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470A -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470A
KR20110063470A KR1020117006498A KR20117006498A KR20110063470A KR 20110063470 A KR20110063470 A KR 20110063470A KR 1020117006498 A KR1020117006498 A KR 1020117006498A KR 20117006498 A KR20117006498 A KR 20117006498A KR 20110063470 A KR20110063470 A KR 20110063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
beacons
access point
communication
power lev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367B1 (ko
Inventor
메흐멧 야부즈
산지브 난다
마노즈 엠. 데쉬판데
치라그 에스. 파텔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6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Abstract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들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 및 근처의 액세스 단말들에서 경험하는 중단 간의 허용가능한 트레이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비컨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근처의 액세스 단말들에서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비교적 긴 시간 기간 동안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근처의 액세스 단말들이 그러한 비컨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기간 동안 비교적 높은 전력으로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송신 체인은 고 전력 및 저 전력 비컨들의 주파수 홉핑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CCESS POINT BEACONS AT DIFFERENT POWER LEVELS}
본원은 본원과 동일인에 의해 소유되고 2008. 8. 20.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1/090,548호, 대리인 관리 번호 082470P1에 대한 우선권 및 그 이익을 주장하고, 전술한 출원의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본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비컨(beacon)들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나, 오직 이에만 배타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여러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폭 넓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이 사용자의 액세스 단말들(예를 들어, 휴대 전화들)에 제공될 수 있다. 하이-레이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들에 대한 수요가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향상된 성능을 가진 효율적이고 강건한 통신 시스템들을 구현하려는 과제가 존재한다.
종래의 이동 전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들)을 보충하기 위해,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들이 액세스 단말들에 더 강건한 실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들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홈 노드B, 홈 eNodeB, 펨토 액세스 포인트, 또는 펨토 셀로서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정에 설치됨)은 DSL 라우터 또는 케이블 모뎀을 통해 인터넷 및 모바일 운영자의 네트워크로 접속된다.
유휴 모드(idle mode)에 있는(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 상에 캠핑하는) 액세스 단말이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에 접근할 때, 액세스 단말이 거기에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액세스 단말이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고, 그 결과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단말이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의 근처에 있을 때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비컨 신호들은 작은 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다른 근처의 액세스 단말들에서의 수신을 간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액세스 단말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와 액티브 음성 호에 있을 때, 액세스 단말이 작은 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가 배치되는 빌딩 옆을 지나가는 경우, 액세스 단말은 작은 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비컨들에 대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이러한 간섭을 줄일 수 있는 반면, 송신 전력의 이러한 감소는 또한 그 비컨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을 줄일 것이다. 이것은 차례로, 액세스 단말들이 작은-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샘플 양상들의 요약은 이하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양상들"에 대한 언급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을 지칭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소정 양상들에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비컨들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들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과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되는 근처 액세스 단말들에서 경험하는 중단(outage) 간의 허용가능한 트레이드오프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비컨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소정 양상들에서 계층형 비컨 방식에 관한 것이고, 이에 의해 비컨들이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근처 액세스 단말들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교적 긴 시간 기간 동안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근처 액세스 단말들이 그 비컨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비교적 짧은 시간 기간 동안 비교적 높은 전력으로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큰 커버리지 영역이 일시적으로 제공되고, 그 결과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기를 원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들은 그 펨코 액세스 포인트를 발견할 더 나은 기회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고 전력의 기간이 비교적 짧을 수 있기 때문에, 허용가능한 트레이드오프가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도달가능성 및 근처 액세스 단말들과의 간섭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개시된 방식은 예를 들어, 비컨들을 송신하는데 고정된 전력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허용가능하지 않게 높을 수 있는) 고정된 레벨들의 간섭 및 (예를 들어, 고정식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이 펨토 액세스 포인트를 발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고정된 레벨들의 커버리지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식들에 비해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더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방식은 주파수 홉핑과 결합하여 유리하게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송신 체인이 상이한 캐리어들 상에서 고 전력 비컨들 및 저 전력 비컨들 양자 모두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샘플 양상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들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계층형 비컨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계층형 비컨들을 제공하도록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며;
도 3은 계층형 커버리지 비컨 스케줄에 기초한 샘플 비컨 송신들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며;
도 4는 통신 노드에서 채택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5는 상이한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레벨들 및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도록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비컨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때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며;
도 7은 펨토 채널 상에 어떠한 액티브 호(active call)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들에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며;
도 8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의 송신들과의 간섭을 완화하도록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며;
도 9a는 샘플 비컨 송신 지속기간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고;
도 9b는 또 다른 샘플 비컨 송신 지속기간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고;
도 10은 샘플 비컨 주파수 홉핑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며;
도 11a는 비컨 송신 지속기간 및 캐리어들의 양의 상이한 조합들에 대한 샘플 검출 지연들 및 서비스 중단(service outage)들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표이며;
도 11b는 신속한 페이징이 채택되는 경우 비컨 송신 지속기간 및 캐리어들의 양의 상이한 조합들에 대한 샘플 검출 지연들 및 서비스 중단들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표이고;
도 12는 비컨 송신들을 위한 전력 레벨들 및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도록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며;
도 13은 계층형 커버리지에 기초한 샘플 비컨 송신들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고;
도 14는 연속적인 슬롯 사이클들에서의 샘플 비컨 슬롯 커버리지를 예시하는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고;
도 15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고;
도 16은 펨토 노드들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며;
도 17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고;
