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928A - Sterilization Dryer - Google Patents
Sterilization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4928A KR20110064928A KR1020090121713A KR20090121713A KR20110064928A KR 20110064928 A KR20110064928 A KR 20110064928A KR 1020090121713 A KR1020090121713 A KR 1020090121713A KR 20090121713 A KR20090121713 A KR 20090121713A KR 20110064928 A KR20110064928 A KR 201100649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blower
- filter
- hot ai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280244 Luffa acutangul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9814 Luffa aegyptiac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32 photo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NJIEGIFACGWOD-UHFFFAOYSA-N ethanethiol Chemical compound CCS DNJIEGIFACGW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39 volatil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주, 도마, 식칼, 식기, 수세미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살균 및 건조시켜 주방용품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ation dryer which can sanitarily manage kitchen utensils by sterilizing and drying kitchen utensils such as dishcloths, cutting boards, kitchen knives, utensils, and loofahs.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는, 내부에 건조공간을 가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건조공간 내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조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건조공간과 소통하는 제1 및 제2 개구를 가진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송풍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 내에 설치된 히터, 상기 송풍기의 측면에 설치된 흡입가이드부재를 가진 열풍공급유닛;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열풍을 여과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1개구와 소통하고, 상기 흡입가이드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개구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terilization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having a drying space therein; A drying table slidably installed in the drying space of the case; An upper case installed above the cas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openings communicating with a drying space of the case; A hot air supply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having a blower, a blower duct connected to a downstream side of the blower, a heater installed in the blower duct, and a suction guide member installed at a side of the blower; And a filter uni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upper case to filter the hot air discharged, wherein the blowing duc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pening of the upper case, and the suction guide member is connected with the second opening of the upper case. It is characterized by communicating.
살균, 건조, 케이스, 열풍, 순환, 필터, 흡입가이드 Sterilization, Drying, Case, Hot Air, Circulation, Filter, Suction Gu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행주, 도마, 식칼, 식기, 수세미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살균 및 건조시켜 주방용품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ilizing dryer which can sanitarily manage kitchen utensils by sterilizing and drying kitchen utensils such as dishcloths, cutting boards, kitchen knives, utensils, scrubber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소 등의 주방에는 요리, 조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도마, 식칼, 행주, 식기, 수세미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주방용품은 음식물과 관련된 제품이므로 그 위생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주방용품 중에서 행주 또는 도마 등은 습하고, 오물이 자주 묻기 쉽기때문에 병원균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주 살균 및 건조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kitchens such as homes and restaurants are equipped with kitchen utensils such as cutting boards, kitchen knives, dishcloths, utensils, and loofah for performing cooking and cooking. Since these kitchen utensils are food-related products, their hygienic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dishcloths and cutting boards among the kitchen utensils are moist, and since the soil is easy to bury frequently, it may provide a good environment for pathogens to live, and thus, it is necessary to sterilize and dry more frequently.
이에, 대부분의 가정 또는 요식업소의 주방에서는 행주, 도마 등을 끊은 물에 삶거나 햇볕에 말려 병원균을 살균 및 건조시키거나 살균세제 또는 세척 전용세제를 사용하여 병원균의 서식을 차단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적인 방법은 행주, 도마 등의 살균 및 건조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그 위생적 관리가 미비한 단점이 있었다. Therefore, most kitchens or restaurants in the kitchen mainly sterilize and dry pathogens by boiling or drying the dish, cutting board, etc. in the sun or sterilize the pathogens, or use a disinfectant or washing detergent to block the pathogens There is a situation. However, this classic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anitizing and drying operations of dishcloths and cutting boards are very troublesome, and their sanitary management is insufficient.
