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435A -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435A
KR20110067435A KR1020090124033A KR20090124033A KR20110067435A KR 20110067435 A KR20110067435 A KR 20110067435A KR 1020090124033 A KR1020090124033 A KR 1020090124033A KR 20090124033 A KR20090124033 A KR 20090124033A KR 20110067435 A KR20110067435 A KR 2011006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video conference
contro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7435A/ko
Publication of KR2011006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중 컨텐츠 공유시에 서버/클라이언트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제공자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이용자도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은,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제 1 화상회의 단말기와,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송신한다.
화상회의, 컨텐츠, 이벤트

Description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VIDEO CONFERENCE SYSTEM HAVING CONTENT SHARING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CONTENT SHARING}
본 발명은 화상회의 시스템 및 화상회의 시스템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과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회의 시에 회의 참석자들은 상호 활발하게 의견을 교환하기 위하여 발표 자료의 여러 곳을 짚어가며 회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공유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회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기술은 컨텐츠 제공자 측 단말기에서 컨텐츠 이용자 측 단말기로의 단방향 컨텐츠 제어만을 지원하므로, 컨텐츠 이용자가 컨텐츠의 특정 내용을 탐색 또는 편집할 수 없기 때문에 회의 진행에 따른 불편함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상회의 서비스에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하여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개념의 기술을 차용하고 컨텐츠의 제어를 위하여 데이터 경로(path)를 통해 제어 이벤트를 전송함으로써, 컨텐츠의 양방향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은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제 1 화상회의 단말기와,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송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화상회의 제어부와,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및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화상회의 제어부와,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제어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은, 먼저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송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제어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공유 정보 를 설정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회의에서 공유되는 컨텐츠의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화상회의 참석자들은 오프라인 회의와 동일하게 컨텐츠의 특정 내용을 탐색 및 편집하면서 상호 활발하게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데, 특히 컨텐츠의 양방향 제어를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이벤트의 데이터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화상회의 서비스의 네트워크 대역폭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회의 참석자들은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의 활용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화상회의 서비스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상회의 진행 중에 서버/클라이언트 기술을 이용하여 회의 진행에 필요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양방향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화상회의에서 제 1 사용자(112)가 제 1 화상회의 단말기(114)에 저장된 컨텐츠(132)를 화상회의 서비스 네트워크(142)를 통하여 제 2 사용자(122)에게 공유한다. 상기 컨텐츠(132)는 제 1 사용자(112)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 치(116)를 통해 발생하는 제어 이벤트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132)는 화상회의 서비스 네트워크(146)를 통하여 제 2 사용자(122)에게 공유된다.
한편, 상기 컨텐츠(132)를 공유하는 제 1 사용자(112)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텐츠(132)를 공유받는 제 2 사용자(122)도 상기 컨텐츠(132)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텐츠(132)가 복수의 슬라이드로 구성된 발표 자료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 1 사용자(112)의 발표가 종료된 후 가지는 질의 응답 시간에 제 2 사용자(122)는 현재 슬라이드가 아닌 질의에 관련된 슬라이드의 화면을 가리키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사용자(112)는 제 2 사용자(122)에 상기 컨텐츠(132)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제 2 사용자(122)는 상기 컨텐츠(132)를 수신하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124)에 연결된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126)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132)의 제어 이벤트를 발생시켜 화상회의 서비스 네트워크(144)를 통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114)에 전송한다.
