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573A -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573A
KR20110069573A KR1020090126359A KR20090126359A KR20110069573A KR 20110069573 A KR20110069573 A KR 20110069573A KR 1020090126359 A KR1020090126359 A KR 1020090126359A KR 20090126359 A KR20090126359 A KR 20090126359A KR 20110069573 A KR20110069573 A KR 2011006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nergy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electrical applianc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937B1 (ko
Inventor
김윤규
이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9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요금이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전력관리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경우,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전기제품의 동작이 제어되고, 대기전력을 줄일수 있음으로써 전기요금과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는 전기제품의 전기요금 또는 소비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력관리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계측장치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력관리의 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에 연결되되,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에서 내리는 전력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의 소비전력 또는 전력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전모드로 구동되도록 상기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에너지관리장치, 보조에너지관리장치

Description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An auxillary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ity management network comprising the auxillary energy management }
본 발명은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요금이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전력관리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경우,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전기제품의 동작이 제어되고,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전기요금과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제품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사무기기등과 같은 전기제품이 작동하기 위한 전력은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전력발전소와, 송전선로, 그리고, 배선선로의 순서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분산전원이 아닌 중앙전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기술기반은 아날로그 또는 전자기계적이고, 사고시 수동적으로 복 구되어야하고, 설비 또한 수동적으로 복구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탄력적인 전력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전력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며, 이러한 전력제어는 수요반응제어나 지능형전력제어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전력망은 중앙에 집중되고 생산자가 통제하는 수직적,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인 반면에, 상기 수요반응제어나 지능형전력제어를 하기 위한 시스템은 공급자에게 덜 집중되어 있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이다.
한편, 이와 같이 탄력적인 전력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 가정이나 빌딩과 같은 전력수요자 입장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전기제품 및 복수개의 전기제품이 연결되는 전력관리네트워크가 일방적으로 전력을 받기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전력공급원과 전력정보에 관하여 양방향 통신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과, 이러한 양방향 통신을 위한 새로운 장치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또한, 전기제품이 동작을 하지 않아도, 전기제품이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으면, 지속적으로 대기전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대기전력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전기요금이 지불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대기전력을 줄여야 한다는 필요성도 제기되 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요금 및 전력소비를 효율적으로 저감하고,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는 전기제품의 전기요금 또는 소비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력관리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계측장치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력관리의 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에 연결되되,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에서 내리는 전력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의 소비전력 또는 전력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전모드로 구동되도록 상기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제품으로 인입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되,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기가 입력되는 전기입력부와;
상기 전기입력부에서 받은 전기를 제어대상인 전기제품으로 보내는 전기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기입력부와 상기 전기출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전력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제어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이상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에는 제어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코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전력공급콘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력관리어댑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공급콘센트와 결합하여 벽에 매립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면에 노출되는 ON/OFF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고 소정의 공간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의 명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ON/OFF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현재 시간이 전기요금이 최대가 되는 피크타임구간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B) 피크타임구간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 대상인 전기제품의 종류가 하나의 운전모드를 구비하는 단순작동형인지, 또는 여러운전모드를 구비하는 다기능 작동형인지, 아니면 여러 운전모드를 구비하는 동시에 다른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크관리형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제어대상인 전기제품이 어떤 종류의 전기제품군에 속하는지 판단된 경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명령을 내려서 상기 제어대상의 전기제품이 절전운전을 하도록 명령을 내라고, 제어대상의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 어방법을 제공한다.
제어대상 전기제품이 단순작동형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이 OFF모드로 전환되고, 대기전력을 차단을 위하여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대상 전기제품이 다기능작동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절전운전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공급전력량이 저감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대상 전기제품이 네트워크 관리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대상 전기제품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절전운전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 전기제품에 연결된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공급전력량이 저감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와; 연결된 다른 전기제품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관리형에 속하는 전기제품이 연결된 전기제품의 절전운전 명령 및 전력공급량 감소 또는 차단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전력요금이 최대로 부과되는 시간대에서의 전기제품의 전력사용을 줄여서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제품 정지시 정지된 전기제품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에 의한 전력소모 및 전기요금 청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는 가정에서의 전력관리네트워크(1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은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력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연결되며 가전장치와 같은 복수개의 전기장치와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전력요금은 시간당 요금제를 바탕으로 과금되며, 전력소모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력요금이 비싸지며, 전력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구간와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력요금이 저렴해진다.