이에, 최근에는 행주, 도마 등과 같은 주방용품의 위생관리를 보다 확실하게 하도록 그 세척된 행주, 도마를 살균 및 건조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전용 살균건조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행주, 도마 등을 전용으로 살균 및 건조시키는 살균건조기는 식기 등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식기전용 살균건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주방의 싱크대 내에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는 등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Thus, in recent years, a separate dedicated sterilization dryer capable of sterilizing and drying the washed dishcloths and cutting boards to make the hygiene management of kitchen utensils such as dishcloths and cutting boards more widely used. 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ation dryer for sterilizing and drying dishcloths, cutting boards, etc. exclusively can reduce its volume relatively compared to the dish sterilizing dryer for sterilizing and drying dishes, such that it is installed in the kitchen sink in such a way that The range of use is gradually widening.
한편, 이러한 행주 및 도마 전용 살균건조기는 그 내부에 행주, 도마 등이 거치되는 건조공간이 형성되고, 이 건조공간 내의 행주, 도마 등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며, 건조공간 내의 행주, 도마 등으로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살균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such a dishcloth and cutting board dedicated sterilizing dryer is formed in the drying space where the dishcloth, cutting board, etc. are mounted therein, by supplying hot air to the dishcloth, cutting board, etc. in the drying space to dry, such as dishcloth, cutting board, etc. It is configured to steriliz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or the like.
하지만, 종래의 살균건조기는 건조공간 내로 공급된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열풍 내에 각종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그 악취가 매우 심할 뿐만 아니라 살균건조기의 외부공간의 오염이 초래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erilization dryer, when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drying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ontaminants such as bacteria, fungi, viruses, etc. are contained in the hot air, so that the stench dryer is not only very bad in smell, but also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ontamination could res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살균건조기 내의 건조공간으로 공급되어 행주, 도마 등을 건조시킨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 열풍 내에 함유된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배출되는 열풍의 탈취 및 살균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taminants such as bacteria, fungi, viruses, etc. contained in the hot air in the process of being supplied to the drying space in the sterilization dryer and the hot air drying the dishcloth, cutting board, etc. to the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ilization dryer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of the hot air discharged by filtering.
또한, 본 발명은 행주, 도마 등을 자외선에 의한 살균작용 뿐만 아니라 광촉매의 산화환원방응에 의해 강력한 살균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ilization dryer that can implement a strong sterilization effect by the redox response of the photocatalyst as well as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dishcloth, cutting board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는, Sterilization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내부에 건조공간을 가진 케이스;A case having a drying space therein;
상기 케이스의 건조공간 내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조대;A drying table slidably installed in the drying spac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건조공간과 소통하는 제1 및 제2 개구를 가진 상부케이스;An upper case installed above the cas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openings communicating with a drying space of the case;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송풍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 내에 설치된 히터, 상기 송풍기의 측면에 설치된 흡입가이드부재를 가진 열풍공급유닛; 및 A hot air supply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having a blower, a blower duct connected to a downstream side of the blower, a heater installed in the blower duct, and a suction guide member installed at a side of the blower; And
상기 상부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열풍을 여과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Includes;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hot air discharged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upper case,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1개구와 소통하고, 상기 흡입가이드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개구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lower duc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pening of the upper case, and the suction guide memb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opening of the upper case.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필터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필터케이스 및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장착된 여과재를 포함하고,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filter unit is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and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case installed at a discharge side of the case and a filter material mounted in the filter case.
상기 필터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와 소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타측에는 여과재에 의해 여과된 열풍을 배출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cas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cas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hot air filtered by the filter material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case.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후면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filter case.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하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case.
