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951A -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951A
KR20110063951A KR1020090120331A KR20090120331A KR20110063951A KR 20110063951 A KR20110063951 A KR 20110063951A KR 1020090120331 A KR1020090120331 A KR 1020090120331A KR 20090120331 A KR20090120331 A KR 20090120331A KR 20110063951 A KR20110063951 A KR 20110063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윤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951A/en
Publication of KR2011006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are provided to determine priority of a connection network about an application operat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and adaptively control a connection to a determined network. CONSTITUTION: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support a wireless communication of a mobile terminal. A storage(160) stores application information an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ppl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application operated based on network connection.

Description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모드(multi mode)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접속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in particular,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network access of an execu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access networks allocated to each application in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multi mode. It relates to a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terminal.

최근 들어, 전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동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동단말은 이동통신 서비스에 따른 음성통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및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비롯하여,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재생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gradually expand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voice call function, a video call function, and a message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camera function, a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playback function, and the like.

최근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멀티모드(multi mode) 이동단말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에서는 네트워크 접속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접속할 해당 네트워크를 미리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시도 시 미리 정의된 해당 네트워크에 만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Recently, a multi-mode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at least two or more networks simultaneously has emerged. In this multi-mode mobile terminal, a corresponding network to be accessed for an application operat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is predefined. Therefore, the multi-mod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network only in the predefined network when attempting to access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operating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예를 들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될 시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미리 정의되어 변경될 수 없는 규칙에 따라서 특정 네트워크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서는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네트워크로만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규칙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개발 시점에서 사업자 또는 이동단말 개발 업체의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정의되며, 이동단말 출시 이후에는 미리 정의된 해당 규칙을 변경할 수 없는 실정이다.For example, when a network connection is requested by executing a browser application, the multi-mod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connect to a specific network according to a predefined and unalterable rule. As such, in the related art, a connection is attempted only to a predefined network for an application operated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Such a rule is def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of an operator or a mobile terminal developer at the time of development of a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predefined rule cannot be changed after the mobile terminal is released.

