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363A -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363A
KR20110070363A KR1020090127167A KR20090127167A KR20110070363A KR 20110070363 A KR20110070363 A KR 20110070363A KR 1020090127167 A KR1020090127167 A KR 1020090127167A KR 20090127167 A KR20090127167 A KR 20090127167A KR 20110070363 A KR20110070363 A KR 2011007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door base
information
us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629B1 (ko
Inventor
권택성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6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옥내용 기지국 사용자간 상호관계에 근거하여 권한 위임된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옥내용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제1 옥내용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제2 옥내용 기지국) 간에 제어 권한을 상호 위임ㆍ등록해둔다. 그리고,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제1 홈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제2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제2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제2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제1 홈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제1 접속희망자)에 대해,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제2 옥내용 기지국으로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고, 제2 홈사용자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한다.
옥내용 기지국, 펨토셀, 홈사용자, 권한 대행, 옥내용 기지국 그룹

Description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BASE STATION REMOTELY}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내용 기지국 사용자간 상호관계에 근거하여 권한 위임된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옥내용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자들의 요구 사항은 날이 갈수록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세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현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EV-DO(Evolution Data Only), WCDMA(Wideband CDMA),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최근 가정 내에서 휴대전화 이용과 모바일 데이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옥내 브로드밴드 망을 통해 이동 통신 핵심망에 접속하도록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을 옥내에 설치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서비스의 안정적인 제공을 위하여 그 대안으로서 여러 개의 작은 크기의 다중 셀(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들을 배치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을 옥내용 기지국 또는 펨토(Femto) 기지국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작은 크기의 셀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은 주파수 재사용 횟수를 늘릴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기존에 하나의 기지국이 전체 셀 영역을 커버할 때 발생하였던 전파 감쇄로 인한 채널 상황 악화 문제, 음영지역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불능 문제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작은 크기의 다중 셀들을 통한 서비스 방법이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들을 바탕으로 기존의 매크로셀(옥외용 기지국이 관장하는 셀 영역)(Macro-cell)과 펨토셀(옥내용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이 관장하는 셀 영역)(Femto-cell)들을 결합한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 펨토셀 서비스의 경우, 옥내용 기지국별로 홈 사용자 관리를 위한 홈 사용자 등록, 수정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하면서,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들의 서비스 허용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만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옥내용 기지국에서 접속 권한 제어를 위한 홈 사용자 관리 기능은 해당 옥내용 기지국과 물리적으로 접속 가능한 가입자를 통해서만 해당 기능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간 상호관계가 고려되지 않은 옥내용 기지국 단위 의 홈 사용자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옥내용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지역에 국한되어 댁내의 가입자에 한해 옥내용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함께 거주하고 있는 가족간, 친지간 또는 특수 관계에 있는 사용자간의 상호관계에 근거한 보다 발전된 형태의 펨토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내용 기지국 사용자간 상호관계에 근거하여 권한 위임된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옥내용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옥내용 기지국 사용자간 상호관계에 근거하여 권한 위임된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옥내용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제1 옥내용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제2 옥내용 기지국) 간에 제어 권한을 상호 위임ㆍ등록해둔다. 그리고,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제1 홈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제2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제2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제2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제1 홈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제1 접속희망자)에 대해,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제2 옥내용 기지국으로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고, 제2 홈사용자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간 상호관계에 근거한 지리적 제약사항을 극복한 옥내용 기지국 그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옥내용 기지국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기 등록된 옥내용 기지국 그룹 간 접속자/홈사용자 정보 공유 및 접속 승인 대행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기지국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홈사용자를 대신해 권한 위임된 사용자가 제어 대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계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예컨대,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또는 향후 개발될 4G 등) 및 옥외용 기지국(Macro-eNB), 옥내용 기지국(Home-eNB) 및 단말(UE)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이동통신망을 포함 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통신망에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셀이 혼재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은 옥내에서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셀(이하, '펨토셀'이라 함)을 관리하는 옥내용 기지국(Home-eNB)(21~25), 옥외에서 넓은 범위의 셀(이하, '매크로셀'이라 함)을 관리하는 옥외용 기지국(Macro-eNB)(20), 단말(UE)(10), 그외 SON(Self Organizing&optimizing Networks) 서버(30) 및 MME(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옥외용 기지국(Macro-eNB)(20)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km 내외의 반경을 갖는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옥내용 기지국(Home-eNB)(21~25)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수십 m 내외의 반경을 갖는 셀을 관리하는 펨토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셀은 매크로셀 및 펨토셀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셀은 옥외용 기지국(20)에 의해 관리될 수 있고, 펨토셀은 옥내용 기지국(21~25)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옥외용 기지국(20)과 옥내용 기지국(21~25)은 별도의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에 의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옥내용 기지국(21~25)이나 옥외용 기지국(20)은 각각 독자적으로 코어망의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옥외용 기지국(20)과 옥내용 기지국(21~25)은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 외에도, 피코 기지국 또는 마이크로 기지국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단말(UE)(10)은 GSM망, CDMA망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망과 같은 무선인터넷망, WiBro망 및 WiMax망과 같은 휴대인터넷망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이동 단말기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은 매크로셀 가입자 단말 또는/및 펨토셀 가입자 단말일 수 있다.