도 18은 통신 컴포넌트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19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비컨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관행에 따라, 도면들에 도시된 여러 다양한 특징부들은 크기조정되어 도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여러 다양한 특징부들의 차원들은 명확성을 위하여 임의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부가하여, 도면들 중 일부는 명확성을 위하여 단순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면들은 주어진 장치(예를 들어, 디바이스) 또는 방법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명세서 및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한 특징부들을 표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여러 다양한 양상들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있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 양쪽 모두는 단지 대표적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양상은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양상들 중 둘 이상이 여러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양상들 중 임의 개수를 사용하여 일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일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 이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사용하여 그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그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부가하여, 일 양상은 일 청구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샘플 통신 시스템(100)(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의 일 부분)의 여러 노드들을 도시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여러 다양한 양상들이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 액세스 포인트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의 맥락에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지칭되는 다른 타입들의 장치들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다양한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기지국들, eNodeB들, 기타 등등으로서 지칭되거나 구현될 수 있는 반면, 액세스 단말들은 사용자 장비, 이동국들, 기타 등등으로서 지칭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기 시스템(10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거나 상기 시스템(100)의 커버리지 영역 전반에 걸쳐 로밍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다양한 시점들에서, 액세스 단말(102)은 액세스 포인트(104)(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될 수 있는 반면, 액세스 단말(106)은 액세스 포인트(104) 또는 액세스 포인트(108 또는 110)(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에 접속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104, 108, 및 110)은 광역 네트워크 접속성을 촉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편의상, 네트워크 노드(112)에 의해 표현됨)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 노드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같은 여러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여러 다양한 구현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12)는 구성 관리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라, 상기 시스템(100) 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계층형 비컨 커버리지 방식을 구현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통신 비컨 신호들은 (예를 들어, 정의된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기초하여)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송신된다. 점선들(114 및 116)은 단순화된 방법으로 그러한 방식에서의 커버리지의 샘플 계층들을 도시한다. 여기서, 점선(114)에 의해 표현된 작은 영역의 커버리지는 더 낮은 전송 전력이 사용될 때의 시간 기간들에 대응하는 반면, 점선(116)에 의해 표현된 커버리지의 넓은 영역은 더 높은 전송 전력이 사용될 때의 시간 기간들에 대응한다. 전송 전력들 및 연관된 시간 기간들을 적절히 정의함으로써, 이러한 계층형 비컨 커버리지 방식은 다른 액세스 단말들이 통신 비컨 신호들을 획득하려고 시도할 때 허용가능하지 않은 양의 지연을 주지 않으면서, 소정의 근처 액세스 단말들에서 통신 비컨 신호들에 의해 야기된 간섭의 강도 및 지속기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연을 허용가능한 한계들로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다른 액세스 단말들은 이러한 신호들을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비교적 신속한 핸드오버를 여전히 달성할 수 있다.
통신 비컨 신호들은 상이한 구현들에서 여러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전형적인 구현에서, 통신 비컨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오버헤드 채널(예를 들어, 전용 채널들과 반대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통 오버헤드 채널은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동기화 채널, 또는 이러한 채널들의 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CDMA2000 시스템(예를 들어, 1xRTT에 대해)에서, 이러한 채널들은 순방향-링크 파일럿 채널(F-PICH), 순방향-링크 페이징 채널(F-PCH), 순방향-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F-BCCH), 순방향-링크 동기화 채널(F-SYNC), 또는 이러한 채널들의 임의 조합일 수 있다. 편의상, 통신 비컨 신호들은 이하의 논의에서 단순하게 비컨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유휴 모드에 있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108)에 근접해질 때,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108)에 대한 액세스 단말의 상대적 근접성에 따라, 높은 및/또는 낮은 전력 비컨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108)에 매우 근접해 있을 때, 액세스 단말은 높은 전력으로 송신되는 비컨들뿐만 아니라 낮은 전력으로 송신되는 비컨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액세스 단말은 이러한 경우에 비교적 빨리 비컨을 획득할 수 있다. 반면, 액세스 포인트(108)의 커버리지의 에지에 있는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6))은 낮은 전력 비컨은 검출하지 못할 수 있으나, 높은 전력 비컨은 검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액세스 단말은 여전히 비컨을 획득할 수 있으나 더 큰 지연을 갖는다.
상기 시스템(100)의 샘플 동작들이 이제 도 2의 흐름도 및 도 3의 다이어그램과 함께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편의상, 도 2의 동작들(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거나 교시되는 임의의 다른 동작들)은 특정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100) 또는 도 4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들은 다른 타입들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이한 개수의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주어진 구현에서 채택되지 않을 수도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2의 블록(2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는 액세스 포인트(108)에 의해 송신된 비컨들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 및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서빙되는 근처의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에서 경험하는 중단 간의 허용가능한 트레이드오프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비컨 스케줄을 결정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8)는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전력 레벨들이 사용되어야 하는 시간 기간들, 및 비컨들이 송신될 캐리어들(즉, 캐리어 주파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는 계층형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전력 레벨들의 세트(예를 들어, 저 레벨 및 고 레벨)를 결정할 수 있다. 부가하여, 액세스 포인트(108)는 상이한 전력 레벨들과 연관된 시간 기간들의 세트(예를 들어, 듀티 사이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8)는 비컨들이 송신되어야 할 지정된 캐리어들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여러 다양한 구현들에서,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액세스 포인트(108)에 의해 정의되거나 액세스 포인트(108)에 제공될 수 있다. 전자 경우의 예로서, 이러한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은 액세스 포인트(108)에서 검출된 신호들(예를 들어,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의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후자 경우의 예로서, 이러한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이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정의되고(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108)로 제공되고) 액세스 포인트(108)의 데이터 메모리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다양한 구현들에서, 블록(202)의 결정들은 파라미터 값을 정의하거나(예를 들어, 계산하거나),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파라미터 값을 판독하거나,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의 예들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2의 블록(204)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는 블록(202)에서 결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비컨들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는 상기 스케줄에 의해 특정된 캐리어들을 통해, 상기 스케줄에 의해 특정된 시간들 및 전력 레벨들로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계층형 커버리지 스케줄에 기초한 비컨 송신들의 단순화된 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최상단에 있는 빗금 친 박스들 및 도면의 최하단에 있는 화살표 라인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비컨들은 일 시간 기간 동안 높은 전력 레벨로 송신되고, 그 다음, 일 시간 기간 동안 더 낮은 전력 레벨로 송신되며, 그 다음,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송신되는 등등이다.
