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666A -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666A
KR20110070666A KR1020100023633A KR20100023633A KR20110070666A KR 20110070666 A KR20110070666 A KR 20110070666A KR 1020100023633 A KR1020100023633 A KR 1020100023633A KR 20100023633 A KR20100023633 A KR 20100023633A KR 20110070666 A KR20110070666 A KR 2011007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ertisement content
content
recogni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구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70,59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150283A1/en
Publication of KR2011007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광고 컨텐츠를 공급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는,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제1 거리에서의 객체를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원거리 인식부;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의 객체를 분석한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근거리 인식부; 및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S}
본 발명은 객체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고 공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객체를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객체의 연령, 성별, 및 광고 컨텐츠에 대한 시선 방향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의 연령, 성별, 및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를 판단하여 광고 컨텐츠를 공급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화체육관광부의 IT원천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명: 방통융합형 Full 3D 복원 기술 개발 관리번호: 2008-F-030-02]
광고의 역할은 사용자들에게 광고에 대한 시선을 집중시키고,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높이는 데 있다. 따라서, 최근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광고를 전달하는 데에는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광고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기술에서도,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광고 컨텐츠를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광고를 인터렉티브 광고(Inter-Active Advertisement)라고도 한다. 인터렉티브 광고는 기존의 광고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광고 정보를 통제할 수 있고, 자신에게 적합한 정보를 선택하여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광고 공급 사이에 상호 작용을 함으로써 무의식적으로 광고에 대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 외에도, 광고와 상호 작용을 함으로써 광고 대상물에 대한 친숙도 및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광고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로 인터렉티브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인터렉티브 광고에 있어서 사용자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여 광고 컨텐츠를 공급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관심도, 성별, 연령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광고 컨텐츠의 공급 기술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관심도, 성별, 연령 등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공급하는 기술이 핵심이 되고 있다.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대표적인 기술은 카메라 영상을 입력 받아 이에 대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단순히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정지된 영상만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사용자 인식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정지된 영상에 더하여, 사용자의 행동, 시선 등 사용자의 동적인 정보를 함께 인식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행동 및 인식 결과에 대응하여 광고 컨텐츠의 공급을 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는,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제1 거리에서의 객체를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원거리 인식부;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의 객체를 분석한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근거리 인식부; 및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거리 인식정보는, 객체의 궤적 정보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생성된 복수의 객체의 궤적 정보와 성별 및 연령 정보의 관련 정보 및 관련 정보에 근거한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면 근거리 인식정보는, 객체의 얼굴, 성별, 연령, 및 제1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는, 객체의 제1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제1 광고 컨텐츠를 일차적으로 선택한 뒤, 근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되면 근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제2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 중 제1 시선 방향 정보는, 객체의 얼굴 및 눈동자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시선의 방향이 계산될 수 있다. 반면 제2 시선 방향 정보는, 객체의 상체 및 얼굴 중 하나 이상의 전면의 방향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에는, 객체와의 광고 컨텐츠 선택에 관한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가 더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은, 원거리 인식부가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를 제1 거리에서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근거리 인식부가 객체를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 분석한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공급 제어부가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에서, 근거리 인식정보는 객체의 얼굴, 성별, 연령, 및 제1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인식정보는, 객체의 궤적 정보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인식정보는 기 생성된 복수의 객체의 궤적 정보와 성별 및 연령 정보의 관련 정보 및 관련 정보에 근거한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제1 광고 컨텐츠를 일차적으로 선택한 뒤, 근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되면 근거리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제2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객체 정보 중 제1 시선 방향 정보는, 객체의 얼굴 및 눈동자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시선의 방향이 계산될 수 있다. 반면 제2 시선 방향 정보는, 객체의 상체 및 얼굴 중 하나 이상의 전면의 방향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장치와 컨텐츠 선택부가 광고 컨텐츠 선택에 관한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원거리에서의 궤적정보 및 시선 방향을 분석하여 현재 공급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에서의 정지된 영상을 인식하는 것뿐 아니라 원거리에서의 사용자의 행동 패턴(궤적 정보)을 통하여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 등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정확하게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컨텐츠 공급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 역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광고 컨텐츠 공급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근거리 인식부의 상세한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원거리 인식부의 상세한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는, 영상 처리부(102), 근거리 인식부(103), 원거리 인식부(104), 및 컨텐츠 선택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 처리부(102)에는 촬영부(101)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105)에는, 컨텐츠 서버(120), 표시부(110) 및 사용자 입력 장치(130) 중 하나 이상이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영상 처리부(102)는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02)에는 촬영부(101)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객체는 광고 컨텐츠의 사용자를 의미한다.