SON 서버(30)는 옥외용/옥내용 기지국 설치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각 기지국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MME(40)는 단말(10)의 호 처리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가 SON 서버(30)와 MME(4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SON 서버(30) 및 MME(40)는 하나 이상의 옥외용 기지국(20)과 하나 이상의 옥내용 기지국(21~25)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매크로셀 및 펨토셀이 혼재된 네트워크 셀을 가정하였지만, 네트워크 셀은 매크로셀 또는 펨토셀만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이동통신망에서, 매크로셀로의 액세스는 모든 단말에게 허용되지만, 펨토셀로의 액세스는 특정 단말(가입자)에게로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옥내용 기지국(21~25)은 자신이 관리하는 펨토셀에 대한 정보인 SIB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데, 이 SIB 1에는 해당 펨토셀로의 액세스가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CSG 지시자(Closed Subscriber Group indicator)가 포함되어 있다. 옥내용 기지국(21~25)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SIB 1내의 CSG 지시자가 '참(True)'의 값을 가지면 특정 가입자만이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폐쇄형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CSG: Closed Subscriber Group), '거짓'의 값을 가지면 모든 가입자가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는 개방형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OSG: Opened Subscriber Group). CSG 지시자가 '참'의 값을 가지면, 단말(10)은 자신이 액세스 가능한 펨토셀의 목록인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내에 해당 펨토셀이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SG는 특정한 속성을 지닌 옥내용 기지국(21~25)의 그룹을 의미한다. 이 그룹(CSG)에 속한 모든 옥내용 기지국(21~25)은 접속이 허가된 단말(10)에 대해서만 접속을 허용한다. 옥내용 기지국(21~25)이 관장하는 펨토셀에 속한 단말(10)은 화이트 리스트라는 옥내용 기지국 ID를 가지고 있으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한 옥내용 기지국에만 접속할 수 있고 이외의 옥내용 기지국에는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다. 예컨대, 펨토셀에서, 옥내용 기지국(22~25)을 'CSG 기지국'으로 가정하고 옥내용 기지국(21)을 'OSG 기지국'으로 가정하면, OSG 기지국(21)이 화이트 리 스트에 속한 옥내용 기지국이 된다. 따라서, 옥내용 기지국(21)에는 모든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지만, 옥내용 기지국(22~25)에는 접속이 허가된 단말만이 접속 가능하다.
일예로, 단말(10)이 옥내용 기지국(예컨대, 21)에 접속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10)은 옥내용 기지국(21~25)이 브로드캐스팅하는 SIB 1의 CSG 지시자를 바탕으로 해당 펨토셀로의 접속이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단말(10)이 펨토셀을 식별하는 식별자로는 물리계층에서의 셀 구분 인자인 물리계층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ty)와 이동통신망 내에서 고유한 셀 구분 인자인 전역 셀 식별자(GCI: Global Cell Identity)가 있다. 셀 식별자는 옥내용 기지국(21~25)이 브로드캐스팅하는 SIB 1에 포함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이 접속 기지국(21)임을 탐지하면 옥외용 기지국(20)으로 보고하고, 단말(10)로부터 옥내용 기지국(21)의 탐지를 보고받은 옥외용 기지국(20)은 해당 단말(10)에게 탐지된 옥내용 기지국(21)로부터 수신한 SIB 1을 판독하여 해당 옥내용 기지국(21)의 셀 식별자(PCI or CGI)를 보고할 것을 명령하고, 단말(10)이 판독하여 알아낸 셀 식별자와 화이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탐지된 옥내용 기지국(21)에 해당 단말(10)이 접속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탐지된 옥내용 기지국(21)에 해당 단말(10)이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옥내용 기지국(21)으로 핸드오버를 허용한다.