이러한 예에서, 비컨들은 상이한 캐리어들 사이에서 주파수 홉핑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채널들(예를 들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대응함)이 한 운영자에 대해 이용가능하고, 펨토 액세스 포인트 및 그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접근하는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이전에 서빙됨)은 상이한 캐리어들 상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xRTT에서, 액세스 단말들은 의사랜덤하게(pseudorandomly) 상이한 캐리어들로 해싱(hash)될 수 있다. 그리하여, 펨토 커버리지 영역 내 액세스 단말에 의한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신뢰성 있는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이러한 상이한 캐리어들 상에서 비컨들을 송신한다. 그러나, 펨토 액세스 포인트가 제한된 개수의 송신 체인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단지 하나의 시간에서 제한된 개수의 캐리어들 상에서만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주파수 홉핑은 상이한 캐리어들 상에서 정의된 듀티 사이클에서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의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108)는 캐리어 F3(예를 들어, 소위 펨토 채널, 도 3에 미도시)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근처에 있는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들은 캐리어들 F1 및 F2에 대응하는 2개의 매크로 채널들 상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에 의해 현재 서빙되고 있는 액세스 단말들이 액세스 포인트(108)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08)는 2개의 캐리어들 F1 및 F2 상에서 비컨들을 주파수 홉핑한다.
전술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08)는 2개의 무선 주파수(RF) 송신 체인들(예를 들어, 2개의 RF 송신기들 포함)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108)는 동시에 2개의 RF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체인들 중 하나는 펨토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나머지 송신 체인은 2개의 매크로 채널들을 통해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해 시간 공유된다. 도 3의 빗금친 박스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 전력 시간 기간 동안, 고 전력 비컨 버스트가 캐리어 F1을 통해 전송되고, 그 다음 고 전력 비컨 버스트가 캐리어 F2를 통해 전송된다. 그 다음, 제 1 저 전력 시간 기간 동안, 더 낮은 전력의 비컨 송신들은 교대 방식으로 캐리어들 F1 및 F2 상에서 전송된다. 후속적인 고 전력 시간 기간 동안, 고 전력 비컨 버스트는 다시 캐리어들 F1 및 F2 상에서 전송되는 등등이다. 상이한 개수의 매크로 채널들 및/또는 상이한 개수의 송신 체인들이 상이한 구현들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3은 또한 비컨들이 소위 슬롯 사이클들 동안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슬롯 사이클이 일련의 시간 슬롯들(예를 들어, 80 밀리초 지속기간의 시간 슬롯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슬롯 사이클들(예를 들어, 5.12 초 지속기간의 슬롯 사이클들)이 정의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유휴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이 해당 액세스 단말로의 관심 있는 임의의 송신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각 사이클의 상이한 지정된 슬롯들 동안에 웨이크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단말은 대부분의 시간에는 유휴 모드(예를 들어, 저-전력 휴면 모드)에 남아 있는 반면, 액세스 단말이 그것의 지정된 슬롯 동안 관심 있는 송신(예를 들어, 페이지)을 검출하는 경우에만 웨이크업(예를 들어, 더 높은 전력의 액티브 모드로)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에서, 일 시간 기간에 걸쳐, 액세스 포인트(108)는 근처에 있는 임의의 액세스 단말(상기 슬롯들 중 어느 하나를 할당받을 수 있음)이 적어도 하나의 비컨을 수신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슬롯 동안에 비컨을 송신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 전력 비컨들은 슬롯 사이클들 1-3 동안 적어도 한 번 슬롯 사이클의 매 부분에서 송신될 수 있다. 그리하여, 액세스 포인트(108)에 매우 가까운 액세스 단말은 해당 액세스 단말에 할당된 특정 슬롯에 관계없이 슬롯 사이클들 1-3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비컨을 수신하였어야 한다.
반대로, 고 전력 비컨들은 이러한 비컨들에 대해 정의된 더 낮은 듀티 사이클로 인하여 슬롯 사이클들 1-3 동안 매 슬롯에서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전력 비컨들은 각각의 후속하는 송신 동안 상이한 슬롯들을 커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후속적인 고 전력 버스트에 대하여, 버스트의 타이밍은 슬롯 사이클의 시작에 대해 변화한다. 그리하여, 더 긴 시간 기간에 걸쳐, 고 전력 비컨들은 또한 적어도 한 번 슬롯 사이클의 매 부분에서 송신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8)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저 전력 비컨들을 수신하지 않는 액세스 단말(106))은 이러한 더 긴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비컨을 수신할 수 있다.
일단 액세스 단말이 주어진 캐리어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108)로부터 비컨을 수신한다면,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108)로부터의 다른 메시지들에 대해 해당 캐리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단말이 펨토 채널로 어떻게 재지향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메시지의 예들은 CDMA 채널 리스트 메시지(CDMA channel list message; CCLM), 글로벌 서비스 재지향 메시지(global service redirection message; GSRDM), 및 서비스 재지향 메시지(service redirection message; SRDM)를 포함한다.
