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797A - 컬러필터기판 - Google Patents

컬러필터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797A
KR20110066797A KR1020090123588A KR20090123588A KR20110066797A KR 20110066797 A KR20110066797 A KR 20110066797A KR 1020090123588 A KR1020090123588 A KR 1020090123588A KR 20090123588 A KR20090123588 A KR 20090123588A KR 20110066797 A KR20110066797 A KR 20110066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metal layer
layer
red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325B1 (ko
Inventor
김선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필터기판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각각의 서브 화소 영역별로 형성된 적색 컬러필터층, 녹색 컬러필터층 및 청색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은 제 1 적색 금속층, 제 2 적색 금속층 및 제 3 적색 금속층들이 적층되고, 상기 녹색 컬러필터층은 제 1 녹색 금속층, 제 2 녹색 금속층 및 제 3 녹색 금속층들이 적층되며, 상기 청색 컬러필터층은 제 1 청색 금속층, 제 2 청색 금속층 및 제 3 청색 금속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은 컬러필터층을 투과하는 광은 색표현을 위해 사용하고, 컬러필터층에서 반사되는 광은 다른 컬러필터층에서 색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어 광효율 향상과 고휘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액정표시장치, 금속막, 적층, 컬러, 투과, 반사

Description

컬러필터기판{Color Filter Substrate}
본원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컬러필터기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정보 사회화로 변해 감에 따라 정보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중요성이 점차로 증가되어 가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는 성능이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소형화 또는 휴대성 측면에서 많은 단점이 있다.
반면에 액정표시장치는 가격 측면에서 다소 비싸지만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저 전력소비화 등의 장점이 있어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 주목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화소전극이 형성된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과, 적(Red), 녹(Green), 청(Blue)색 컬러필터층들이 형성된 컬러필터기판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키고,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 분자들을 회 전시켜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구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필터기판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성 절연기판(10) 상에 금속막을 증착한 다음, 이를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따라 노광, 현상 및 식각하여 블랙 매트릭스(20)를 형성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20)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은 상기 크롬(Cr), 크롬 산화물(CrOX), 감광성 유기물, 흑연 등을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물질에 따라 제조 방법이 조금씩 달라진다.
상기와 같이, 절연기판(10) 상에 블랙 매트릭스(20)가 형성되면, 적(Red)색 컬러레진을 형성한 다음, 노광 및 현상하여 적(Red)색 컬러필터층(15a)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20) 사이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안료분산법, 인쇄법, 전착법 등이 있다. 그 중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안료분산법은 포토레지스트에 분산된 안료 조성물을 코팅, 노광, 현상 및 경화(소성)함으로써 컬러필터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절연기판(10) 상에 적색 컬러필터층(15a)이 형성되면, 녹(Green)색 컬러레진, 청(Blue)색 컬러레진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적색 컬러필터층(15a) 형성 방법을 적용하여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15a)의 인접한 영역에는 녹색 컬러필터층(15b)과 청색 컬러필터층(15c)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컬러필터층이 형성되면 200 내지 300℃ 온도에서 경화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적, 녹, 청색 컬러필터층(15a, 15b, 15c)들이 절연기판(10) 상에 형성되면 오버코트층(30)을 형성한다. 이후 계속해서 투명 금속으로된 공통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컬러필터층들은 3색 광파장 중 컬러(적, 녹, 청색)필터층의 색과 대응되는 파장대는 투과하고 나머지 영역의 파장대는 흡수하여 색을 표현한다. 따라서, 컬러필터층에 흡수되는 파장대의 광은 실질적으로 색을 표현하기 위해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해 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을 박형 금속층을 적층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높은 휘도 특성과 박형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컬러필터기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필터층을 적층된 금속층들로 형성하여 동시에 컬러필터층 역할과 공통전극 역할을 할 수 있는 컬러필터기판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각각의 서브 화소 영역별로 형성된 적색 컬러필터층, 녹색 컬러필터층 및 청색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은 제 1 적색 금속층, 제 2 적색 금속층 및 제 3 적색 금속층들이 적층되고, 상기 녹색 컬러필터층은 제 1 녹색 금속층, 제 2 녹색 금속층 및 제 3 녹색 금속층들이 적층되며, 상기 청색 컬러필터층은 제 1 청색 금속층, 제 2 청색 금속층 및 제 3 청색 금속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9~11㎚의 범위를 갖고,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과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두께는 153~187㎚의 범위를 갖으며, 상기 녹색 컬러필터층과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두께는 333~367㎚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은 컬러필터층을 투과하는 광은 색표현을 위해 사용하고, 컬러필터층에서 반사되는 광은 다른 컬러필터층에서 색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어 광효율 향상과 고휘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은 금속층을 나노(㎚) 두께로 증착하여 컬러필터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컬러필터기판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액정표시장치를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은 컬러필터층에 형성되는 금속층을 공통전극 으로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공통전극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기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명성 절연기판(100) 상에 금속층(110)을 얇게 형성한다. 사용되는 금속은 은(A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성 도전물질 또는 금,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110)의 두께는 9~11㎚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층(110)이 형성되면, 다수개의 금속층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 컬러필터층(120, 130, 140)을 형성한다. 형성 방법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층(120, 130, 140)과 대응되는 각각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해당 영역에 금속막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색(R), 녹색(G), 청색(B) 컬러필터층(120, 130, 140)들이 형성된 절 연기판(100) 상에는 버퍼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120)의 두께는 상기 절연기판(100) 상에 형성된 금속층(110)을 포함하여 153~187㎚, 상기 녹색 컬러필터층(130)의 두께는 상기 금속층(110)을 포함하여 333~367㎚ 및 상기 청색 컬러필터층(140)의 두께는 상기 금속층(110)의 두께를 포함하여 247~277㎚ 범위에서 형성한다.
