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446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446A
KR20110069446A KR1020090126185A KR20090126185A KR20110069446A KR 20110069446 A KR20110069446 A KR 20110069446A KR 1020090126185 A KR1020090126185 A KR 1020090126185A KR 20090126185 A KR20090126185 A KR 20090126185A KR 20110069446 A KR20110069446 A KR 2011006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ntrol signal
teaching pendant
monitor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0645B1 (en
Inventor
한성호
박영준
우갑주
은종호
이동배
김병수
이민수
조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45B1/en
Publication of KR2011006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9Robotics, robotics to robotics hand
    • G05B2219/39448Same teach pendant connects to many robot controllers over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obot control is provided to reduce of a load in a robot control unit and simplified a system by monitored of a state of the robots with a teaching pendant. CONSTITUTION: A robot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obot device comprises a terminal(100) and a teaching pendant(300).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a network(200). The teaching pendan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with the robot device. The teaching pendant transmits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f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Description

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본 발명은 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한 로봇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ontrol technology through a network.

종래의 로봇 제어 환경에서는, 로봇의 조작을 위한 티칭 팬던트(teaching pendant)를 마련하고, 이러한 티칭 팬던트와 로봇 제어부(controller)를 시리얼(serial) 통신으로 연결하여 티칭 팬던트의 키 조작에 의해 로봇들을 제어하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In a conventional robot control environment, a teaching pendant is provided for manipulating the robot, and the teaching pendant and the robot controller are connected by serial communication to control the robots by key manipulation of the teaching pendant. We adopt technique to say.

또한, 원격지에서 로봇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internet))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과 로봇 제어부를 서로 연결하여 원격지의 단말을 통해 로봇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로봇 제어부를 통해 취합되는 로봇들의 상태 정보를 원격지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nitor and control the robot in real time at a remote location, the remote terminal and the robot control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robot control unit via a remote terminal,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s collected through the robot controller may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of a remote sit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단말이 원격지의 로봇에 접속하기 위해 로봇 제어부에 직접 접속할 경우, 로봇 제어부의 부하가 가중되었다. 그리고, 로봇이 단 말과 접속하기 위하여, 웹 서버(web server) 등을 로봇 제어부에 포함해야 하므로 로봇 제어부의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terminal directly connects to the robot control unit in order to connect to a remote robot, the load on the robot control unit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robot must include a web server or the like in the robot controller in order to connect with the terminal,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robot controller is inevitably complicat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의 로봇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로 제어하는 경우, 원격 접속을 로봇 제어부에서 직접 하지 않고 로봇 운전을 위한 티칭 팬던트(teaching pendant)에 직접 원격 접속하여 로봇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trolling the remote robots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the technology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robot by remotely accessing the teaching pendant (teaching pendant) for the robot operation without the remote connection directly from the robot control unit I want to come up with a plan.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이 티칭 팬던트에 직접 원격 접속할 수 있게 하여 티칭 팬던트에 의해 관리되는 로봇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robots managed by the teaching pendant by allowing a remote terminal to directly access the teaching pendant via a network.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로봇 제어 장치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접속으로 로봇 디바이스 그룹을 제어하며,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는 원격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원격 단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한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로 송신하는 티칭 팬던 트(teaching pendant)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robot control apparatu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via a network to control the robot device group, and provides a remote terminal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through the network, and through the network A teaching pendant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erminal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and to transmit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to the remot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 teaching pendant).

여기서, 상기 티칭 팬던트에서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의 통신은,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 통신 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Here, in the teaching pendant to the robot device group,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applied.

또한,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서 상기 티칭 팬던트로의 통신은,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 통신 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from the robot device group to the teaching pendant may be a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communication standard.

또한, 상기 티칭 팬던트는, 상기 원격 단말로부터의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부터의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 송신하거나 수신된 상기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단말로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의 원격 제어 또는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송수신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되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송수신부로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aching pendant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terminal or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robot device group,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or transmit the received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remote device.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a terminal, 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 monitoring unit for performing monitoring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robot device group, and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And a monitoring unit providing the monitored state information to the transceiver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단말의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ransceiver to interpret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부터의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ransceiver to receive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robot device group through the monitoring unit and transmit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o the network.

또한, 상기 티칭 팬던트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aching pendant may further include a web server.