전술한 계층형 커버리지 방식은 다른 노드들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면서 효과적인 비컨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 전력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108)에 비교적 근접하지 않은 액세스 단말들은 이러한 비컨들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러한 비컨들에 대해 대응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는 이러한 액세스 단말들에서 비교적 현저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 이러한 비컨 송신들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고 있는 임의의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에서의 수신을 현저히 간섭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비록 고 전력 비컨 송신들은 이러한 액세스 단말들에서의 수신을 간섭할 수 있지만, 이러한 간섭의 지속기간은 비교적 짧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양상들은 이하의 도 4 내지 도 14의 논의에서 더 상세히 다루어질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 같은 비컨 생성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08)와 같은 노드들로 통합될 수 있는 여러 샘플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기술된 컴포넌트들은 통신 시스템 내 다른 노드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노드는 기술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하게 할 수 있거나/있고 상이한 기술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트랜시버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는 무선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트랜시버(40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402)는 신호들(예를 들어, 블록(204)에서 전술한 비컨들 및 다운링크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404) 및 신호들(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들로부터의 업링크 메시지들 및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406)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108)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8)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도 1의 노드(11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과의 통신을 촉진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또는 네트워크의 다른 적합한 엔티티와 통신하도록(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백홀 통신)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8)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비컨 생성 동작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는 비컨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전력 레벨들, 시간 기간들, 캐리어들)을 결정하기 위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다른 관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컨 제어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컨 제어기(410)는 블록(202)과 결합하여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부가하여, 액세스 포인트(108)는 수신기(406)와 협동하여 신호들(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간섭 또는 다른 송신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다른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41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8)는 또한 액세스 단말들로의 그리고 액세스 단말들로부터의 호들을 관리하기 위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다른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호 관리기(414)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액세스 포인트(108)는 비컨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하고(예를 들어, 소정의 경우들에서, 비컨 송신들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 세트의 액세스 단말들의 알려진 웨이크-업 시간들에 동기화되거나, 소정의 경우들에서 비컨 송신들은 비컨 제어기(410)에 의해 결정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스케줄링됨)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다른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스케줄러(416)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액세스 포인트(108)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다양한 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다. 실제로, 도시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주어진 구현에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소정의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08)는 모니터(4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소정의 구현들에서, 상이한 비컨 송신 전력 레벨들 및/또는 상이한 시간 기간들은 상이한 캐리어들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저 전력 및 고 전력 비컨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이한 전력 오프셋들이 상이한 캐리어들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블록(5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현들에서, 주어진 캐리어에 대해 사용될 파라미터들은 해당 캐리어들 상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캐리어들 상에서 감지된 신호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에는 상이한 캐리어들 상의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신호들의 수신 신호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 캐리어 감지 능력들(예를 들어, 모니터(412))이 장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8)는 상이한 비컨 주파수들 상에서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504)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예를 들어, 비컨 제어기(410))는 각각의 캐리어들에 대해 사용될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단순화된 예로서, 제 1 캐리어 F1는 0 dB의 고 전력 레벨 및 -20 dB의 저 전력 레벨을 할당받을 수 있다. 부가하여, 제 2 캐리어 F2는 -2 dB의 고 전력 레벨 및 -22 dB의 저 전력 레벨을 할당받을 수 있는 등이다. 부가적인 전력 레벨들(즉, 2 초과)이 다른 구현들에서 주어진 캐리어에 할당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컨 파라미터의 결정은 검출된 신호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는 이러한 캐리어 상에서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신호들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특정 캐리어 상에서 사용될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전력 오프셋들)을 정의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2개의 캐리어들 F1 및 F2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만약 액세스 포인트(108)가 캐리어 F2에 비해 캐리어 F1상에서 높은 신호 강도를 검출한다면, 액세스 포인트(108)는 캐리어 F1 상에서 비컨의 유효성(effectiveness)을 개선하기 위해 캐리어 F2에 비해 캐리어 F1 상에서 더 높은 전력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 블록(504)의 결정은 정의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들에 대해 사용될 전력 레벨들은 네트워크 계획(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에 의해 특정될 수 있고 데이터 메모리로 다운로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블록(504)의 결정은 단순히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의 데이터 메모리 또는 소정의 다른 엔티티로부터 전력 레벨 값들을 판독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블록(506)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예를 들어, 비컨 제어기(410))는 또한 각각의 캐리어들에 대해 사용될 상이한 시간 기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 또는 다른 소정의 엔티티는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캐리어에 비교하여 고 전력 버스트들에 대해 더 긴 듀티 사이클이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만약 액세스 포인트(108)가 캐리어 F2에 비해 캐리어 F1 상에서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검출한다면, 액세스 포인트(108)는 캐리어 F1 상에서의 비컨의 유효성을 개선하기 위해 캐리어 F2 상에서 더 높은 전력의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한 듀티 사이클(예를 들어, 10% 고 전력, 90% 저 전력)에 비해, 캐리어 F1 상에서 더 높은 전력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한 더 긴 듀티 사이클(예를 들어, 15% 고 전력, 85% 저 전력)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구현들에서, 블록(506)의 결정은 정의된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정의된 네트워크 계획)에 기초할 수 있다.
이제 도 6-도 8을 참조하면, 여러 기술들이 액세스 포인트가 근처의 노드들에의 간섭을 완화(예를 들어, 감소)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여러 다양한 기술들이 본 명세서의 교시들과 결합하여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가 비컨들의 송신을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의 웨이크-업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도 7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가 펨토 채널 상에서 연속적인 공통 오버헤드 채널 송신들을 중지하고 그 대신 간헐적인(예를 들어, 주기적인) 방식으로 상기 채널을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송신들은 대신에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계층형 홉핑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도 8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가 근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비컨들에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그것의 비컨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처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블록(60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엑세스 포인트(108)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웨이크-업 시간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는 일 세트(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세트)의 액세스 단말들을 식별할 수 있고 그들의 웨이크-업 시간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들 또는 소정의 다른 엔티티로부터).