도2를 참조하여 펨토셀 네트워크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11,12)은 옥내용 기지국(21,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옥내용 기지국(21,22)은 라 우터(23)를 통하여 인터넷, 핵심망의 주소 할당 서버(DHCP 서버)(24), ACS(Auto Configuration Server)(25), 인증 서버(AAA)(27), 홈에이전트(HA)(28) 등에 연결된다.
옥내용 기지국(21,22)은 댁내에 설치되어 무선 접속 기능을 제공하고, 펨토 게이트웨이(26)는 옥내용 기지국(21,22)과 연동하여 가입자 인증, 과금 및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며, HA(28)는 이동 중에도 연결을 잃지 않도록 단말(11,12)의 이동성 제공을 위한 Mobile IP를 제공하고, DHCP 서버(25)는 Mobile IPv4/v6 주소를 할당한다. 인증 서버(27)는 실제 가입자 인증 및 과금 기능을 수행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옥내용 기지국(CSG 기지국)(21)이 관장하는 펨토셀A와 옥내용 기지국(CSG 기지국)(22)이 관장하는 펨토셀B에 대하여, 옥내용 기지국A(21)의 소유자/사용자를 '홈사용자A', 옥내용 기지국B(22)의 소유자/사용자를 '홈사용자B'라 명명하며, 펨토셀A에 실제 접속해 있는 사용자를 '접속자A', 펨토셀A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를 '접속희망자A'라 명명하고, 펨토셀B에 실제 접속해 있는 사용자를 '접속자B', 펨토셀B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를 '접속희망자B'라 명명한다. 접속희망자A는 홈사용자A 뿐만 아니라 홈사용자B의 접속 승인에 의거하여 펨토셀의 접속이 가능하고, 접속희망자B는 홈사용자B 뿐만 아니라 홈사용자A의 접속 승인에 의거하여 펨토셀의 접속이 가능하다. 접속자A에는 홈사용자A가 포함될 수 있고, 접속자B에는 홈사용자 B가 포함될 수 있다.
홈사용자A(/B)는 자신의 옥내용 기지국A(21)(/B(22))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옥내용 기지국B(22)(/A(21))을 상호 협의하여 옥내용 기지국 그룹을 등록해 둔다(권한 위임 과정).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5와 같이 이웃간에 옥내용 기지국 그룹을 등록해 둘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격지의 상호관계(예컨대, 가족, 친지, 친구, 지인 등)에 있는 사용자(홈사용자)를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등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속하는 원격 제어 대상 옥내용 기지국B(22)(/A(21))는 다수의 옥내용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홈사용자A가 상호관계(예컨대, 가족, 친지, 친구, 지인 등)에 있는 홈사용자B를 권한 위임자로 등록해 두었다고 가정하고, 홈사용자B는 상호관계에 있는 홈사용자A를 권한 위임자로 등록해 두었다고 가정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홈사용자A(/홈사용자B)는 옥내용 기지국B(22)(/A(21))에 접속해 있는 접속자B(/접속자A)의 정보 또는/및 옥내용 기지국B(22)(/A(21))의 홈사용자B(/홈사용자A)의 정보를 원격에서 획득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홈사용자A(/홈사용자B)는 옥내용 기지국A(21)(/B(22))에 접속을 희망하는 접속희망자A(/접속희망자B)에 대해, 홈사용자B(/홈사용자A)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접속희망자A(/접속희망자B)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실시예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에서는 옥내용 기지국A(2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옥내용 기지국B(22)의 입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옥내용 기지국A(21)의 원격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B(22)의 정보(옥내용 기지국B의 IP 주소, 홈사용자B의 이름 등) 및 옥내용 기지국B(22)의 제어 수준 정보(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등)를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 DB(213)와, 접속자A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A의 이름 등) 및 홈사용자A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DB(214)와, 홈사용자A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통신부(211)와, 옥내용 기지국B(22)와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 통신부(212)와, 홈사용자A의 요청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1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B(22)와의 통신을 통해 접속자B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B의 이름 등) 또는/및 홈사용자B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기지국 접속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 접속 제어부(215)는 접속희망자A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1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B(22)로 접속희망자A의 접속을 알리고, 홈사용자B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접속희망자A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옥내용 기지국B(22)는, 옥내용 기지국A의 정보(옥내용 기지국A의 IP 주소, 홈사용자A의 이름 등) 및 옥내용 기지국A의 제어 수준 정보(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등)를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 DB(223)와, 접속자B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B의 이름 등) 및 홈사용자B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DB(224)와, 홈사용자B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통신부(221)와, 옥내용 기지국A(21)와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 통신부(222)와, 홈사용자B의 요청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2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A(21)의 통신을 통해 접속자A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A의 이름 