촬영부(101)는, 표시부(110)에서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표시부 근처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촬영부(101)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다.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100)는 표시부(11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100)가 하나의 서버로 관리될 수 있으므로, 촬영부(101)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100)와 독립되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촬영부(101)는 표시부(110)의 상단에 설치되어 표시부(110)에서 광고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향의 전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촬영부(101)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설치된 위치에서 전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촬영용 카메라가 촬영부(101)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외에도, 디지털 캠코더, 소형 캠(CAM),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여 전면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촬영부(101)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촬영부(101)는 영상 처리부(102)에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촬영부(101)는 촬영된 영상을 영상 처리부(102)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102)에서 처리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실시간으로 영상 처리부(102)에 영상을 전송하지 않고 주기적(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정지된 영상을 촬영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 처리부(102)는 촬영부(101)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다. 영상 처리부(102)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실시간 동영상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정지 영상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영상을 평활화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02)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중 배경과 객체를 분리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부(102)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만을 추출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객체만을 추출한 데이터는, 원거리 인식부(104) 및 근거리 인식부(103)로 전송된다.
영상 처리부(102)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만을 추출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의 영상은 동영상 및 복수개의 정지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원거리 인식부(103)는 제1 거리에서의 객체를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거리는, 객체를 분석함에 있어서, 객체의 움직임 및 시선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거리는 촬영부(101)로부터 3미터 거리일 수 있다. 물론 제1 거리는 정확한 거리 값일 수 있거나 제1 거리에 대해서 일정 범위를 의미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01)로부터 3미터 거리이거나 3미터 거리로부터 ±0.5미터의 범위일 수 있다.
원거리 인식부(103)는 제1 거리에서 객체를 분석한다. 제1 거리에서 객체를 분석 시, 객체의 얼굴 표정 또는 얼굴에 포함된 신체 요소들을 분석하는 것은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원거리 인식부(103)에서는 객체를 분석 시 객체의 움직임 및 방향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원거리 인식정보는, 객체의 궤적 정보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의 궤적 정보는 촬영부(101)에서 동영상 또는 일련의 정지 영상들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흐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객체가 신체 부위를 움직이는 동안의 행동 패턴 역시 궤적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를 굽히고 움직이는 패턴이 궤적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시선 방향 정보는 객체가 현재 방영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를 보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2 시선 방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촬영된 객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시선을 추정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원거리 인식부(104)에서 설정된 객체의 시선은 제1 거리에서 촬영한 객체 영상을 분석한 결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객체의 상체가 형성하는 방향, 즉 상체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 및 객체의 얼굴 전면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할 수 있다. 