본 발명과 같이, 컬러필터층을 금속층으로 적층하면 특정 파장대의 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파장대의 광은 반사하여 액정표시장치의 내측으로 재입사 시킬 수 있다. 재입사 되는 광은 다시 도광판 및 반사판 등에서 반사되어 컬러필터층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종래 사용되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높은 휘도의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백라이트 광원의 휘도를 줄이더라도 종래 디스플레이를 위해 필요한 컬러 휘도를 유지할 수 있어 저전력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기판의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층의 전체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박형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 중 적색 컬러필터층의 구조와 투과/반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색 컬러필터층(120)은 금속층(110) 상에 제 1 적색 금속층(120a), 제 2 적색 금속층(120b) 및 제 3 적색 금속층(120c)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 3 적색 금속층(120c) 상에는 버퍼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적색 금속층(120a)은 ZnS 계열의 금속층을 80~90㎚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적색 금속층(120b)은 Ag 계열의 금속층을 15~25㎚의 두께로 형성하며, 상기 제 3 적색 금속층(120c)은 ZnS 계열의 금속층을 50~60㎚의 두께로 형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색 컬러필터층은 600㎚ 이상대의 광파장은 투과하고(T: Transmission), 그 이외의 광파장대는 반사(R:Reflection)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에서 반사된 광파장대는 다시 백라이트 유닛 영역으로 진행하여 재반사가 이루어진다.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또는 반사판 등에서 재반사가 이루어진 광은 다시 녹색 또는 청색 컬러필터층에서 투과되는 광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광효율이 증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적색 컬러필터층의 반사율이 0.6~0.9의 값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색을 표현하기 위해 투과되는 광파장대 이외에는 거의 대부분이 재반사되어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컬러필터층의 반사율은 0.05 이하의 값을 갖는데, 투과되는 광파장대 이외에는 거의 재반사하여 광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 중 녹색 컬러필터층의 구조와 투 과/반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색 컬러필터층(130)은 금속층(110) 상에 제 1 녹색 금속층(130a), 제 2 녹색 금속층(130b) 및 제 3 녹색 금속층(130c)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 3 녹색 금속층(130c) 상에는 버퍼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녹색 금속층(130a)은 TiO2 계열의 금속층을 160~170㎚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녹색 금속층(130b)은 Ag 계열의 금속층을 20~25㎚의 두께로 형성하며, 상기 제 3 녹색 금속층(130c)은 TiO2 계열의 금속층을 145~155㎚의 두께로 형성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녹색 컬러필터층은 500~600㎚ 범위의 광파장은 투과하고(T), 그 이외의 광파장대는 반사(R)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녹색 컬러필터층에서 반사된 광파장대는 다시 백라이트 유닛 영역으로 진행하여 재반사가 이루어진다.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또는 반사판 등에서 재반사가 이루어진 광은 다시 적색 또는 청색 컬러필터층에서 투과되는 광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광효율이 증가한다.
특히, 본 발명의 녹색 컬러필터층의 반사율이 0.7~0.9의 값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색을 표현하기 위해 투과되는 광파장대 이외에는 거의 대부분이 재반사되어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컬러필터층의 반사율은 0.05 이하의 값을 갖는데, 투과되는 광파장대 이외에는 거 의 재반사하여 광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 중 청색 컬러필터층의 구조와 투과/반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색 컬러필터층(140)은 금속층(110) 상에 제 1 청색 금속층(140a), 제 2 청색 금속층(140b) 및 제 3 청색 금속층(140c)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 3 청색 금속층(140c) 상에는 버퍼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청색 금속층(140a)은 ZnS 계열의 금속층을 110~120㎚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청색 금속층(140b)은 Ag 계열의 금속층을 24~30㎚의 두께로 형성하며, 상기 제 3 청색 금속층(140c)은 ZnS 계열의 금속층을 105~115㎚의 두께로 형성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색 컬러필터층은 400~480㎚ 이상대의 광파장은 투과하고(T), 그 이외의 광파장대는 반사(R)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청색 컬러필터층에서 반사된 광파장대는 다시 백라이트 유닛 영역으로 진행하여 재반사가 이루어진다.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또는 반사판 등에서 재반사가 이루어진 광은 다시 적색 또는 녹색 컬러필터층에서 투과되는 광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광효율이 증가한다.
특히, 본 발명의 녹색 컬러필터층의 반사율이 0.8~0.9의 값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색을 표현하기 위해 투과되는 광파장대 이외에는 거의 대부분이 재반사되어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컬러필터층의 반사율은 0.05 이하의 값을 갖는데, 투과되는 광파장대 이외에는 거의 재반사하여 광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러필터층을 사용하면 적색, 녹색 및 청색광 스펙트럼의 광손실이 0.2 이하의 값을 갖기 때문에 종래 컬러필터층에 비해 광손실히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컬러레진을 사용하여 컬러필터층을 사용하는 것보다 높은 휘도 특성을 갖는 컬러필터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컬러필터층들에 적층되는 금속층을 나노(㎚) 두께로 증착되기 때문에 컬러필터기판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를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층들에 사용되는 금속층에는 모두 Ag 금속층이 포함되어 있어, 그 자체로 공통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필터기판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기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 중 적색 컬러필터층의 구조와 투과/반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 중 녹색 컬러필터층의 구조와 투과/반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기판 중 청색 컬러필터층의 구조와 투과/반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0: 절연기판 110: 금속층
120: 적색 컬러필터층 130: 녹색 컬러필터층
140: 청색 컬러필터층 150: 버퍼층