이로 인해, 네트워크 접속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미리 정의된 네트워크로의 접속에 실패할 시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서는 네트워크 접속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 규칙이 미리 정의되어 변경될 수 없음에 따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에 적합한 최적의 네트워크 할당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경우 개별 어플리케이션마다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이동단말 출시시점에 이미 결정되어 있으므로 이동단말 출시 후에는 사용자 또는 사업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가 없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ecution of the requested application from the user is not normally performed when the connection to the predefined network fails according to the network execution based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a network access rule cannot be changed in advance for a network connection-based application, even when a new application is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an optimal network allocation suitable for a network connec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impossible. That is,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a conventional multi-mode, a network that can be accessed for each individual application is already determined at the time of mobile terminal release, and thus cannot be changed after the release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will of the user or operator.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an access network for an application operating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adaptively controlling access to the determined network.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개별 어플리케이션마다 접속할 수 있는 다수개의 네트워크들 및 각 네트워크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networks that can be accessed for each individual application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supporting network access for each application of a multi-mode mobile terminal by giving priority to each network. In providing 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개별 어플리케이션마다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리스트 및 우선순위를 사용자 또는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network of a mobile terminal, which can freely change a list and priority of networks that can be accessed for each individual application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or operator's policy. hav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detecting an execution of an application running on a network connection and based on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d extracting link access information, and controlling network access to the appl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extracted link access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 이션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한 링크를 결정하는 과정 및 결정된 링크의 링크부와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링크접속정보에 따른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선순위의 링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operat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with reference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The controlling may include determining a link for accessing a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and attempting to access a network through setting an interface with a link unit of the determined link. . 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a link unit having a priority according to prio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nk access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과,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obile terminal that supports multi-mo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operat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ppl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ing and extracting link connection information set for the application upon detecti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perated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 링크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네트워크들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는 다수개의 접속 링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접속 가능한 링크정보들 의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은 이동통신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넷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n a network access link allocated for each application requiring network access, and a plurality of access links arranged according to priorities of access network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ler may control access to a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priority of link information accessible by a corresponding application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internet based internet communication.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접속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감지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속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접속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 처리부와, 상기 접속 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상기 접속 처리부로 전달하는 상기 접속 관리부 및 특정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 패스(communication path)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ct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perating on the basis of a network connection, the application manag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message for the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manager A connection processing unit which provid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upon receiving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network, and attempts to connect to the network based on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A communication path for extracting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from the storage unit and transferring the extracte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and a specific networ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ngle lin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사업자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마다 접속 네트워크 및 접속 네트워크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개별 어플리케이션마다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리스트 및 우선순위를 사용자 또는 사업자의 정책 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개개인의 이동단말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업자의 비즈니스 정책에 부합될 수 있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ority of the access network and the access network can be given to each application operated based on the network access according to the user or operator setting.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multi-mode can freely change and set a list and priority of a network to which individual applications can access according to a user or operator's polic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mode mobile terminal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of each user's mobile terminal and comply with the business policy of the operato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모드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사용자 또는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서 우선적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사업자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a network that is preferentially connected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policy for applications operated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user convenience and service quality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Has the advantag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other words,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urb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본 발명은 멀티모드(multi mode)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사용자 또는 사업자 설정에 따른 링크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multi mode.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multi-mode can use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or operator setting to control the network connection for the applications operated on the network connection. We propose a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 워크 접속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최적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은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링크를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 접속 링크를 통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적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은 각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링크접속정보에 의하여 네트워크 접속 링크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multi-mode can support the optimal network access for each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the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may determine a network connection link for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executing an application requiring a network connection, and control an optimal network connection for an application executed through the determined network connection link.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may determine a network connection link based on link connection information preset for each application.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Next, a configuration of a multi-mode mobile terminal supporting network access for each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u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에 대한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90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상기 도 1 및 도 2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이 세 개의 네트워크들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이동단말이 반드시 상기 세 개의 네트워크들만을 지원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무선통신모듈들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상기 이동단말이 지원하는 네트워크 특성에 따라 하나의 무선통신모듈 또는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and 2,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multi-mode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ree networks. It is not limited to supporting only two networks. In FIG. 1, two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re pro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may include on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ccording to network characteristics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be.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무선통신모듈(110)과, 인터넷통신모듈(120)과, 입력부(130)와, 오디오처리부(140)와, 표시부(150)와,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4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160)는 버퍼(buffer)(170) 및 데이터베이스(DB)(18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동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ulti-mod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an input unit 130, an audio processor 140, a display unit 150, The storage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like configuration. The audio processor 140 may include a speaker (SPK), a microphone (MIC), and the like, and the storage unit 160 includes a buffer 170 and a database (DB) 180. It may include.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상기 이동단말의 이동통신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와 설정된 프로토콜(protocol) 기반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영상통신 등의 무선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 메시지 서비스 및 인터넷(internet) 등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frequency)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와,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supports mobile communication based on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forms a supportable network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a set protoco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voice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It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related to data communication such as a message service and the Interne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includes a transceiv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low-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frequency of a received signal, and an antenna ANT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ies. Can be.

