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973A -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973A
KR20110065973A KR1020090122684A KR20090122684A KR20110065973A KR 20110065973 A KR20110065973 A KR 20110065973A KR 1020090122684 A KR1020090122684 A KR 1020090122684A KR 20090122684 A KR20090122684 A KR 20090122684A KR 20110065973 A KR20110065973 A KR 2011006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provider
service
user
distribu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798B1 (ko
Inventor
윤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798B1/ko
Priority to US12/911,188 priority patent/US20110142048A1/en
Publication of KR2011006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배망 네트워크의 분배망 시스템은 분배망 장치 및 사용자 포털 서버를 포함한다. 분배망 장치는 분배망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을 감지하여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단말이 선택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단말을 연결한다. 또한, 분배망 장치는 단말이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단말에 임시 IP 주소를 할당한다. 사용자 포털 서버는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웹을 통해 통신 사업자를 변경하도록 변경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며, 신규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가입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배망 시스템, 분배망 장치,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통신 사업자, 서비스 제공자

Description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COMMUNICATION PROVIDER SELECTION SERVICE IN DISTRIBUTION NETWORK}
본 발명은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배망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별로 통신 사업자를 선택하여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9-S-027-01, 과제명: All-IP 기반 복수사업자 융합서비스 접속분배망 기술개발].
현재 통신망 서비스는 점차 IP(Internet Protocol) 기반 서비스로 통합되고 있으며, 인터넷 서비스를 비롯하여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프리미엄 서비스를 하나의 회선을 통하여 제공하는 TPS(Triple play service)/QPS(Quadruple play service) 서비스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현재 통신망 서비스는 댁내까지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경우에는 MDF(Main Distribution Frame)실 및 댁내까지 계약한 통신 사업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확인 및 관리하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통신 사업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번들 형태로 가입하고 있다.
반면 유럽이나 미국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액세스 사업자(또는 지역 사업자)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사업자가 분리된 산업구조로 인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서비스, IPTV 및 VoIP를 각각 다른 통신 사업자에게 제공받을 수 있다. 국내의 경우도 이러한 요구가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사용자가 서비스 별로 다른 통신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점차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서비스 별로 다른 통신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는 물리적인 회선을 비롯한 인터넷 접속서비스, IPTV 및 VoIP를 한 사업자가 번들링하여 서비스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특히 서비스 개시에 핵심이 되는 접속인증, 사용권한 부여 및 IP 주소 부여 기능들을 BRAS(Broadband Remote Access Server)/BNG(Broadband Network Gateway)라는 장비를 통하여 ISP에서 자체적으로 갖추어 서비스 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별로 다른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받거나 또는 서비스를 다른 통신 사업자로 변경하는 일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분배망 내에서 서비스 별로 통신 사업자를 선택하여 적용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배망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별로 통신 사업자를 선택하여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의 분배망 장치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댁내망의 단말을 통해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이 선택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신규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로 임시IP 주소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임시 IP 주소를 할당하는 분배망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망 시스템의 사용자 포털 서버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배망 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이 통신 사업자로의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새로운 통신 사업자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이 신규 사용자의 단말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MAC 주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신규 가입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배망 네트워크의 분배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배망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을 감지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선택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분배망 장치, 그리고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웹을 통해 상기 통신 사업자를 변경하도록 변경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며, 신규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가입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포털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망 장치는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를 할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망에서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서비스 별로 통신 사업자를 선택하고 이를 즉시 네트워크에서 적용함에 따라 보다 자유롭게 통신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네트워크에서 분배망 장치 위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네트워크(100)는 분배망 네트워크(100)에 접속한 사용자를 해당하는 통신 사업자(300)에게 연결하는 분배망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액세스 망이다. 여기서 분배망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액세스 망은 사용자의 댁내 장비 이후부터 통신 사업자(300)의 POP(Point to presence) 지점, 즉 BRAS(Broadband Remote Access Server)/BNG(Broadband Network Gateway)(311-331)직전까지를 포함한다.
댁내망(200)은 홈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210-220)와 홈 게이트웨이(210-22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의 단말(211-213/221-222)을 포함한다. 여기서, 홈 게이트웨이(210-220)는 자신과 연결된 해당하는 사용자의 단말(211- 213/221-222)과 외부 통신망을 연결한다.
통신 사업자(300)는 분배망 네트워크(100)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11-213/221-222)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310), ISP(Internet Service Provider)(320) 및 NSP(Network Service Provider)(330)를 포함한다.