또한, 상기 원격 단말은, 유선통신 단말기 및/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The remote terminal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방식 및/또는 무선방식으로 상기 원격 단말과 상기 티칭 팬던트를 연결할 수 있다.The network may connect the remote terminal and the teaching pendant in a wired and / or wireless manner.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로봇 제어 장치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접속하여 로봇 디바이스 그룹을 제어하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는 원격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원격 단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한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로 송신하는 티칭 팬던트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원격 단말의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부터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로 송신하는 로봇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robot control apparatu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terminal via a network to control the robot device group, a remote terminal for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through the network and is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A teaching pendant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and transmits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to the remot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It may include a robot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robot device group, or receives the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robot device group to transmit to the remote terminal via the network.

여기서, 상기 원격 단말은, 상기 티칭 팬던트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로봇 제어부로 접속하거나 상기 티칭 팬던트로 접속할 수 있다.Here, the remot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robot controller or connected to the teaching pendant depending on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또한, 상기 로봇 제어 장치는, 상기 티칭 팬던트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로봇 제어부에서 제어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티칭 팬던트를 통한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제어부에서 패스 쓰루(pass-through)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stops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from the robot controller when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and passes through control signals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from the robot controller to pass through the robot controller. Send to device group.

또한, 상기 로봇 제어 장치는, 상기 티칭 팬던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 우에 상기 로봇 제어부를 통한 제어 신호를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ontrol apparatus may directly transmit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robot controller to the robot device group when the teaching pendant is not activated.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방식 및/또는 무선방식으로 상기 원격 단말과 상기 로봇 제어부를 연결할 수 있다.The network may connect the remote terminal and the robot controller in a wired and / or wireless manner.

또한, 상기 티칭 팬던트는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되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aching pendant may monitor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and transmit the monitored state information to the remot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또한, 상기 티칭 팬던트와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 간의 통신은,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 및/또는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ing pendant and the robot device group may be applied to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and / or a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또한,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티칭 팬던트의 활성화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고, 상기 티칭 팬던트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직접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의 직접 제어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티칭 팬던트를 통한 제어 신호만을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게 전송하도록 패스 쓰루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in real time, and directl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or directl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according to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Stop and pass-through to send only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to the robotic device group.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로봇 제어 방법에 따르면, a)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원격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b)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 전송하는 과정과, c)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로봇 액션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d) 상기 로봇 액션이 발생하면,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로봇 액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bot control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ermining whether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when the remot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b) if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c)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obot device group, determining whether a robot ac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occurs based on a monitoring result, and d) the robot When an action occurs, the method may include transmitting robot ac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to the remot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로봇 제어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단말이 로봇 제어부 및/또는 티칭 팬던트와 접속되는 로봇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원격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b) 상기 원격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티칭 팬던트가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c) 상기 티칭 팬던트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 신호의 전송을 중지시키고, 상기 티칭 팬던트를 통한 제어 신호를 패스 쓰루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과정과, d)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로봇 액션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e) 상기 로봇 액션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로봇 액션 정보가 상기 티칭 팬던트로 패스 쓰루 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f) 상기 티칭 팬턴트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robot control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bot control method in which a remo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obot control unit and / or a teaching pendant via a network, a) the remote terminal when the remot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Determining whether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b) determining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is currently activated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and c) if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Stopping transmission of a control signal, passing through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and d)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obot device group and based on a monitoring result. Determining whether a robot action of the device group is generated, and e) Controlling robot ac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to pass through to the teaching pendant when a robot action occurs; and f)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when the teaching pendant is not activated. And transmitting to the robot device group.

여기서,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으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group may be based on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또한,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의 동작 상태 모니터링은,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of the robot device group may be based on a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접속을 로봇 제어부에서 직접 하지 않고 로봇 운전을 위한 티칭 팬던트(teaching pendant)에 직접 원격 접속하게 하여 로봇을 원격 제어하고, 티칭 팬던트에 의해 관리되는 로봇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바, 로봇 제어부의 부하를 덜고 전체 시스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robot by remotely accessing the teaching pendant (teaching pendant) for the robot operation without remote access directly from the robot controller, and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robots managed by the teaching pendant. Bar, the load on the robot controller can be reduced and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에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not be includ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It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computer usable memory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included i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 usable memory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an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 chart step of the block diagram.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implemented process that generates each block and a block diagram.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 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이 속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블록의 기능을 동시에 처리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not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h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ality involved.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hardware to solve the problem of speed, it is also possible t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the function of the block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장치는, 원격 단말(100), 네트워크(200), 티칭 팬던트(teaching pendant)(300), 로봇 디바이스 그룹(robot device group)(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terminal 100, a network 200, a teaching pendant 300, and a robot device group. 400, and the like.

