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832A -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832A
KR20110065832A KR1020090122505A KR20090122505A KR20110065832A KR 20110065832 A KR20110065832 A KR 20110065832A KR 1020090122505 A KR1020090122505 A KR 1020090122505A KR 20090122505 A KR20090122505 A KR 20090122505A KR 20110065832 A KR20110065832 A KR 20110065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or
gts
beacon frame
time synchronizat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991B1 (ko
Inventor
하봉수
정종태
심우석
김희철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9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①)와; GTS Period Start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②)와; GTS옵션 데이터(DATA FRAME)를 전송하는 단계(③)와;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④,⑤)와; Active Period End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⑥)와; 다음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⑦)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⑧) 및; 상기 디바이스 1이 수신모드로 변경하여 대기하는 단계(⑨)로 이루어져 타이머 정확도의 한계를 가진 센서노드 들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에서도 IEEE 802.15.4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슈퍼 프레임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기존 비콘 프레임에만 의존할 때보다 시간동기화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센서 노드는 신뢰성이 부족한 자신의 타이머를 신뢰하지 않아도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된 GTS 구간 시작 프레임과 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 비콘 프레임를 통해 슈퍼 프레임의 구간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고, 기존 슈퍼프레임 구조에서의 데이터 충돌, 구간 침범, 비콘 수신 실패율을 줄여줌으로써 재전송 및 비콘 수신대기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슈퍼프레임, 시간동기화, GTS 구간, 비활성 구간, MAC계층.