상기 송풍기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송풍팬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The blower has a housing, a blowing fan rotating in the housing,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흡입가이드부재는 그 내부에 케이스의 건조공간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송풍기로 흡입시키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공간을 가지고, 상기 흡입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부케이스의 제2개구와 소통하는 제1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가이드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송풍기의 개구와 소통하는 제2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ction guide member has a guide space therein for guiding the air circulating in the drying space of the case to the blower, the first suction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opening of the upper case a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guide member Is formed, and a second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of the blow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guide member.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면에는 자외선램프를 가진 살균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부에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광촉매코팅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자외선램프를 포위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망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광촉매코팅부재는 표면에 광촉매코팅층이 형성된 면상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terilization unit having an ultraviolet lamp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a support member and a photocatalyst coating memb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r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ltraviolet lamp, and the support member surrounds the ultraviolet lamp. The support member has a mesh structure, and the photocatalyst coating member is composed of a planar member having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formed on a surface thereof.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건조기의 배출구 측에 필터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살균건조기 내의 건조공간으로 공급되어 행주, 도마 등을 건조시킨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 열풍 내에 함유된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배출되는 열풍의 탈취 및 살균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filter unit on the outlet side of the sterilization dryer, bacteria, mold, contained in the hot air in the process of the hot air is supplied to the drying space in the sterilization dryer to dry the dishcloth, cutting board, etc. Filtering contaminants, such as viruses,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hot air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은 열풍공급유닛의 흡입가이드부재를 통해 케이스의 건조공간에서 열풍이 매우 원활하게 순환됨에 따라 열풍이 정체되지 않아 그 건조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rying efficiency is very high because the hot air is not stagnant as the hot air is circulated very smoothly in the drying space of the case through the suction guide member of the hot air supply unit.
그리고,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의 상부에 광촉매코팅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 뿐만 아니라 광촉매반응에 의한 보다 강력한 살균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by disposing the photocatalyst coating memb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ltraviolet lamp, as well as the sterilization effect by the ultraviolet light, more powerful sterilization effect by the photocatalytic rea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건조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살균건조기는 전면개구(111) 및 상부개구(112)를 가진 케이스(110), 케이스(110) 내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조대(120), 케이스(110)의 상부개구(112)측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130), 상부케이스(1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140), 상부 케이스(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160), 및 상기 케이스(110)의 후방측에 설치된 필터유닛(170)을 포함한다. 1 to 4 show a steriliz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terilizing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케이스(110)는 그 전면에 전방개구(111)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상부개구(112)가 형성되며, 그 후면에는 배출구(117)가 형성되고, 배출구(117)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의 효과적인 순환 내지 공급 등을 위해 복수의 배출공(117a)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건조공간(113)이 형성되고, 이 건조공간(113) 내로 건조대(120)가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A