먼저, 원격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후술하는 티칭 팬던트(300)에 원격 접속하여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포함된 다수의 로봇 디바이스들의 상태 정보를 티칭 팬던트(300)를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First, the remote terminal 100 may control the robot device group 400 by remotely accessing the teaching pendan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network 200, and include a plurality of robot devices included in the robot device group 400. Their status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300.

이러한 원격 단말(100)은 유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클라이언트를 지칭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셀룰러 폰, 영상전화 폰, 스마트 폰 등의 이동 클라이언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네트워 크(200)와 유/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유/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클라이언트로서의 원격 단말(100)은,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원격 단말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네트워크(200)에 접속될 수 있는 원격 단말은 다수, 또는 다수의 원격 단말들을 포함하는 원격 단말 그룹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remote terminal 100 refers to a client such as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desktop or a laptop, or a mobile client such as a cellular phone, a video phone, a smart phone, or the like. To refer to, the network 200 and the wired / wireless connection to provi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subscriber. At this time, the remote terminal 100 as a mobile client is not only a second generation that support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but also a third generation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technique of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cheme. It can include all of the wireless environment to support. Although one remote terminal i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remote terminal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200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remote terminal groups including a plurality of remote terminal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네트워크(2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원격 단말(100)과 티칭 팬던트(30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원격 단말(100)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티칭 팬던트(300)로 전달하거나, 티칭 팬던트(300)로부터 제공되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원격 단말(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network 200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remote terminal 100 and the teaching pendant 300 in a wired and / or wireless manne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to the teaching pendant 300, or teaches. It may serve to deliver the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provided from the pendant 300 to the remote terminal 100.

이러한 네트워크는(200)에서 유선 방식의 유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인터넷(Internet)으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텔넷(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원격 단말(100)이 티 칭 팬던트(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wired wired network in the network 200 is, for example, the Internet, and is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upper layer, that i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Domain Name System (DNS),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Network File Service (NF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It refers to a global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for providing a), may provide an environment that allows the remote terminal 100 to be connected to the teaching pendant (300).

한편, 무선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원격 단말(100)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의 다른 원격 단말(또는 그룹)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network of the wireless type, for example, is involved in call setup and resource allocation of the remote terminal 100,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o the call setup and resource allocation of the second other remote terminal (or group)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a wireless network may be established.

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는 원격 단말(10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무선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Such a wireless network serves to guarantee the mobility of the remote terminal 10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managing handover and radio resources. The wireless network may comprise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may support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Here, in the case of synchronous, the base station will be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in the case of asynchronous, the base station is a Node B (Node B),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s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Will be. Of course, the wireless network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network, not a CDMA network, and an access network of all futur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이와 같은 일 예의 구성을 갖는 기지국은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원격 단말(100)로부터 호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 시도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원격 단말(1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을 제어하며, 원격 단말(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원격 단말(100)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cell)간 소프트 핸드 오버(soft hand-over) 및 하드 핸드 오버(hard hand-over)의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록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A base station having such an example configuration may receive a call attempt message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through a traffic channel among signal channels, and transmit the received call attemp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is a network endpoint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100 by performing the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and wireless convers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wireless signal. The base station controller controls the base station, and assigns and releases radio channels to the remote terminal 100, controls transmission output of the remot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soft hand-over and hard hand-to-cell Determination of hard hand-over, transcoding and vocod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lock distribution,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s for a base station can be performed.

무선 네트워크 내의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원격 단말 그룹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교환기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change in the wireless network may perform basic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processing of subscribers, location registration and handover procedures of remote terminal groups, and interworking with other networks. The exchange includes an Access Switching Subsystem (ASS) that performs distributed call proces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INS) that performs centralized call processing, a Central Control Subsystem (CCS) that centralizes operations and maintenance, and mobile. It may include a subsystem such as a 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RLS) that performs storage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for the subscriber.

본 실시예에 따른 티칭 팬던트(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의 제어 신호(구체적으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제어 신호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 예를 들면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서 제어 신호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1(400/1)로 해당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teaching penda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control signal (specifically, a user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a robot) of the remot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interpre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robot device group 400 to the robot device 1 400/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여기서, 원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중 어느 로봇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에 대한 대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티칭 팬던트(300)는 대상정보를 해석하여, 해당 로봇 디바이스로 해당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may include target information on which robot device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is a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teaching penda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analyze the targe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또한, 티칭 팬던트(300)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임의의 로봇 디바이스, 예를 들면 로봇 디바이스1(400/1)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되는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로봇의 작업 이력 정보, 오류 정보,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eaching pendant 300 monitors the status information of any robot device, for example, the robot device 1 (400/1)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and remotely monitors the monitored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It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work history information, erro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robot.

