별된 패킷을 추출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패킷 추출 기능부(212)는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패킷 헤더 선행 처리부(211)에서 단말기(140)가 수신하는 미디어에서 QoS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으로 판별되지 않은 패킷들을 추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합부(213)는 패킷 추출 기능부(212)의 네트워크에 대한 정합 기능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회선의 연속된 비트스트림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레임을 생성하여 패킷 헤더 선행 처리부(211)로 전달할 수 있다.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는 패킷 수집 모듈(210)이 수집한 패킷을 이용하여 QoS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이때,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은 네트워크 지연 측정부(221), 지연변이 측정부(222); 및 패킷 손실 측정부(223)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지연 측정부(221)는 RTCP 패킷의 SR/RR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이용하여 종단간 왕복 지연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연변이 측정부(222)는 스트리밍 서버(160)와 단말기(140)간의 지연변이(Jitter)를 RTCP 패킷의 Interarrival Jitter 필드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 손실 측정부(223)는 RTCP SR/RR 패킷의 Cumulative Number of Packet Lost(24bits) 필드를 이용하여 패킷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는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이 측정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 품질을 예측한다.
이때,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은 대역폭 정보 수신부(231), QoS value 산출부(232); 및 미디어 품질 평가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폭 정보 수신부(231)는 MQMS(120)로부터 Q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QoS 품질 지표인 대역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QoS value 산출부(232)는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이 측정한 QoS 파라미터와 대역폭 정보 수신부(231)가 수신한 대역폭 정보를 기초로 정규화된 QoS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품질 평가부(233)는 QoS value 산출부(232)가 산출한 정규화된 QoS 값을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 품질을 예측할 수 있다.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MQMS(120)에서 측정된 체감품질과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에서 예측된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한다.
이때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은 MQMS(120)에서 측정된 체감품질과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에서 예측된 품질이 비슷하게 저하된 경우에 품질이 저하된 미디어 품질 항목과 관련이 있는 QoS 파라미터와 그 상대적 기여도 및 조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은 MQMS(120)에서 측정된 체감 품질이 기준 품질 보다 큰 경우에 MQMS(120)에서 측정된 체감품질을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에서 예측된 품질과 비교하지 않고 품질 평가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은 MQMS(120)에서 측정된 체감품질이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에서 예측된 품질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성능 저하에 의하여 품질이 저하되었다는 메시지를 SCS(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은 MQMS(120)가 측정한 체감 품질이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보다 큰 경우에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도출한 QoS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MQMS(120)에서 측정된 체감품질과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에서 예측된 품질을 비교하는 미디어 품질 비교 기능부와,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관련된 QoS 파라미터 도출 기능부 및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는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QoS 파라미터 조정 값 전달 모듈(250)는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에 서 산출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SCS(130)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과정의 일례이다.
단계(S310)에서 패킷 추출 기능부(212)는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한다. 이때, 패킷 추출 기능부(212)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미디어에 포함된 패킷들의 헤더 내에 위치한 프로토콜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RTCP 프로토콜에 해당되는 패킷들만을 필터링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은 단계(S320)에서 수집된 패킷을 이용하여 QoS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이때,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220)은 왕복 지연시간, 지연변이 및 패킷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MQMS(120)로부터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및 수집된 QoS 파라미터 정보는 품질을 평가하기 전까지 데이터 테이블 상에 저장되며, 미디어 품질 평가에 사용된 후 삭제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은 단계(S320)에서 측정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 품질(QE_value)을 예측한다. 이때,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230)는 예측한 미디어 체감 품질(QE_value)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S340)에서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MQMS(120)로부터 MQMS(120)가 측정한 체감품질(QM_value)를 수신한다.
단계(S350)에서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단계(S340)에서 수신한 체감품질(QM_value)이 기준 품질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단계(S340)에서 수신한 체감품질(QM_value)이 기준 품질보다 큰 경우에 체감품질(QM_value)을 예측된 체감품질(QE_value)과 비교하지 않고 품질 평가 동작을 종료하거나 처음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단계(S360)에서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단계(S340)에서 수신한 체감품질(QM_value)이 단계(S330)에서 예측된 체감품질(QE_value)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S370)에서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단계(S360)에서 체감품질(QM_value)이 체감품질(QE_value)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시스템 성능 저하에 의하여 품질이 저하되었다는 메시지를 SCS(130)로 전송한다.