ASP(310)는 BRAS/BNG(311)를 포함하며 기업 운영에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ISP(320)는 BRAS/BNG(321)를 포함하며 단순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NSP(330)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트래픽을 전송하는 것으로서 IPS 백본 서비스 및 전용선 서비스 등이 포함되며, BRAS/BNG(33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BRAS/BNG(311-331)는 망간 연동장치로 분배망 네트워크(100)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사업자(300), 즉 ASP(310), ISP(320) 및 NSP(330)로 접속되도록 한다.
분배망 네트워크(100) 상에서 분배망 장치는 다양한 제1 내지 제3 지점(PT1, PT2, PT3)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로 분배망 장치는 사용자(200) 측의 인입장비인 액세스 노드(110)와 댁내 망(210-220) 사이의 제1 지점(PT1)에 설치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분배망 장치는 분배망 네트워크(100)에서 별도의 특정 위치 또는 장비가 아닌 액세스 망에 해당기능을 분산적으로 제 2지점(PT2)에 배치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분배망 장치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 FTTH 환경을 고려하여 분배망 네트워크(100)와 통신 사업자(300)의 각 BRAS/BNG(311, 321, 331) 사이의 제3 지점(PT3)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망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네트워크(100)의분배망 시스템(400)은 댁내망(500)과 통신 사업자(600) 사이에서 연동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별로 통신 사업자(600)를 선택하도록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는 서비스 별로 통신 사업자(600)의 ASP(310), ISP(320) 및 NSP(330)를 선택하도록 하여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에게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분배망 시스템(400)의 분배망 장치(410)는 도 1에서 설명한 제1 지점(PT1), 즉 댁내 망(500)과 사용자 측의 인입장비인 액세스 노드(41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댁내망(500)은 사용자의 단말(510-516)과 홈 게이트웨이(520)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510-512)은 홈 게이트웨이(520)를 통해 분배망 네트워크(100)에 연결되며, 나머지 단말(513-516)은 직접 분배망 네트워크(100)의 분배망 장치(410)에 연결된다. 두 경우 모두 이더넷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사업자(600)에게 연결된다.
분배망 시스템(400)은 분배망 장치(410), 분배망 제어시스템(420), 사용자 포털 서버(430) 및 운용자 단말(440)을 포함한다.
분배망 장치(410)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단말(510- 516)을 통해 분배망 네트워크(100)에 접속을 요청하면 단말(510-516)이 접속된 분배망 장치의 포트번호 및 미디어 접근 제어 주소(Media Access Control, 이하 "MAC 주소"이라고 함)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정보(이하, "사용자 단말 정보"라고 함)를 조회하며, 해당하는 통신 사업자(600)로 연결한다. 분배망 장치(410)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아 통신 사업자(600)를 선택하지 않은 신규 사용자의 단말(도시하지 않음)이 분배망 네트워크(100)로 접속을 요청하는 것이 감지되면 임시 IP주소를 할당하여 신규 사용자의 단말이 사용자 포털 서버(4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배망 장치(410)가 신규 사용자의 단말에 IP 주소를 할당하였으나 분배망 제어시스템(420)에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분배망 장치(410)는 단말(513-516)과 같이 단말이 개별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단말(513-516)의 정보인 MAC 주소 등을 이용하지 않고 포트번호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513-516)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분배망 장치(410)는 단말(510-512)과 같이 홈 게이트웨이(520)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포트번호를 기반으로 개별 단말을 식별할 수 없으므로 MAC 주소를 기반으로 단말(510-512)을 식별한다. 즉, 분배망 장치(410)는 댁내망(500)의 단말(513-516)과 같이 단말이 직접 연결된 경우가 아니면 포트번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을 식별하기 어려우므로 단말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단말을 식별해야 하며, 연결된 포트번호 정보와 병행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분배망 장치(410)는 포트번호와 MAC 주소를 식별자로 같이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장치(410)는 포트번호 기반 또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VLAN1(Virtual LAN)1-VLAN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510-516)을 통신 사업자(600)로 연결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순한 VLAN 매핑 이외에 MAC/포트를 S-VLAN, PBB(Provider Backbone Bridging),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터널과의 매핑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510-516)을 통신 사업자(600)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분배망 제어시스템(420)은 분배망 장치(410)를 직접 제어하고, 분배망 장치(410)에 수행하는 관련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한다.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직접 웹을 통해 서비스 별로 통신 사업자(6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가입 및 변경을 위한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440)를 통하여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추가, 삭제 및 변경하도록 포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분배망 장치(410)로 접근하여 임시IP 주소를 할당 받은 신규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신규 사용자가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하고 통신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가입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웹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510-516)을 이용하여 통신 사업자(600)를 선택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웹 인터페이스가 불가능한 단말의 경우에도 오프라인(off-line) 또는 전화를 통하여 가입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 사업자(600)는 분배망 네트워크(100)에 접속한 단말(510-516)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인터넷, VoIP, IPTV 및 전용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ISP1(610), ISP2(620), ASP(630) 및 NSP(640)를 포함된다. 여기서 ISP1(610), ISP2(620), ASP(630) 및 NSP(640)는 도 1에 도시한 통신 사업자(3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의 분배망 장치를 통하여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400)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는 댁내망(500)의 단말(510-516)을 통하여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기반의 접속 요청 메시지 전달한다. 분배망 시스템(400)의 분배망 장치(410)는 단말(510-516)로부터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기반의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300). 분배망 장치(410)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의 포트번호와 MAC 주소를 검출하고,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등록한 사용자 단말 정보에서 상기 검출된 포트번호와 MAC 주소를 조회하여 이미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인지 아니면 신규 사용자의 단말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1).