티칭 팬던트(300)와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 간의 통신은, 예컨대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 및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ing pendant 300 and the robotic device group 400 may be applied,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and a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which facts ar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a detailed technic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이와 같은 티칭 팬던트(30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teaching pendant 300 in detail.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티칭 팬던트(300)는, 송수신부(32), 제어부(34), 모니터링부(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eaching penda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transceiver 32, a controller 34, a monitor 36, and the like.

송수신부(32)는 원격 단말(1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32)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부터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원격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32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In addition, the transceiver 32 may receive the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robot device group 400,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remote terminal 100.

제어부(34)는 티칭 팬던트(300)의 전반적인 제어, 예컨대 송수신부(32)의 원격 제어(또는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송수신 제어,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대한 모니터링 관리,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제어를 위한 웹 서버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 controls overall control of the teaching pendant 300,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based on the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2, the monitoring management for the robot device group 400, the robot device group ( A web server function for controlling 400 may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제어부(34)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의 제어 신호가 송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될 때,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제어 신호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 예를 들면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로봇 디바이스1(400/1)에게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 기반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32)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erminal 100 is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2 through the network 200, the control unit 34 interpre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for example a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transmitter / receiver 32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1 400/1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based on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여기서, 원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중 어느 로봇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에 대한 대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4)는 대상정보를 해석하여, 해당 로봇 디바이스로 해당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32)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may include target information on which robot device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is a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4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control the transceiver 32 to interpret the targe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또한, 제어부(34)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부터의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부(36)를 통해 수신하여 네트워크(2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32)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4 may control the transceiver 32 to receive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robot device group 400 through the monitoring unit 36 and transmit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o the network 200.

모니터링부(36)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되는 상태 정보를 제어부(34)의 제어 하에 송수신부(3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과 모니터링부(36) 간의 모니터링 상태 정보는, 예컨대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The monitoring unit 36 may monitor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and provide the monitored state information to the transceiver 3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4. In this case,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between the robot device group 400 and the monitoring unit 36 may be transmitted based on, for example, a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장치는, 원격 단말(100), 네트워크(200), 티칭 팬던트(300),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 로봇 제어부(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mote terminal 100, a network 200, a teaching pendant 300, a robot device group 400, a robot control unit 500, and the like. can do.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티칭 팬던트(300)의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부각시키되,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 예를 들어 티칭 팬던트(300)가 고장 상태이거나, 오류 점검 상태 등의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를 감안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티칭 팬던트(300)와 로봇 제어부(500)를 병행 관리하도록 하여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제어 및 모니터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도록 구현한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of the teaching pendant 300 are highlight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but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 the teaching pendant 300 is not activated, for example, teaching In this embodiment, the pendant 300 is in a failure state or an inactive state such as an error check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teaching pendant 300 and the robot control unit 500 are managed in parallel to control the robot device group 400.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for monitoring.

먼저, 원격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티칭 팬던트(300) 또는 로봇 제어부(500)에 원격 접속하여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포함된 다수의 로봇 디바이스들의 상태 정보를 티칭 팬던트(300) 또는 로봇 제어부(500)를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티칭 팬던트(30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로봇 제어부(500)로 접속하거나 티칭 팬던트(300)로 접속할 수 있는데,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설명에서와 같이, 로봇 제어부(500)에서 제어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티칭 팬던트(300)를 통한 제어 신호를 로봇 제어부(500)에서 패스 쓰루(pass-through)하여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로봇 제어부(500)를 통한 제어 신호를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remote terminal 100 may control the robot device group 400 by remotely accessing the teaching pendant 300 or the robot controll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included in the robot device group 400.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robotic devices may be monitored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300 or the robot controller 500. That is, the teaching pendan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robot control unit 500 or the teaching pendant 300 depending on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as described below, the robot The control unit 500 may stop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pass-through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300,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by passing through the robot control unit 5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not activated,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이러한 원격 단말(100)은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선통신 단말기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Like the embodiment of FIG. 1 described above, the remote terminal 10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네트워크(2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원격 단말(100)과 티칭 팬던트(30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원격 단말(100)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티칭 팬던트(300)로 전송하거나, 티칭 팬던트(300)로부터 제공되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원격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에는,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로서, 태칭 팬던트(300)로 전송된 제어 신호가 로봇 제어부(500)에서 패스 쓰루되어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제공되거나,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모니터링 상태 정보가 로봇 제어부(500)에서 패스 쓰루되어 티칭 팬던트(300)로 제공되는 경우이다.The network 200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remote terminal 100 and the teaching pendant 300 in a wired and / or wireless manner, and transmits or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to the teaching pendant 300. It may serve to transmit the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provided from the pendant 300 to the remote terminal 100. In this case, as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teaching pendant 300 is passed through in the robot controller 500 to be provided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or the robot device group 400.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of) is passed through the robot controller 500 to be provided to the teaching pendant 300.