여기서, 상기 통신채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등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CDMA 방식의 네트워크, WCDMA 방식의 네트워 크, GSM 방식의 네트워크 및 OFDMA 방식의 네트워크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any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nd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It may include.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may support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CDMA network, a WCDMA network, a GSM network, and an OFDMA network, depending on how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Can be.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이 CDMA 방식의 네트워크와 GSM 방식의 네트워크를 지원할 시 CDMA 방식의 네트워크와 CDMA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과 GSM 방식의 네트워크와 GSM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이 인터넷 네트워크 기반으로 운용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일 시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의 구성을 생략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with one or m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tworks supported.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a CDMA network and a GSM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GSM network and a GSM protocol supporting a network connection by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the CDMA protocol and the CDMA protocol. It can be divided in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network connection by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mode mobile terminal operating based on the Internet network,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omitted.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은 상기 이동단말의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특히,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와 설정된 프로토콜 기반의 인터넷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등의 무선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 메시지 서비스 및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등과 같은 방식의 인터넷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supports internet-based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forms a supportable network and an established protocol-based Internet communication channe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to transmit / receive a signal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voice communication, a message service, and the Internet. It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related to data communicati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form an internet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a wired internet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여기서, 상기 인터넷 통신채널은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통신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인터넷통신모 듈(120)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WIFI 방식의 네트워크 및 WIMAX 방식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은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internet communication channel may include at least one internet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wireless fidelity (WIFI)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may support network acces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WIFI network and a WIMAX network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In additi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configured with one or m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tworks to support.

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이 WIFI 방식의 네트워크와 WIMAX 방식의 네트워크를 지원할 시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은 WIFI 방식의 네트워크(예컨대, AP(Access Point) 등)와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인터넷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인터넷통신모듈과 WIMAX 방식의 네트워크(예컨대, 기지국 등)와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인터넷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인터넷통신모듈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주어진 규칙에 따라 처리하는 송수신기와,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이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반으로 운용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일 시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의 구성을 생략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a WIFI-based network and a WIMAX-based network,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use a WIFI-based network (eg, an AP)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protocol. It may be divided into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network connection and a WIMAX type network (for example, a base station)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network connection by form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protocol.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 transceiver for processing a transmission signal or a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a given rule, an antenna ANT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mode mobile terminal operating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can be omitted.

상기 입력부(13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이동단말의 각 기능들에 대한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들을 상기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이동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련된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이동단말의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예컨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transmits input signals for inputting various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input signals related to setting of each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of the respective functions, to the controller 190. That is, the input unit 130 generates a command signal related t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input unit 130 includes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The function keys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side key, and a shortcut key (eg, a key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etc.) s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이동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예컨대, 3*4 방식, 4*3 방식 등)의 키패드(keypad) 및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9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입력부(130) 조작에 따른 키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접촉에 따른 터치신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may be a keypad and a qwerty of a touchpad, a touchscreen, a general key arrangement (eg, 3 * 4 method, 4 * 3 method, etc.) according to the provision type of the mobile terminal. (QWERTY) can be form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keypads.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3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ler 190. The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in one of a key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130 or a touch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상기 오디오처리부(140)는 상기 이동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4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40)는 상기 이동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성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성분은 오디오데이터 재생에 따른 오디오신호,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기능 실행 시의 효과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or 140 may include the speaker SPK f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icrophone MIC for collecting an audio signal such as a user voice. The audio processor 14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190 and outputs the data to the controller 190. The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SPK.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40 may output various audio components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The audio component may include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audio data, an audio signal for effect alarm when executing an application function requiring a network connection, and the like.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이동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5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통신 수행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네트워크 접속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이동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 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5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5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시 상기 입력부(130)의 구성은 상기 이동단말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outputs a screen activat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a boot screen, a standby screen, a menu screen, a list screen, a communication execution screen,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a network access screen. That is,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various screens related to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5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metho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0 may perform an input and an output function together. When the display unit 150 is implemented as the touch screen to perform an input func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130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이동단말, 웹 서버,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는 폰북데이터,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방송데이터, 사진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문서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단말이 지원하는 해당 기능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기능 수행 또는 네트워크 접속 기능 수행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60)는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stores various data generated and utilized by the mobile terminal. The data includes all types of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eg, external mobile terminal, web server, personal computer, etc.). The data may include phone book data, video data, audio data, broadcast data, photo data, message data, document data, image data, and the like. The data may include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n application required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or a network access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related software for supporting an application-specific network access function suppo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저장부(160)는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링크접속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 링크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즉,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에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 대한 링크정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네트워크들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는 다수개의 접속 링크들에 대한 정보(링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정보는 해당 링크부에 대한 정보이거나 또는 지원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link access information for supporting an application-specific network access functi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n a network access link allocated for each application requiring network access. That is,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represents link information of at least one link to be used for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In this case, the link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link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access links arranged according to priorities of access network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he link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link unit or network information according to a support scheme.