Description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Performance enhancing method of time synchronization in super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EEE 802.15.4 표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슈퍼프레임 구조에 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Active Periode End Frame)와 GTS 구간 시작 메시지(GTS Period Start Frame)를 추가하여 시간 동기화 저해 요소인 시간 오차를 최소화하고 CAP, CFP,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분명하게 알림으로써 IEEE 802.15.4 표준 슈퍼프레임 구조에서의 시간 동기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5.4 표준은 제한된 자원을 가지는 장치들 간의 저전력, 저속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물리 계층과 MAC계층을 정의한 국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는 코디네이터가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활성(Active) 및 비활성(Inactive)구간을 반복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는 비콘 모드를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센서 노드는 자신이 속한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한 비콘 프레임에서 비콘 주기 및 활성 구간의 길이, GTS 구 간 길이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해당 구간의 길이를 계산하여 CAP, CFP, 비활성 구간 등에 맞춰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각각의 센서노드에서 지원하는 타이머가 부정확하거나 시스템의 오동작에 의한 시간 오차 등에 의해 Real Time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잘못된 시각 판단으로 타 구간 침범과 이것으로 인한 데이터 충돌, 비콘 수신 실패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IEEE 802.15.4 WPAN(Wireless Persnal Area Network)은 기본적으로 센서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며, 토폴로지 형태에 따라 랜덤 또는 지정된 센서 노드가 해당 PAN(Personal Area Network)을 대표하는 코디네이터를 선정된다. 코디네이터는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및 PAN을 유지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성 가능한 토폴로지로는 도 1a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표준에서는 Peer to Peer 형태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을 고려하지 않았고, 본 발명 역시 도 1a와 같은 스타(Star)형과 도 1b의 트리(Tree)형 토폴로지에서의 시간 동기화 성능 향상 방법이다.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종래 슈퍼프레임은 도 2a와 같이 비콘 프레임 주기를 16개의 슬롯으로 나누어 사용하게 되며,도 2b와 같이 비활성화(Inactive)구간이 존재 할 경우 활성(Active)구간만 16개의 슬롯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활성 구간은 도 2c와 같이 CAP(Contention Access Period)구간과 CFP(contention-free Period)가 분리되어 존재하거나 CAP구간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모든 전송은 활성구간에서만 시도되어야 하며, 비활성화 구간에서 는 모든 라디오 장치는 OFF 상태가 되어 송수신이 불가능 하게 되고, 이러한 슈퍼 프레임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코디네이터와 연결된 모든 센서노드가 동일한 시간 값을 유지해야 하나, 이는 현실적으로 디바이스별 하드웨어적인 특성과 정확도 한계, 시스템에 따라 동일한 시각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CAP구간에서는 통신을 원하는 디바이스 들이 CSMA-CA메커니즘을 이용하는 다른 디바이스 들과 경쟁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CFP구간은 Low-latency 어플리케이션이나 특정한 대역폭을 요구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PAN 코디네이터로부터 슈퍼프레임의 특정구간을 할당 받아 전용으로 사용가능한 구간이며, CSMA-CA를 수행하지 않고 프레임을 송수신 가능하다. 이러한 GTS구간은 최대 7개까지 가능하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 들은 코디네이터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비콘 정보를 바탕으로 도 3과 같이 동기화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슈퍼프레임 구조에서는 시간 동기화를 위해 비콘 프레임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으로부터 CAP 구간의 길이와 할당받은 자신의 GTS 구간의 시작 지점과 끝, 비활성구간의 시작과 끝을 모두 계산하여야 한다. 이후 모든 동작구간의 판단은 설정된 타이머의 동작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GTS시작과 같은 특정구간의 시작을 타이머의 성능한계나 시스템 오류로 인해 도 4와 같이 다른 CAP 구간으로 잘못 인식한다면, GTS를 할당받은 다른 센서노드와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와 동기화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시간 오차가 지속적으로 누적된다면, 다음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라디오 장치를 수신모드로 변경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시간 오차에 의해 늦게 변경하게 되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콘 프레임을 한번 놓치게 되면 긴 주기 동안 비콘 프레임을 다시 수신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소비가 많아져 한정된 전력을 가지는 센서 노드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데이터의 충돌에 의한 재전송 문제 및 타 GTS 구간의 침범 등은 크리티컬 하게 작동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치명적인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슈퍼프레임 구조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타이머 정확도의 한계를 가진 센서노드들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에서도 IEEE 802.15.4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슈퍼 프레임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기존 비콘 프레임에만 의존할 때보다 시간동기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센서 노드는 신뢰성이 부족한 자신의 타이머를 신뢰하지 않아도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된 GTS 구간 시작 프레임과 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 비콘 프레임를 통해 슈퍼 프레임의 구간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슈퍼프레임 구조에서의 데이터 충돌, 구간 침범, 비콘 수신 실패율을 줄여줌으로써 재전송 및 비콘 수신대기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은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①)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 하는 단계(②)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 GTS옵션 데이터(DATA FRAME)를 전송하는 단계(③)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 외의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④,⑤)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부터 Active Period End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⑥)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다음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⑦)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다음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할 때(비콘 프레임 수신주기)까지 비활성 구간으로 돌입하여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⑧) 및; 코디네이터의 비콘 주기를 계산하여 상기 디바이스 1이 다음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모드로 변경하여 대기하는 단계(⑨)로 이루어져 상기 단계(①) ∼ 단계(⑦)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타이머 정확도의 한계를 가진 센서노드들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에서도 IEEE 802.15.4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슈퍼 프레임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기존 비콘 프레임에만 의존할 때보다 시간동기화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센서 노드는 신뢰성이 부족한 자신의 타이머를 신뢰하지 않아도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된 GTS 구간 시작 프레임과 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 비콘 프레임를 통해 슈퍼 프레임의 구간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고, 기존 슈퍼프레임 구조에서의 데이터 충돌, 구간 침범, 비콘 수신 실패율을 줄여줌으로써 재전송 및 비콘 수신대기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에 채용된 슈퍼프레임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GTS 구간 메시지 프레임과 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 프레임 구조도로서, 본 발명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은 지정디바이스인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①)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②)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 GTS옵션 데이터(DATA FRAME)를 전송하는 단계(③)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 외의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④,⑤)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부터 Active Period End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⑥)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다음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⑦)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다음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할 때(비콘 프레임 수신주기)까지 비활성 구간으로 돌입하여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⑧) 및; 코디네이터의 비콘 주기를 계산하여 상기 디바이스 1이 다음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모드로 변경하여 대기하는 단계(⑨) 로 이루어져 상기 단계(①) ∼ 단계(⑦)를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①단계에는 디바이스 1이 코니네이터와의 동기를 수행하기 위해 비콘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GTS 구간이 시작되기 전까지 CSMA-CA 기법으로 경쟁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비콘 프레임이 수신되면, 비콘 주기 및 비 활성 구간의 시작시간, CAP 구간의 길이, GTS 구간의 시작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단계(④,⑤)에는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 외의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한 후에 지정 노드 외 노드의 GTS 구간인을 확인하고, 디바이스 1이 자신의 GTS 전송을 정지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계(①,②,③,④,⑤,⑥)에는 코디네이터의 슈퍼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하고, 지정 디바이스 외 새로운 디바이스 들은 상기 단계(①,②,③,④,⑤,⑥)로부터 코디네이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연합을 시도하며,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단계(①,②,③,④,⑤,⑥)를 수신할 때 마다 코디네이터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을 실시예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콘프레임 을 수신하기 위해 긴 주기 동안 기다려야 하는 상황을 비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와 GTS구간 시작 메시지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비콘 주기를 미리 알 수 있게 하여 무작정 수신 모드로 대기할 필요 없이 Sleep모드로 전환하여 비콘프레임 수신 예상 시점에서 수신모드로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GTS구간 시작 메시지를 코디네이터가 통보함에 따라 GTS를 할당받은 디바이스들은 자신의 타이머가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정확한 자신의 지정 GTS구간에서 동작할 수 있음을 보장하여 지정하지 않은 타 GTS구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GTS구간 시작 메시지는 슈퍼프레임에서 GTS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코디네이터에서 도 6의 A와 같이 할당된 각각의 GTS구간 시작 지점에서 현재의 GTS슬롯 정보와 슈퍼프레임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는 도 8의 B와 같이 CAP 및 CFP 구간이 지나고 비활성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슈퍼 프레임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게 된다. 표준에서 추가된 2가지의 메시지 프레임은 도 7과 같이 정의하였으며, IEEE 802.15.4 표준에 의거한 프레임 타입으로 기존 표준과 호환하여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는 스타형 토폴로지의 구성도,
도 1b는 트리형 토폴로지의 구성도,
도 2a는 종래 일반적인 슈퍼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비활성구간이 존재하는 종래 슈퍼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c는 CFP가 존재하는 종래 슈퍼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코디네이터와 디바이스의 동기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슈퍼프레임 구조에서 코디네이터와의 시간 동기화 에러가 발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에 채용된 슈퍼프레임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GTS 구간 메시지 프레임과 활성 구간 종료 메시지 프레임 구조도 이다.

