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795A -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795A
KR20110068795A KR1020100051437A KR20100051437A KR20110068795A KR 20110068795 A KR20110068795 A KR 20110068795A KR 1020100051437 A KR1020100051437 A KR 1020100051437A KR 20100051437 A KR20100051437 A KR 20100051437A KR 20110068795 A KR20110068795 A KR 2011006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i
image
region
location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254B1 (ko
Inventor
최홍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6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해당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이미지 저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 in image processor}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관심 영역 지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등과 같은 터치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처리 장치들은 메모리와 코덱(CODEC)을 이용하여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하고, 그 화면상에서 관심 영역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관심 영역을 지정한 후 그 관심 영역의 처리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취소 명령을 이용하여 그 관심 영역을 취소하고 다시 새로운 관심 영역을 지정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관심 영역의 지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위치 입력만을 사용하여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해당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이미지 저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지정된 영역의 중심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의 크기로 상기 관심 영역이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화면상에서 중심 좌표에 해당하는 시작 포인트를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시작 포인트로 부터 종료 포인트 까지 드래그하는 과정, 시작 포인트로 부터 드래그된 종료 포인트 까지의 반지름을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반지름을 기반으로 소정 형태의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작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를 이용하여 반지름을 획득하고, 그 반지름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소정 영역의 시작 포인트를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 종료 포인트까지 드래그 하는 과정, 상기 시작 포인트로부터 드래그 된 종료 포인트까지의 지름을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지름을 기반으로 소정 형태의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작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를 이용하여 중심 좌표와 반지름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소정 영역 외곽의 임의의 한 시작 포인트를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시작 포인트로부터 관심 영역의 외곽을 따라 드래그 하는 과정, 상기 드래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좌표들중에서 x축, y축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x축, y축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기반으로 소정 형태의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중심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중심좌표와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반지름을 획득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갱신 과정은
화면상에서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가 추가되고, 화면상에서 더블 터치 또는 지정된 관심 영역의 위치에 대한 추가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가 삭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 출력 과정은,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마다 관심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그 관심 영역의 위치를 소정의 이미지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의 터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이미지 처리 영역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는 버퍼 어레이는 FIFO 형태의 버퍼 어레이에 저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 출력 과정은 상기 갱신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이미지들을 일괄적으로 화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여, 그 화질 개선 처리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이미지 저장 수행 과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된 관심 영역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그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새로운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에서 관심 영역의 위치를 설정할 때마다 그 관심 영역의 위치와 이미지 처리 결과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는 FIFO 형태로 버퍼 어레이에 저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와 이미지 처리 결과 디스플레이 과정은,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OSD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의 이미지를 화질 개선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저장 과정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질 향상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그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관심 영역의 이미지 설정으로 복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상에서 관심 영역이 설정되면 그 설정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해당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고 관심 영역의 이미지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신호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의 흐름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여러 개의 관심 영역 지정을 지원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의 상세 흐름도 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1실시예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2실시예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3실시예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4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1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이미지 신호 처리부(130), 저장부(140), 표시부(150)를 구비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심 영역을 블록 또는 픽셀 단위의 좌표값으로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입력부(110)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나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개의 회로가 집적된 집적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블록 단위 또는 픽셀 단위의 좌표를 감지하여 그 관심 영역의 위치에서 소정 형태의 UI(User Interface) 화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기반의 입력부(110) 및 표시부(150)를 사용한다면 제어부(120)는 터치 스크린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에 기반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한 터치(touch)를 감지하여 원형 UI 화면을 생성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터치 감지 방법은 주지의 기술로 압력 방식이나 정전용량 방식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이미지상에서 관심 영역이 지정되면 그 지정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해당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부(110)를 통해 이미지 저장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관심 영역의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추출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한 제어부(120)에서 추출된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에 대해 화질 향상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화질 개선을 수행한다. 아울러 화상 처리부(120)에서의 신호 처리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신호 처리 소프트웨어)로 실현된다.
저장부(14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130)에서 처리된 관심 영역의 이미지들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또한 제어부(120)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40)는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버퍼 어레이를 구비한다. 이때 버퍼 어레이는 FIFO(First Input First Out)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매체나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부(15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130)에서 신호 처리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며, 또한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제어 명령을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표시부(150)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저장 명령을 내리기에 앞서 관심 영역의 위치를 지정할 때마다 관심 영역의 위치 및 관심 영역의 이미지 처리 결과를 즉시 화면에 표시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의 흐름도 이다.
먼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거나 이미지 처리 장치에 의해 저장부(14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관심 영역의 위치에 대한 입력을 기다린다(210 과정).
이어서, 이미지 처리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관심 영역의 위치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220 과정).
