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591A -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591A
KR20110064591A KR1020090121266A KR20090121266A KR20110064591A KR 20110064591 A KR20110064591 A KR 20110064591A KR 1020090121266 A KR1020090121266 A KR 1020090121266A KR 20090121266 A KR20090121266 A KR 20090121266A KR 20110064591 A KR20110064591 A KR 2011006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height
upper member
adjustment devic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09012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4591A/en
Publication of KR2011006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5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12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e.g. table lamp, floor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is provided to reduce production costs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CONSTITUTION: A cup(104)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hole(103) which is formed on an upper member(102). A spring(105) is mounted within each cup. A ball (106) is placed on each spring. A cover(107) is combined with each cup and has a hole at the center. A part of ball is exposed to outside of the hole of each cover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each spring. Exposed each ball is contacted with a lower member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and control the height of the upper member of a stand.

Description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본 발명은 악보대, 마이크, 조명등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악보대, 마이크, 조명등뿐만 아니라 옷걸이 등도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에서 악보대는 사용자가 무엇을 연주하고 하는가에 따라서 서서 연주할 때가 있고, 앉아서 사용할 때도 있어, 악보대의 높낮이 조절이 수시로 필요하다. 또한 마이크도 사용자의 키에 따라서 스탠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조명등도 실내 천정의 높이와 사용 상황에 따라 높이 조절이 필요하고 옷걸이도 사용자의 키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music stand, a microphone, a light and the like. In general, to adjust the height, the music stand, the microphone, the lighting, as well as the hanger are used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user is convenient to use. In the above, the music stand may stand and play depending on what the user is playing, and may sit and use the music stand so that the height of the music stand is often adjusted. In addition, the microphone is also us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ta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nd the height of the lighting also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door ceiling and the use situation, and the hanger needs to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상기와 같이 악보대, 마이크, 옷걸이 및 조명등 등에 사용되는 스탠드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등록 실용신안 공보 등록 번호 20-0329057(2003년10월04일 공고)호에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악보대의 높이조절 장치 단면도이 고, 도 2는 상기 종래 악보대의 높이조절 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악보대의 높이 조절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상기도 1 내지 도 3에서 하부부재(21)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부부재(22)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관체(40)와, 상기 고정관체(40)에 체결되어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고정관체(40)를 고정 및 해제토록 하는 조절캡(50)과, 상기 상부부재(22)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하부부재(21)내에서 승강안내되는 지지체(60)로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stand used for a music stand, a microphone, a hanger, a lamp, and the like is known from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29057 (October 04, 2003).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music stand height adjustment devic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conventional music st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conventional music stand. 1 to 3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member 21 to secure the upper member 22 to secure the upper member 22, and the fixed tube 40 is fasten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Control cap 50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tubular body 40, and the support 60 is fastened in the lower member 21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22.