조회결과 사용자 단말 정보에서 동일한 포트번호와 MAC 주소와 검출되면, 분배망 장치(410)는 이미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하여 MAC 주소를 기반으로 VLAN 매핑을 통하여 통신 사업자(600)의 해당 서비스 제공자로 연결하거나 포트번호를 기반으로 VLAN 매핑을 통하여 해당되는 통신 사업자(600)의 해당 서비스 제공자로 연결한다(S302). 즉, 사용자는 더 이상 분배망 장치(410)의 제어 없이 자신의 단말을 통해 선택한 통신 사업자(600)로부터 IP 주소를 할당 받으며, 인증 및 사용 권한을 부여 받는다.
한편, 조회결과 사용자 단말 정보에서 동일한 포트번호와 MAC 주소와 검출되지 않으면, 분배망 장치(410)는 신규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하여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 응답 메시지 생성하고, 접속 응답 메시지에 임시 IP 주소를 할당하여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303).
IP 주소를 할당 받은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 질의(Query)가 전달되면, 분배망 장치(410)는 사용자 포털 서버(430)의 IP 주소를 회신하여 사용자 포털 서버(430)로의 접속을 유도한다(S304).
사용자 포털 서버(430)에 접속한 신규 사용자의 단말이 웹사이트의 접속을 요청하기 위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을 기반으로 웹사이트 주소를 전달되었는지 판단한다(S305).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http기반의 웹사이트 접속이 시도되면, 분배망 장치(410)는 요청한 웹사이트 주소에 관계없이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사용자 포털 서버(430)로 전송하여 신규 사용자가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S306, S307).
한편,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http기반의 접속 시도가 아닌 트래픽의 전송이 시도되는 경우, 분배망 장치(410)는 보안등의 이유로 관련 패킷이 사용자 포털 서버(430)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거한다(S308). 이때, 분배망 장치(410)는 분배망 제어시스템(420)으로 신규 사용자 단말에 관련된 사용자 단말 정보(MAC 주소 및 포트번호) 및 트래픽 정보를 전송하여 향후 오프라인(off-line) 또는 전화를 통한 가입 유도 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30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의 사용자 포털 서버를 통하여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400)의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사용자가 외부 인터넷을 통하여 접근하였는지 또는 분배망 장치(410)를 통하여 접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임시 IP주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0).
임시 IP주소가 아닌 경우,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사용자가 IPS와 같은 통신 사업자에 이미 등록되어 분배망 장치(410)를 통하여 접속한 것이 아닌 외부 인터넷을 통하여 접근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식별자(identifier, ID) 및 비밀번호(password)를 확인한다(S401). 여기서, 등록 정보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설정한 식별자, 사용자의 식별자 및 비밀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포털 서버(4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보안을 위해 분배망 장치(41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를 확인한다(S402). 예를 들어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분배망 장치(41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IP 주소와 일치하는 포트번호 및 MAC 주소가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등록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정보가 일치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등록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통신 사업자 변경 절차를 수행하여 새롭게 변경을 요청한 통신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S403).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접속한 사용자가 통신 사업자(600)의 서비스 제공자 중 현재 서비스 제공자, 예를 들어ISP1(610) 대신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 예를 들어 ISP2(620)로의 변경을 요청받을 수 있다(S404).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통신 사업자(600)의 서비스 제공자 중 현재 ISP1(610) 대신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인 ISP2(620)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이전에 선택한 서비스 제공자 대신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의 변경을 요청하면,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사용자의 단말로 재인증을 지시하여 단말이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단말은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새롭게 IP를 수신하여 접속된한다(S405).