이어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관심 영역의 위치 추가 및 삭제 처리를 통해 관심 영역의 위치를 갱신한다(230 과정).
이어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고, 동시에 그 해당 관심 영역의 이미지에 대해 화질 향상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된 결과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한다(240 과정).
이어서,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새로운 관심 영역을 다시 지정하거나 그 관심 영역의 이미지를 저장한다(250 과정).
예를 들면, 이미지 처리 결과가 사용자에 의해 만족되지 않으면 새로운 관심 영역을 다시 지정하고, 이미지 처리 결과가 사용자에 의해 만족되면 그 이미지 처리 결과를 저장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입력만으로 구성된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취소 단계가 필요 없이 관심 영역의 위치 입력과 동시에 바로 관심 영역의 이미지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여러 개의 관심 영역 지정을 지원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의 상세 흐름도 이다.
먼저, 관심 영역의 화질 향상을 위한 관심 영역 지정 모드를 온 시킨다. 예를 들면, 관심 영역 지정 모드를 온 시키면 화면에는 "HDR ROI 지정 모드 ON" 과 같은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된다.
이어서, 관심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의 버퍼 인덱스(index)를 초기화한다(312 과정).
이어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거나 이미지 처리 장치에 의해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관심 영역의 위치에 대한 입력을 기다린다(314 과정).
이어서, 화면에 출력된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원하는 관심 영역의 위치를 지정한다(316 과정). 이때 관심 영역 지정은 중심 좌표 지정, 반지름 지정, 지름 지정, 임의 영역 지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를 통해 입력된 블록 단위 또는 픽셀 단위의 좌표를 감지하여 관심 영역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상에서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가 추가되고, 터치 스크린상에서 더블 터치 또는 지정된 관심 영역의 위치에 대한 추가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가 삭제된다.
이어서, 화면상에서 위치 지정에 해당하는 터치 감지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 추가 또는 관심 영역의 위치 삭제인가를 체크한다(318 과정).
이어서, 화면상에서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 추가로 판단되면 비어 있는 저장부의 버퍼링 인덱스를 찾고(332 과정), 그 비어 있는 버퍼링 인덱스에 관심 영역의 위치를 저장한다(334 과정).
한편, 화면상에서 더블 터치 또는 추가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 삭제로 판단되면 지정된 관심 영역 위치의 버퍼링 인덱스를 찾고(322 과정), 그 찾아진 관심 영역의 위치를 삭제한다(324 과정).
이어서, 관심 영역의 위치 추가 또는 삭제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저장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소정의 OSD 형태로 화면에 출력한다(342 과정).
다시 말하면,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그 관심 영역의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나서 소정의 OSD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는 터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이미지 처리 영역에 해당된다.
이때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버퍼 어레이는 FIFO(First Input First Out)와 같은 여러 가지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화면에 표시된 복수개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을 HDR(High Dynamic Range)와 같은 화질 향상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일괄적으로 이미지 향상 처리를 수행한다(344 과정).
이어서, 화면에 표시된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 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한다(346 과정).
이어서, 사용자 입력(저장 버튼)을 통해 출력된 이미지 결과 화면의 저장 유무를 체크한다(348).
이때 사용자가 저장 버튼에 의해 출력된 이미지 결과 화면을 저장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그 결과 화면을 저장한다(352 과정). 그러나 사용자의 저장 버튼에 의해 출력된 이미지 결과 화면을 저장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다시 새로운 관심 영역의 위치가 설정되는 과정(316 과정)으로 복귀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여러 개의 관심 영역을 지원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함께 해당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처리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관심 영역만을 지정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은 318 과정, 322 과정, 324 과정, 332 과정, 334 과정이 제외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 에서 관심 영역의 위치를 설정할 때마다 그 관심 영역의 위치와 관심 영역의 이미지 처리 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다시 새로운 관심 영역의 위치를 설정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일 예를 보이는 화면이다.
도 4a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의 화면에는 이미지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 버튼(405)만 존재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영역 지정 모드를 온 시키면 화면에는 일시시예로 "HDR ROI 지정 모드 ON" 이라는 OSD가 표시된다.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소정 포인트(420)에 싱글 터치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 터치 포인트(420)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관심 영역(430)이 표시된다. 여기서, 관심 영역(430)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싱글 터치를 수행할 때마다 터치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관심 영역들(430, 440, 450)이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지정된 관심 영역들(430, 440, 450)내의 이미지들은 화질 향상 처리 후 화면에 표시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 터치된 관심 영역(450)상에 더블 터치가 수행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관심 영역(450)이 삭제되어 두개의 관심 영역(430, 440)만 남게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심 영역들(430, 440)의 이미지들은 "저장" 버튼(460)에 의해 저장되거나 삭제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관심 영역의 이미지 처리 결과가 만족되지 않으면 그 처리된 이미지의 저장을 취소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취소 단계가 없이 관심 영역의 위치 지정만으로 필요한 관심 영역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관심 영역 위치가 추가될 때마다 새로이 지정된 위치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이미지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1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심 영역은 지정된 영역의 중심(x1, y1)에서 고정된 반지름(r)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의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그 설정된 관심 영역을 원(510)으로 표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2실시예이다.
