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245A -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245A
KR20110068245A KR1020090125108A KR20090125108A KR20110068245A KR 20110068245 A KR20110068245 A KR 20110068245A KR 1020090125108 A KR1020090125108 A KR 1020090125108A KR 20090125108 A KR20090125108 A KR 20090125108A KR 20110068245 A KR20110068245 A KR 20110068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lay
power supply
supply unit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제호
Original Assignee
오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호 filed Critical 오제호
Priority to KR102009012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8245A/en
Publication of KR2011006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2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tandby power breaking apparatus is provided to effectively break standby power waste by omitting a current sensor for sensing the use of a main device and a sub device. CONSTITUTION: An AC power supply unit(110) supplies AC power to at least one outlet. A port connection unit(120) is connected to a terminal port of a main device. An initial power supply unit supplies initial AC power to a first relay(131) and a second relay(132). A power supply unit(150) switches the initial AC power into DC power. A control unit(160) generates a first output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relay and a second output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장치{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사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센서 등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omit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the use of the main device and the auxiliary device, the standby can efficiently cut off the unnecessary waste of standby power It relates to a power interruption device.

고유가로 인하여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에너지 절약 방안이 나오고 있다. 특히 디지털 시대를 맞아 전자제품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전자 제품이 대형화 되어가고 있으므로 이러한 제품의 소비전력도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Due to high oil prices, interest in energy saving is increasing, and various energy saving methods are emerging for this purpose. In particular, in the digital age, the use of electronic products is increasing, and as electronic products are becoming larg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se produc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전자 제품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전자제품을 사용치 않고 있을 때 소비되고 있는 대기전력이 관심을 끌고 있는데, 정부에서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으로 인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든 전자제품에 대하여 대기전력 경고 표시제를 시행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대기전력 경고 표시제에 따르면 대기전력을 1W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As a way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products, the standby power consumed when the electronic products are not used attracts attention. In the govern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power consumed by the standby power of electronic products, The standby power warning label has been implemented, and the standby power warning label has to be lowered to less than 1W.

특히 PC 및 TV와 같은 일부 전자제품들은 이용 용도에 따라서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PC는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등을 세트로 구성하여 사용되며, TV는 유료방송 전용 수신기(Set Top Box), VTR, DVD 및 게임기 등을 세트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된다.In particular, som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PCs and TVs are used in one set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In other words, PCs are used in sets of monitors, printers, speakers, etc., and TVs are used in sets of pay-TV-only receivers (Set Top Box), VTRs, DVDs, and game consoles.

이 경우 PC는 모니터, 프린터 및 PC용 스피커 등이 동일한 전원 콘센트에 전원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게 되며, TV는 유료방송 수신기, VTR, DVD, 스피커(음향기기) 및 게임기 등이 동일한 전원 콘센트에 전원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C will be connected to the same power outlet with the monitor, printer, and PC speakers, and the TV will be connected to the same power outlet with pay-TV receivers, VTRs, DVDs, speakers, and game consoles. The plug is used for connection.

일반적으로 PC의 이용 후에는 PC 전원만 끄고 모니터, 프린터 및 스피커는 전원을 끄지 않게 되거나 끄게 되더라도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게 되므로 대기전력이 계속 소비되며, TV 또한 사용 후 TV만 전원을 끄고 유료방송 수신기 등의 전원은 끄지 않거나 대기전력이 계속 소비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PC 또는 TV의 전원 투입 또는 차단상태에 따라 다른 전자제품들도 함께 전원이 투입되거나 차단될 수 있는 방안을 생활에 적용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after using the PC, only the PC is turned off and the monitor, printer, and speaker are not turned off or the power is not cut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refore, standby power is continuously consumed. The reality is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wer of the receiver or the like is not turned off or the standby power is kept being consumed continuously is repeated. Therefore, if you apply a plan in which other electronic products are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power-on or shutdown state of the PC or TV, you can sav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하지만 소비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경우 각종 기기의 전력소모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각종 센서 등을 구비하도록 마련되어 있는바, 이러한 장치들은 사용되지 않는 각종 기기의 대기전력은 차단할 수 있으나 그 자체로 별도의 소비전력을 소모하게 되므로 대기전력의 차단을 통해 소비전력을 효율적으로 낮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ndby power cut-off device developed to save power consumption is provided to include various sensors for determining the power consumption of various devices, and these devices can block standby power of various devices that are not used. However, since it consumes a separate power consumption in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lower th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blocking of standby power.