상기 컨텐츠(132)의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제 1 화상회의 단말기(114)는 상기 제어 권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132)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114)는 화상회의 서비스 네트워크(146)를 통하여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132)를 상기 컨텐츠(132)의 제어를 요청한 제 2 사용자(122)에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패킷망(310), GSTN(Generalised Switched Telephone Network, 320),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330), 게이트키퍼(Gatekeeper, 340), MCU(Multipoint Control Unit, 350) 및 게이트웨이(Gateway, 360)를포함한다.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는 다른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MCU(350) 또는 게이트웨이(360)와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이 통신은 두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간의 제어 신호,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는 오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비디오 및 데이터를 지원하거나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화되고 코딩된 음성을 포함하고, 오디오 제어 신호를 수반한다. 비디오 신호는 디지털화되고 코딩된 모션(Motion) 비디오를 포함하고, 비디오 제어 신호를 수반한다. 데이터 신호는 정지 화상(Still Pictures), 팩시밀리, 문서, 컴퓨터 파일 및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컨텐츠를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송신한다. 또한,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로부터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한다. 또한,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는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한다. 또한,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는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에 송신한다. 또한,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는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로부터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제어되는 컨텐츠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는 H.323 프로토콜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패킷망(310)은 패킷 교환 방식을 적용한 네트워크로 LAN(Local Area Network)으로 구축되거나 게이트웨이(360) 없이 WAN(Wide Area Netwrok)으로 구축될 수 있다. GSTN(Generalised Switched Telephone Network, 320)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반 전화 교환망을 의미한다.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330)은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등의 통신을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하며, 여기에는 N-ISDN(Narrow-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및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 있다. GSTN(320)과 ISDN(330)은 게이트웨이(360)를 통하여 패킷망(310)과 연결된다.
게이트키퍼(340)는 주소 변환 및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MCU(350) 및 게이트웨이(360)에 대한 네트워크로의 접근 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게 이트 키퍼(340)는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MCU(350) 및 게이트웨이(360)의 대역폭 관리 및 게이트웨이(360)의 로케이팅(Locating)과 같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키퍼(340)는 전화번호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주소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키퍼(340)는 ARQ(Admission Request)/ACF(Admission Confirm)/ARJ(Admission Reject)의 H.225.0 메시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근을 허가한다. 또한, 게이트키퍼(340)는 BRQ(Bandwidth Change Request)/BRJ(Bandwidth Change Reject)/BCF(Bandwidth Change Confirm) 메시지를 이용하여 대역폭을 관리한다. 이러한 게이트키퍼(340)의 기능은 등록된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MCU(350) 및 게이트웨이(360)에 제공될 수 있다(존(Zone) 관리).
MCU(350)는 셋 이상의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및 게이트웨이(360)가 다지점 회의에 참여하기 위한 능력(Capability)을 제공한다. MCU(350)는 또한 나중에 다지점 회의로 발전할 수 있는 점대점 회의에서 두 개의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를 연결할 수 있다. MCU(350)는 필수적으로 MC(Multipoint Controller)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MP(Multipoint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MCU(350)는 MP 없이 MC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MC는 다지점 회의에서 셋 이상의 단말기 참여자의 제어를 제공한다. MC는 또한 나중에 다지점 회의로 발전할 수 있는 점대점 회의에서 두 개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다. MC는 통신의 일반적인 수준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단말기와 능력 협상을 제공한다. MC는 또한 누가 비디오를 멀티캐스트(Multicasting)하고 있는지와 같은 회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MC는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의 믹싱(Mixing) 또는 스위칭(Switching)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MP는 다지점 회의에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집중화된 처리를 제공한다. MP는 MC의 제어하에 미디어 스트림의 믹싱, 스위칭 또는 다른 처리를 제공한다. MP는 지원되는 회의의 유형에 따라 단일 미디어 스트림 또는 다중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60)는 패킷망(310) 상의 화상회의 단말기 및 GSTN(320) 또는 ISDN(330) 상의 다른 화상회의 단말기 간 또는 다른 게이트웨이(360)로의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의 상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는 통신부(210), A/V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 인터페이스부(260), 제어부(270) 및 전원 공급부(28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가 다른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게이트키퍼(340), MCU(350) 및 게이트웨이(360)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변/복조 및 부호화/복호화 작업을 수행한다.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가 다른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게이트키퍼(340), MCU(350) 및 게이트웨이(360)와 주고 받는 신호는 제어 신호,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A/V 입력부(220)에는 카메라(222) 및 마이크(224)가 포함된다. 카메라(222)는 화상 회의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42)에 표시될 수 있고, 저장부(2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224)는 회의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회의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화상회의 서비스 네트워크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4)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의 동작 제어를 위해 인가하는 입력 명령을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명령을 제어부(270)에 전달하여 제어부(270)가 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마우스, 키보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4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출력부(2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출력부(240)에는 디스플레이부(242) 및 음향 출력 모듈(24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2)는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가 회의 모드인 경우 화상회의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가 화상 회의 모드인 경우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4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2)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4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42)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42)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70)에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42)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244)은 호 신호 수신, 회의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244)은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44)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Read Only Memory),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와, 송수신 또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처리하는 임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저장부(250)는 운영체제,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화상회의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각종 코덱(CODE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60)는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 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통상적으로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7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280)는 상기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의 제어부(270)는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의 제어부(270)는 상기 출력부(240)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송신한다.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출력부(240)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의 제어부(270)는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에 송신한다.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의 제어부(270)는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 정보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제어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의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의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270)의 상세 블록도이다. 제어부(270)는 주 제 어부(271), 화상회의 제어부(272) 및 컨텐츠 제어부(275)를 포함한다.