먼저, 화면을 터치하여 관심 영역의 중심 좌표(x1, y1)를 지정함으로서 관심 영역의 시작 포인트를 지정한다(610 과정). 이 때 시작 포인트는 화면상에서 클릭 및 홀드(click and hold)를 이용하여 지정 된다.
이어서, 지정된 시작 포인트(x1, y1)로 부터 관심 영역의 외곽의 한 종료 포인트(x2, y2)까지 드래그(drag)함으로서 반지름(r)을 지정한다(620 과정).
이어서, 지정된 반지름(r)을 기반으로 원 형태의 관심 영역(도 6b의 600)을 표시한다(630 과정)(도 6b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냄).
이어서, 화면의 터치를 종료함으로서 관심 영역의 지정을 종료한다(640 과정).
이어서, 중심 좌표 포인트(x1, y1)와 종료 포인트(x2, y2)를 이용하여 반지름을 계산하고, 계산된 반지름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650 과정). 이때 중심 좌표 및 반지름은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수학식 1]
중심 좌표= (x1, y1)
반지름 = [(x1 - x2)2 +(y1 - y2)2]0.5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3실시 예이다.
먼저, 화면을 터치하여 관심 영역의 한 쪽 끝 포인트(x1, y1)를 지정함으로서 관심 영역의 시작 포인트를 설정한다(710 과정). 이 때 시작 포인트는 화면상에서 클릭 및 홀드(click and hold)를 이용하여 지정된다.
이어서, 관심 영역의 한쪽 포인트(x1, y1)(시작 포인트)로부터 부터 다른 쪽 포인트(x2, y2)(종료 포인트) 까지 드래그 하여 지름(d)을 지정한다(720 과정)(도 7b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냄).
이어서, 시작 포인트로부터 종료 포인트까지로 지정된 지름(d)을 기반으로 원 형태의 관심 영역(도 7b의 700)을 표시한다(730 과정).
이어서, 화면의 터치를 종료함으로서 관심 영역의 지정을 종료한다(740 과정).
이어서, 시작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를 이용하여 반지름 및 중심 좌표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반지름 및 중심 좌표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750 과정). 이때 중심 좌표 및 반지름은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다.
[수학식 2]
중심 좌표= [(x1+x2)/2, (y1+y2)/2]
반지름 = [(x1-x2)2 +(y1-y2)2]0.5/2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의 관심 영역 지정의 제4실시예이다.
먼저, 화면을 터치하여 관심 영역 외곽의 임의의 한 시작 포인트(도8b의 872 또는 도 8c의 882)를 지정한다(810 과정). 이 때 임의의 한 시작 포인트(872 또는 882)는 화면상에서 클릭 및 홀드(click and hold)를 이용하여 지정된다.
이어서, 지정된 임의의 한 시작 포인트(872 또는 882)로부터 관심 영역의 외곽을 따라 종료 포인트(874 또는 884)까지 드래그 한다(820 과정)(점선으로 표시됨).
이어서, 시작 포인트(872 또는 882)부터 종료 포인트(874 또는 884) 까지의 드래그 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좌표들중에서 x축, y축 각각의 최대값(max) 및 최소값(min)을 획득한다(830 과정). 예를 들면, 도 8b, 도 8c에서 x축의 최대값(max) 및 최소값(min)은 (x_max, y2), (x_min, y1)이고, y축의 최대값(max) 및 최소값(min)은 (x1, y_max), (x1, y_min)이다.
이어서, x축, y축 각각의 최대값(max) 및 최소값(min)을 기반으로 도 8b 및 도 8c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임의의 영역에 해당하는 관심 영역(870 또는 880)을 표시한다(840 과정).
이어서, 화면의 터치를 종료함으로서 임의의 관심 영역의 지정을 종료한다( 850과정).
이어서, 최대값(max) 및 최소값(min)을 이용하여 중심 좌표(x_c, y_c)를 계산하고, 또한 중심 좌표 및 최대값(max) 및 최소값(min)을 이용하여 반지름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반지름 및 중심 좌표를 저장한다(860 과정). 이때 중심 좌표 및 반지름은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된다.