상기 저장부(160)는 이러한 링크접속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180)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such link connection information as a database (DB) 180, and an example thereof i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9075285279-PAT00001
Figure 112009075285279-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상기 이동단말의 제조 시 기본 값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설정 또는 사업자 설정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the link acces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ith a basic valu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anufactured, and may be changed and set by a user setting or a service provider setting.

예를 들면, 사용자 설정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및 설정된 각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현재 이동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1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표 1>과 같이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링크접속정보와 그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각 어플리케이션별 우선순위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초기 구동 시에는 기본 설정 값에 의해 링크접속정보가 제공되거나, 또는 우선순위 설정 부분이 공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상기 설정이 완료될 시 설정 완료된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180)를 업데이트 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a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 user may set a setting of an application operated by a network connection and a network connection priority for each set application using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UI). 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mobile terminal may provide,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a list of applications requiring network access among applications currently available in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In this case, as shown in Table 1, the controller 190 may provide the link access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application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Here, when the user initially drives the user interface, the link acces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a default setting value, or the priority setting part may be provided as a blank. The user can then change and set priority information for the desired application. Then, when the setting of the user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90 updates the database (DB) 180 based on the set link access information.

다음으로, 사업자 설정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사업자에 의한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링크접속정보를 사업자의 특정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왑 푸시(WAP Push) 메시지를 통해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 요청 또는 사업자 요청 기반으로 상기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왑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왑 푸시 메시지의 해당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로 접속하여 링크접속정보에 대응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수신된 XML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획득하는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180)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상기 XML 파일에 대한 예시는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Next, referring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or setting, the control unit 190 of the mobile terminal is a WAP Push message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rver of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network access priority for each application by the operator You can change the setting. That is, the controller 190 may receive the swap push message by accessing the specific server based on a user request or an operator request. The controller 190 may receive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ile corresponding to link access information by accessing a corresponding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ddress of the swap message.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90 updates the database (DB) 180 based on link access information obtained by parsing the received XML file. Here, an example of the XML file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09075285279-PAT00002
Figure 112009075285279-PAT00002

상기 <표 2>의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XML 파일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나타내는 <name> 태그(tag)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명확한 구분을 위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verified> 태그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링크정보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PRIORITY> 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클래스 식별자(Class ID) 및 특정 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특정 타입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브루(Brew) 또는 자바(Java) 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즉, 각 어플리케이션은 고유하게 정의되는 고유한 값을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the example of <Table 2>, the XML file includes a <name> tag indicating a name of an application, a <verified> tag indi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more clearly distinguishing the application, and a corresponding application. It may include a <PRIORITY> tag indicating the priority of the link information for network access.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application requires a network connection, and may be represented by at least one of a class ID and a specific type. The specific type may indicate whethe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that is operat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made based on Brew or Java. That is, each application can have a unique value that is uniquely defined.

상기 사업자는 상기 <표 2>의 예시와 같은 XML 파일을 구성하여 서버에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업자 요청 또는 상기 이동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XML 파일을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상기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XML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XML 파일을 파싱하여 획득하는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180)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may configure an XML file as shown in the example of <Table 2> and register the same in the server, and the server may transmit the XML file to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service provider request or the request of the mobile device. . Then, the controller 190 of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the XML fil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of the operator and update the database (DB) 180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obtained by parsing the received XML file. have.

다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이동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160)는 실행 요청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관련 데이터들을 버퍼링(buffering)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170 that temporarily store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60 may perform a function of buffering related data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link connection information for network conne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pplication requested to be executed.