건조대(120)는 케이스(110)의 전면개구(111)를 개폐하는 전면도어(121), 물받이 또는 물배수 역할 등을 수행하는 베이스판(122), 행주 또는 도마 등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3)으로 구성된다. The drying rack 120 includes a
전면도어(121)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밀봉부재(121a)가 설치되고, 전면도어(121)가 케이스(110)의 전면개구(111)를 폐쇄할 경우 밀봉부재(121a)에 의해 케 이스(110)의 건조공간(113)은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스(110) 내의 살균 및 건조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The sealing
또한, 전면도어(121)의 내측면에는 보강판(121c)이 설치되고, 보강판(121c)을 통해 지지프레임(123) 및 베이스판(122)이 전면도어(121)측에 설치됨으로써 지지프레임(123) 및 베이스판(122)은 전면도어(121)측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그리고, 보강판(121c)의 내측에는 수저, 칼, 젓가락, 가위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수납홀더(121b)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inner side of the reinforcing
베이스판(122)의 저면은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고, 특히 베이스판(122)의 저면과 케이스(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레일(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베이스판(122)의 슬라이딩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지지프레임(123)은 수직프레임(123a) 및 수평프레임(123b)이 적절히 조합되어 도마, 행주 등의 주방용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그리고, 케이스(110)의 배출구(117)에는 필터유닛(170)이 설치되고, 필터유닛(170)은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과 소통하며, 열풍공급유닛(140)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은 건조공간(113) 내에서 그 건조작용을 수행한 후에 필터유닛(170)을 거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In addition, a
한편,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은 그 내부에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악취성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런 상태로 외부로 배 출될 경우 그 악취가 매우 심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로 인한 살균건조기의 주변공간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t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이에, 본 발명은 케이스(110)의 배출구(117)측에 필터유닛(170)을 설치함으로써 배출되는 열풍에 의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주변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필터유닛(170)은 케이스(110)의 배출구(117) 측에 설치되는 필터케이스(171), 필터케이스(171) 내에 장착된 여과재(173)를 포함한다.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171)의 일측에는 케이스(110)의 배출구(117)와 소통하는 유입구(171a)가 형성되고, 필터케이스(171)의 타측에는 여과재(173)에 의해 여과된 열풍을 배출하는 유출구(171b)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an
유출구(171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171)의 후면 하부측에 형성됨으로써 여과재(173)를 통과하는 열풍의 흐름이 굴절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이와 달리 유출구(171b)는 도 5와 같이 필터케이스(171)의 하면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열풍은 더욱 굴절되어 배출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풍이 굴절되면서 여과재(173)를 통과함에 따라 배출되는 열풍과 여과재(173)와의 접촉시간 내지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그 탈취 내지 살균성능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tact time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ot wind discharged as the hot air is passed through the
여과재(173)는 부직포, 입자상물질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여과재가 적용될 수 있다.The
그리고, 필터케이스(171)의 유입구(171a)측에는 제1지지망체(174a)가 설치되 고, 필터케이스(171)의 유출구(171b)측에는 제2지지망체(174b)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지지망체(174a, 174b)는 여과재(173)의 부분적인 이탈 내지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부케이스(130)의 상면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유닛(140)이 설치되고, 상부케이스(130)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 개구(131, 132)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개구(131, 132)는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과 소통하도록 구성된다.2 and 6, the hot
상부케이스(130)의 전면에는 제어부(139)가 설치되고, 제어부(139)는 열풍공급유닛(140) 및 살균유닛(150)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온/오프, 열풍의 강약조절, 시간설정, 타이밍예약 등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of the
열풍공급유닛(140)은 송풍기(141), 송풍기(141)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송풍덕트(142), 송풍덕트(142) 내에 설치된 히터(143), 송풍기(141)의 측면에 설치된 흡입가이드부재(144)를 포함한다. The hot
송풍기(141)는 그 하우징(141a) 내에서 구동모터(141c)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141b)을 가진 일반적인 구조로 구성되고, 하우징(141a)의 일측에는 개구(141d)가 형성되며, 이 개구(141d)에는 흡입가이드부재(144)가 소통되게 연결된다. The
송풍덕트(142)의 단부에는 토출구(142a)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142a)는 상부케이스(130)의 제1개구(131)를 통해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과 소통한다. A
히터(143)는 송풍덕트(142) 내에 위치하고, 송풍기(141)에 의해 송풍되는 공 기를 가열함으로써 소정 온도의 열풍을 발생시킨다. The
흡입가이드부재(144)는 그 내부에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송풍기(141)로 흡입시키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공간(144a)을 가진다. 흡입가이드부재(144)의 하단에는 제1흡입구(144b)가 형성되고, 제1흡입구(144b)는 상부케이스(130)의 제2개구(132)와 소통하며, 흡입가이드부재(144)의 일측면에는 송풍기(141)의 개구(141c)와 소통하는 제2흡입구(144c)가 형성된다. 흡입가이드부재(144)의 제1흡입구(144b)는 상부케이스(130)의 제2개구(132)를 통해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과 소통한다. The