제1 거리는 눈의 시선을 정확하게 인식하기에는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체 및 얼굴의 전면이 가리키는 방향을 통해 시선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원거리 인식정보는 결과적으로 객체가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가 광고 컨텐츠가 송출되고 있는 표시부(110)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객체의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표시부(110)와 일치하고 있다면, 객체가 현재 송출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거리 인식부(104)는 객체의 궤적 정보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컨텐츠 선택부(105)에 공급하여 객체의 관심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원거리 인식정보에는 추가적으로, 기 생성된 복수의 객체들의 궤적 정보와 성별 및 연령 정보의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복수의 객체를 원거리 인식부(104) 및 근거리 인식부(103)에서 인식한 결과 원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궤적 정보와 이하 설명할 근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성별 및 연령 정보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원거리 인식부(104)에는 상기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원거리 인식부(104)는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객체의 궤적 정보에 따라서 이와 관련된 객체의 평균적인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추정할 수 있는 경우, 원거리 인식정보에는 관련 정보에 근거한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원거리 인식부(104)는 관련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촬영된 복수의 객체의 궤적 정보 및 근거리 인식부(103)에서 판단된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에 근거하여 관련 정보를 계속적으로 갱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근거리 인식부(103)뿐 아니라 원거리 인식부(104)에서도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연령 및 성별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근거리 인식부(103)는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의 객체를 분석한 근거리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근거리 인식부(103)는 제2 거리에서 객체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또는 제1 거리를 중심으로 한 소정 범위, 예를 들어 촬영부(101)로부터 3미터 거리이거나 3미터 거리로부터 ±0.5미터의 범위)보다 촬영부(101)에 근접한 거리를 의미한다. 촬영부(101)에 근접한 거리는 곧 촬영부(101)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제2 거리는 촬영부(101) 또는 표시부(110)로부터 1미터 거리이거나 1미터 거리로부터 ±0.3미터의 범위일 수 있다. 제2 거리는 객체의 얼굴에 포함된 신체 구성 요소를 인식하거나 표정 및 눈동자에 근거한 시선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제2 거리에서 인식되는 객체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되는 근거리 인식정보에는, 객체의 얼굴, 성별, 연령, 및 제1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객체의 얼굴 정보는 객체의 얼굴에 포함된 신체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머리 모양, 눈, 코, 입, 얼굴 윤곽 및 인식되는 얼굴 피부 특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인식부(103)는 객체의 얼굴 정보를 분석하여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는 축적된 객체의 얼굴 정보에 대응하는 성별 및 연령 정보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머리 모양에 근거하여 연령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얼굴의 윤곽의 크기 및 모양 정보에 근거하여 연령 및 성별을 예측할 수 있다. 얼굴 피부 특징에 나타난 주름 정도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연령 정보가 예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근거리 인식부(103)에는 제2 거리에서 측정한 얼굴 정보와 객체의 연령 및 성별 정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근거리 인식부(103)는 학습 능력을 가지고 상기 관계에 대한 정보를 학습하여, 더욱 정확하게 객체의 연령 및 성별 정보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객체의 제1 시선 방향 정보는 원거리 인식부(104)에서 생성되는 제2 시선 방향 정보에 더하여 더욱 정확하게 객체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생성된다. 근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되는 객체의 제1 시선 방향 정보는, 객체의 눈동자 및 얼굴 전면의 방향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객체의 얼굴 전면의 방향만을 포함할 경우 객체가 정확하게 어느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객체의 눈동자가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근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제1 시선 방향 정보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제2 시선 방향 정보와 함께 객체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컨텐츠 선택부(105)에 전달될 것이다.
컨텐츠 선택부(105)는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선택부(105)는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각각 원거리 인식부(104) 및 근거리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후 원거리 인식정보와 근거리 인식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객체의 연령 및 성별 정보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예측된 객체의 연령 및 성별 정보와 객체의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에 근거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60대 할아버지가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100)의 촬영부(101)에 촬영되었다고 가정한다. 즉, 객체를 60대 할아버지로 가정한다. 그리고 현재 표시부(110)에 송출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는 신발 광고 컨텐츠라고 가정한다.
만약 60대 할아버지가 신발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생겼다면, 시선이 소정 시간 이상 고정되거나 표시부(110)를 향해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객체가 제1 거리에 접근하는 경우, 원거리 인식부(104)에서 원거리 인식정보, 즉 객체의 궤적 정보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허리가 굽고, 광고 컨텐츠를 향해 접근하고 있다는 궤적 정보, 상체와 얼굴의 방향이 광고 컨텐츠를 향해 있다는 제2 시선 방향 정보, 허리가 굽었다는 것을 통해 예측된 객체의 연령 정보 및 객체의 키, 몸의 형태 등으로 예측된 객체의 성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생성된 원거리 인식정보는 컨텐츠 선택부(105)에 전달된다.