또한, 네트워크(2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원격 단말(100)과 로봇 제어부(50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원격 단말(100)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로봇 제어부(500)로 전달하거나, 로봇 제어부(500)로부터 제공되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원격 단말(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에는,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서, 로봇 제어부(500)가 제어 및 모니터링 주체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200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remote terminal 100 and the robot controller 500 in a wired and / or wireless manne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to the robot controller 500. The robot may transmit the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provided from the robot controller 500 to the remote terminal 100. In this case, as the teaching pendant 300 is not activated,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be a control and monitoring agent.

이러한 네트워크는(200)는,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선 방식의 네트워크 또는 무선 방식의 네트워크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Such a network 200,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described above, will be readily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may be selectively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른 티칭 팬던트(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되는 원격 단말(100)의 제어 신호(구체적으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제어 신호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 예를 들면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서 제어 신호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1(400/1)로 해당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teaching penda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control signal (specifically, a user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a robot) of the remote terminal 100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200, and receive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By analyzing,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robot device group 400 to the robot device 1 (400/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 중 어느 로봇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에 대한 대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티칭 팬던트(300)는 대상정보를 해석하여, 해당 로봇 디바이스로 해당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may include target information on which robot device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is a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teaching penda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analyze the targe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또한, 본 실시예에서,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 되지 않은 경우, 로봇 제어부(500)가 상술한 티칭 팬던트(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원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내의 대상 정보를 해석하여, 해당 로봇 디바이스로 해당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not activated,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eaching pendant 30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target information i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can be analyzed and the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또한, 티칭 팬던트(300)는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임의의 로봇 디바이스, 예를 들면 로봇 디바이스1(400/1)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되는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로봇의 작업 이력 정보, 오류 정보,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eaching pendant 300 monitors the status information of any robot device, for example, the robot device 1 (400/1)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and remotely monitors the monitored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It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work history information, erro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robot.

티칭 팬던트(300)와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 간의 통신은, 예컨대 원격 제 어 표준 프로토콜 및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ing pendant 300 and the robotic device group 400 may be applied,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and a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appreciated, detailed technical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라,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로봇 제어부(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원격 단말(100)의 제어 신호를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 전송하거나,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부터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not activated, the robot controller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erminal 100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200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Receives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robot device group 400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o the remot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또한, 로봇 제어부(500)는 티칭 팬던트(300)의 활성화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고, 티칭 팬던트(30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해당 제어 신호를 직접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게 전송하거나,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의 직접 제어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티칭 팬던트(300)를 통한 제어 신호만을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게 전송하도록 패스 쓰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in real time, and directly transmi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according to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or the robot device group ( Direct control signal transmission to 400 may be stopped and pass-through to transmit only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300 to the robotic device group 400.

예컨대,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제어 신호를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으나,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자신의 제어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원격 단말(1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패스 쓰루하여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not activated,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However,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is stopped and the remote terminal ( The control signal from 100 may be passed through to be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 제어부(500)가 티칭 팬던트(300)의 활성화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고, 티칭 팬던트(300)가 비활성화된 경우, 해당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robot controll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in real time, and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deactivated, the releva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티칭 팬던트(300)가 비정상 동작하는 등의 이유로 비활성화된 경우에 로봇 제어부(500)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수정, 응용 및 변경될 수 있다.Up to now,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obot controller 500 is activated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deactivated due to abnormal operation or the like.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pplied and changed.