한편,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이동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160)는 상기 이동단말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RAM,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이동단말이 다수개의 네트워크들 간의 스위칭(switching)시 중간 처리 통신(Inter Process Communication) 기능을 담당하는 DPRAM(Dual-Port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PRAM은 상기 저장부(160)와 별도의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60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externally, such as a smart card, and the like, and the storage unit 160 may be any storage medium inside or outside the mobile terminal. It may include. 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60 may be configured as one memory, for example, a multi chip package (MCP) memory type, which is configured or integrated with RAM, ROM, or flash memory.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DPRAM (Dual-Port RAM) for the inter-process communication func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ing (swi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networks. The DPRAM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separate from the storage 160.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이동단말의 전반적인 기능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이동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과,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과, 상기 입력부(13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140)와, 상기 표시부(150) 및 상기 저장부(160) 등과 같은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s the signal flow between the components in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190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input unit 130, the audio processor 140,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storage unit 160 Control the signal flow between each component.

특히, 상기 제어부(190)는 모뎀(MODEM)(미도시)과 코덱(CODEC)(미도시)을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모듈(baseband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 및 상기 인터넷통신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90 may include a baseband module including a modem (not shown) and a codec (not shown). The codec may include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controller 190 encodes and modulat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demodulates and decodes the received signal.

상기 제어부(190)는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기능에 대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링크접속정보 설정 및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할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접속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일련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접속 가능한 링크정보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9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도시된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a series of operations for application-specific network access functions suppo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setting and updating of the link access information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s with reference to Tables 1 and 2. When the controller 190 detects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requiring a network connection, the controller 190 is responsible for a series of controls for network connection by referring to link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access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link information accessible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The detailed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90 is shown in detail by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 접속 처리부(220), 제1링크부(230), 제2링크부(240), 제3링크부(250) 및 접속 관리부(260) 등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190 may support the application manager 210,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the first link unit 230, and the second link as shown in FIG. Components such as the unit 240, the third link unit 250, and the connection manager 260 may be included.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는 사용자 입력 기반으로 실행 요청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할 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요청 메시지(또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상기 접속 처리부(220)에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manager 210 controls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requested to be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In particular, when detecting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the application manager 210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operat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by referr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operated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the application generates an application information and a network connection request message (or command) for the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access processor 220.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메시지(또는 커맨드)를 수신할 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메시지(또는 커맨드)와 함께 전달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접속 관리부(26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접속 관리부(260)로부터 제공되는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링크부를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하고 결정된 링크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한 링크부로 통신 패스를 연결하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처리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rocessor 220 extract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message (or command) when receiving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message (or command) from the application manager 210.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provid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manager 260. 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determines the link unit for network connection based on the priority based on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nection manager 260 and processes the network connection by the determined link unit.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220 may process the conn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network by a switching operation of connecting a communication path to a link unit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상기 제1링크부(230) 내지 상기 제3링크부(250)는 특정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 패스(communication path)를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링크부(230) 내지 상기 제3링크부(250)는 상기 <표 1> 및 <표 2>의 예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WIFI 방식의 네트워크, WIMAX 방식의 네트워크 및 WCDMA 방식의 네트워크와 접속을 위한 각각의 통신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링크부(230)는 WIFI 지원을 위한 링크를 제공하고 상기 제2링크부(240)는 WIMAX 지원을 위한 링크를 제공하고 상기 제3링크부(250)는 WCDMA 지원을 위한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link unit 230 to the third link unit 250 represent a configuration for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for a connection with a specific network. For example, the first link unit 230 to the third link unit 250 may be a WIFI network, a WIMAX network, and a WCDMA scheme, as shown in the examples of <Table 1> and <Table 2>. It is possible to form each communication path for connection with the network. That is, the first link unit 230 provides a link for WIFI support, the second link unit 240 provides a link for WIMAX support, and the third link unit 250 provides a link for WCDMA support. Can be provided.