객체가 표시부(110)에 접근하는 경우, 근거리 인식정보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컨텐츠 선택부(105)에는, 원거리 인식부(104)에서 생성된 원거리 인식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객체가 제2 거리에 도달한 경우, 근거리 인식부(103)는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객체의 얼굴에 포함된 머리 모양(예를 들어 벗겨진 머리), 피부의 주름 정보, 및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제1 시선 방향 정보(시선이 고정됨)가 생성될 수 있다. 근거리 인식정보 역시 컨텐츠 선택부(105)에 전달된다.
컨텐츠 선택부(105)는, 수신된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정보 및 현재 송출되고 있는 신발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에 근거하여 표시부(110)에 송출될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의 예에서, 객체가 계속적으로 신발 광고 컨텐츠를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선택부(105)는 계속 신발 광고 컨텐츠를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에서 예측된 객체의 연령 및 성별 정보, 예를 들어 60대 이상, 남자라는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컨텐츠 선택부(105)는 신발 광고 컨텐츠 중 지압 기능이 있는 신발 또는 건강용 신발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표시부(110)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와 같이 컨텐츠 선택부(105)는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송출할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부(105)는 컨텐츠의 선택에 있어서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제1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에 있을 수 있다.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원거리 인식부(104) 및 근거리 인식부(103)에서 모두 판단될 수 있다. 원거리 인식부(104) 및 근거리 인식부(103)에서 제1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모두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관심 여부의 판단은 제1 또는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한다.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해서 관심이 있다면, 계속적으로 또는 높은 시간 비율로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시선이 고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광고 컨텐츠(또는 표시부)에 대응하는 방향과 제1 또는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객체가 현재 송출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가 관심이 없다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컨텐츠 선택부(105)는 원거리 인식부(104) 및 근거리 인식부(103)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이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경우 객체가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컨텐츠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컨텐츠에 대한 선택 기준은 예측된 객체의 성별 및 연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컨텐츠 선택부(105)는 컨텐츠 서버(1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컨텐츠 서버(120)에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이 데이터 베이스화되어 관리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에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의 정보 및 광고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대상 성별 및 연령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용 신발 광고 컨텐츠는 성별이 여자, 연령이 20대 및 30대에 적합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컨텐츠 서버(120)에는 아동용 신발 광고 컨텐츠와, 아동용 신발 광고 컨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로서 여자, 20대 및 30대 연령의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105)는 정확한 광고 컨텐츠 공급을 위하여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광고 컨텐츠와 근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광고 컨텐츠를 다르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컨텐츠 선택부(105)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제1 광고 컨텐츠를 일차적으로 선택한 뒤, 근거리 인식 정보가 생성되면 근거리 인식 정보에 근거한 제2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예를 다시 가정해본다. 60대 할아버지가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100)의 촬영부(101)에 촬영되었다고 가정한다. 즉, 객체를 60대 할아버지로 가정한다. 그리고 현재 표시부(110)에 송출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는 신발 광고 컨텐츠라고 가정한다.
객체가 제1 거리에 도달하면, 원거리 인식부(104)에서는 객체의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허리가 굽었다는 정보 및 표시부(110)에 접근하고 있다는 궤적 정보, 상체와 얼굴이 광고 컨텐츠가 송출되는 표시부(110)에 계속적으로 고정되고 있다는 제2 시선 방향 정보, 및 예측된 정보로서 50대 이상 여성이라는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선택부(105)는 현재 송출되고 있는 신발 광고 컨텐츠에 객체의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적으로 신발 광고 컨텐츠를 송출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측된 객체의 연령에 대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 예를 들어 건강용 신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송출할 수 있을 것이다.