한편, 임시 IP주소가 할당되어 분배망 장치(410)로부터 직접 사용자 포털 서버(430)에 접속된 경우,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이 신규 사용자의 단말이거나 또는 단말 변경, 네트워크 카드 변경 등의 이유로 단말의 MAC 주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신규 사용자의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먼저 신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한다(S406).
신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가입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전달되면(S407),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신규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408). 그리고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신규 가입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한다(S409). 그리고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신규 사용자가 통신 사업자를 서비스 제공자로 선택한 경우, S405단계에서와 같이 변경 또는 추가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 재인증을 지시하여 선택한 서비스 제공자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기존에 가입된 사용자인 것으로 응답하면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사용자 식별자, 비밀번호 및 식별된 포트번호 등을 기반으로 기존에 가입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고(S410),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의 MAC 주소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변경 확인 요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한다(S411). 변경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변경 확인 메시지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전달되면,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 정보(MAC 주소)를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한다(S412). 그리고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단말 변경 절차에 따라 변경된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한다(S413). 그리고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MAC 주소가 변경된 단말이 새로운 다른 통신 사업자로의 변경 및 추가를 요청하는 경우에 통신 사업자 변경절차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포털 서버(430)는 변경된 단말로 재인증을 지시하여 단말이 통신 사업자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네트워크에서의 분배망 장치의 위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의 분배망 장치를 통하여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망 시스템의 사용자 포털 서버를 통하여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8)

  1. 분배망 시스템의 분배망 장치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댁내망의 단말을 통해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이 선택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신규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로 임시IP 주소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IP 주소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 질의(Query)가 전달되면, 상기 임시 IP 주소를 회신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의 가입을 위한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포털 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IP 주소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웹사이트 접속시도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 접속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신규 사용자의 단말을 사용자 포털 서버에 연결시켜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등록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웹사이트 접속시도가 아닌 다른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신규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가 검출되면,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신규 사용자의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또는 상기 MAC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선택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6. 임시 IP 주소를 할당하는 분배망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망 시스템의 사용자 포털 서버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배망 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이 통신 사업자의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새로운 통신 사업자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이 신규 사용자의 단말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MAC 주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신규 가입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인증을 받도록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식별자,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및 비밀번호가 상기 등록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가 상기 사용자 단말 정보와 일치하면, 통신 사업자 변경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이 새롭게 변경 또는 추가를 요청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재접속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 신규 확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규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신규 사용자의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신규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사용자가 새로운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변경 또는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신규 사용자의 단말로 재인증을 지시하여 상기 새롭게 변경 또는 추가를 요청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질의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변경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변경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변경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MAC 주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MAC 주소가 변경된 단말이 새로운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변경 또는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MAC 주소가 변경된 단말로 재인증을 지시하여 상기 새롭게 변경 또는 추가를 요청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접속되어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 받고 접속인증을 받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 제공 방법.
  12.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배망 네트워크의 분배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배망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을 감지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선택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분배망 장치, 그리고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웹을 통해 상기 통신 사업자를 변경하도록 변경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며, 신규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가입 관련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포털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망 장치는,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를 할당하는 분배망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망 장치는,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의 사용자 단말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가 검출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또는 상기 MAC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선택한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분배망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망 장치는,
    상기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의 사용자 단말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포트번호 및 MAC 주소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시 IP 주소를 할당하는 분배망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상기 임시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포털 서버는 상기 단말이 통신 사업자의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 변경 또는 추가를 요청하는 지의 여부를 질의하여 상기 단말이 새로운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자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배망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포털 서버는,
    상기 단말이 통신 사업자의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통신 사업자 변경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이 새롭게 변경 또는 추가를 요청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분배망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된 경우,
    상기 사용자 포털 서버는 상기 단말이 신규 사용자의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여 신규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분배망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임시 IP 주소가 할당된 경우,
    상기 사용자 포털 서버는 상기 단말의 MAC 주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분배망 시스템.