상기 고정관체(40)는 하부부재(21)의 상단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면서도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다수 개의 절개홈(41)에 의해 내측으로 신축자재되는 다수 개의 가압편(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42)은 일측은 두께가 좁고 원주방향을 따라 타측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구배면(A)을 갖추어 구성되고,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끝단에는 외향 돌출되는 스톱퍼(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40)의 상부 끝단에는 즉, 각 가압편(42)의 끝단에는 외향 돌출되는 걸림턱(44)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할 조절캡(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관체(40)는 각 가압편(42)이 내측으로 오므라 들어 하부부재(21)에 조립되는 상부부재(22)를 고정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벌어져 고정력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40)의 외측에 체결되는 조절캡(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고정관체(40)의 외측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정 또는 역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내경의 다수 곳에는 고정관체(40)의 각 가압편(42)을 누름작동토록 하는 누름돌기(51)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51)는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관체(40)의 가압편(42)에 밀착됨으로써 조절캡(50)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각 가압편(42)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누름돌기(51)가 가압편(42)의 구배면(A)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가압편(42)을 내측으로 오므라 들게 하거나 또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 상기 조절캡(50)는 상단부의 내측에 내향돌출되는 걸림돌기(52)가 내경을 따라 형성되어 고정관체(40)에 체결시 고정관체(40)의 걸림턱(44)에 의해 체결은 허용하면서도 체결후에는 상부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부재(22)의 하단부에는 지지체(60)가 일체형으로 체결되고, 상기 지지체(60)는 하부부재(21)의 내경을 따라 승강작동되어 상부부재(22)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체(60)가 상부부재(22)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부재(21)의 내경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승강작동시 슬라이드 작동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최상점으로 상승시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 fixing tube 40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member 21,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ieces 42 are stretched inward by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41 are cu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formed integrally. The pressing piece 42 has a narrow thickness and gradually comprises a thicker gradient surface A toward the other si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topper 43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ck portion. do.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tube body 40, that is, the end of each pressing piece 4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44 protruding outwar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adjustment cap 5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provided. Therefore, the fixed tube body 40 is to press each of the pressing pieces 42 inwardly to fix the upper member 22 assembled to the lower member 21 or to be released to release the fixing force. In addition, the control cap 50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tubular body 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tubular body 40 is configured to enabl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a large number of inner diameter The pressing protrusions 51 for pressing and pressing the pressing pieces 42 of the fixed tubular body 40 are formed there. The pressing protrusion 51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ward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piece 42 of the fixed tube body 40, so that each pressing piece 42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adjustment cap 50. ) To pressurize or release. That is, the push protrusion 51 slides along the gradient surface A of the pressing piece 42 to provide a function of lifting the pressing piece 42 inward or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by its elasticity. . In addition, the adjustment cap 50 is fastened by the locking projections 44 of the fixed tubular body 40 when the locking projection 52 is formed along the inner diameter protruding inward to the inside of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fixed tubular body 40 Allowing it, however, prevents it from falling to the upper side after tightening. The support 60 is integrally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22, and the support 60 is lifted and operated along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member 21 to stably support the upper member 22. That is, the support 60 is supported by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member 21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60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member 22, so that the slide operation is not only smooth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but also to prevent the shaking when the uppermost point is raised. Will b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탠드 높이 조절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고장이 자주 발생할뿐만 아니라, 제조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절 캡이나 고정 관체가 작용하지 못하는 경우 스탠드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높이 조절 장치을 단순화하여 구성요소를 적게 하여 제조비를 줄이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스탠드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Conventional stand height adjus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frequently occurs, as well as manufacturing cost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stand can not be adjusted if the adjustment cap or fixed tube does not work.