이에, 열풍공급유닛(140)은 송풍기(141)에 의해 송풍되는 기류를 히터(143)가 일정온도로 가열함에 따라 소정의 열풍을 발생시키고, 이 열풍은 송풍팬(141)의 송풍력에 의해 송풍덕트(142) 및 상부케이스(130)의 제1개구(131)를 통해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로 공급됨으로써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 내에서 순환하면서 건조대(120)의 지지프레임(123)에 지지되는 주방용품들을 건조시킨다. Accordingly, the hot
이러한 건조작용을 통해 열에너지가 소진된 공기 중의 일부는 다시 상부케이스(130)의 제2개구(132)를 통해 흡입가이드부재(144)로 흡입된 후에 송풍기(141)에 의해 다시 송풍되어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 내로 순환공급될 수 있고, 그 외 나머지 열풍은 필터유닛(170)에 의해 여과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풍공급유닛(140)의 흡입가이드부재(114)를 통해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에서 열풍이 매우 원활하게 순환됨에 따라 열풍이 정체되지 않아 그 건조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Some of the air energy is exhausted through the drying action is sucked back to the
또한, 상부케이스(130)의 상부에는 열풍공급유닛(140)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상부커버(160)가 설치되고, 상부커버(160)는 복수의 통공(161)을 가지며, 이 통공(161)을 통해 외기가 상부케이스(130) 및 상부커버(160) 사이에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그리고, 상부커버(160)의 상면 전방측에는 융기부(162)가 형성되며, 이 융기부(162)의 이면에는 열풍공급유닛(140)의 송풍기(141)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6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커버(160)의 상면 일부가 융기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그 외관디자인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
또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1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자외선 조사 및 광촉매 반응을 구현하는 살균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살균유닛(1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30)의 저면에 배치되고, 자외선램프(151), 자외선램프(1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152), 지지부재(152)의 상면에 부착되는 광촉매코팅부재(153)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부케이스(130)의 저면에는 소켓부(135)가 형성되고, 이 소켓부(135)에는 자외선램프(151)의 단부가 접속된다. 자외선램프(151)는 자외선을 케이스(110)의 건조공간(113) 내로 조사함으로써 건조대(120)의 지지프레임(123)에 지지되는 주방용품들을 살균하도록 구성된다. A
자외선램프(151)의 상부에는 지지부재(152)가 배치되고, 이 지지부재(152)는 자외선램프(151)의 상부면을 포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152)는 상부케이스(130)의 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52)는 망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광촉매코팅부재(153)는 부직포 등과 같은 면상부재로 구성되고, 그 표면에 광촉매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자외선램프(151)의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특히, 광촉매코팅부재(153)는 망체 구조의 지지부재(152)에 부착됨에 따라 자외선램프(151)의 자외선이 광촉매코팅부재(153)에 조사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 뿐만 아니라 광촉매반응에 의한 살균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the
광촉매층으로는 산화티탄(TiO2) 등이 이용되고, 이러한 광촉매층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분자 내에서 산화, 환원반응 및 친수성 반응이 동시에 발생하며, 광촉매 표면에서는 절대 온도 30,000K에서 소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여 유기휘발성물질, 악취, 각종 유해물질 등을 산화분해할 수 있고, 또한 세균,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에 대해서 강력한 살균력으로 분해하여 CO2, H20 등으로 산화시키며, 독성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살균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Titanium oxide (TiO 2 ) or the like is used as the photocatalyst layer. When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 layer, oxidation, reduction reactions and hydrophilic reactions simultaneously occur in the molecule, and the photocatalyst surface is incinerated at an absolute temperature of 30,000 K. It can oxidatively decompose organic volatiles, odors, various harmful substances, etc., and also decomposes them with strong sterilizing power against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and oxidizes them to CO 2 , H 2 0, and removes toxic substances. Strong sterilization can be achieved.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코팅부재(153) 및 지지부재(152)는 자외선램프(151)의 상부를 포위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광촉매코팅부재(153) 및 지지부재(52)는 도 7과 같이 곡률진 단면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외에 도 8과 같이 각형 단면구조 등과 같이 그 외형은 다양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건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건조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riliz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FIG. 3.
도 5는 도 4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FIG. 6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도 7은 도 6의 화살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6.