또한 종래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일반인들이 이용하기에 복잡하고 불편하므 로 이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andby power cut-off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use value is low because it is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to use by the general public.

본 발명의 목적은,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사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센서 등을 생략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that can efficiently cut off unnecessary wasted standby power by providing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capable of omitting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the use of a main device and an auxiliary device.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공급부; 주 기기의 단자 포트에 연결되는 포트 연결부; 제1 릴레이 및 제2 릴레이에 초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초기전원 공급부;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2 릴레이를 통해 공급받은 상기 초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상기 포트 연결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릴레이에 공급되는 제1 출력신호 및 상기 제2 릴레이에 공급되는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 power supply for supplying AC power to at least one outlet; A port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 of the main apparatus; An initial power supply unit supplying initial AC power to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the initial AC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relay into DC power; And a first output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relay and a second output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based on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driven by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t is achieved by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레벨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신호를 통해 상기 제2 릴레이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2 레벨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출력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Off)시 킬 수 있다.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turn off the second relay through the second output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first level signal, and to output the first output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second level signal. The first relay may be turned off through a signal.

상기 단자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포트,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및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terminal port may be any one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a digital video / visual interactive (DVI) port,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port, and a video graphics array (VGA) port.

상기 제1 레벨신호는 +5V이며, 상기 제2 레벨신호는 0V일 수 있다.The first level signal may be + 5V and the second level signal may be 0V.

상기 포트 연결부의 입력단에는, 순간 전압 저하 현상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미분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Differential circuits may be provided at the input terminal of the port connection unit to prevent a malfunction due to an instantaneous voltage drop phenomenon.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릴레이를 함께 구동시키는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as a push button switch for driving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together.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모드 또는 상기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the sliding switch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any one of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mode for inter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the general mode for inter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It can be prepared as.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는 다수의 콘센트이며, 상기 다수의 콘센트에는 각각, 상기 주 기기의 전원코드 및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되는 다수의 보조 기기의 전원코드가 연결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outlet is a plurality of outlets, the power cords of the main device and the power cords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associated with the mai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utlets, respectively.

상기 주 기기는 방송수신기(Set Top Box)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The main device may be a set top box or a compu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교류 전원 공급시 상기 주 기기의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제1 출력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urn off the first relay through the first output signal when the standby state of the main devic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during the initial AC power supply.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는, 상기 콘센트와 분리되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may be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outlet and separately provid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전원 공급부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과, 파워 서플라이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제1 릴레이 및 제2 릴레이를 온오프 시키는 제어부에 의해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사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센서 등을 생략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ower supply unit,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a DC power supply, and a control unit which is driven through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turns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on and off,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that can omit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the use of the device and the auxiliary device, so that unnecessary standby power can be efficiently cut of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내부의 개략적인 내부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릴레이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internal circuit diagram inside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relay of Figure 2 to be.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100)는 콘센트(C1, C2, C3)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공급부(110)와, 주 기기의 단자 포트에 연결되는 포트 연결부(120)와,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에 초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초기전원 공급부(140)와, 초기전원 공급부(140) 및 제2 릴레이(132)를 통해 공급받은 초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 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과,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포트 연결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IS)를 기초로 하여 제1 릴레이(131)에 공급되는 제1 출력신호(OS1) 및 제2 릴레이(132)에 공급되는 제2 출력신호(OS2)를 생성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C power supply 110 for supplying AC power to the outlet (C1, C2, C3) and the terminal port of the main device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to be connected,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initial AC power to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second relay 132 The power supply unit 150 for converting the initial AC power supplied through the DC power supply and the input signal (IS) provided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is driven through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he control unit 160 generates a first output signal OS1 supplied to the first relay 131 and a second output signal OS2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132 based on the.