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simplify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components, and to make it easier to use, and also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tan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etc. It is to be able to adjust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은 스탠드의 기본 구성인 받침대와,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 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상부 부재의 적당한 지점에 다수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컵, 상기 컵 내에 삽입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위치하는 볼 및 상기 컵 내에 스프링과 볼을 위치시키고 상기 컵과 결합하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커버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커버의 중앙 홀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볼이 불거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불거져 나온 볼에 미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볼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여 상기 커버 내로 잠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높이 조절 장치를 상기 상부 부재의 다수의 홀에 설치하고 상기 하부 부재의 중공에 상부 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상부 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면 전체 스탠드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edestal, which is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stand,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at appropriate points of the upper member, a cup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le, a spring inserted into the cup, a ball located on one side of the spring, and a spring in the cup. It is composed of a cover formed with a hole in the center to position the ball and engage the cup.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blow out the ball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the central hole of the cover. In addition, when a pushing force acts on the blown-out ball from the outside, the ball compresses the spring to sneak into the cover. I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holes of the upp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is moved up and down, the whole stand height is adjus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손쉽게 상부 부재를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부재 의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 개수를, 스탠드를 펼쳤을 때 최대 높이가 적은 경우에는 사용 개수를 적게 하고, 펼쳤을 때 높이가 높은 경우 또는 스탠드의 무게가 큰 경우에는 상기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것으로 사용 상태에 따라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 개수를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member up and down, the configuration is simpl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if the maximum height is small when the stand is extended,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upper member is small. If the height is high when the stand is extended or the weight of the stand is large,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s se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height adjustment device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use st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스탠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높이 조절 스탠드이 높이 조절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도 4는 전등, 악보대, 마이크 등에 사용되는 하부 부재(101)와 상부 부재(102)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 조절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에서 높이 조절 장치(100)은 스탠드의 상부 부재에 다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은 상부 부재(102)에 형성된 홀(103)에 삽입 설치되는 겁(104)과, 상기 컵(104) 내에 스프링(105)이 안착되며, 상기와 같이 컵(104) 내에 스프링(105)을 안착시킨 후에는 상기 스프링(105) 위에 원형의 볼(106)을 다시 안착시키고, 상기와 같이 원형의 볼(106)을 안착시킨 후에는, 상기 가운데에 홀이 형성된 커버(107)를 상기 컵(104)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컵(104)과 커버(107)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커버(107)의 홀로 상기 볼(106)의 일부가 커버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와 같이 노출된 볼(106)은 외부에서 힘을 가하거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05)에 의하여 커버의 홀 내외부로 진출입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높이 조절 장치을 상부 부재(102)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 부재(102)를 하부 부 재(101) 내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이 상기 상부 부재(102)와 하부 부재(101)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105)에 의하여 외부로 미는 힘이 볼(106)에 가하여지고, 다시 볼(106)의 미는 힘이 하부 부재(101)에 가하여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부재(102)는 하부 부재(101) 내에서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멈추게 되고, 일정한 위치에 멈추어 서게 되므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 개수는 상기 상부 부재(102)의 자체 중량에 따라 증가하여 설치하며, 스탠드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스탠드의 상부 부재(102)를 높이거나 낮추게 되면, 그 후에는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의 스프링 탄성에 의하여 상기 볼에 힘이 가하여지고 상기 볼에 가하여지는 힘은 다시 하부 부재(101)에 가하여 지므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 부재는 하강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The height adjustmen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100 is a height adjustment stan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00 provided between the lower member 101 and the upper member 102 used for a lamp, a music stand, a microphone, and the lik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upper members of the stand,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hole 103 formed in the upper member 102, 104, A spring 105 is seated in the cup 104. After seating the spring 105 in the cup 104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r ball 106 is seated on the spring 105 again. After seating the circular ball 106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107 with a hole formed in the center is to be combined with the cup 104. When the cup 104 and the cover 107 ar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ball 106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by the hole of the cover 107, and the ball 106 expos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When the force is applied or the force is removed, the spring 105 may move in and out of the hole of the cover. Therefore, whe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upper member 102, and the upper member 102 is inserted into the lower member 101,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00 is the upper member 102 and the lower member. Since it is located between the 101, the pushing force to the outside by the spring 105 is applied to the ball 106, the pushing force of the ball 106 is applied to the lower member 101. Therefore, the upper member 102 stops sliding downward by its own weight in the lower member 101, and stop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install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pper member 102, if you wan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tand, the user applies a force to raise or lower the upper member 102 of the stand Then, after that the force is applied to the ball by the spring elasticity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100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ball is applied to the lower member 101 again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he upper member is to stop the lowering.