객체가 제1 거리에 있는 동안에는 원거리 인식부(104) 및 컨텐츠 선택부(105)는 상기 언급한 기능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객체가 제2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객체에 대한 근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얼굴 정보 및 얼굴 정보를 분석한 결과로서 60대의 남성이라는 연령 및 성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선 방향 정보로서 광고 컨텐츠가 송출되는 표시부(110)에 대한 시선이 아니며, 눈동자가 표시부(110) 옆의 임의의 물체에 고정되어 있다는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선택부(105)는 먼저 객체가 현재 송출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60대 남성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건강 식품 광고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이후, 객체가 제2 거리에 존재하는 동안 근거리 인식부(103) 및 컨텐츠 선택부(105)는 상기 언급한 기능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건강 식품 광고 컨텐츠가 새롭게 선택되어 송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객체의 시선 방향이 광고 컨텐츠에 대등하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선택부(105)는 계속하여 건강 식품 광고 컨텐츠를 송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일련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용자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의 원거리에서의 궤적정보 및 시선 방향을 분석하여 현재 공급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에서의 정지된 영상을 인식하는 것뿐 아니라 원거리에서의 사용자의 행동 패턴(궤적 정보)을 통하여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 등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정확하게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컨텐츠 공급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 역시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선택부(105)에 사용자 입력 장치(13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30)는 객체가 직접 광고 컨텐츠를 검색 및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 옆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105)에 사용자 입력 장치(130)가 연결되어, 컨텐츠 선택부(105)와 객체와의 광고 컨텐츠 선택에 관한 상호 작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 2는 광고 컨텐츠 공급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201)는 객체(도 2에서는 광고 컨텐츠 사용자)가 제1 거리 또는 제2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객체를 촬영하게 되고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광고 공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현재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 여부에 근거하여 광고를 검색하여 송출하게 된다. 표시부(210)는 광고를 객체에 공급한다.
표시부(210)는 광고 컨텐츠를 객체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V를 포함한 영상 재생 장치, 스피커, 및 3차원 홀로그램 영사기가 표시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도 3은 근거리 인식부의 상세한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근거리 인식부(303)는 영상 처리부(302)로부터 제2 거리의 영상(예를 들어 얼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근거리 인식부(303)에는 얼굴 인식부(311), 시선 인식부(312), 특징 인식부(313) 및 근거리 인식정보 생성부(314)가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인식정보 생성부(314)는 컨텐츠 선택부(305)에 연결되어 있다.
얼굴 인식부(311)는 객체의 얼굴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얼굴에 포함된 신체 구성 요소의 특징, 얼굴윤곽의 크기 및 모양, 주름 정보, 및 머리 모양을 분석할 수 있다.
시선 인식부(312)는 객체의 눈동자 및 얼굴 전면의 방향을 인식하여 객체의 제1 시선 방향 정보를 생성한다.
특징 인식부(313)는 얼굴 인식부(311) 및 시선 인식부(312)에서 인식하는 정보 이외에, 객체의 연령 및 성별을 예측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객체의 귀에 귀걸이가 있는 경우, 얼굴에 포함된 귀걸이의 존재에 대해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근거리 인식정보 생성부(314)는 얼굴 인식부(311), 시선 인식부(312), 및 특징 인식부(313)에서 인식된 정보에 근거하여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근거리 인식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텐츠 선택부(305)로 송신된다.
도 4는 원거리 인식부의 상세한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을 참조하면, 원거리 인식부(404)는 영상 처리부(402)로부터 제1 거리의 영상(예를 들어 객체 전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원거리 인식부(404)에는 궤적 정보 처리부(411), 시선 처리부(412) 및 원거리 인식 정보 생성부(413)가 포함될 수 있다. 원거리 인식정보 생성부(413)는 컨텐츠 선택부(405)에 연결되어 있다.