교류전원 공급부(110)는 각종 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C1, C2, C3)를 통해 각종 전자기기 측으로 교류 전원을 공급하며, 이와 함께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를 구동시키기 위한 초기 교류 전원을 초기전원 공급부(140) 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The AC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AC pow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rough outlets C1, C2, and C3 to which power plug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and together with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It is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the initial AC power for driving) to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side.

포트 연결부(120)는 주 기기의 단자 포트 및 본 실시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10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며 포트 연결구(121) 및 포트 연결선(122)을 포함한다. 포트 연결부(120)는 주 기기의 단자 포트에 연결되어 주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신호(이하, '입력신호(IS)'라 함)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 측으로 제공한다.The port connec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terminal port of the main device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cludes a port connector 121 and a port connection line 122.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a terminal port of the main device to detect a DC voltage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signal IS”) output from the main device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ler.

입력신호(IS)를 수신한 제어부(160)는 수신된 입력신호(IS)가 미리 결정된 제1 레벨신호(SV1)인지 또는 제2 레벨신호(SV2)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입력신호(IS)가 제1 레벨신호(SV1)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2 릴레이(132) 측으로 제2 출력신호(OS2)를 송신하여 제2 릴레이(132)를 오프(Off) 시킨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어부(160)의 설명 부분에서 함께 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160 receiving the input signal IS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input signal IS is a first level signal SV1 or a second level signal SV2. If the input signal IS is the first level signal SV1,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the second output signal OS2 to the second relay 132 to turn off the second relay 132. .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ler 160.

포트 연결구(121)는 주 기기의 단자 포트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여기서 단자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포트,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및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포트를 의미한다. 또한 포트 연결선(122)은 포트 연결구(121)의 일단부로부터 본 실시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100) 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말한다.The port connector 121 connects directly to the terminal port of the main device, where the terminal port is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a digital video / visual interactive (DVI) port,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port, and a VGA. (video graphics array) A port that has one or similar properties. In addition, the port connection line 122 refers to a wir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ort connector 121 to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side of the present embodiment.

포트 연결부(120)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미분회로(CI)가 마련되며, 여기서 미분회로(CI)는 포트 연결구(121)의 접촉 불량 등의 원인에 의해 포트 연결부(120)의 순간 전압 저하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를 말한다.One side of the port connector 120 is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circuit (CI) as shown in Figure 2, where the differential circuit (CI) of the port connector 120 due to poor contact of the port connector 121, etc. When a momentary voltage drop phenomenon occurs, it refers to a circuit for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한편, 제1 릴레이(131)는 교류전원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콘센트(C1), 제2 콘센트(C2) 및 제3 콘센트(C3) 측으로 전달하거나, 교류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제1 콘센트(C1), 제2 콘센트(C2) 및 제3 콘센트(C3) 측으로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함께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릴레이(131)는 스위치 접점으로 인한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바리스터(RV), 저항(R), 콘덴서(C) 및 다이오드(D) 등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릴레이(relay) 회로로 마련된다. 다만, 이와 달리 제1 릴레이(131)는 포토 트라이악(photo triac) 등의 반도체형 무접점 스위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lay 131 transmi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110 to the first outlet (C1), the second outlet (C2) and the third outlet (C3) side, or the AC power supply 110 It is a structure provided so that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1st outlet C1, the 2nd outlet C2, and the 3rd outlet C3 side together can be cut off together. As shown in FIG. 3, the first relay 131 is a general relay including a varistor (RV), a resistor (R), a capacitor (C), a diode (D), and the like so as to minimize noise due to a switch contact. It is provided by a relay circuit. Alternatively, the first relay 131 may be provided as a semiconductor solid state switch such as a photo triac.