도 8은 도 7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케이스 120: 건조대110: case 120: drying rack
130: 상부케이스 140: 열풍공급유닛130: upper case 140: hot air supply unit
150: 살균유닛 170: 필터유닛150: sterilization unit 170: filter uni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713A KR101089279B1 (en) | 2009-12-09 | 2009-12-09 | Sterilization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713A KR101089279B1 (en) | 2009-12-09 | 2009-12-09 | Sterilization Dry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4928A true KR20110064928A (en) | 2011-06-15 |
KR101089279B1 KR101089279B1 (en) | 2011-12-02 |
Family
ID=4439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1713A KR101089279B1 (en) | 2009-12-09 | 2009-12-09 | Sterilization Dr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927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441B1 (en) * | 2012-05-04 | 2014-10-31 | 주식회사 교도샤 | Home Sterilization Drier |
KR200480835Y1 (en) * | 2015-02-27 | 2016-07-12 | 노병욱 | Chopping board Sterilizer |
WO2019066508A1 (en) * | 2017-09-29 | 2019-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maintenance device |
WO2019066509A1 (en) * | 2017-09-29 | 2019-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maintenance device |
KR20190038334A (en) * | 2017-09-29 | 2019-04-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warm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08635A (en) * | 2012-11-05 | 2013-02-06 |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 Kitchen chopping board disinfector |
CN107380726B (en) * | 2017-07-11 | 2019-05-31 | 海门市彼维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type dixie cup storing unit |
KR102677658B1 (en) | 2022-11-16 | 2024-06-21 | 황동원 | Tableware drying device with sterilizationg and drying fuction |
-
2009
- 2009-12-09 KR KR1020090121713A patent/KR10108927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441B1 (en) * | 2012-05-04 | 2014-10-31 | 주식회사 교도샤 | Home Sterilization Drier |
KR200480835Y1 (en) * | 2015-02-27 | 2016-07-12 | 노병욱 | Chopping board Sterilizer |
WO2019066508A1 (en) * | 2017-09-29 | 2019-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maintenance device |
WO2019066509A1 (en) * | 2017-09-29 | 2019-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maintenance device |
KR20190038468A (en) * | 2017-09-29 | 2019-04-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warmer |
KR20190038334A (en) * | 2017-09-29 | 2019-04-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warmer |
KR20190038465A (en) * | 2017-09-29 | 2019-04-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warmer |
KR20190038466A (en) * | 2017-09-29 | 2019-04-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warmer |
KR20190038467A (en) * | 2017-09-29 | 2019-04-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warmer |
KR20190038335A (en) * | 2017-09-29 | 2019-04-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wel warmer |
US11647873B2 (en) | 2017-09-29 | 2023-05-16 | Lg Electronics Inc. | Towel maintenance device |
US11793366B2 (en) | 2017-09-29 | 2023-10-24 | Lg Electronics Inc. | Towel maintenanc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9279B1 (en) | 2011-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9279B1 (en) | Sterilization Dryer | |
AU2006300138B2 (en) | Washing machine having UV generator | |
KR101151558B1 (en) | Dishwasher | |
KR100960540B1 (en) | Kitchen Knife Cleaning and Sterilizer | |
KR20130092662A (en) | A plasma sterilization household dryer | |
KR20070040935A (en) | dish washer | |
KR20140107937A (en) |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rying using plasma | |
KR20120076036A (en) | Ozone pass uv-c lamp cleanliness dryer | |
JPH11137498A (en) | Tableware processing equipment | |
KR200495093Y1 (en) | Cutting board cabinet with smell and air cleaning | |
KR200446830Y1 (en) | Countertop sterilizer | |
KR200220690Y1 (en) | sterilizing drier for kitchen knife and chopping board | |
KR100635639B1 (en) | Dishwasher with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 |
CN111411665B (en) | Integrated sink | |
KR200229428Y1 (en) | Multiplex hygiene treatment apparatus for kitchen | |
KR20070053050A (en) | UV sterilization dish washing method | |
KR200408436Y1 (en) | Sink with retractable cutting board | |
KR101025560B1 (en) | Cleaner for cooking utensils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0430764B1 (en) | Sterilization drier having a multutility | |
KR200359377Y1 (en) | The equipment of u.v heating dry | |
JP2006280518A (en) | Dishwasher | |
CN218894156U (en) | Kitchen ceramic sink | |
CN209529076U (en) | A kind of kitchen tools baker for kitchen use | |
CN210812709U (en) | Environment-friendly disinfection cabinet | |
KR20140069523A (en) | Enhanced antibacterial and deodorization functional filter for cook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