KR1020090122684A 2009-12-10 2009-12-10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7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84A KR101276798B1 (ko) 2009-12-10 2009-12-10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2/911,188 US20110142048A1 (en) 2009-12-10 2010-10-25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on carrier selection service in distribu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84A KR101276798B1 (ko) 2009-12-10 2009-12-10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73A true KR20110065973A (ko) 2011-06-16
KR101276798B1 KR101276798B1 (ko) 2013-06-19

Family

ID=4414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84A KR101276798B1 (ko) 2009-12-10 2009-12-10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42048A1 (ko)
KR (1) KR101276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6437A1 (en) * 2012-02-01 2013-08-08 NEUTRAL TANDEM INC. d.b.a. INTELIQUENT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terconnection and service aspects of external connections to a central network
WO2019098623A1 (ko) * 2017-11-15 2019-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ladn 서비스 지원 및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5904B (zh) * 2010-12-24 2015-02-11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漫游用户再次认证的方法和装置
CN110868393A (zh) * 2019-09-24 2020-03-06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基于电网信息系统异常流量的防护方法
US11050707B2 (en) * 2019-10-21 2021-06-29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resource address
US11464073B2 (en) * 2021-02-11 2022-10-0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utomatic deployment of wireless or wired networks through clustering of gateways and tunneling of data traffic to the gateway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201A (en) * 1997-08-06 2000-11-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calable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based on subscriber distribution
US6351773B1 (en) * 1998-12-21 2002-02-26 3Com Corporation Methods for restricting access of network devices to subscription services in a data-over-cable system
AU2001245903A1 (en) * 2000-03-20 2001-10-03 At And 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user selection of network service providers over a broadband communications network
IL147506A (en) * 2002-01-08 2008-11-26 Optimus Water Technologies Ltd Water supply system
CN100341305C (zh) * 2002-11-26 2007-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802.1x协议的组播控制方法
CA2451313C (en) * 2003-11-28 2011-10-18 Nicolas Nedkov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public data network from a visited access provider
US20050152395A1 (en) * 2004-01-13 2005-07-14 Hales Jeffery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HCP service in a multi-homed environment
US8139520B2 (en) * 2004-05-03 2012-03-20 Nokia Corporation Method of preventing or limiting the number of simultaneous sess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8032136B2 (en) * 2005-05-31 2011-10-04 Sharp Kabushiki Kaisha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using device, and template transmitting device
JP4791252B2 (ja) * 2006-05-22 2011-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転送装置、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ユーザ端末装置およびパケット転送方法
US9024717B2 (en) 2007-02-16 2015-05-05 Siemens Industry, Inc.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power to maximize performance of wireless mesh sensors and control networ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6437A1 (en) * 2012-02-01 2013-08-08 NEUTRAL TANDEM INC. d.b.a. INTELIQUENT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terconnection and service aspects of external connections to a central network
WO2019098623A1 (ko) * 2017-11-15 2019-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ladn 서비스 지원 및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US11330642B2 (en) 2017-11-15 2022-05-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and providing LAD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798B1 (ko) 2013-06-19
US20110142048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91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CMTS and an application server in a cable network
US8037299B2 (en) Domain-less service selection
CA2457368C (en) A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public network through an internal network of a multi-system operator
CN102726069B (zh) 基于会话属性的动态服务群
US8134999B2 (en) Generic provisioning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JP5876877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と顧客構内機器との間の接続の効率的な使用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0684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binding
JP4909277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機器、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アドレス管理機器
US90365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customer premises equipment
KR100766067B1 (ko) 인터넷 서비스망에서의 게스트 액세스 허용을 통한 사용자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과금 방법
KR101276798B1 (ko) 분배망에서 통신 사업자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05117548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level gateway provisioning based on a device’s location
EP3108643B1 (en) Ipoe dual-stack subscriber for routed residential gateway configuration
KR20090016322A (ko)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와이맥스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898189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該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と顧客構内機器との間の接続を効率的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5812252A (zh) 一种家庭网关、系统以及终端访问组播业务的方法
JP3656134B2 (ja) Vpn選択接続ゲートウェイおよびそれによる通信方法
EP19400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binding
CN105871782B (zh) 网络业务处理方法、装置、业务路由器及平台认证系统
WO2013079897A1 (en) Discovering data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s
KR101304593B1 (ko) 액세스 노드와 가입자 게이트웨이,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다수 사업자용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액세스 망에서의 다수 사업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72228B1 (ko) Iptv 망에서 dhcp서버를 사용하여 셋탑 박스에ip 주소를 부여하는 방법 및 유해 웹 페이지 차단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