제2 릴레이(132)는 제1 콘센트(C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다시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 측으로 전달하거나, 제1 콘센트(C1)로부터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 측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릴레이(132)는 제1 릴레이(1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2 릴레 이(132)는 제1 릴레이(131)와 동일하게 스위치 접점으로 인한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바리스터(RV), 저항(R), 콘덴서(C) 및 다이오드(D) 등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릴레이(relay) 회로로 마련되며, 다만 이와 달리 포토 트라이악(photo triac)등 반도체형 무접점 스위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second relay 132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outlet C1 and transfers it to the power supply unit 150 side again, or cuts off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outlet C1 to the power supply unit 150 side. Configuration.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relay 132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relay 131. That is, the second relay 132 is the same as the first relay 131 to the varistor (RV), the resistor (R), the capacitor (C) and the diode (D), etc. to minimize the noise caused by the switch contact. It is provided with a general relay circuit configured, but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with a semiconductor type solid state switch such as a photo triac.

초기전원 공급부(140)는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 측으로 초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초기전원 공급부(140)는 제1 릴레이(131)의 양단부와 제2 릴레이(132)의 양단부의 접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를 함께 구동시키게 된다. 도 3에서는 제1 릴레이(131)의 양단부의 접접에 연결된 초기전원 공급부(140)의 모습만을 나타내었다.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is configured to supply initial AC power to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to drive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is provided as one push button switch commonly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both ends of the first relay 131 and both ends of the second relay 132.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are driven together. In FIG. 3, only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connected to the contact of both ends of the first relay 131 is shown.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은 초기전원 공급부(140) 및 제2 릴레이(132)를 거쳐 공급받은 초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여 이를 다시 제어부(160) 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며, 제어부(160)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포트 연결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IS)를 기초로 하여 제1 릴레이(131) 측으로 공급되는 제1 출력신호(OS1)와 제2 릴레이(132) 측으로 공급되는 제2 출력신호(OS2)를 생성시키는 구성이다.The power supply unit 150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initial AC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second relay 132 into DC power and supply it to the controller 160 again. The first output signal OS1 and the first output signal OS1 which are driven by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are supplied to the first relay 131 based on the input signal IS provided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The second output signal OS2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132 is generated.

초기전원 공급부(140)의 동작에 따라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가 구동되면 교류전원 공급부(110) 및 제2 릴레이(132)를 거쳐 교류 전원이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 측으로 전달되는데,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은 이러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시켜 제어부(160) 측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통하여 구동되며 포트 연결부(120)로부터 입력신호(IS)를 전달받아 입력신호(IS)의 상태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제1 출력신호(OS1) 및 제2 출력신호(OS2)를 생성한다.When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are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itial power supply 140, the AC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50 via the AC power supply 110 and the second relay 132. Is delivered to the side, the power supply unit 150 converts such AC power to DC pow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60 side. The controller 160 is driven through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receives the input signal IS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input signal IS, and accordingly the first output. The signal OS1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S2 are generated.

제어부(160)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포트 연결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IS)를 기초로 하여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에 각각 공급할 제1 출력신호(OS1) 및 제2 출력신호(OS2)를 생성하는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160 is driven by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based on the input signal IS provided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 Generates a first output signal OS1 and a second output signal OS2 to be supplied to each of?

제어부(160)는 포트 연결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신호(IS)가 미리 결정된 제1 레벨신호(SV1)인 경우 제2 릴레이(132) 측으로 제2 출력신호(OS2)를 공급함으로써 제2 릴레이(132)를 오프시킨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제1 레벨신호(SV1)는 +5V 신호를 의미하며, 제2 출력신호(OS2)는 제2 릴레이(132)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말한다. The controller 160 supplies the second output signal OS2 to the second relay 132 when the input signal IS supplied from the port connector 120 is a predetermined first level signal SV1. Turn off 132. Here, the predetermined first level signal SV1 refers to a + 5V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S2 refers to a signal for turning off the second relay 132.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주 기기의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 되고 있는지를 체크하며, 주 기기의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 되고 있는 경우 제1 릴레이(131) 측으로 제1 출력신호(OS1)를 공급함으로써 제1 릴레이(131)를 오프시키는 역할을 겸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 standby state of the main device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if the standby state of the main device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output signal OS1 to the first relay 131 side. ) Serves to turn off the first relay 131.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의 구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Now,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standby power b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riefly.