도 5는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구의 시시도이다. 상기도 5에서 접속구(108)은 하부 부재(101)의 상부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부재(102)를 감싸는 구조이다. 상기 접속구(108)는 상부 부재(102)가 하부 부재(101) 내에서 원활하게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In FIG. 5, the connection port 108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member 101 and surrounds the upper member 102. The connector 108 serves to support the upper member 102 to be raised or lowered smoothly in the lower member 101.

도 6은 접속구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도 6에서 접속구(108)는 하부 부재(101)의 상단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접속구(108) 내로 상기 상부 부재(102)를 삽입하여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결합하는 것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is installed. In FIG. 6, the connector 108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member 101, and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are coupled by inserting the upper member 102 into the connector 108 as described above. .

도 7은 스탠드의 상부 부재에 다수의 높이 조절 장치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도 7에서 높이 조절 장치(100)은 상부 부재(102)의 홀(103)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의 볼(106)은 하부 부재(101)의 내면과 맞닿게 되는 구조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devices formed on the upper member of the stand. In FIG. 7,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device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holes 103 of the upper member 102, and the balls 106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00 are fit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101. It is a structure to be reached.

도 8은 본 발명 높이 조절 장치이 설치된 일 실시 예인 전등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상기도 8에서 전등 스탠드(200)는 받침대(300)와 하부 부재(101)과 상부 부재(10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부재(102)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높이 조절 장치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부 부재(102)를 힘을 가하여 상하부로 슬라이딩하면 전등 스탠드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stand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ight adjustment device is installed. In FIG. 8, the lamp stand 200 includes a pedestal 300, a lower member 101, and an upper member 102.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devices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102, and the user is upper Slid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by applying a force to the member 102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 stan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이다. 상기도 9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 예는 하부 부재(101)과 상부 부재(102)와 접속구와 하부 캡(401)과 상부 캡(40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부재(102)는 하부 부재(101) 내에서 상승과 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에는 접속구(405)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구(405)의 다수의 홀(403)에는 높이 조절 장치(400)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이고, 상기 높이 조절 장치(400)은 상기 홀(403)에, 가운데에 홀이 형성된 커버(107)를 삽입고정하고, 상기 커버(107)의 홀에 볼(106)을 위치시키며, 스프링(105)을 볼(105) 다음에 위치시키고, 상기 스프링(105), 볼을 내부에 포함시키며 상기 커버(107)와 결합하는 컵(10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절 장치은 접속구(405)의 홀(403)에 설치된 높이 조절 장치(400)의 볼(106)이 스프링(105)의 탄성에 의하여 커버(107)의 홀 내로 진출하여 상부 부재(102)와 맞닿아 마찰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컵(401)과 상부 컵(402)은 나사 결합하며 내부에 접속구(405)를 두는 구성이고, 하부 컵은 하부 부재(101)에 고정되 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하부 컵 내의 접속구(405)에 다수의 높이 조절 장치(400)이 설치되어, 상기 높이 조절 장치의 스프링(105) 탄성력으로 커버의 홀로 노출된 볼(106)이 외부로 미는 힘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볼을 미는 힘과 상기 볼과 맞닿는 상부 부재(102)가 마찰력을 형성하여 상부 부재가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스탠드의 상부 부재(102)를 적당한 위치로 승강하여 위치시키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마찰력이 의하여 상부 부재가 미끄러지지 아니하고 멈추게 되는 것이다.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includes a lower member 101, an upper member 102, a connector, a lower cap 401, and an upper cap 402, and the upper member 102 is a lower portion.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member 101, and the connection member 405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400 i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holes 403 of the connection member 405 Is installed structur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400 is fixed to the hole 403, the cover 107 is formed with a hole in the center, to position the ball 106 in the hole of the cover 107, The spring 105 is positioned next to the ball 105, and consists of the spring 105, a cup 104 that includes the ball therein and engages with the cover 107.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ball 106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400 installed in the hole 403 of the connection port 405 advances into the hole of the cover 107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05 to the upper member ( 102) will have friction force in contact with. In addition, the lower cup 401 and the upper cup 402 is screwed to the configuration having a connector 405 therein, the lower cup is fixed to the lower member 101 so as not to flow down.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devices 400 ar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 405 in the upper and lower cups, and the ball 106 exposed to the hole of the cover by the spring 105 elastic force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moved to the outside. The pushing force is formed, and the pushing force and the upper member 102 in contact with the ball form a frictional force to prevent the upper member from sliding downward. Therefore, the user lifts and places the upper member 102 of the stand to an appropriate position by applying a force, and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upper member is stopped without slipping by the frictional force.

도 1은 종래의 악보대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music stand;

도 2는 종래의 악보대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music stand;

도 3은 종래의 악보대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의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music stand;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속구의 결합전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coupling of the connect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접속구의 설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po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수의 높이 조절 장치이 상부 부재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upper member,

도 8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장치을 이용한 전등 스탠드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stand us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높이 조절 장치이 설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1, 101 : 하부 부재, 22,102 : 상부 부재, 40 : 고정관체, 50 : 조절 캡, 60 : 지지체, 100, 400 : 높이 조절 장치, 103, 403 : 홀, 104 : 컵, 105 : 스프링, 106 : 볼, 107 : 커버, 108, 405 : 접속구, 300 : 받침대, 401 : 하부 컵, 402 : 상부 컵21, 101: lower member, 22, 102: upper member, 40: fixed tube, 50: adjusting cap, 60: support, 100, 400: height adjusting device, 103, 403: hole, 104: cup, 105: spring, 106: Ball, 107: cover, 108, 405: connector, 300: pedestal, 401: lower cup, 402: upper cup

Claims (4)