이러한 시간에 따른 변동요금제에 근거하여 가정내에서 전력요금 및 소비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전력관리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가 구동된다.
이러한 전력관리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가 전력회사와 같은 전력관리프로그램의 운영주체(50)와 통신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에서는 전기제품 제조사나 기타 전력관리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에너지관리포탈사이트(55)에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에너지포탈사이트(55)에서 제공하는 업데이트된 전기제품의 소프트웨어나 전력관리프로그램에 필요한 보조프로그램, 기타 소비자 가이드 사항등을 받아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현재의 전기 소모상태 및 외부의 환경(온도, 습도)를 표시하는 화면(31)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버튼(32) 등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30)는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가정 내부의 전력관리네트워크를 통하여 냉장고(101), 세탁기 및 건조기(102), 에어컨(103), TV(105) 또는 조리기기(104)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이들과 통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는 상기 전기제품들과 연결되어 상황에 따라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201~20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연결되어 이들의 제어명령을 받아서 연결된 전기제품(100)의 운전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에너지 관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번호 201과 202에서 도시된 것 처럼 일측에는 제어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코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전력공급콘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력관리어댑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번호 203으로 표시된 것처럼, 멀티에어컨의 제어장치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복수개의 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그 제어장치 하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운전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번호 204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고 노출되는 ON/OFF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의 명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ON/OFF동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번호 205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전력공급콘센트의 후면에 마련되고 벽 내부에 매립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전력공급/차단박스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에 화면(31)에는 에너지정보 날씨정보가 표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서 보내오는 전력공급정보에 근거한 각 제품별 전력공급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관리네트워크 상에 각 구성요소들이 연결되는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전력관리프로그램 운영주체(50)는 일반적인 발전장비(화력, 원자력, 수력)을 구비하거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열)등을 이용한 발전장비등을 구비한 전력회사가 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다.
또한, 전력관리네트워크는 각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태양열 발전시설과 같은 자가발전시설(51)과, 연료전지 자동차나 또는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연료전지(5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원과 상기 전력관리프로그램 운영주체(50)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관리포탈사이트(55)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및 상기 전력관리프로그램 운영주체(50)와 인터넷선 등으로 연결된다.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상기 전기제품들과 상기 통신모뎀(200)들을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35) 및 입력부(38), 통신부(34), 표시부(39)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도, 제어부(25) 및 입력부(28), 통신부(24), 표시부(2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신부(34, 24)는 가정내의 전기제품, 즉, 냉장고(101), 세탁기 또는 건조기(102), 그리고, 공기조화기(103), 조리기기(104)와 통신하여 전력정보 및 구동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100)들에는 통신모뎀이 마련될 수 있으 며, 이러한 통신모뎀을 외부에 장착되거나 전기제품(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제품(100)들로 유입되는 전력량을 조절하거나 차단/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제품(100)에 유입되고 소비되는 전력량을 계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된 전기제품별 전력사용 히스토리 정보도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계측된 전력량이나 전력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나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로 송신하여 이들 장치에서 각 전기제품별 전력정보가 취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취합된 제품별 전력정보 및 상기 전력관리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시간대별 전력요금에 관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는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의 가장 큰 역할은 전기제품 작동시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전력요금절약모드 및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절전운전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절전운전모드는 전기제품이 작동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수행된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는 하루 중 전력요금이 제일 비싸지는 피크타임을 고려하거나, 소비전력 또는 전력요금의 상한 목표치를 고려하여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
여기서, 피크타임구간이나 상한목표치를 고려한 절전운전모드의 운전은 전력회사에서 제공하는 전력관리프로그램에 가입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력관리프로그램에 가입하여 전력관리를 받게 되면,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 뿐더러 전력회사에서 제공하는 전력요금인하정책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향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절전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가 직집적으로 상기 전기제품(100)들과 통신을 하여 각 전기제품(100)가 절전운전모드를 수행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에도 명령을 내려서 각 전기제품(100)으로 유입되는 공급전력을 차단하거나 저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가 전기제품(100)에 대한 제어명령을 상기 전기제품(100)에 직접적으로 내리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 전기제품(100)에 연결된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에 내림으로써,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가 실질적인 각 전기제품에 대하여 제어명령을 내리는 한편, 전력공급량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절전운전은, 전기요금이 비싸지는 피크타임구간을 고려하여 이 구간에서의 전력사용을 가급적 회피하거나 전기제품의 사용을 대기시키는 운전모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같은 전력량 사용이라고 하더라도 그 사용시간대에 따라서 전력요금이 절약될 수 있다. 이를 전기요금절약운전이라고 하겠다.