[수학식 3]
중심 좌표(x_c, y_c)= [(x_min+x_max)/2, (y_min+y_max)/2]
반지름 = [(x_c-x_min)2 +(y_c-y_min)2]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해당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이미지 저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갱신 과정은
    화면상에서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가 추가되고, 화면상에서 더블 터치 또는 지정된 관심 영역의 위치에 대한 추가 싱글 터치에 의해 관심 영역의 위치가 삭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 출력 과정은,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마다 관심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갱신될 때마다 그 관심 영역의 위치를 소정의 이미지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의 터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이미지 처리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위치는 FIFO 형태의 버퍼 어레이에 저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출력 과정은,
    상기 갱신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 영역의 이미지들을 일괄적으로 화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여, 그 화질 개선 처리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이미지 저장 수행 과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된 관심 영역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그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새로운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지정된 영역의 중심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의 크기로 상기 관심 영역이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화면상에서 중심 좌표에 해당하는 시작 포인트를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시작 포인트로 부터 종료 포인트 까지 드래그하는 과정, 상기 시작 포인트로 부터 드래그된 종료 포인트 까지의 반지름을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반지름을 기반으로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를 이용하여 반지름을 획득하고, 그 반지름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소정 영역의 시작 포인트를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시작 포인트로부터 소정 종료 포인트까지 드래그 하는 과정, 상기 시작 포인트로부터 드래그 된 종료 포인트까지의 지름을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지름을 기반으로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를 이용하여 중심 좌표와 반지름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지정 과정은
    소정 영역 외곽의 임의의 시작 포인트를 지정하는 과정, 지정된 시작 포인트로부터 관심 영역의 외곽을 따라 종료 포인트 까지 드래그 하는 과정, 상기 드래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좌표들중에서 x축, y축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x축, y축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기반으로 소정 형태의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중심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중심좌표와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반지름을 획득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5.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에서 관심 영역의 위치를 설정할 때마다 그 관심 영역의 위치와 이미지 처리 결과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는 FIFO 형태의 버퍼 어레이에 저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와 이미지 처리 결과 디스플레이 과정은,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OSD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의 이미지를 화질 개선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저장 과정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질 향상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그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관심 영역의 이미지 설정으로 복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19. 이미지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상에서 관심 영역이 설정되면 그 설정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해당 관심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고 관심 영역의 이미지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신호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는 FIFO 형태의 버퍼 어레이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051437A 2009-12-14 2010-05-31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90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06 2009-12-14
KR20090124006 2009-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795A true KR20110068795A (ko) 2011-06-22
KR101690254B1 KR101690254B1 (ko) 2016-12-27

Family

ID=4414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437A KR101690254B1 (ko) 2009-12-14 2010-05-31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8849B2 (ko)
KR (1) KR101690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546A (ko) * 2017-08-29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20200016119A (ko) * 2018-08-06 2020-02-14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표식 검출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1143B2 (en) * 2012-07-20 2015-09-08 Blackberry Limited Dynamic region of interest adaptation and image capture device providing same
CN105787909B (zh) 2012-08-08 2018-07-20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用于高动态范围图像的图像处理
USD936094S1 (en) * 2018-11-02 2021-11-16 Honor Device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9522S1 (en) * 2018-11-02 2021-12-28 Honor Device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3700S1 (en) * 2018-11-02 2021-10-19 Honor Device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086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터치 패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4715B2 (en) * 2006-05-05 2009-12-15 Google Inc. Effects applied to images in a browser
US20100299641A1 (en) * 2009-05-21 2010-11-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520967B2 (en) * 2009-06-26 2013-08-27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generation images and editing of multiframe im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086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터치 패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546A (ko) * 2017-08-29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20200016119A (ko) * 2018-08-06 2020-02-14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표식 검출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254B1 (ko) 2016-12-27
US8558849B2 (en) 2013-10-15
US20110141128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9693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specialized visual guides for photography
JP5628300B2 (ja) アニメーションに使用するための望ましい物理的特徴を伴うグラフィックオブジェクトを生成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9635267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preview control
US1104229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screen on said display device
KR101690254B1 (ko)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095386B2 (en)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ly listed page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WO2017028436A1 (zh) 一种绘图工具的实现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9633412B2 (en) Method of adjusting screen magnification of electronic devic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EP2811731B1 (en)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dual image and method thereof
US20150316994A1 (en) Content zooming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089809A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JP6401855B2 (ja) Uiコントロールの背景を設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端末
US9658865B2 (en) Method of edi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CN111596817B (zh)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CN110502293B (zh) 一种截屏方法及终端设备
AU201420124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055119B2 (en) Us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electronic device
US20220083203A1 (en) Icon display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2214156B (zh) 一种触控屏放大镜调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5240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20200257396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592056B2 (ja) 情報処理装置
KR20120070641A (ko)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드로잉 기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362110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0622119A (zh) 对象插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