받침대,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I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stand having a pedestal,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the upper member is adjusted in height while sliding up and down in the lower member,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는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100 상기 상부 부재(10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03)에 삽입 고정설치되는 각각의 컵(104)과;Respective cups 104 inserted into and fixed in one or more holes 103 formed in the upper member 102; 상기 각각의 컵(104) 내에 안착되는 스프링(105)과;A spring 105 seated in each of the cups 104; 상기 각각의 스프링 위에 놓여지는 볼(106); 및A ball 106 placed on each spring; And 상기 각각의 컵과 결합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 각각의 커버(107)로 구성되며 상기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볼의 일부가 상기 각 커버의 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와 같이 노출된 각각의 볼이 하부 부재와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스탠드 상부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Composed of each cover 107 coupled to each cup and formed with a hole in the center and a portion of the bal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e of each cover by the elastic force of each spring and each ball expose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nd upper member using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스탠드 높이 조절 장치는 Stand height adjustment device 하부 부재의 상부 끝단과 상부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접속구(108)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ort 108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upper member of the lower member. 받침대,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I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stand having a pedestal,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the upper member is adjusted in height while sliding up and down in the lower member,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The height adjustment device, 상기 하부 부재에 고정되는 접속구(405)와;A connector 405 fixed to the lower member; 상기 접속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403)과;One or more holes 403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 상기 각 홀(403)에 삽입되는 각 커버(107)와;Each cover 107 inserted into each of the holes 403; 상기 각 커버(107)에 안착되는 각각의 볼(106)과;Respective balls 106 seated on the respective covers 107; 체결 시에 상기 각각의 볼(106)에 탄성을 부여하는 각 스프링(105); 및Each spring 105 which imparts elasticity to the respective balls 106 upon engagement; And 상기 각각의 커버(107)와 결합하는 각각의 컵(104)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10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볼이 각각의 커버(107)의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상부 부재와 맞닿아 형성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It consists of a respective cup 104 engaging with each cover 107 and each ball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each cover 107 by the elastic force of each spring 105 to fit with the upper member.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member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to form.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높이 조절 장치는 Height adjuster 상기 접속구를 감싸고 나사 결합하는 하부 컵(401)과 상부 컵(402)을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높이 조절 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a lower cup 401 and the upper cup 402 surrounding the connection port and screwed.
KR1020090121266A 2009-12-08 2009-12-08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KR201100645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66A KR20110064591A (en) 2009-12-08 2009-12-08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66A KR20110064591A (en) 2009-12-08 2009-12-08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591A true KR20110064591A (en) 2011-06-15

Family

ID=4439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266A KR20110064591A (en) 2009-12-08 2009-12-08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459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862B1 (en) * 2018-02-28 2019-03-18 주식회사 렘스텍 Ligh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862B1 (en) * 2018-02-28 2019-03-18 주식회사 렘스텍 Ligh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90550A (en) Adjustable lock
US20180092457A1 (en) Pneumatic height-adjustable desk
CN106794708B (en) Caster and whiteboard containing same
US20170347170A1 (en) Microphone stand adjusting structure
DE602005018167D1 (en) AUTOMATIC LEVELING DEVICE
AU2016102012A4 (en) Pneumatic Height-Adjustable Desk
JP2012503113A (en) Self-locking lifting rod
KR102092146B1 (en) Hight Control Device for Desk or Chair
US2457723A (en) Adjustable glider for furniture legs
KR101792635B1 (en) Folding table
KR20100045008A (en) Weight adjustment apparatus for weight training machine
KR20110064591A (en)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stand
JP2015527538A (en) Hook device for hanging objects
GB2556375A (en) Pneumatic Height-adjustable desk
TWM494224U (en) Vacuum sucker
KR200442728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US20120091296A1 (en) Adjustable Supporting Apparatus of Object Holder
KR200325316Y1 (en) Device of High settling for Guide Post Type Hanger
KR101022492B1 (en) Hanger for support
KR200312551Y1 (en) Post for hanger
KR102525338B1 (en) Height adjustable legs of desk and chair
KR20050102807A (en) An absorption appliance
KR101691382B1 (en) Desk and stool height adjustment device
KR200418208Y1 (en) Device for height control of desk and chair
EP3459390B1 (en) Height adjustable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