등) 또는/및 홈사용자A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기지국 접속 제어부(225)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 접속 제어부(225)는 접속희망자B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2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A(21)로 접속희망자B의 접속을 알리고, 홈사용자A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접속희망자B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옥내용 기지국A(21)의 원격 제어 장치는, 옥내용 기지국A(21)의 원격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B(22)의 정보(옥내용 기지국B의 IP 주소, 홈사용자B의 이름 등) 및 옥내용 기지국B(22)의 제어 수준 정보(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등)를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 DB(213)와, 접속자A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A의 이름 등) 및 홈사용자A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DB(214)와, 홈사용자A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통신부(211)와, 옥내용 기지국B(22)와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 통신부(212)와, 접속희망자A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1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B(22)로 접속희망자A의 접속을 알리고, 홈사용자B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접속희망자A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기지국 접속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 접속 제어부(215)는 홈사용자A의 요청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1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B(22)와의 통신을 통해 접속자B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B의 이름 등) 또는/및 홈사용자B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옥내용 기지국B(22)는, 옥내용 기지국A의 정보(옥내용 기지국A의 IP 주소, 홈사용자A의 이름 등) 및 옥내용 기지국A의 제어 수준 정보(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등)를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 DB(223)와, 접속자B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B의 이름 등) 및 홈사용자B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DB(224)와, 홈사용자B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통신부(221)와, 옥내용 기지국A(21)와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 통신부(222)와, 접속희망자B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2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A(21)로 접속희망자B의 접속을 알리고, 홈사용자A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접속희망자B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기지국 접속 제어부(225)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 접속 제어부(225)는 홈사용자B의 요청에 대해, 기지국 정보 DB(223)를 참조하여 옥내용 기지국A(21)의 통신을 통해 접속자A의 정보(단말의 IP 주소, 접속자A의 이름 등) 또는/및 홈사용자A의 정보(이름, 주소 등)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옥내용 기지국A(21)는 홈사용자A의 요청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A(21)에 접속해 있는 접속자A의 정보 또는/및 홈사용자A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옥내용 기지국B(22)는 홈사용자B의 요청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B(22)에 접속해 있는 접속자B의 정보 또는/및 홈사용자B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 다. 이는 기존 옥내용 기지국A,B(21,22)가 갖는 기본 기능이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 그룹 내 사용자간 정보 교환 및 정보 관리 과정이 도6에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홈사용자A와 홈사용자B를 중심으로 옥내용 기지국의 원격 제어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옥내용 기지국 그룹 상호 등록 및 권한 위임 절차(S401~S407),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홈사용자 정보 및 접속자 정보 공유 절차(S408~S411),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접속 승인 대행 절차(S412~S418)로 이루어진다.
옥내용 기지국 그룹 상호 등록 및 권한 위임 절차(S401~S407)를 살펴보면, 옥내용 기지국 그룹 서비스를 희망하는 홈사용자간에 공지의 통신방식(전화, 이메일 등)에 의거하여 상호 옥내용 기지국 정보(예컨대 IP 주소, 홈사용자의 이름 등)를 교환한다(S401).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을 위해 옥내용 기지국A의 소유자/사용자(홈사용자A)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댁내 설치되어 있는 자신의 옥내용 기지국A(21)에 접속하여 상대방 옥내용 기지국B(22)의 정보(예컨대 IP 주소, 홈사용자B의 이름 등)를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등록한다(S402). 이때 홈사용자B의 제어 권한 수준(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등)을 옥내용 기지국A(21)에 등록하고,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 완료 신호를 기다린다.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 요청을 해당 홈사용자A로부터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A(21)는 옥내용 기지국 그룹 대상이 되는 홈사용자B의 IP 주소를 바탕으로 옥내용 기지국B(22)에게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 요청을 한다(S403).