단계(S380)에서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240)는 단계(S360)에서 체감품질(QM_value)이 체감품질(QE_value)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도출한 QoS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한다.
단계(S390)에서 QoS 파라미터 조정 값 전달 모듈(250)은 단계(S390)에서 산출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SCS(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전송 망에서의 QoS 지표 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체감품질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실제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한 체감품질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품질 장애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하부 전송 망 및 서비스 제어에 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은 품질 장애의 원인에 따라 하부 전송 망 및 서비스 제어를 동적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망 증설 및 유지보수 등 불필요한 관리 비용 투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품질 및 전송 QoS 연동 제어 시스템(QC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과정의 일례이다.

Claims (17)

  1. 미디어 체감 품질을 측정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영상품질 모니터링 시스템(MQMS: Media Quality Measurement System); 및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Qo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며,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과 예측한 체감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SCS: Service QoS Control System)에 전송하는 미디어 품질 및 전송 QoS 연동 제어 시스템(QCS: QoS/QoE Control System)
    을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CS는,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하는 패킷 수집 모듈;
    상기 패킷 수집 모듈이 수집한 패킷을 이용하여 QoS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
    상기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이 측정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 품질을 예측하는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과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에서 예측된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QoS 파라미 터 조정 값을 산출하는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 및
    상기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에서 산출된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상기SCS로 전달하는 QoS 파라미터 조정 값 전달 모듈
    을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수집 모듈은,
    QoS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이 추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패킷 헤더 선행 처리부;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하는 패킷 추출 기능부; 및
    상기 패킷 추출 기능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정합 기능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회선의 연속된 비트 스트림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패킷 헤더 선행 처리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정합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은 RTCP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은,
    RTCP 패킷의 SR/RR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이용하여 종단간 왕복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네트워크 지연 측정부;
    스트리밍 서버와 단말기 간의 지연변이(Jitter)를 RTCP 패킷의 Interarrival Jitter 필드로부터 수집하는 지연변이 측정부; 및
    RTCP SR/RR 패킷의 Cumulative Number of Packet Lost(24bits) 필드를 이용하여 패킷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패킷 손실 측정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MQMS로부터 QoS 품질 지표인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대역폭 정보 수신부;
    상기 QoS 파라미터 측정 모듈이 측정한 QoS 파라미터와 상기 대역폭 정보를 기초로 정규화된 QoS 값을 산출하는 QoS value 산출부; 및
    상기 QoS value 산출부가 산출한 정규화된 QoS 값을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 품질을 예측하는 미디어 품질 평가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은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과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에서 예측된 품질이 비슷하게 저하된 경우에 품질이 저하된 미디어 품질 항목과 관련이 있는 QoS 파라미터와 그 상대적 기여도 및 조정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은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 품질이 기준 품질 보다 큰 경우에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을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에서 예측된 품질과 비교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은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이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에서 예측된 품질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성능 저하에 의하여 품질이 저하되었다는 메시지를 상기 SC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품질 비교/분석 모듈은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이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보다 큰 경우에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도출한 QoS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11.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Qo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단말 영상품질 모니터링 시스템(MQMS)으로부터 상기 MQMS가 측정한 미디어 체감 품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이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이 상기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보다 큰 경우에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SCS)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QoS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패킷은 RTCP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RTCP 패킷의 SR/RR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이용하여 종단간 왕복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스트리밍 서버와 단말기 간의 지연변이(Jitter)를 확인하는 단계; 및
    패킷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MQMS로부터 QoS 품질 지표인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QoS 파라미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한 QoS 파라미터와 상기 대역폭 정보를 기초로 정규화된 QoS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정규화된 QoS 값을 이용하여 미디어 체감 품질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이 상기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성능 저하에 의하여 품질이 저하되 었다는 메시지를 상기 SCS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이 기준 품질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이 기준 품질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MQMS에서 측정된 체감품질을 상기 미디어 품질 평가 모듈에서 예측된 품질과 비교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MQMS가 측정한 체감 품질이 상기 미디어 체감품질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한 체감 품질보다 큰 경우에 품질 저하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도출한 QoS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조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체감 품질 예측 및 관리 방법.