도 4는 방송수신기, TV 및 스피커(음향기기)에 사용된 도 1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 5는 도 1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동에 의해 도 4의 기기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4의 방송수신기의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각 기기에 공급된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4의 기기에 공급된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of FIG. 1 used in a broadcast receiver, a TV, and a speaker (audio device), and FIG. 5 is an AC power supply to the device of FIG. 4 by driving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of FIG. This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supplying,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shutting off the AC power supplied to each device when the standby state of the broadcast receiver of Figure 4 for a predetermined time, Figure 7 is a device of FIG. The flowchart shows the process of shutting of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에는 방송수신기(Set Top Box), TV 및 스피커에 사용되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주 기기가 방송수신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in a broadcast receiver (Set Top Box), a TV and a speaker, an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bove-mentioned main device is a broadcast receiver.

먼저,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의 제1 콘센트(C1)에는 주 기기인 방송수신기의 전원플러그가, 제2 콘센트(C2)에는 TV의 전원플러그가, 제3 콘센트(C3)에는 스피커의 전원플러그가 각각 연결된다. 물론 본 실시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100)는 3개 이상의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콘센트에는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이 연결될 수 있다.First, the power plug of the broadcast receiver which is a main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C1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the power plug of the TV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C2, and the power supply of the speaker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let C3. Plugs are connected respectively. Of course,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ree or more outlets, and each outlet may be connected to a DVD player, a game machine, and the like.

또한,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의 초기전원 공급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의 본체(100a)로부터 분리되어 마련되나 이와 달리 본체(100a)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100a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in a coupled state.

TV의 시청을 원하는 사용자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 마련되는 초기전원 공급부(140)를 누르게 된다. 초기전원 공급부(140)의 구동에 따라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는 온(On) 상태로 되며, 이에 따라 교류전원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은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 측으로 공급된다. 파워 서플라이 유 닛(150)은 공급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여 이를 다시 제어부(160) 측으로 공급하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푸시 버튼 스위치를 떼더라도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는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방송수신기, TV 및 스피커에는 계속 교류 전원이 공급된 상태가 유지된다.The user who wants to watch the TV presses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provided by the push button switch. As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140 is driven,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are turned on, and thu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unit 110 is a power supply unit ( 150) side. The power supply unit 150 converts the supplied AC power into DC power and su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160 again,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push button switc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The second relay 132 continues to be in an on state, and thus, a state in which AC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broadcast receiver, the TV, and the speaker is maintained.

다음으로,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해 방송수신기의 전원을 온 시키면 방송수신기의 전원이 들어오게 되고 이에 따라 방송수신기의 단자 포트, 즉 방송수신기의 USB 포트에는 +5V의 전압이 유지되는 상태가 된다.Next,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of the broadcast receiv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the power of the broadcast receiver is turned on, and thus, a voltage of + 5V is maintained at the terminal port of the broadcast receiver, that is, the USB port of the broadcast receiver.

포트 연결부(120)는 포트 연결구(121)를 통해 감지된 +5V의 전압을 입력신호(IS)로 하여 제어부(160) 측으로 제공하며 제어부(160)는 이러한 입력신호(IS)를 수신하여 제2 출력신호(OS2)를 제2 릴레이(132)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제2 릴레이(132)를 오프시킨다. 즉, 방송수신기가 온 상태인 경우 입력신호(IS)는 미리 결정된 제1 레벨신호(SV1), 즉 +5V의 신호가 되므로 제어부(160)는 제2 릴레이(132)를 오프시키기 위해 제2 릴레이(132) 측으로 제2 출력신호(OS2)를 공급하는 것이다.The port connector 120 provides a voltage of + 5V detected through the port connector 121 as the input signal IS to the controller 160, and 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input signal IS to receive the second signal. The second relay 132 is turned off by supplying the output signal OS2 to the second relay 132 side. That is, when the broadcast receiver is in the on state, the input signal IS becomes a predetermined first level signal SV1, that is, a signal of + 5V, so that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econd relay 132 to turn off the second relay 132. The second output signal OS2 is supplied to the 132 side.