옥내용 기지국A(21)로부터 옥내용 기지국 등록 요청을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B(22)는 해당 내용(홈사용자A에 대한 정보와 홈사용자A의 제어 권한 수준)을 자신의 홈사용자B에게 확인(승인) 요청한다(S404).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 확인(승인) 요청을 수신한 홈사용자B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이때 홈사용자B는 홈사용자A에게 공지의 통신방식을 통해 확인을 구할 수 있음) 승인하면 확인(승인) 메시지가 옥내용 기지국B(22)로 전송된다(S405).
홈사용자B로부터 확인(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B(22)는 옥내용 기지국A(21)의 정보(예컨대 IP 주소, 홈사용자A의 이름 등), 홈사용자A의 제어 권한 수준(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등) 등을 기지국 정보 DB(223)에 저장하고, 해당 결과를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을 요청한 옥내용 기지국A(21)로 전송한다(S406).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A(21)는 옥내용 기지국B(21)의 정보(예컨대 IP 주소, 홈사용자B의 이름 등), 홈사용자B의 제어 권한 수준(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등) 등을 기지국 정보 DB(213)에 저장 등록한 후, 옥내용 기지국 그룹 등록을 요청한 홈사용자A에게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해 준다(S407).
상기와 같이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상호 등록 및 권한 위임 절차(S401~S407) 를 수행하지 않고도, 각 홈사용자A,B는 자신의 옥내용 기지국(21,22)의 기지국 정보 DB(213,223)에 상대방 옥내용 기지국(22,21)의 정보 및 홈사용자의 제어 권한 수준 등을 각각 저장ㆍ등록함으로써, 위 절차를 갈음할 수도 있다.
상기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상호 등록 및 권한 위임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 완료되면, 각 옥내용 기지국 그룹 간에 제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제어 서비스의 일예로, 홈사용자A(/홈사용자B)는 접속자B(/접속자A)의 정보 또는/및 홈사용자B(/홈사용자A)의 정보를 원격에서 획득할 수 있다(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홈사용자 정보 및 접속자 정보 공유 기능).
다른 예로, 홈사용자A(/홈사용자B)는 접속희망자A(/접속희망자B)에 대해, 홈사용자B(/홈사용자A)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접속희망자A(/접속희망자B)의 접속을 허용/불허할 수 있다(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접속 승인 대행 절차).
상기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홈사용자 정보 및 접속자 정보 공유 절차를 살펴보면,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속한 홈사용자A는 필요시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옥내용 기직국B(22)에 접속해 있는 접속자B의 정보나 홈사용자B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08).
옥내용 기지국B(22)의 접속자B의 정보 또는/및 홈사용자B의 정보를 홈사용자A로부터 요청받은 옥내용 기지국A(21)는 요청된 옥내용 기지국B(22)가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기지국 정보 DB(213)에 접속하여 확인하고, 등록된 옥내용 기지국일 경우 해당 옥내용 기지국B(22)로 관련 정보(홈사용자B의 정보 또는/및 접속자B의 정보)를 요청한다(S409).
옥내용 기지국A(21)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B(22)는 기지국 정보 DB(223)에 접속하여 정보를 요청한 옥내용 기지국A(21)의 제어 권한 수준을 등을 확인하고, 허용된 요청사항일 경우 옥내용 기지국B(22) 내에 관리되고 있는 사용자 정보 DB(224)에 접속한 후 해당 정보(홈사용자B의 정보 또는/및 접속자B의 정보)를 추출하여 옥내용 기지국A(21)로 전송한다(S410).