예를 들어, 티칭 팬던트(300)의 일부 기능이 비정상이나, 비활성화되지는 않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로봇 제어(500)의 기능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기능이 비정상인 티칭 팬던트(300)가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임의의 로봇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경우, 해당 동작에 대한 정확도는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요청신호에 따라 티칭 팬던트(300)가 비활성화되고, 로봇 제어부(5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로봇 디바이스 그룹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 임의로 티칭 팬던트(300)를 비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0)는 티칭 팬던트(300)의 활성화여부에 상보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그 역의 경우로서, 원격 단말(100)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로봇 제어부(500)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when some functions of the teaching pendant 300 are abnormal or are not deactivated,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s of the robot control 500 may not be activated. In this case,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which is a part of the function, analyze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control an arbitrary robot device,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may decrease.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aching pendant 300 may be deactivated and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That is, a user who controls and monitors a group of robotic devices may arbitrarily deactivate or activate the teaching pendant 300 for more accurate control and monitoring. In this cas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iew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be activated or deactivated complementarily to the activation of the teaching pendant 300. In the reverse case,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be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t the remote terminal 100.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4 and 5.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 구체적으로 티칭 팬던트(300)의 제어 및 모니터링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First,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 control and monitoring process of the teaching pendant 300.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티칭 팬던트(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이 접속되는지를 판단하고(S100), 원격 단말(100)이 접속되면 티칭 팬던트(300)는 단계(S102)로 진행하여 원격 단말(100)로부터 제어 신호(구체적으로, 로봇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teaching pendant 300 determines whether the remote terminal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00 (S100), and when the remote terminal 100 is connected, the teaching pendant 300 steps. In operation S10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ontrol signal (specifically, a robot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원격 단말(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티칭 팬던트(300)는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전송함으로써,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임의의 로봇 디바이스, 예를 들면 로봇 디바이스1(400/1)을 제어할 수 있다(S104).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the teaching pendant 30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based on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thereby allowing any robot device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the robot device 1 400/1 can be controlled (S104).

이후, 티칭 팬던트(300)는 해당 로봇 디바이스, 즉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의거하여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로봇 액션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6).Thereafter, the teaching pendant 300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robot device, that is, the robot device 1 (400/1), and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action of the robot device 1 (400/1) is gener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It may be (S106).

로봇 액션이 발생한 경우에는, 티칭 팬던트(300)는 해당 모니터링 상태 정보, 즉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로봇 액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108).When the robot action occurs, the teaching pendant 300 may transmit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hat is, the robot ac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1 (400/1) to the remot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S108). .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 구체적으로 로봇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 처리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process of the robot controller 500.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봇 제어부(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이 접속되는지를 판단하고(S200), 원격 단말(100)이 접속되면 로봇 제어부(500)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원격 단말(100)로부터 제어 신호(구체적으로, 로봇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robot controll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remote terminal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00 (S200), and when the remote terminal 100 is connected, the robot controller 500 performs a step. In operation S20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ontrol signal (specifically, a robot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원격 단말(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로봇 제어부(500)는 티칭 팬던트(300)가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4).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100,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300 is currently activated (S204).

만일,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로봇 제어부(500)는 현재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의 전송(구체적으로,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의 제어 신호 전송)을 중지시키고, 티칭 팬던트(300)를 통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 기반으로 로봇 제어부(500)를 패스 쓰루하여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S206). 즉,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티칭 팬턴트(300)와 로봇 제어부(500) 모두에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로봇 제어부(500)는 현재 티칭 팬던트(30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제어 신호를 직접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게 전송하거나, 원격 단말(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수신을 중지시키고 티칭 팬던트(300)로 수신된 제어 신호가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게 전송되도록 패스 쓰루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티칭 팬던트(300)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라면, 로봇 제어부(500)를 통한 제어 신호 전송을 차단시켜 로봇 제어부(500)의 부하를 줄이고자 함이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the robot controller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currently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200 (specifical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Stopping and passing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300 to the robot control unit 500 based on the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may be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S206). That is, sinc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200 may be provided to both the teaching pant 300 and the robot controller 500,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300 is currently activated. 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or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aching pendant 300 is stopped and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aching pendant 300 is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group 400. Can act as a thru This is to reduce the load of the robot controller 500 b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robot controller 500 when the teaching pendant 300 is activated.

이후, 로봇 제어부(500)는 해당 로봇 디바이스, 즉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의거하여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로 봇 액션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8).Thereafter, the robot controller 500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obot device, that is, the robot device 1 (400/1), and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action of the robot device 1 (400/1) is gener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It may be (S208).

로봇 액션이 발생한 경우에는, 로봇 제어부(500)는 해당 모니터링 상태 정보, 즉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로봇 액션 정보가 티칭 팬던트(300)로 패스 쓰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0). 티칭 팬던트(300)로 패스 쓰루 된 모니터링 상태 정보, 구체적으로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 기반으로 패스 쓰루 전송된 모니터링 상태 정보는 추후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robot action occurs, the robot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hat is, the robot ac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1 (400/1) to pass through to the teaching pendant 300 (S210).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passed through the teaching pendant 300, specifically,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passed through the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later.