또한, 피크타임구간을 고려한 전기요금절약운전 이외에, 소비전력량의 목표 치를 정하여 이를 준수하도록 하는 목표치준수운전모드도 상기 절전운전의 일례로 들 수 있다.
도4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가 전기제품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가 설치되는 전기제품은 냉장고와 같이 24시간 구동되어야 하는 전기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기제품은 그 운전모드의 다양성에 따라서 3가지 제품군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커피포트(104)나 형광등과 같이, 하나의 on/off 운전모드 밖에 없는 단순작동형 전기제품과, 공기조화기(103)이나 조리기기(104), 세탁기/건조기(102)등과 같이 여러 운전모드를 구비하고 있으나 24시간 동안 작동하지는 않는 다기능 작동형 전기제품, 그리고, 냉장고(101)와 같이 여러 운전모드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가 장착되어 다른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며, 24시간 구동되는 네트워크 관리형 전기제품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 제품군에 속하는 전기제품에 연결되는 각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201~204) 들도 각 전기제품의 특성에 따라 공급전력을 on/off만 하거나, on/off동작이외에 전력을 증감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5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의 구체적인 제어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는 외부에서 받은 전력정보와 내부에 저장된 전기제품의 작동정보 및 전력정보를 고려하여 각 전기제품에 대한 제어명령을 계산하고 내리는 제어부(35(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25))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38(25))와,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9(29))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25))에는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34(24))가 마련되는데, 상기 통신부(34(24))는 다시 보조에너지관리장치 인터페이스(34a(24a))와, 상기 계측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34b(24b))(상기 통신부가 계측장치(20)에 포함되면 EMS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가 됨), 그리고, 상기 에너지관리포탈과 연결되는 인터넷연결 인터페이스(34c(24c))를 구비한다.
한편,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는 모든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0a)와, 외부의 전기가 입력되는 전기입력부(200b)와, 상기 전기제품 방향으로 전기가 출력되는 전기출력부(200d), 상기 전기입력부(200b)와 상기 전기출력부(200d)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 사이에서의 전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연결하는 스위치부(200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200)는 상기 전기제품 및 에너지관리장치(EMS)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와 통신가능한 통신부(200e)와, 전력량 표시 및 전력공급/차단 표시를 하는 표시부(200h), 상기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공급전력과 소비전력을 계측하는 전력측정부(200f), 전기제품의 이상작동이나 절전운전 모드 돌입이나 해제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발생부(200g)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어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우선, 전기제품이 동작하는 상태에서(S801), 현재 시간이 피크타임구간인지 판단한다(S802). 여기서 피크타임구간은 상기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4시간 중 전체 소비전력이 제일 많아져서 전기요금이 제일 비싸지는 구간이다.
그리하여, 현재시간이 피크타임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전기제품이 어떤종류인지,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작동형인지, 다기능 작동형인지, 네트워크 관리형인지 판단한다(S803).
그리하여, 커피포트나 형광등과 같이 단순작동형이라고 판단되면, 전기제품을 정지하고,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명령을 내려 전력공급을 차단하여 대기전력발생을 막는다(S804).
한편, 전기제품이 다기능 작동형인 경우에는, 전기요금 또는 전력소비량 감소를 위하여, 절전운전을 시작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전기제품에 내린다. 그리고,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는 전력공급량이 감소되도록 명령이 내려지고, 상황에 따라서는 공급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S805).
한편, 네트워크 관리형의 경우에는 역시 전기요금 또는 전력소비량 감소를 위하여, 절전운전을 시작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전기제품에 내리고, 그리고,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는 전력공급량이 감소되도록 명령이 내려지고, 상황에 따라서는 공급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S808).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과 연결된 다른 연결제품이 있는지 판단하여, 연결된 제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단순작동형 전기제품에 대한 제어동작이나, 상기 다기능작동형 전기제품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각 전기제품 및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내린다(S810).