블록(604)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예를 들어, 스케줄러(416))는 적어도 하나의 웨이크-업 시간으로 동기화된 비컨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108)는 결정된 웨이크-업 시간들 동안(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웨이크-업 시간들 동안)에만 비컨들을 턴 온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7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예를 들어, 호 관리기(414))는 펨토 채널 상에 액티브 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액세스 포인트(108)는 블록(704)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펨토 채널 상에서 그것의 정규 호 프로세싱 동작들을 계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공통 제어 채널들은 펨토 채널 상에서 턴-온 될 수 있다.
블록(706)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만약 블록(702)에 어떠한 액티브 호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액세스 포인트(108)는 액세스 포인트(108) 상에서 유휴 중인 액세스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유휴 액세스 단말이 존재한다면, 액세스 포인트(108)는 블록(708)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그것의 정규 유휴 동작들을 계속할 수 있다.
블록(71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만약 블록(706)에서 어떠한 유휴 액세스 단말들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액세스 포인트(108)는 계층형 비컨 커버리지 및 펨토 채널 상의 홉핑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전력 및 저 전력 비컨들은 펨토 채널 상에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될 수 있다. 부가하여, 주파수 홉핑이 채택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비컨들은 펨토 채널 상에서 계속하여 송신되지 않고, 대신에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 (예를 들어, 정의된 듀티 사이클들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 상에서 송신된다.
도 6의 동작들이 도 7의 동작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만약 액세스 포인트(108)에 대해 어떠한 액티브 액세스 단말들도 존재하지 않다면, 액세스 포인트(108)는 펨토 채널 상에서 유휴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의 웨이크-업 시간(들)과 동기하여 펨토 채널 상에서 비컨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의 비컨들로부터의 간섭은 배치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의 비컨들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웃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이한 슬롯들에서 이들의 비컨 송신들을 엇갈리게 배열(stagger) 할 수 있다.
블록(8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08)(예를 들어, 모니터(412))는 간섭이 일어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의 송신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8)는 어떤 캐리어들이 이웃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고 그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송신 시간들(예를 들어, 송신 오프셋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웃하는 비컨들을 검사(sniff)할 수 있다.
블록(804)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예를 들어, 스케줄러(416))는 나머지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송신들과의 충돌(예를 들어, 간섭)을 완화하도록 자신의 비컨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8)는 자신의 비컨 송신들을 엇갈리게 배열하도록 시도할 수 있고, 그 결과 이러한 송신들은 이웃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의 비컨 송신들과 동일한 시간에 그리고 동일한 주파수에서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기 어렵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랜덤 스태거링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한 주파수 상에서 자신의 비컨 송신을 시작하기 위해 슬롯 사이클 내의 일 슬롯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고 그 후에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스케줄을 따를 수 있다. 즉,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그것이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비컨들을 송신하는 시간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비컨들의 충돌 확률들은 감소될 수 있다(최소화될 수 있음).
소정의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능형 감지-기반 스태거링 방식(intelligent sensing-based staggering scheme)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108)는 예를 들어, 블록(802)에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웃 비컨들을 검사함으로써 그리고 최저 양의 간섭을 가진 슬롯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송신들을 자신의 이웃들로부터 오프셋시킬 수 있다.
다른 스태거링 방식들이 다른 구현들에서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그 액세스 포인트들이 비컨 송신들을 위하여 상이한 슬롯들 및/또는 주파수들을 선택하도록 서로(예를 들어, 백홀을 통해) 협상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을 염두에 두고, 계층형 커버리지 비컨들을 제공하는 것과 결합하여 채택될 수 있는 샘플 설계 고려사항들 및 설계 기술들이 이제 도 9a-도 14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소정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예를 들어, 1xRTT)에서, 페이징 채널은 슬롯들(이하에서는 'F-PCH 슬롯들'로 지칭됨)로 나누어진다. 유휴 상태 동안에, 액세스 단말들은 그들이 F-PCH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슬롯팅된 모드로 동작한다. 할당된 F-PCH 슬롯(웨이크-업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액세스 단말의 회로는 완전히 인에이블링될 수 있다. F-PCH를 모니터링한 후에, 액세스 단말은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해 자신의 회로 중 대부분을 턴 오프 할 수 있다("휴면" 상태로 전이). 다음의 웨이크-업 상태 이전의 언젠가, 액세스 단말은 다음의 F-PCH 슬롯을 준비하기 위해 상기 회로를 턴 온 한다(웜-업(warm-up) 기간). 그리하여, 액세스 단말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비컨은 웜-업 기간을 대비하여 페이징 슬롯들 동안 송신되어야 한다. 슬롯팅된 모드에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일 슬롯 사이클의 기간(예를 들어, 1.28 s, 2,56 s, 5,12 s 등의 값들을 취할 수 있음)을 갖는 F-PCH 슬롯(예를 들어, 80 ms)을 할당받는다. 예를 들어, 5.12 초의 슬롯 사이클에 대해 64개의 페이징 슬롯들이 존재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에 이용가능한 2개의 주파수들(F1 및 F2)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펨토 액세스 포인트(이하에서는 '펨토'로 지칭됨)는 F1 및 F2 상에서 교대로 비컨들을 송신할 수 있다. 웜-업 기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파일럿 비컨은 요구된 슬롯 사이클 지속기간(예를 들어, 각각의 주파수 상에서 6 s)보다 약간 더 길게 송신될 수 있다. 비컨이 각각의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계속하여 송신되는 시간 지속기간은 '비컨 송신 지속기간(beacon transmit duration; BTD)'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도 9a는 2개의 주파수들(F1 및 F2) 및 슬롯 사이클 길이보다 더 큰 BTD를 갖는 시스템에서의 샘플 비컨 동작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주파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액세스 단말이 펨토의 커버리지 안으로 진입할 때, 액세스 단말은 시간 간격 [0, 2 * BTD] 초 내에서 비컨을 검출하도록 예상될 수 있다.