Claims (8)

  1. 기판;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각각의 서브 화소 영역별로 형성된 적색 컬러필터층, 녹색 컬러필터층 및 청색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은 제 1 적색 금속층, 제 2 적색 금속층 및 제 3 적색 금속층들이 적층되고, 상기 녹색 컬러필터층은 제 1 녹색 금속층, 제 2 녹색 금속층 및 제 3 녹색 금속층들이 적층되며, 상기 청색 컬러필터층은 제 1 청색 금속층, 제 2 청색 금속층 및 제 3 청색 금속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9~11㎚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컬러필터층과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두께는 153~187㎚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컬러필터층과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두께는 333~367㎚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컬러필터층과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두께는 247~277㎚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색 금속층은 ZnS 계열의 금속층, 상기 제 2 적색 금속층은 Ag 계열의 금속층 및 상기 제 3 적색 금속층은 ZnS 계열의 금속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녹색 금속층은 TiO2 계열의 금속층, 상기 제 2 녹색 금속층은 Ag 계열의 금속층 및 상기 제 3 녹색 금속층은 TiO2 계열의 금속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청색 금속층은 ZnS 계열의 금속층, 상기 제 2 청 색 금속층은 Ag 계열의 금속층 및 상기 제 3 청색 금속층은 ZnS 계열의 금속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기판.
KR1020090123588A 2009-12-11 2009-12-11 컬러필터기판 KR101654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588A KR101654325B1 (ko) 2009-12-11 2009-12-11 컬러필터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588A KR101654325B1 (ko) 2009-12-11 2009-12-11 컬러필터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797A true KR20110066797A (ko) 2011-06-17
KR101654325B1 KR101654325B1 (ko) 2016-09-05

Family

ID=4439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588A KR101654325B1 (ko) 2009-12-11 2009-12-11 컬러필터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142A (ko) * 2017-09-08 2019-03-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캐비티 공명을 이용한 구조 색 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90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8244A (ko) * 2006-01-26 200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90023982A (ko) * 2007-09-03 200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필터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090046100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90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8244A (ko) * 2006-01-26 200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90023982A (ko) * 2007-09-03 200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필터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090046100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142A (ko) * 2017-09-08 2019-03-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캐비티 공명을 이용한 구조 색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325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725B2 (en) Color filter substrate
KR101794653B1 (ko) 광변환층을 포함한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US11480822B2 (en)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a light-reflecting wall having a light-transmissive wall and a light-reflecting layer covering a top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light-transmissive wa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754546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equipment
CN109613747B (zh) 用于反射式显示面板的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面板
JP5868706B2 (ja) 干渉型フィルタ層付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EP3242342B1 (en) Oled device having optical resonance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10573668B2 (en)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CN109799641B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面板
TWI776828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20100096809A (ko) 간섭 광 변조기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WO2012053756A2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21022587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20180107385A (ko) 광루미네선스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128860A1 (en) Reflective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20012995A (ko)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N110596941B (zh) 阵列基板及液晶显示装置
US20120268820A1 (en) Color filter film, grating structure and display module
KR101654325B1 (ko) 컬러필터기판
KR20070065065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9472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35883A (ko) 컬러 필터 기판 및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20121118U (zh) 显示装置
US11289673B2 (en) Display panel having Bragg mirr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JP4422456B2 (ja) 半透過・半反射型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半透過・半反射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