이러한 제1링크부(230) 내지 상기 제3링크부(250)는 통신 패스가 형성될 시 상기 무선통신모듈(110) 또는 인터넷통신모듈(120) 중 자신과 연결되는 해당 통신모듈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관련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통신모듈(110) 또는 인터넷통신모듈(120)은 자신과 연결된 해당 링크부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관련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네트워크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의 송신 및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해당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링크부(230) 내지 제3링크부(250)는 각각의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에 대응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link is formed, the first link unit 230 to the third link unit 250 establishes a network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or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Transmit the relevant signal.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or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0 receives a related signal for network connection from a corresponding link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or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rresponding network, and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rresponding network.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from the network over the communication channe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unit 230 to the third link unit 250 may correspond to respective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GPIO) ports.

상기 접속 관리부(260)는 상기 접속 처리부(22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접속 관리부(260)는 상기 저장부(160)의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매핑된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관리부(260)는 상기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상기 접속 처리부(220)로 전달한다.The connection manager 260 extracts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whe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The connection manager 260 may search for appl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80 of the storage 160 and extract link connec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retrieved application information. The connection manager 260 transmits the extracte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190) 및 상기 제어부(190)를 구성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 상기 접속 처리부(220) 및 접속 관리부(230) 등은 상기 도 1 및 도 2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기능 운용과 관련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부(190) 및 상기 제어부(190)의 각 구성들에 의한 일련의 제어 기능은 해당 기능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는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90 and the application manager 210,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and the connection manager 230 constituting the controller 19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t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network connection function for each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3 and 4.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as described above and a series of control functions by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190 may be implemented and provided as software having a predetermined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프로젝션 기능 지원을 위한 프로젝터 모듈,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등의 위치정보 수신기,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 상기 이동단말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들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 도 1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도 1의 구성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1 and 2 illustrate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a still image / video of a subject, a projector module for supporting a projection function,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such as a GP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subject according to a form of provision thereof. Camera modu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respective interface unit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perform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nd playback function. It may also include configurations not mentioned in FIG.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clud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or may be replaced by another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its provision. Thi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휴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including applications that are operated based on a connection with a network, and applications thereof.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digital broadcasting player, including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perating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nd a portable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usic player (eg, an MP3 player), a mobile game terminal, and a smart phon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TV (Television), LFD (Large Format Display), DS (Digital Signage), media pole, personal computer (PC, Personal Computer) and notebook (Notebook). Can b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단말에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 및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Next, an operation and a control method of supporting an application-specific network access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However, the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access control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하면(301단계), 접속 처리부(220)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한다(303단계). 이때,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메시지 또는 커맨드(command)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시 상기 실행 요청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메시지 또는 커맨드에 구성하여 함께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application manager 210 detects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based on a user input (step 301), the application manager 210 requests a network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step 303). In this case,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may be delivered as a message or a command. When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is made, the application manager 210 may configure application information on the specific application requested to be executed in the message or command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될 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한다(305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속 관리부(260)로 전달한다(307단계).Next,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220 extracts applica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when a network connection is requested from the application manager 210 (step 305). In operation 307,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transmits the extracted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manager 260.

다음으로, 상기 접속 관리부(260)는 상기 접속 처리부(22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한다(309단계).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 링크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는 다수개의 접속 링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nection manager 260 extracts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whe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step 309). The link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n a network access link allocated for each application requiring network access. In this case, the link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access links arranged according to priority.

다음으로, 상기 접속 관리부(26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상기 접속 처리부(220)로 전달한다(311단계). 여기서,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에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나타내며, 이러한 링크접속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 정보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링크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nection manager 260 transmits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extracted based o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step 311). Here,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indicates at least one link information to be used for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riority information of networks accessible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do.