한편, 단계(S204)에서의 판단 결과, 티칭 팬턴트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봇 제어부(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의 임의의 로봇 디바이스, 예를 들면 로봇 디바이스1(400/1)을 제어할 수 있다(S212).On the other hand, when the teaching pant is not activ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4, the robot controller 500 controls the robot device group 400 based on a remote control standard protocol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200. By directly transmitting to the robot), any robot device of the robot device group 400, for example, the robot device 1 (400/1) can be controlled (S212).

이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로봇 제어부(500)는 해당 로봇 디바이스, 예컨대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의거하여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로봇 액션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며, 로봇 액션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모니터링 상태 정보, 즉 로봇 디바이스1(400/1)의 로봇 액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 단말(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의 모니터링 상태 정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모니터링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로봇 제어부(500)에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Subsequent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bot controller 500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obot device, for example, the robot device 1 (400/1), and the robot action of the robot device 1 (400/1)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Is determined, and when a robot action occurs, a series of processes of transmitting corresponding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hat is, robot ac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1 (400/1) to the remot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are performed. You can do it. At this time, the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ler 500 based on the remote monitoring standard protocol as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지의 로봇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는 경우, 원격 접속을 로봇 제어부에서 직접 하지 않고 로봇 운전을 위한 티칭 팬던트에 직접 원격 접속하게 하여 로봇을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이 티칭 팬던트에 직접 원격 접속할 수 있게 하여 티칭 팬던트에 의해 관리되는 로봇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remote robots are controlled through a network, the robo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remotely accessing a teaching pendant for robot operation without remote access directly from the robot controller. Through the remote terminal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eaching pendant to remotely implemented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robots managed by the teaching pendant.

앞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하는 것이며,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청구항에서는, 괄호 안에 있는 어떤 참조 기호도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등의 표현은, 전체적으로 모든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열거된 것을 제외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의 단수의 참조부는 그러한 구성 요소의 복수의 참조부를 배제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 확실한 수단이 기술되었다고 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llustrate, not limit,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note that many other embodiments can be design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o. In the claims, any reference signs placed between parentheses shall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expression “comprising”, “comprising” and the like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elements or steps other than those listed in all the claims or the specification as a whole. The singular references of components do not exclude a plurality of references of such components, and vice versa. The simple fact that certain means are described in different dependent claims does not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these means cannot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티칭 팬던트(300)의 상세 구성도,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eaching pendant 300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으로서, 티칭 팬던트(300)의 제어 및 모니터링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and monitoring process of the teaching pendant 300 as a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으로서, 로봇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 처리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signal processing process of the robot controller 500 as a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원격 단말100: remote terminal

200 : 네트워크200: network

300 : 티칭 팬던트300: teaching pendant

400 : 로봇 디바이스 그룹400: robot device group

500 : 로봇 제어부500: robot control unit

32 : 송수신부32: transceiver

34 : 제어부34: control unit

36 : 모니터링부36: monitoring unit

Claims (11)