비록 비컨들이 액세스 단말들이 펨토 셀로 스위칭할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비컨들은 또한 펨토 셀 근처에 있지만 펨토 셀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간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과의 액티브 음성 호에 있는 액세스 단말이 펨토를 가진 집을 지나가고 있는 시나리오를 고려하자. 만약 펨토가 매우 높은 전력 레벨에서 비컨을 송신한다면, 비컨은 액세스 단말에 대해 큰 간섭을 형성할 수 있고 심지어 누락(drop)된 호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xRTT 액세스 단말에서, 만약 12개의 연속적인 소거된 순방향 링크(forward link; FL) 프레임들(예를 들어, 240 ms)이 존재한다면, 액세스 단말은 자신의 송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고, 5 초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만약 2개의 연속적인 비소거된 프레임들이 타이머 만료 전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액세스 단말은 호를 누락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비컨 송신의 지속기간(BTD)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감소된 BTD의 예가 도 9b에 도시된다.
BTD 파라미터에 대한 한 가지 극한 선택의 샘플로서, BTD는 하나의 F-PCH 슬롯(예를 들어, 80 ms)만큼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액세스 단말들의 웜-업 기간 요구조건들로 인하여, 비컨들은 각각의 캐리어 상에서 더 긴 기간(예를 들어, 적어도 100 ms) 동안 송신되어야 할 수 있다. 파일럿 비컨 송신과 연관된 웜-업 기간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웜-업 오버헤드는 효율성을 위해 더 큰 BTD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절충안으로서, BTD는 200 ms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액세스 단말들이 다운 역방향 링크(reverse link; RL) 송신을 그만두지 않도록 최대 중단 지속기간을 앞서 논의한 240 ms 미만으로 제한한다. 또한, BTD=200 ms를 사용하여, 2개의 F-PCH 슬롯들은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40 ms 웜-업 지속기간을 고려하여 커버될 수 있다(예를 들어, 160 ms). 또한, 또 다른 40 ms까지, 비컨들이 다음의 F-PCH 슬롯의 시작 전까지 하나의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 스위칭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설계는 도 10에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6개의 연속적인 F-PCH 슬롯들 중에서 단지 2개만이 각각의 주파수 상에서 일 비컨으로 커버됨이 보장됨을 주목한다. 그리하여, 액세스 단말이 펨토 셀 커버리지로 진입할 때, 액세스 단말은 시간 간격 [0, 3*(슬롯 사이클 길이)] 초 내에서 비컨을 검출하도록 예상될 수 있다.
추가로 액세스 단말들의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기 위해, 소정의 시스템들은 긴급 페이징 채널(quick paging channel)(예를 들어, F-QPCH)을 이용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이 F-QP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때, 액세스 단말들은 F-QPCH 상에서 페이징 표시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들의 할당된 F-PCH에 앞서(예를 들어, 100 ms 앞서) 웨이크-업한다. 유휴 모드 핸드오프에서, 만약 액세스 단말이 현재 캠핑되는 섹터보다 더 강한(예를 들어, 정의된 마진(margin)만큼) 새로운 섹터를 검출한다면, 액세스 단말은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새로운 셀(예를 들어, 섹터) 상에서 F-PCH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경우에, 매 6개의 연속적인 F-PCH 슬롯들 중에서 단지 하나만이 각각의 주파수 상에서 일 비컨으로 커버됨이 보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액세스 단말이 펨토 셀 커버리지 내로 진입할 때, 액세스 단말은 시간 간격 [0, 6*(슬롯 사이클 길이)] 초 내에서 비컨을 검출하도록 예상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에 의해 펨토 셀을 검출함에 있어서의 지연은 더 많은 주파수들이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이 펨토 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액세스 단말이 F-QPCH에 대해 구성되지 않을 때, 비컨을 검출함에 있어 최대 지연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식 1
액세스 단말이 F-QPCH에 대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최대 지연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식 2
일부 양상들에서, 식 1 및 식 2에 기술된 최대 지연들은 비컨 송신 파형 시간라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연들을 기술한다. 액세스 단말이 비컨을 검출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전력으로 상기 비컨이 송신됨을 가정한다. 만약 비컨 전력이 적절하지 않다면, 액세스 단말은 비컨을 검출할 수 없고, 지연은 무한할 수 있다.
도 11a의 표는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BTD의 값들 및 상이한 개수들의 캐리어 주파수들에 대하여 펨토 셀 커버리지 내 펨토 사용자들에 대한 펨토 셀을 검출함에 있어서의 샘플 최대 지연을 보여준다. 펨토 셀 커버리지 내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서비스 중단 지속기간(BTD와 동등함) 및 이러한 중단의 주기가 또한 도시된다. 예를 들어, BTD = 200 ms이고 2개의 주파수들이 존재할 때, 도 11a는 "강한" 펨토 셀 커버리지 내 메크로 셀 액세스 단말이 매 480 ms마다 200 ms의 서비스 중단을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음성 호를 수행하는 액세스 단말에 대하여, 이러한 중단은 DL 음성 품질 상에 인지가능한 음성 아티팩트(artifact)를 야기할 수 있다. BTD가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 중단들의 주기 및 지속기간 양자 모두가 증가한다. 추가로, 만약 DL 상의 서비스 중단(연속적인 프레임 소거들)이 240 ms를 초과하면, 액세스 단말은 2개의 양호한 프레임들이 DL 상에서 수신될 때까지 자신의 RL 송신을 중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잠재적으로 RL 음성 품질 상의 추가적인 아티팩트를 야기한다.