Claims (4)

  1.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①)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②)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 GTS옵션 데이터(DATA FRAME)를 전송하는 단계(③)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 외의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④,⑤)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로부터 Active Period End Message 를 수신하는 단계(⑥)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다음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⑦)와;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다음의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때(비콘 프레임 수신주기)까지 비활성 구간으로 돌입하여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⑧) 및; 코디네이터의 비콘 주기를 계산하여 상기 디바이스 1이 다음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모드로 변경하여 대기하는 단계(⑨)로 이루어져 상기 단계(①) ∼ 단계(⑦)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①단계에는 디바이스 1이 코니네이터와의 동기를 수행하기 위해 비콘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GTS 구간이 시작되기 전까지 CSMA-CA 기법으로 경쟁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비콘 프레임이 수신되면, 비콘 주기 및 비활성 구간의 시작시간, CAP 구간의 길이, GTS 구간의 시작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 기화 성능향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④,⑤)에는 상기 디바이스 1이 코디네이터의 지정 노드 외의 노드로부터 GTS Period Start Message 를 수신한 후에 지정 노드 외 노드의 GTS 구간인을 확인하고, 디바이스 1이 자신의 GTS 전송을 정지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①,②,③,④,⑤,⑥)에는 코디네이터의 슈퍼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하고, 지정 디바이스 외 새로운 디바이스 들은 상기 단계(①,②,③,④,⑤,⑥)로부터 코디네이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연합을 시도하며,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단계(①,②,③,④,⑤,⑥)를 수신할 때 마다 코디네이터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KR1020090122505A 2009-12-10 2009-12-10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KR10104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505A KR101046991B1 (ko) 2009-12-10 2009-12-10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505A KR101046991B1 (ko) 2009-12-10 2009-12-10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832A true KR20110065832A (ko) 2011-06-16
KR101046991B1 KR101046991B1 (ko) 2011-07-07

Family

ID=4439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505A KR101046991B1 (ko) 2009-12-10 2009-12-10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209A (ko) * 2012-02-01 2013-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91561B1 (ko) * 2015-10-16 2016-12-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919B1 (ko) 2018-11-21 2019-11-08 (주)에이텐시스템 능동형 동기화 시간 기능을 제공하는 다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878B1 (ko) * 2005-08-16 2007-05-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개인화 네트워크에서 동기화 방법
WO2008100078A1 (en) * 2007-02-13 2008-08-21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allocating a beacon slot using a beacon table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nd wpan device
US9001815B2 (en) 2007-10-3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594525B1 (ko) * 2007-12-2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매체접근제어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209A (ko) * 2012-02-01 2013-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91561B1 (ko) * 2015-10-16 2016-12-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991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515B2 (en) Operation method in heterogeneous networks and gateway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2134445B1 (ko)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로우 레이턴시 결정성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절약
KR101190864B1 (ko) 비동기식 mac 프로토콜에 기반한 센서 노드 및 그 센서 노드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6162844A (zh) 基于LoRa的无线传感器网络MAC协议的实现方法
JP2006148906A (ja) ビーコンレス通信システム
US11637585B2 (en) Sleepy device operation in asynchronous channel hopping networks
CN102932919B (zh) 上行链路探测参考信号的资源配置方法及装置
JP2012170068A (ja) ワイヤレスセンサ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非同期通信方法
BRPI0822599A2 (pt) ciclo de serviço multinível
KR20100052265A (ko) 동기식 기반 센서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US10931502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JP536692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KR101046991B1 (ko) 슈퍼프레임 구조의 시간동기화 성능향상 방법
Park et al. Power saving algorithm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on IEEE 802.15. 4
JP2011101276A (ja) 無線通信装置
JP2014057279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2015177284A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CN101291296B (zh) 一种通过跨层结构减少无线局域网媒体访问冲突的方法
KR101638425B1 (ko) 다중 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 링크에서 신호 전송 방법
Kumberg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ross-layer wake-up routing protocol T-ROME
Gotzhein et al. Real-time Communication Protocols for Multi-hop Ad-hoc Networks
Gnawali et al. Sensor networks architectures and protocols
KR101691561B1 (ko)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465120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집 응용 장치 및 방법
Kumar et al. Tmote implementation of BMAC and SMAC protoc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