제어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제2 출력신호(OS2)에 따라 제2 릴레이(132)가 오프되면 교류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제2 릴레이(132) 측으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되며, 마찬가지로 제2 릴레이(132)로부터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 측으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으로부터 제어부(160) 측으로 공급되는 직류 전원도 차단되므로 제어부(160)의 동작이 중지되게 된다.When the second relay 132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S2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160,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132 through the AC power supply 110 is no longer supplied. Similarly,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second relay 132 to the power supply unit 150 side is cut off. Accordingly, since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controller 160 is als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60 is stopped.

하지만, 포트 연결부(120)에는 방송수신기로부터 공급되는 +5V 전압이 계속 유지되며, 방송수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은 계속하여 제1 릴레이(131)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거쳐 제1 릴레이(131) 측으로 제공되므로 제1 릴레이(131)의 온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However, the + 5V voltage supplied from the broadcast receiver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port connector 120, and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broadcast receiver is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first relay 131 through a diode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131. Therefore, the on state of the first relay 131 is maintained as it is.

즉, 방송수신기가 온 상태로 되는 경우 포트 연결부(120)로부터 제어부(160) 측으로 공급되는 입력신호(IS)는 제1 레벨신호(SV1)인 +5V가 되며, 이 경우 제2 릴레이(132)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오프되나 제1 릴레이(131)는 계속하여 방송수신기로부터 +5V의 전압을 공급받고 있으므로 그대로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에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들, 예컨대 TV 또는 스피커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broadcast receiver is turned on, the input signal IS supplied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to the controller 160 becomes + 5V, which is the first level signal SV1, and in this case, the second relay 132. Is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but since the first relay 131 is continuously supplied with a voltage of + 5V from the broadcast receiver, the on state can be maintained as it is.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other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such as a TV or a speaker.

한편,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해 방송수신기의 전원을 끄게 되면 방송수신기의 단자 포트, 즉 방송수신기의 USB 포트에는 0V의 전압이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USB 포트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던 제1 릴레이(131)가 오프되고 제1 콘센트(C1), 제2 콘센트(C2) 및 제3 콘센트(C3)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동시에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urns off the broadcast receiv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the terminal port of the broadcast receiver, that is, the USB port of the broadcast receiver takes a voltage of 0V, accordingly, the first relay 131 that was supplied with voltage through the USB port. ) Is turned off and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first outlet C1, the second outlet C2, and the third outlet C3 is simultaneously cut off.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방송수신기의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제어부(160)는 제1 릴레이(131) 측으로 제1 출력신호(OS1)를 공급함으로써 제1 릴레이(131)를 오프시킨다. 즉, 방송수신기가 제1 콘센트(C1)에 연결된 상태임에도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 방송수신기를 온 시키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이를 감지하여 제1 릴레이(131)를 오프시키고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if the standby state of the broadcast receiver for more than a certain time, the control unit 160 supplies the first output signal (OS1) to the first relay 131 side by the first relay 131 Off. That is, even when the broadcast recei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C1, if the user does not turn on the broadcast receiver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60 detects this, turns off the first relay 131, and accordingly, the waste is unnecessary. To save power.