다음으로,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특정 링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특정 링크부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처리한다(313단계). 여기서,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결정된 특정 링크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에 실패할 시 상기 특정 링크부보다 차순위의 다른 링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다른 링크부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Next, the connection processor 220 determines a specific link unit for network connection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and processes the network connection through the determined specific link unit (step 313).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220 may determine another link unit having a higher priority than the specific link unit when the determined network connection attempt by the specific link unit fails, and attempt to connect to the network through the determined other link unit.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1링크부(230), 제2링크부(240) 및 제3링크부(250)에 의하여 WIFI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및 CDMA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상기 제1 링크부(230), 제2 링크부(240) 및 제3 링크부(250)에 대한 링크정보를 가지며, 이때 네트워크 접속 처리에 대한 우선순위가 <WIFI-WIMAX-CDMA>의 순으로 정의 즉, <제1링크부(230)-제2링크부(240)-제3링크부(250)>의 순으로 정의된 경우를 가정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WIFI network, the WIMAX network, and the CDMA network are supported by the first link unit 230, the second link unit 240, and the third link unit 250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Accordingly, the link access information has link information for the first link unit 230, the second link unit 240, and the third link unit 250, wherein a priority for network access processing is <WIFI-WIMAX. It is assumed that the case is defined in the order of -CDMA>, that is, in the order of <first link unit 230-second link unit 240-third link unit 250>.

이러한 가정에서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실행에 대응하여 우선적으로 선순위의 상기 제1링크부(230)를 기반으로 WIFI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처리부(220)는 상기 제1링크부(230)에 의한 WIFI 네트워크 접속에 실패할 시 후순위의 상기 제2링크부(240)를 기반으로 WIMAX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링크부(240)에 의한 WIMAX 네트워크 접속에도 실패할 시 마지막 순위의 상기 제3링크부(240)를 기반으로 CDMA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실패를 결정하는 요소는 이동단말에 미리 정의되는 임계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네트워크 접속 시도 횟수, 또는 네트워크 접속 시도 후의 대기시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In this assumption, the access processor 220 may attempt to access a WIFI network based on the first link unit 230 having a priority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When the first link unit 230 fails to access the WIFI network, the access processor 220 may attempt to access a WIMAX network based on the second link unit 240 having a lower priority. If the second link unit 240 fails to access the WIMAX network, a CDMA network connection may be attempted based on the third link unit 240 having the last rank. Here, the factor for determining the network connection failure may be determined by a threshold value predefin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threshold may be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network connection attempts, or the waiting time after the network connection attemp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에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Next, a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network access for each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troller 190 of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us may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 제어부(190)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ler 19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먼저 사용자 입력 기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하면(401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분석한다(403단계). 즉,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실행 감지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또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 없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판별한다(405단계).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입 분석을 처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first, when the controller 190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s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based on a user input (step 401), it analyzes the type of the application (step 403). That is,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execution-detected specific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that requires a network connection or an application that does not need a network connection (step 405). The controller 190 may process the type analysis based on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405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407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Next,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that does not require network access (No in step 405), the controller 190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s the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step 407). For example,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execution of a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and control output of screen data corresponding thereto.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405단계의 Yes)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한다(409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분석에 의하여(411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한다(413단계). 즉, 상기 제어부(190)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 링크에 대한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는 다수개의 접속 링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90 of the mobile terminal extract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requiring network connection (Yes in step 405) (step 409). The controller 190 extracts link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extracted application information (step 411). That is, the controller 190 extracts link access information for a network access link allocated for each application requiring network access. In this case, the link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access links arranged according to priority.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처리한다(415단계). 즉,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링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접속 링크의 링크부와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를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90 of the mobile terminal processes the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extracted based o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step 415). That is,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a network access link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and control a network access attempt by setting an interface with the link unit of the determined access link.