궤적 정보 처리부(411)는 복수의 영상 또는 동영상에서 추출된 객체들의 움직임 또는 행동 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객체의 궤적 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궤적 정보에는 이동 방향 이외에도 신체적인 행동 특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시선 처리부(412)는 복수의 영상 또는 동영상에서 추출된 객체의 상체 및 얼굴 방향에 근거하여 시선을 예측한 결과인 제2 시선 방향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원거리 인식정보 생성부(413)는 궤적 정보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를 결합한 원거리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컨텐츠 선택부(405)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은 원거리 인식부가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를 제1 거리에서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근거리 인식부가 객체를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 분석한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선택부가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객체가 제1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 촬영부 촬영한 영상을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원거리 인식부에서는 추출된 객체의 궤적 정보와 시선을 인식하여 궤적 정보와 제2 시선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1)를 수행한다.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4) 역시 수행된다. S504 단계는 더욱 자세하게는, 객체가 제2 거리에 도달하였을 때 객체의 얼굴 정보, 얼굴 정보를 분석한 성별 및 연령 정보, 제1 시선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선택부가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505)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505)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제1 광고 컨텐츠를 일차적으로 선택한 뒤, 근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되면 근거리 인식 정보에 근거한 제2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01 단계와 S504 단계에는 상기 언급한 순차적인 컨텐츠 선택에 대한 복수의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객체가 제1 거리에 도달 시, 원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된다. 컨텐츠 선택부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제2 시선 방향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가 광고에 시선을 집중하고 있는지, 즉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2)가 수행된다.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선택부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예측된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506)가 수행된다.
객체의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객체가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객체가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또는 표시부)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3)를 수행한다. 객체가 광고 컨텐츠로 접근하고 있지 않다면 S506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객체가 접근하여 제2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S504 단계가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은, 원거리 인식부가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를 제1 거리에서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근거리 인식부가 객체를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 분석한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선택부가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에 사용자 입력 장치와 컨텐츠 선택부가 광고 컨텐츠 선택에 관한 상호 작용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객체가 제1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 촬영부 촬영한 영상을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원거리 인식부에서는 추출된 객체의 궤적 정보와 시선을 인식하여 궤적 정보와 제2 시선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601)를 수행한다.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604) 역시 수행된다. S604 단계는 더욱 자세하게는, 객체가 제2 거리에 도달하였을 때 객체의 얼굴 정보, 얼굴 정보를 분석한 성별 및 연령 정보, 제1 시선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선택부가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 객체, 즉 사용자의 광고 컨텐츠 선택에 대한 입력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605)가 수행된다. 이후 컨텐츠 선택부는, 사용자 입력장치와의 상호 작용, 원거리 인식정보, 및 근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광고를 선택 및 송출하는 단계(S606)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606)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제1 광고 컨텐츠를 일차적으로 선택한 뒤, 근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되면 근거리 인식 정보에 근거한 제2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601 단계와 S604 단계에는 상기 언급한 순차적인 컨텐츠 선택에 대한 복수의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객체가 제1 거리에 도달 시, 원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된다. 컨텐츠 선택부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제2 시선 방향 정보에 근거하여 객체가 광고에 시선을 집중하고 있는지, 즉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2)가 수행된다.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선택부는 원거리 인식정보에 포함된 예측된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607)가 수행된다.
객체의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객체가 광고 컨텐츠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객체가 현재 송출되는 광고 컨텐츠(또는 표시부)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3)를 수행한다. 객체가 광고 컨텐츠로 접근하고 있지 않다면 S607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객체가 접근하여 제2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S604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은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 299: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101, 201: 촬영부
102, 302, 402: 영상 처리부
103, 303: 근거리 인식부
104, 404: 원거리 인식부
105, 305, 405: 컨텐츠 선택부
110, 210: 표시부
120: 컨텐츠 서버
130: 사용자 입력장치
311: 얼굴 인식부
312: 시선 인식부
313: 특징 인식부
314: 근거리 인식정보 생성부
411: 궤적정보 처리부
412: 시선 처리부
413: 원거리 인식정보 생성부

Claims (20)

  1.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제1 거리에서의 상기 객체를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원거리 인식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의 상기 객체를 분석한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근거리 인식부; 및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 및 상기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인식정보는,
    상기 객체의 얼굴, 성별, 연령, 및 제1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제1 시선 방향 정보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선 방향 정보는,
    상기 객체의 얼굴 방향 및 상기 객체의 눈동자 방향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는,
    상기 객체의 궤적 정보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는,
    기 생성된 복수의 객체의 궤적 정보와 성별 및 연령 정보의 관련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에 근거한 상기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선 방향 정보는,
    상기 객체의 상체 및 얼굴 중 하나 이상의 전면의 방향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인식부는,
    상기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상기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제1 광고 컨텐츠를 일차적으로 선택한 뒤, 상기 근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근거리 인식 정보에 근거한 제2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11. 원거리 인식부가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를 제1 거리에서 분석한 원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근거리 인식부가 상기 객체를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에서 분석한 근거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선택부가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 및 상기 근거리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인식정보는,
    상기 객체의 얼굴, 성별, 연령, 및 제1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선 방향 정보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선 방향 정보는,
    상기 객체의 얼굴 방향 및 상기 객체의 눈동자 방향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는,
    상기 객체의 궤적 정보 및 제2 시선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는,
    기 생성된 복수의 상기 객체의 궤적 정보와 성별 및 연령 정보의 관련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에 근거한 상기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선 방향 정보는,
    상기 객체의 상체 및 얼굴 중 하나 이상의 전면의 방향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인식부가 상기 객체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상기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시선 방향 정보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향을 벗어난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원거리 인식정보에 근거한 제1 광고 컨텐츠를 일차적으로 선택한 뒤, 상기 근거리 인식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근거리 인식 정보에 근거한 제2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공급 방법.