요청한 정보(홈사용자B의 정보 또는/및 접속자B의 정보)를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A(21)는 해당 정보를 홈사용자A의 단말로 전송하고(S411), 해당 단말은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홈사용자A는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속한 옥내용 기지국B(22)의 접속자B 정보 및 홈사용자B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홈사용자 정보 및 접속자 정보 공유 절차는 홈사용자B에 대해서도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속한 옥내용 기지국A(21)의 접속자A 정보 및 홈사용자A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접속 승인 대행 절차를 살펴보면, 옥내용 기지국B(22)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즉 접속희망자B)가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등록된 옥내용 기지국B(22)로 접속을 시도하면(S412), 해당 옥내용 기지국B(22)는 기지국 정보 DB(223)에 접속하여 옥내용 기지국A(21)가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이 있음을 확인하고, 접속희망자B가 접속을 시도하고 있음을 옥내용 기지국A(21)로 통보한다(S413).
접속희망자B의 접속 요청을 통보받은 옥내용 기지국A(21)는 옥내용 기지국 B(22)가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등록된 기지국인지를 기지국 정보 DB(213)에서 확인하고 허용된 요청인 경우 홈사용자A에게 해당 내용(접속 승인 대행 메시지)을 통보한다(S414).
접속 승인 대행 메시지를 수신한 홈사용자A는 필요시 홈사용자B와 공지의 통신 방식(이메일, 전화 등)을 통해 협의하여 접속 승인/불허를 결정할 수 있다(S415). 이 과정은 부가적인 과정이다.
홈사용자A는 해당 접속희망자B의 정보를 확인한 후 옥내용 기지국B(22)의 접속자B로 등록할지 여부를 옥내용 기지국A(21)로 통보(접속 승인/불허)한다(S416).
접속 승인/불허 메시지를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A(21)는 해당 정보(승인/불허 메시지)를 옥내용 기지국B(22)로 전송한다(S417).
해당 정보를 수신한 옥내용 기지국B(22)는 접속 허용 여부를 확인하고,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접속희망자B의 접속을 차단하고, 접속을 승인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DB(224)를 갱신하고(접속희망자B를 접속자B로 등재함) 접속희망자B에게 접속자 권한 부여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옥내용 기지국 그룹간 접속 승인 대행 절차는 접속희망자A에 대해서도 옥내용 기지국 그룹에 속한 옥내용 기지국B(22)의 홈사용자B가 접속 승인/불허를 대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 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펨토셀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간 상호관계에 근거한 옥내용 기지국 그룹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옥내용 기지국 그룹 내 사용자간 정보 교환 및 정보 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2: 옥내용 기지국 211,221: 사용자 통신부
212,222: 기지국 통신부 213,223: 기지국 정보 DB
214,224: 사용자 정보 DB 215,225: 기지국 접속 제어부

Claims (17)

  1.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원격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이하 '제2 옥내용 기지국'이라 함)의 정보 및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제어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기지국 정보 DB;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이하 '제1 접속자'라 함)의 정보 및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1 홈사용자'라 함)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사용자 정보 DB;
    상기 제1 홈사용자의 접속을 위한 제1 사용자 통신부;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1 기지국 통신부; 및
    상기 제1 홈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상기 제1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이하 '제2 접속자'라 함)의 정보 또는/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2 홈사용자'라 함)의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1 기지국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제1 접속희망자'라 함)에 대해, 상기 제1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으로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고, 상기 제2 홈사용자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은,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정보 및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제어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2 기지국 정보 DB;
    상기 제2 접속자의 정보 및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2 사용자 정보 DB;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접속을 위한 제2 사용자 통신부;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2 기지국 통신부; 및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상기 제2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제1 홈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2 기지국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제2 접속희망자'라 함)에 대해, 상기 제2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으로 상기 제2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고, 상기 제1 홈사용자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상기 제2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5.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원격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이하 '제2 옥내용 기지국'이라 함)의 정보 및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제어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기지국 정보 DB;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이하 '제1 접속자'라 함)의 정보 및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1 홈사용자'라 함)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사용자 정보 DB;
    상기 제1 홈사용자의 접속을 위한 제1 사용자 통신부;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1 기지국 통신부; 및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제1 접속희망자'라 함)에 대해, 상기 제1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으로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고,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2 홈사용자'라 함)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제1 기지국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1 홈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상기 제1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이하 '제2 접속자'라 함)의 정보 또는/및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은,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정보 및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제어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2 기지국 정보 DB;
    상기 제2 접속자의 정보 및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2 사용자 정보 DB;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접속을 위한 제2 사용자 통신부;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2 기지국 통신부; 및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제2 접속희망자'라 함)에 대해, 상기 제2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으로 상기 제2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고, 상기 제1 홈사용자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상기 제2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제2 기지국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상기 제2 기지국 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제1 홈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2 기지국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준 정보는, 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중 적어도 하나인,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은, 폐쇄형 방식으로 통신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기지국인,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은, 상대방 옥내용 기지국의 정보 및 해당 옥내용 기지국의 제어 수준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있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은, 자신의 홈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자신의 홈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13. 옥내용 기지국의 원격 제어 방법으로서,
    제1 옥내용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이하 '제2 옥내용 기지국'이라 함) 간에 제어 권한을 상호 위임ㆍ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1 홈사용자'라 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상기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이하 '제2 접속자'라 함)의 정보 또는/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2 홈사용자'라 함)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상기 제2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제1 홈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제1 접속희망자'라 함)에 대해,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상기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 용 기지국으로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고, 상기 제2 홈사용자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방법.