도 11b의 표는 액세스 단말들이 긴급 페이징 채널에 대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도 11a와 유사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경우에, 펨토 셀을 획득함에 있어서의 지연은 더 증가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라, 비컨 송신 파라미터들은 획득 지연 및 간섭 간의 허용가능한 트레이드오프를 제공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TD는 상기 시스템 내 캐리어들의 총 개수 및 펨토 셀 획득을 위한 목적하는 최대 지연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BTD에 부가하여, 고려할 또 다른 파라미터는 비컨 채널들을 위해 사용된 송신 전력이다. 더 큰 송신 전력은 펨토 셀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비컨 커버리지를 개선하나, 펨토 셀들과 연관되도록 허용되지 않는(예를 들어, 제한된 연관으로 인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됨)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중단 범위를 증가시킨다.
표 1은 펨토 비컨들로 인하여 서비스 중단을 경험하는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들의 비율 및 (예를 들어, 펨토 셀 F-PICH 송신 전력을 기준으로) 비컨 F-CPICH 송신 전력의 상이한 값들에 대한 사용자의 가정에 있는 펨토 셀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커버리지의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0 dB 전력 오프셋에서(예를 들어, 펨토 셀 동작 주파수 상의 펨토 셀 제어 채널들과 동일한 전력에서 송신되는 비컨 채널들), 상기 시스템 내 5.5%의 매크로 셀 사용자들이 서비스 중단을 경험할 수 있는 반면, 가정의 91.8%가 상기 비컨에 의해 커버될 수 있음이 나타난다. 만약 비컨 송신 전력이 20 dB만큼 감소한다면, 서비스 중단이 감소되고(1%) 홈 커버리지 또한 감소된다(63.9%).
비컨 F-CPICH 전력 오프셋 0 dB -3 dB -6 dB -10 dB -20 dB
중단된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들의 비율 5.5% 3.8% 2.7% 2.2% 1.0%
펨토 셀 커버리지 내 홈 액세스 단말들의 비율 91.8% 90.6% 87.0% 82.9% 63.9%
만약 비컨 전력이 너무 많이 감소한다면, 가정에서의 펨토 셀 사용자는 결코 펨토 셀을 획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펨토 셀을 획득하기 위해 펨토가 상주하는 실내로 걸어와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컨 송신 전력은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계층형 비컨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비컨 송신을 위한 고 전력 스케줄 및 저 전력 스케줄을 조정하기 위한 2가지 샘플 설계들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소정 양상들에서, 이러한 설계들은 도 12의 흐름도에서 기술된 일반화된 동작들을 수반할 수 있다.
블록(1202)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매크로 채널(들) 상에서 액세스 단말들(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에 대한 중단의 허용가능한 레벨이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중단의 범위는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해 펨토에 의해 사용된 전력 레벨에 의존한다. 그리하여,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중단은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이 펨토에 의한 비컨들의 송신의 결과로서 견딜 수 있는 간섭의 허용가능한 레벨을 나타낸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이러한 중단 정보는 표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중단에 있는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들의 퍼센티지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블록(1204)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펨토 비컨들에 대한 커버리지의 허용가능한 레벨이 결정된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경로 손실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서 비컨들의 신뢰성 있는 디코딩에 기초한 커버리지). 소정의 구현들에서, 이러한 커버리지 정보는 표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펨토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홈 액세스 단말들의 퍼센티지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블록(1206)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그 다음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 전력 레벨들 및 시간 기간들이 결정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설계들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블록(1202)에서 결정된 허용가능한 중단, 블록(1204)에서 결정된 허용가능한 커버리지, 채택된 캐리어들의 개수, 및 슬롯 사이클의 길이에 기초할 수 있다.
전술한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108)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다른 엔티티의 동작에 의해, 또는 이들의 소정 조합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소정의 경우들에서, 이러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러한 동작들 중 일부는 액세스 포인트(108)(예를 들어, 비컨 제어기(4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정 경우들에서, 블록들(1202 및 1204) 또는 블록(1206)의 결정들은 단순히 데이터 메모리 안으로 다운로딩된 파라미터들을 판독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첫 번째 샘플 설계는 다-단계 프로세스의 사용을 통해 식 1 및 식 2에서 앞서 논의한 Max_Delay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이한 전력 레벨들에 대해 BTD를 설정하는 것을 수반한다. 단계 1에서, 비컨 송신 전력은 N1*Max_Delay의 기간 동안 P1으로 설정된다. 단계 2에서, 비컨 송신 전력은 N2*Max_Delay의 기간 동안 P2로 설정된다. 단계 k에서, 비컨 송신 전력은 Nk*Max_Delay의 기간 동안 Pk로 설정된다. 단계 k+1에서, 상기 프로세스는 단계 1로 되돌아간다.
일 예로서, 2개의 주파수 및 BTD = 440 ms를 갖고 아무런 F-QPCH도 갖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자. 이러한 경우에 대해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Max_Delay는 12.3 초와 같고, 서비스 중단 지속기간은 0.44 초이며, 중단 주기는 0.96 초이다. 전술한 알고리즘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고(예를 들어,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가정한다: k = 2, P1 = -20 dB(오프셋), N1 = 10, P2 = 0 dB(오프셋), 및 N2 = 1.
이러한 경우에, 비컨은 10*12.3 = 123 초 지속기간 동안 -20 dB 전력 오프셋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시간 기간 동안,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들의 단지 1%만이 서비스 중단을 경험할 것이다. 그러나, 가정 위치들의 단지 63.9%만이 상기 비컨으로 커버될 것이다(표 1에 기초하여). 이러한 경우에, 만약 사용자가 가정으로 들어온다면, 사용자의 액세스 단말은 펨토 셀을 검출할 합리적인 기회를 갖는다. 만약 사용자가 집의 불운한 위치에 정지하여야 하는 일이 발생한다면, 최대 123 + 12.3 = 135.3 초 이후에, 사용자의 액세스 단말은 펨토 셀을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91.3%). 일단 사용자의 액세스 단말이 펨토 셀을 획득한다면, 액세스 단말은 사용자에 대해 커버리지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펨토 셀 캐리어 주파수(예를 들어, 펨토 채널) 상에 놓일 수 있다(P2는 0 dB 전력 오프셋, 즉, 펨토 셀 동작 주파수 송신 전력과 동일한 전력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5.5%의 매크로 셀 액세스 단말들은 커버리지 중단을 경험할 것이나, 단지 간헐적으로(매 135.3 초 시간 간격에서 12.3 초 동안) 경험할 것이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정적인 파라미터들로서 아니면 펨토에 의해 자율적으로 현장 측정들에 기초하여 더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설정들 등을 조정함으로써 핑(ping) 효과들이 감소될 수 있다(예를 들어, 최소화될 수 있다).