본 실시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100)는 초기전원 공급부(140)를 통해 제1 릴레이(131) 및 제2 릴레이(132)를 동시에 온 시키고, 이후 주 기기의 USB 포트를 통해 제어부(160) 측으로 전달되는 입력신호(IS)의 유형을 판별하여 콘센트(C1, C2, C3)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multaneously turns on the first relay 131 and the second relay 132 through the initial power supply 140, and then moves to the controller 160 through the USB port of the main device. By providing the AC power to the outlet (C1, C2, C3) by determining the type of the input signal (IS) to be delivered to provide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00 that effectively cuts off the unnecessary waste of standby power eve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You can do i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200) 내부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8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200)는 콘센트(C1, C2, C3)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공급부(210)와, 주 기기의 단자 포트에 연결되는 포트 연결부(220)와, 제1 릴레이(231) 및 제2 릴레이(232)에 초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초기전원 공급부(240)와, 초기전원 공급부(240) 및 제2 릴레이(232)를 통해 공급받은 초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250)과, 파워 서플라이 유닛(25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포트 연결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릴레이(231)에 공급되는 제1 출력신호 및 제2 릴레이(232)에 공급되는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C power supply 210 for supplying AC power to the outlet (C1, C2, C3), a port connecting portion 220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 of the main device, Initial power supply 240 for supplying initial AC power to the first relay 231 and the second relay 232, and the initial AC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itial power supply 240 and the second relay 232 direct current The power supply unit 250 converts to a power supply, and is driven through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supplied to the first relay 231 based on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220. And a controller 260 for generating a first output signal and a second output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232.

교류전원 공급부(210), 포트 연결부(220), 파워 서플라이 유닛(250) 및 제어부(260)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실시예의 교류전원 공급부(110), 포트 연결부(120), 파워 서플라이 유닛(150) 및 제어부(16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garding the AC power supply unit 210, the port connection unit 220,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the control unit 260, the AC power supply unit 110, the port connection unit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scribed. ) And the control unit 160 is the same as the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초기전원 공급부(240)는 제1 릴레이(231) 및 제2 릴레이(232)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1 릴레이(231) 및 제2 릴레이(232) 측으로 초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초기전원 공급부(240)는 3개의 단자를 갖는 슬라이딩 스위치(sliding switch)로 마련된다. 슬라이딩 스위치로 마련되는 초기전원 공급부(240)에 의해 제1 단자(T1) 및 제2 단자(T2)가 연결된 경우 대기전력 차단장치(200)는 대기전력 차단모드로 작동하며, 대기전력 차단모드에 있어서 대기전력 차단장치(200)의 구동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다.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240 is configured to supply initial AC power to the first relay 231 and the second relay 232 to drive the first relay 231 and the second relay 232.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itial power supply 2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s a sliding switch having three terminals. When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2 are connected by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240 provided as a sliding switch,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operates in the standby power cutoff mode.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is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슬라이딩 스위치를 슬라이딩시켜 제2 단자(T2) 및 제3 단자(T3)가 연결된 경우에 대기전력 차단장치(200)는 일반모드로 작동한다. 여기서 일반모드는 대기전력 차단장치(200)가 통상적인 멀티탭과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일반모드에서 대기전력 차단장치(200)는 구동되지 않으며 멀티탭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콘센트(C1, C2, C3) 측으로 교류 전원만을 공급하게 된다.When the user slides the sliding switch to connect the second terminal T2 and the third terminal T3,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operates in the normal mode. Herein, the normal mode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a normal power strip. That is, in the normal mode,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is not driven and supplies only AC power to the outlets C1, C2, and C3 as in the power strip.

본 실시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2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기전력 차단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을 가진다.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in a standby power cutoff mode or a normal mod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when the standby power cutoff mode is operated, the standby power cutoff efficiency may be efficiently cut off by only a simple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내부의 개략적인 내부회로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2의 제1 릴레이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3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relay of FIG. 2.

도 4는 방송수신기, TV 및 스피커에 사용된 도 1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of FIG. 1 used in a broadcast receiver, a TV, and a speaker.

도 5는 도 1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동에 의해 도 4의 기기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AC power to the device of FIG. 4 by driving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of FIG. 1.