  15. 옥내용 기지국의 원격 제어 방법으로서,
    제1 옥내용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옥내용 기지국(이하 '제2 옥내용 기지국'이라 함) 간에 제어 권한을 상호 위임ㆍ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제1 접속희망자'라 함)에 대해,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상기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으로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제2 홈사용자가 승인/불허함에 따라,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상기 제1 접속희망자의 접속을 허용/불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1 홈사용자'라 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상기 제어 권한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이하 '제2 접속자'라 함)의 정보 또는/및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소유자/사용자(이하 '제2 홈사용자'라 함)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옥내용 기지국이 상기 제2 접속자의 정보 또는/및 상기 제2 홈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제1 홈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권한은, 상기 제2 옥내용 기지국의 정보와, 상기 옥내용 기지국의 홈사용자 정보 접속 권한, 서비스 중인 접속자 정보 접속 권한, 접속희망자 승인 권한 중 적어도 하나인,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방법.
KR1020090127167A 2009-12-18 2009-12-18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0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67A KR101600629B1 (ko) 2009-12-18 2009-12-18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67A KR101600629B1 (ko) 2009-12-18 2009-12-18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363A true KR20110070363A (ko) 2011-06-24
KR101600629B1 KR101600629B1 (ko) 2016-03-08

Family

ID=4440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167A KR101600629B1 (ko) 2009-12-18 2009-12-18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514A (ko) * 2015-02-03 2016-08-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제어장치 및 셀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055A (ko) * 2007-07-16 200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첩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장치
US20090296635A1 (en) * 2008-05-21 2009-12-03 Airhop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s and their provisioning, management, and networ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055A (ko) * 2007-07-16 200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첩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장치
US20090296635A1 (en) * 2008-05-21 2009-12-03 Airhop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s and their provisioning, management, and networ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514A (ko) * 2015-02-03 2016-08-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제어장치 및 셀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629B1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9374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RU2488238C2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терминала доступа и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KR101442036B1 (ko) 노드 식별자들의 다수의 유형들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페이징
CN104185244B (zh) 用于ad-hoc小覆盖基站的接入控制方法和装置
KR101327456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관리
KR101471676B1 (ko) 셀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US893822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an overlapping network environment
JP500137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カスタム対応モビリティの方法及びシステム
TW201127116A (en) Access mode-based access control
KR2010004943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34217A (ko) 노드 식별자들의 다수의 유형들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페이징 및 등록
KR20120119828A (ko) 인터넷?인트라넷 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펨토 기지국
KR20130021866A (ko) 펨토셀에서 인접셀의 pci 스니핑 기반 위치 id 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00629B1 (ko) 옥내용 기지국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59769A (ko) 인터넷·인트라넷 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펨토 기지국
KR101518517B1 (ko) 옥내용 기지국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093342B1 (ko) 홈사용자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옥내용 기지국
KR101551499B1 (ko) 옥내용 기지국의 Qo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10072082A (ko) 옥내용 기지국들간의 상호 협력을 통한 페이징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403812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가입자 관리 방법 및 옥내용 기지국
KR20120066346A (ko) 단말정보 획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