이후,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시도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와 접속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 출력 및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운용 등을 제어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90 of the mobile terminal may control output of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and applica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whe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by the network connection attemp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별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network connection for each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this cas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동단말의 제어부(190)에 대한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90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access control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 제어부(190)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ntroller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in a mobile terminal,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perating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link access information based on application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상기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he network connection to the appl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extracte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process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operated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by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racting is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application information defined for the application;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And extracting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ing of 상기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한 링크를 결정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link for access to a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결정된 링크의 링크부와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And attempting to access a network by setting an interface with a link part of the determined li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상기 링크접속정보에 따른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선순위의 링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And determining a link unit having a priority according to the prio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nk access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도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ttempting process is 상기 선순위의 링크부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에 실패할 시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후순위의 링크부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And attempting to access a network based on a link unit of a lower priority according to the priority information when the network connection based on the link unit of a higher priority is failed.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that supports multi-mode, 상기 이동단말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과,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which stores appl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perated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an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네트워크 접속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링크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extract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set for the application and control the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by referring to the extracte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when detec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perated on a network connection basis. Mode mobile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링크접속정보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 링크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네트워크들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는 다수개의 접속 링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The link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n a network access link allocated for each application requiring network access, and includ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access links arranged according to priorities of access network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ulti-mode mobi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접속 가능한 링크정보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And controlling access to a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priority of link information accessible by a corresponding application based on the link access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네트워크 접속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감지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와,An application manager configured to generate and transmit an application information and a network connection request message for the application when detecti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perated on a network connection;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속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접속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 처리부와,A connection processing unit which provid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upon receiving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and attempts a network connection based on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상기 접속 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접속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링크접속정보를 상기 접속 처리부로 전달하는 상기 접속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which extracts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from the storage unit and transfers the extracted lin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상기 접속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링크접속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링크부를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하고 결정된 링크부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And determining the link unit for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iority based on the link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nection manager, and processing the network connection by the determined link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특정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 패스(communication path)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And at least one link unit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for connection to a specific networ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이동통신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넷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A multi-mod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internet based internet communication.
KR1020090120331A 2009-12-07 2009-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KR201100639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31A KR20110063951A (en) 2009-12-07 2009-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31A KR20110063951A (en) 2009-12-07 2009-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51A true KR20110063951A (en) 2011-06-15

Family

ID=4439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331A KR20110063951A (en) 2009-12-07 2009-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95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23B1 (en) * 2012-12-14 2013-08-01 주식회사 안랩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anagement of application in portable device, recordabl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KR101337135B1 (en) * 2011-09-08 2013-12-05 주식회사 팬택 Network control method for consider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 and portable terminal therefor
US11606457B2 (en) 2018-01-09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ology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network function to application of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135B1 (en) * 2011-09-08 2013-12-05 주식회사 팬택 Network control method for consider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 and portable terminal therefor
KR101291123B1 (en) * 2012-12-14 2013-08-01 주식회사 안랩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anagement of application in portable device, recordabl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WO2014092319A1 (en)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안랩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for is recorded
US11606457B2 (en) 2018-01-09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ology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network function to application of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4848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US9204239B1 (en) Segmented customization package within distributed server architecture
US11483689B1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management platform
KR1016333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store service
US20080117991A1 (en) Partitioning Compression-Based Firmware Over the Air
CN104965848B (en) A kind of front end resource loading method and device
US80782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a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n application for an idle state in a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US937298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ermission to applications in a portable terminal
KR201201170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ynchroniza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201100645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bluetooth device
US912236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isplay screen with online widget
WO2016155431A1 (en) Terminal, touch operation method therefor and device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102043641B1 (en) Operating Method For Nearb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8667541B1 (en) Intelligent handset remote control
KR102006413B1 (en)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9127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etwork performance
CN111435318A (en) Dex optimization method of application program and terminal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US95429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201100639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US20060246884A1 (en) Contact information sharing with mobile telephone
CN106776845B (en) Information flow self-adaptive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KR1014007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troring and managing device control information to user terminal and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1015165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resource(s) of a wireless handheld computing device
US9715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i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