KR1020090127975A 2009-12-21 2009-12-21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75A KR101268781B1 (ko) 2009-12-21 2009-12-21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2/972,809 US20110149775A1 (en) 2009-12-21 2010-12-20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media quality assessment at terminal device and qos control in transpor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75A KR101268781B1 (ko) 2009-12-21 2009-12-21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11A true KR20110071411A (ko) 2011-06-29
KR101268781B1 KR101268781B1 (ko) 2013-05-29

Family

ID=4415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975A KR101268781B1 (ko) 2009-12-21 2009-12-21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49775A1 (ko)
KR (1) KR1012687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68A1 (ko) * 2015-06-16 2017-12-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바일 환경에서 qos/qoe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999625B2 (en) 2015-06-16 2021-05-04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reporting QoS/QoE in mobile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WO2022211268A1 (ko) * 2021-03-30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3065B1 (en) 1998-10-30 2006-09-05 Broadcom Corporation Data packet fragmentation in a cable modem system
US20120192216A1 (en) * 2011-01-24 2012-07-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Qoe ensu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68620B1 (ko) 2011-08-29 2015-11-11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단말기 상에서 추정된 qoe 들을 출력하는 방법
US8880689B2 (en) 2011-12-22 2014-11-0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to estimate quality of experience of application
FR2992809A1 (fr) * 2012-06-28 2014-01-03 France Telecom Procede d'estimation de la qoe d'un utilisateur sur un terminal dudit utilisateur
US9585030B2 (en) 2014-12-15 2017-02-28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ellular quality of experience
US10200438B2 (en) * 2016-01-15 2019-02-05 Pathsolutions, Inc. Test for preservation of differentiated service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EP3226472A1 (en) * 2016-04-01 2017-10-04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predicting a level of qoe of an application intended to be run on a wireless user equipment
CN107493519A (zh) * 2016-06-13 2017-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视频体验的网络质量评估方法及装置
WO2020102621A1 (en) * 2018-11-16 2020-05-22 Idac Holdings, Inc. Quality of service adaptation for pc5 reference point communication
US11757734B1 (en) * 2021-02-12 2023-09-12 CSC Holdings, LLC Quality of experience (QoE) scoring in a service provider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3530A1 (de) * 2001-12-21 2003-07-03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wachen der Dienstgüte in paketorientierten Netzen
US7403487B1 (en) * 2003-04-10 2008-07-22 At&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QOS
US8180385B2 (en) * 2009-03-31 2012-05-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lligent adaptive re-coding for improved communications resource utiliz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68A1 (ko) * 2015-06-16 2017-12-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바일 환경에서 qos/qoe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999625B2 (en) 2015-06-16 2021-05-04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reporting QoS/QoE in mobile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WO2022211268A1 (ko) * 2021-03-30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781B1 (ko) 2013-05-29
US20110149775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81B1 (ko) 단말 미디어 품질 및 전송 망 qos 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850337B (zh) 一种网络质量检测方法及装置
Kim et al. A study on a QoS/QoE correlation model for QoE evaluation on IPTV service
EP25308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quality of experience for media streaming
CN101577631B (zh) 评价用户体验质量的方法、系统及网络装置
KR101568628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im et al. QoE assessment model for video streaming service using QoS parameters in wired-wireless network
CN104115448A (zh) 监测网络传输特性的方法与装置
US9237339B1 (en) Framework for quantifying a total quality of experience for subscriber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im et al. QoE assessment model for multimedia streaming services using QoS parameters
KR20090065022A (ko) IP 미디어의 QoE 보장형 영상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US11936930B2 (en) Data processing method, server, and data collection device
CN110622480B (zh) 移动视频流的流量画像系统、设备和方法
KR100936236B1 (ko) SIP/RTP를 이용하는 VoIP 음성 트래픽의 서비스품질 메트릭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llange et al. User impatience and network performance
Szilágyi et al. Network side lightweight and scalable YouTube QoE estimation
CA274203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quality of experience for media streaming
KR100943728B1 (ko) Ip 패킷 헤더의 총길이 필드를 이용한 링크별 가용대역폭 측정 방법 및 링크의 가용 대역폭 정보 관리 방법
EP2369807A1 (en) Impairment detection and recording of isochronous media streams
Kim et al. End-to-end qos monitoring too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NGN
JP4668851B2 (ja) 品質クラス決定装置、品質クラス決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63004A (ja) 映像データ送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品質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923133B (zh) 基于quic的加密网页流量的体验质量指标监控方法
US20230412893A1 (en) Identification of Session Boundaries in Encrypted Video Streams
Serral‐Gracià et al. QoS and QoE Effects of Packet Losses in Multimedia Video Stre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