도 6은 도 4의 방송수신기의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각 기기에 공급된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hutting off an AC power supplied to each device when the standby state of the broadcast receiver of FIG. 4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7은 도 4의 기기에 공급된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hutting off an AC power supplied to the device of FIG. 4.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200) 내부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8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standby power cut-off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대기전력 차단장치 110 : 교류전원 공급부100: standby power cut-off device 110: AC power supply unit

120 : 포트 연결부 131 : 제1 릴레이120: port connection portion 131: first relay

132 : 제2 릴레이 140 : 초기전원 공급부132: second relay 140: initial power supply

150 : 파워 서플라이 유닛 160 : 제어부150: power supply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11)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공급부;An AC power supply unit supplying AC power to at least one outlet; 주 기기의 단자 포트에 연결되는 포트 연결부;A port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 of the main apparatus; 제1 릴레이 및 제2 릴레이에 초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초기전원 공급부;An initial power supply unit supplying initial AC power to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2 릴레이를 통해 공급받은 상기 초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 및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the initial AC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relay into DC power; And 상기 파워 서플라이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상기 포트 연결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릴레이에 공급되는 제1 출력신호 및 상기 제2 릴레이에 공급되는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A first output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relay and a second output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based on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 connection unit, driven through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Standby power cutoff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레벨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신호를 통해 상기 제2 릴레이를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And when the in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first level signal, turning off the second relay through the second output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자 포트는,The terminal port,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포트,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및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Standby power interrup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a digital video / visual interactive (DVI) port,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port and a video graphics array (VGA) por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레벨신호는 +5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And the first level signal is + 5V.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트 연결부의 입력단에는,At the input end of the port connection portion, 순간 전압 저하 현상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미분 회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Standby power cut-off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ial circuit is provided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the instantaneous voltage drop phenomen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는,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상기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릴레이를 함께 구동시키는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Standby power cut-off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ush button switch (Push Button Switch) for driving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는,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모드 또는 상기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And a sliding switch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any one of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mode inter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a general mode inter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Standby power interrup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는 다수의 콘센트이며,The at least one outlet is a plurality of outlets, 상기 다수의 콘센트에는 각각,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상기 주 기기의 전원코드 및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되는 다수의 보조 기기의 전원코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And a power cord of the main device and power cords of a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associated with the main device are connect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주 기기는 방송수신기(Set Top Box) 또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The main device is a standby power cut-off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oadcast receiver (Set Top Box) or a comput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초기 교류 전원 공급시 상기 주 기기의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제1 출력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And turning off the first relay through the first output signal when the standby state of the main device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initial AC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초기전원 공급부는,The initial power supply unit, 상기 콘센트와 분리되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Standby power cutoff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from the outlet is provided separately to the outside.
KR1020090125108A 2009-12-15 2009-12-15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KR201100682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08A KR20110068245A (en) 2009-12-15 2009-12-15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08A KR20110068245A (en) 2009-12-15 2009-12-15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45A true KR20110068245A (en) 2011-06-22

Family

ID=4440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08A KR20110068245A (en) 2009-12-15 2009-12-15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824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1277B2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uxiliary power for powering an evaluation unit during an energy-saving state
US8966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HDMI port that is shared between HDMI source function and an HDMI sink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US8312302B2 (en) Power distribution inside cable
US6780048B2 (en) Power-supplying device for peripheral applied equipments of a computer
EP2945369B1 (en) Hdmi interface unit and multimedia terminal
US20100280671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that decreasing standby power of electronic appliance and receptacle
KR101175674B1 (en) Standby power cut-off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s
JP4885706B2 (en) Power supply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for display device
US20120217823A1 (en) Display device and power-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method of branch device connected to display device
TW201606513A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and TV stick
JP2008305314A (en) Power source controller
JP2007274065A (en) Picture output device
US11909145B2 (en) Detecting circuit and detecting method of external display device
KR20110068245A (en)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JP2011091944A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488208B2 (en) Peripheral device, peripheral de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eripheral device
KR101020511B1 (en) A standby power cut-off auto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ame
US20110080527A1 (en) Display apparatus, televi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utput of the display apparatus
CN215267740U (en) Power supply equipment with active detection HDMI interface
JP2013145430A (en) Usb host device and display device
EP2131581B1 (en) Input Detection Device For Lower Stand-By Power Consumption
TWI670589B (en) computer system
CN201156187Y (en) Energy-saving controller
US201400163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Video System
JP2007049403A (en) Digital signal output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