주 제어부(271)는 제어부(270) 내의 다른 구성 요소와 통신부(210), A/V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 인터페이스부(260) 및 전원 공급부(280)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상회의 제어부(272)는 정보 설정부(273) 및 통신 제어부(274)를 포함한다.
정보 설정부(273)는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 정보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제어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상기 정보 설정부(273)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74)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 사이에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에 의해 제어되는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274)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서 생성되는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에 송신한다.
컨텐츠 제어부(275)는 컨텐츠 관리부(276) 및 이벤트 생성부(277)를 포함한다.
컨텐츠 관리부(276)는 컨텐츠의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한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276)는 저장부(250) 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이벤트 생성부(277)는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벤트 생성부(277)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상기 컨텐츠를 출력한다(S110). 이어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상기 컨텐츠를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송신한다(S120).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는 상기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한다(S130). 이어서,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는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에 송신한다(S140).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한다(S150). 이어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송신한다(S160).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 정보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제어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화상회의 단말기(200-1)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200-2)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화상회의 단말기는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및 이동 단말기 등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H.323 프로토콜 기반의 화상회의 서비스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기반의 화상회의 서비스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게이트키퍼(340)는, SIP에 있어서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및 MGCP에 있어서 MG(Media Gateway)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회의 단말기(200-1 및 200-2)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27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제 1 화상회의 단말기; 및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및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화상회의 제어부; 및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및 제어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화상회의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제어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7. (a)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의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1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어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제 2 화상회의 단말기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제어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공유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0090124033A 2009-12-14 2009-12-14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10067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33A KR20110067435A (ko) 2009-12-14 2009-12-14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33A KR20110067435A (ko) 2009-12-14 2009-12-14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35A true KR20110067435A (ko) 2011-06-22

Family

ID=4439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033A KR20110067435A (ko) 2009-12-14 2009-12-14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74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1307B2 (en) 2014-01-2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1307B2 (en) 2014-01-2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1205B2 (en) Dynamically switched and static multiple video streams for a multimedia conference
US9781386B2 (en) Virtual multipoint control unit for unified communications
US6704769B1 (en) Media role management in a video conferencing network
US8860776B2 (en) Conference terminal, conference server, conferenc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7313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and multipoint IP audio streaming
JP5129989B2 (ja) 会議レイアウト制御及び制御プロトコル
EP1491044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1794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ferencing
US20070294263A1 (en) Associating independent multimedia sources into a conference call
EP1868347A2 (en) Associating independent multimedia sources into a conference call
US20120086769A1 (en) Conference layout control and control protocol
KR20070103051A (ko) 멀티 포인트 화상회의 시스템 및 해당 미디어 프로세싱방법
TW200939775A (en) Techniques to generate a visual composition for a multimedia conference event
JP2014522538A (ja) 改善された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テンツをビデオ通信システムで共有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042889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音声制限方法、システム及びノード
US201400287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hoc integration of tablets and phones in video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120949A1 (en) Video, sound, and voice over IP integration system
KR20110067435A (ko)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방법
JP2006345103A (ja) メディア会議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Russ Desktop conversations—the future of multimedia conferencing
KR100949233B1 (ko) 표준 영상 단말 또는 ip tv를 이용한 문서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GB2402014A (en) Multimedia conference terminal with source selection means
Ramaprabha et al. An Analyt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al Time Stereoscopic Images in Video Conferencing.
Advisory Group on Computer Graphics. SIMA Project et al. Videoconferencing on Unix Workstations to Support Helpdesk/advisory Activities
KR20110044061A (ko) 통신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