그리고, 위와 같은 제품종류별로 절전운전 및 대기전력발생 방지를 위한 동작을 하다가 피크타임구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여(S806), 피크타임구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피크타임구간 전의 작동상태로 복귀한다(S807)
도1은 본 발명의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전력관리네트워크 에너지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전력관리네트워크 에너지관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보조전력관리네트워크 에너지관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다.
도7은 본 발명의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흐름도이다.
도8은 시간에 따른 전력요금과 소비전력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 계측장치 30: 에너지관리시스템
24, 34: 통신부 25, 35: 제어부
28, 38: 입력부 29, 39: 표시부
50: 전력관리프로그램 운영주체 200: 보조에너지관리장치.

Claims (10)

  1. 일단부는 전기제품의 전기요금 또는 소비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력관리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계측장치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력관리의 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에 연결되되,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에서 내리는 전력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의 소비전력 또는 전력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전모드로 구동되도록 상기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제품으로 인입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되,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기가 입력되는 전기입력부와;
    상기 전기입력부에서 받은 전기를 제어대상인 전기제품으로 보내는 전기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기입력부와 상기 전기출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전력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제어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이상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제어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코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전력공급콘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력관리어댑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콘센트와 결합하여 벽에 매립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벽면에 노출되는 ON/OFF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고 소정의 공간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또는 상기 계측장치의 명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ON/OFF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
  7. (A) 현재시간이 전기요금이 최대가 되는 피크타임구간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B) 피크타임구간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 대상인 전기제품의 종류가 하나의 운전모드를 구비하는 단순작동형인지, 또는 여러운전모드를 구비하는 다기능 작동형인지, 아니면 여러 운전모드를 구비하는 동시에 다른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크관리형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제어대상인 전기제품이 어떤 종류의 전기제품군에 속하는지 판단된 경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명령을 내려서 상기 제어대상의 전기제품이 절전운전을 하도록 명령을 내라고, 제어대상의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어대상 전기제품이 단순작동형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이 OFF모드로 전환되고, 대기전력을 차단을 위하여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어대상 전기제품이 다기능작동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절전운전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공급전력량이 저감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전기제품이 네트워크 관리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대상 전기제품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절전운전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 전기제품에 연결된 보조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하여 공급전력량이 저감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와;
    연결된 다른 전기제품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관리형에 속하는 전기제품이 연결된 전기제품의 절전운전 명령 및 전력공급량 감소 또는 차단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에너지관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KR1020090126359A 2009-12-17 2009-12-17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KR10161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59A KR101613937B1 (ko) 2009-12-17 2009-12-17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59A KR101613937B1 (ko) 2009-12-17 2009-12-17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73A true KR20110069573A (ko) 2011-06-23
KR101613937B1 KR101613937B1 (ko) 2016-04-20

Family

ID=4440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359A KR101613937B1 (ko) 2009-12-17 2009-12-17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9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951B1 (ko) * 2004-12-09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댁내의 전력 사용량 관리 시스템
US7555660B2 (en) 2006-05-31 2009-06-3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ic-power management of at least one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of a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937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3250B2 (en) Electric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03391A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42220B1 (ko) 가정용 전력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전력 에너지 관리 시스템
CA2755712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incorporating a gas powered generator
WO2013057516A9 (en) Smart meter apparatus
CN103081271A (zh) 切换至家用设备更为有利的消费费率的方法和与之相适的家用设备
KR20110069574A (ko) 착탈가능한 통신모뎀이 장착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10042866A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2862A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21873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181783B1 (ko) 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1556164B1 (ko) 착탈가능한 통신모뎀을 구비하는 전기제품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1613937B1 (ko) 보조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제어방법
KR101619961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JP676229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542410B1 (ko) 착탈가능한 통신모뎀이 장착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20017182A (ko) 스마트 디바이스
KR10163608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KR20120016740A (ko) 스마트 디바이스
KR20120005188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578009B1 (ko) 착탈가능한 통신모뎀이 장착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629320B1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20120005666A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20110042863A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00202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