KR1020100023633A 2009-12-18 2010-03-17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10070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0,596 US20110150283A1 (en) 2009-12-18 2010-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6715 2009-12-18
KR1020090126715 2009-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666A true KR20110070666A (ko) 2011-06-24

Family

ID=4440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633A KR20110070666A (ko) 2009-12-18 2010-03-17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066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5158A1 (ko) * 2012-08-31 2014-03-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서비스 과금방법 및 장치
WO2014104518A1 (ko) * 2012-12-27 2014-07-03 전자부품연구원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427463B1 (ko) * 2012-06-22 2014-08-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와 모바일 기기 간의 연관상태에 기반한 차등적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87533B1 (ko) * 2014-10-17 2016-01-21 인중현 피사체의 시선에 따라 영상을 이동시키는 영상처리시스템
GB2550209A (en) * 2016-05-13 2017-11-15 Lucozade Ribena Suntory Ltd Method of controlling a state of a display of a device
WO2019088661A1 (ko) * 2017-10-30 2019-05-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광고 및 상품 구매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463B1 (ko) * 2012-06-22 2014-08-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와 모바일 기기 간의 연관상태에 기반한 차등적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035158A1 (ko) * 2012-08-31 2014-03-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서비스 과금방법 및 장치
WO2014104518A1 (ko) * 2012-12-27 2014-07-03 전자부품연구원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587533B1 (ko) * 2014-10-17 2016-01-21 인중현 피사체의 시선에 따라 영상을 이동시키는 영상처리시스템
GB2550209A (en) * 2016-05-13 2017-11-15 Lucozade Ribena Suntory Ltd Method of controlling a state of a display of a device
WO2019088661A1 (ko) * 2017-10-30 2019-05-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광고 및 상품 구매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0968B (zh) 数字标牌显示内容选择方法和装置
US1171521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multi-subject performance metric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92240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ward human object
US10665022B2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overlaying apparel and fitness information
KR102092931B1 (ko)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JP6424357B2 (ja) 視認対象効果度測定装置
US201101502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CN109475294A (zh) 用于治疗精神障碍的移动和可穿戴视频捕捉和反馈平台
CN110263213B (zh) 视频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EP3425483B1 (en) Intelligent object recognizer
KR20110070666A (ko) 광고 컨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US201403794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80848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25870B2 (ja) 情動分析装置
JP5605725B2 (ja) 情報報知システム、情報報知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US11216067B2 (en) Method for eye-tracking and terminal for executing the same
JP2019179390A (ja) 注視点推定処理装置、注視点推定モデル生成装置、注視点推定処理システム、注視点推定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注視点推定モデル
KR20190118965A (ko) 시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2153468A (zh) 视频回放与用户运动的同步方法、计算机可读介质和系统
US20220253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ailored advertisements based on detected features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EP30115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7156514A (ja) 電子看板システム
KR20190067433A (ko) 텍스트-리딩 기반의 리워드형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JP201607625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051166B (zh) 在视频中植入广告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