로봇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robot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obot device,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단말과,A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로봇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티칭 팬던트(teaching pendant)Teaching pendan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to the robot device, and transmitting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를 포함하는 로봇 제어 장치.Robo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티칭 팬던트는,The teaching pendant,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로봇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terminal or the robot device; 상기 로봇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부와,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to generate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by monitoring;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모니터링 상태 정보의 송수신에 대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r controlling the monitoring of the monitoring unit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or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 장치.Robo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로봇 디바이스는 복수 개이고, The robot device is a plurality,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대상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대상 정보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되,Analyze the targe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controls the transceiver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target information, 상기 대상 정보는 복수 개의 로봇 디바이스 중 어느 로봇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에 대한 정보인 것The target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which robot device is a control signal of a plurality of robot devices;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 장치.Robo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티칭 팬던트는, 웹 서버The teaching pendant is a web server 를 더 포함하는 로봇 제어 장치.Robo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로봇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티터링한 모니터링 상 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로봇 제어부A robot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to the robot device,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를 더 포함하는 로봇 제어 장치. Robo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로봇 제어부는The robot controller 상기 티칭 팬던트가 비활성된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 장치.And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when the teaching pendant is inactiv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티칭 팬던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로봇 제어부는 비활성화되되, 상기 티칭 팬던트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패스 쓰루(pass-through)하여 상기 로봇 디바이스 그룹에 전송하는 것When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the robot controller is deactivated, but passes through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aching pendant to the robot device group.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 장치.Robo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티칭 팬던트의 활성화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 장치.The robot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teaching pendant is activated in real time. 로봇 제어 장치에 포함된 티칭 펜던트(teaching pendant)가 로봇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in which a teaching pendant included in a robot control device controls a robot device, a)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a)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networked terminal; b)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과정과, b)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ic device; c)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디바이스에서 로봇 액션이 발생한 경우, 상기 로봇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c) generating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when a robot action occurs in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d) 상기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d) transmitting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을 포함하는 로봇 제어 방법. Robot control method comprising a. 티칭 팬던트 및 로봇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제어 장치가 로봇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device by a robot control device including a teaching pendant and a robot control unit, a)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a)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networked terminal; b)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로봇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과정과, b)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ic device; c)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디바이스에서 로봇 액션이 발생한 경우, 상기 로봇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c) generating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when a robot action occurs in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d) 상기 모니터링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d) transmitting the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을 포함하되,&Lt; / RTI &gt; 상기 티칭 팬던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로봇 제어부가 상기 a) 과정 내지 상기 d)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 방법. And when the teaching pendant is deactivated, the robot controller performs steps a) to d).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b) 과정은,B) process,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대상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과,Analyzing the targe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상기 대상 정보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되,Includ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target information, 상기 대상 정보는 복수 개의 로봇 디바이스 중 어느 로봇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신호인지에 대한 정보인 것The target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which robot device is a control signal of a plurality of robot devices 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 방법. Robot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90126185A 2009-12-17 2009-12-1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KR101130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85A KR101130645B1 (en) 2009-12-17 2009-12-1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85A KR101130645B1 (en) 2009-12-17 2009-12-1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46A true KR20110069446A (en) 2011-06-23
KR101130645B1 KR101130645B1 (en) 2012-04-02

Family

ID=4440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85A KR101130645B1 (en) 2009-12-17 2009-12-1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6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54A3 (en) * 2011-09-30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10001001U (en) * 2020-11-23 2021-05-10 주식회사 뉴로메카 Cooperative Robot Monito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01B1 (en) * 2013-02-12 2013-10-28 주식회사 아진엑스텍 Controller for multiple robot using wireless teaching penda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49350B1 (en) 2015-09-08 2018-04-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robot using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electromyogram sensor-based gesture recogn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3688A (en) 2001-05-15 2003-02-26 Fanuc Robotics North America Inc Robot system having teach pendant
JP2004230508A (en) * 2003-01-30 2004-08-19 Nachi Fujikoshi Corp Robot system
KR101337000B1 (en) * 2006-09-20 2013-1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ir pollutio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obo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54A3 (en) * 2011-09-30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3959737A (en) * 2011-09-30 2014-07-30 三星电子株式会社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3959737B (en) * 2011-09-30 2017-04-12 三星电子株式会社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129045B2 (en) 2011-09-30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 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742438B2 (en) 2011-09-30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10001001U (en) * 2020-11-23 2021-05-10 주식회사 뉴로메카 Cooperative Robot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645B1 (en) 201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22630A (en) Industrial automation using 5G or later
Khujamatov et al. Industry digitalization consepts with 5g-based iot
US10819561B2 (en) Intelligent automatic network operations interface used to resolve a network outage(s)
CN103945443B (en) A kind of TD-LTE wireless network traffic performance test methods and system
US9554392B2 (en) Machine to machine traffic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US97365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nsor network uplink and downlink communications
Jun et al. Ultra‐low‐latency services in 5G systems: A perspective from 3GPP standards
US9438486B2 (en) Intelligent network diagnosis and evaluation via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transport
CN113079541B (en) Report information sen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1306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control
KR2015001397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ffic data in sdn mobile network
WO2017080422A1 (en) Qos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RU2520326C2 (en) Network analysis and monitoring tool
WO202010402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ime sensitive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Lin Artificial intelligence in 3gpp 5g-advanced: A survey
KR101533719B1 (en) Realtime data analysis apparatus based on streaming
US20150229548A1 (en) Universal key performance indicator for the internet of things
Fragkos et al. NEFSim: An open experimentation framework utilizing 3GPP’s exposure services
KR101099527B1 (en) Apparatus for serving multiple information by using integration network
Hosseini et al. CCAM Service Continuity in a Cross-Border Mec Federation Scenario
KR1022733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Network Function
Gilani et al. Mobility scenarios into future wireless access network
EP3209048A1 (en) Method for an enhanced and/or an adaptive communication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t least one secondary communication device via or using a primary communication device, tele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rres et al. First steps in the development of a lorawan testbench
Nygate et al. Applying machine learning in managing deployabl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