두 번째 샘플 설계는 비컨에 대해 단지 2개의 전력 레벨 오프셋들만이, 즉, 오프셋 0 dB을 가진 고 전력 비컨 송신 및 오프셋 -20 dB를 가진 더 낮은 전력 비컨 송신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스케줄이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를 기술한다. 슬롯 사이클 당 S개의 페이징 슬롯들이 존재한다. 그리하여, 상기 슬롯들은 0, 1,...S-1(모듈로(modulo) S)로 번호가 매겨진다. 비컨들이 송신되는 F개의 매크로 채널들이 존재한다: f = 0, 1, ..., F-1.
음성 채널 인터럽션 및 임의의 주파수 채널 상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대 버스트 길이 또는 BTD는 M개의 페이징 슬롯들(플러스 소정의 부가적인 오버행(overhang))으로 제한되고, 고 전력 버스트는 임의의 주파수 채널 상의 N개의 슬롯 사이클들 또는 N×S 페이징 슬롯들보다 더 빈번히 나타나지 않는다. 즉, 저하는 매 N×M 슬롯들 또는 N 슬롯 사이클들마다 M+1 슬롯들 미만으로 제한된다.
연속적인 슬롯 사이클들은 k = 0, 1, 2, 3 등에 의해 표시된다. 그리하여, 고 전력 버스트는 k 모듈로(modulo) N = 0이 되도록 슬롯 사이클 k에서 발생한다. k 모듈로 N = 0이 되도록 하는 슬롯 사이클 k에서, 고 전력 비컨은 각각의 채널 상의 m개의 페이징 슬롯들 플러스 사전송신의 오버행의 일 슬롯 상에서 송신하는 F개의 매크로 주파수 채널들의 세트를 통해 홉핑한다. 이것은 총 F(M+1)개의 슬롯들을 점유한다. 그 다음 비컨은 해당 슬롯 사이클의 나머지 및 다음의 N-1 슬롯 사이클들 동안 저 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 저 전력 모드 동안에, 비컨은 BTD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대로 채널들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들이 주어지면, 이하의 스케줄이 고 전력 비컨 송신에 대해 제안될 수 있다: 슬롯 사이클 0에 대해, f(m+1), f(m+1)+1,..., f(m+1)+m-1이 슬롯 사이클 0에서 주파수 f 상에서 고 전력 비컨이 송신되는 슬롯들이 되게 한다; 그 다음 고 전력 비컨들을 포함하는 슬롯 사이클들에 대해, 슬롯 위치들은 이하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슬롯 사이클 k = jN, j = 0, 1, 2, ...
f(m+1) - k(2m-1),
f(m+1) - k(2m-1) + 1
....,
f(m+1) - k(2m-1) + m - 1 식 3
이러한 모든 것은 슬롯 번호들이 모듈로 S인 것이다.
대안적인 기술로서: 슬롯 사이클 k = j*N (여기서, j = 1, 2, 3...)에 대해, 슬롯들 f(m+1)-jm, f(m+1) - jm + 1, ..., f(m+1) - jm + (m-1)이 고 전력 비컨을 갖는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라 고 전력 및 저 전력 비컨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샘플 스케줄을 도시한다. 여기서, 고 전력 버스트들의 BTD는 m개의 슬롯들일 수 있다. 인터럽션을 매 NS개의 슬롯들 중에서 m+1 이하의 페이징 슬롯들로 제한하면서, 모든 페이징 슬롯들이 커버된다. 도 13은 또한 비컨 송신 시간 기간들이 어떻게 상이한 사이클들에서 상이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상황들 하에서(예를 들어, 어떠한 액티브 또는 유휴 사용자들도 없음), 계층형 비컨 홉핑이 펨토 채널 상에서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F3 상에서의 비컨 송신은 이러한 상황들 하에서 펨토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그리하여 S개의 슬롯들의 전체 페이징 슬롯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N×S/m 슬롯 사이클들 상의 고 전력 비컨 송신들을 제공하는 한 가지 가능한 스케줄을 기술한다. 이러한 방식의 한 가지 이점은 그것이 바로 다음의 송신에서의 전체(full) 페이징 슬롯으로 하나의 고 전력 비컨 송신의 사전-송신 오버행을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도 14에 도시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m개의 슬롯들의 BTD를 가진) 슬롯 사이클 k+2의 고 전력 버스트가 이전의 고 전력 버스트(슬롯 사이클 k)의 슬롯들에 선행하는 슬롯들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은 각각의 고 전력 슬롯이 후속하여 2번 반복되어야 하는 경우로 확장될 수 있다. 이것은 액세스 단말 절차들이 액세스 단말이 새로운 PN 시퀀스를 관찰한 이후, 브로드캐스트/페이징 채널을 디코딩하기 이전에 하나의 부가적인 슬롯 사이클을 대기하도록 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앞서 언급한 표들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총 대기 시간을 두 배로 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라 고 전력 비컨이 발생하는 주파수 및 BTD 사이에서 트레이드오프하는 다른 스케줄들이 설계될 수 있다. 위 설계는 매 N개의 슬롯 사이클들에서 한 번 각각의 주파수 상에서 하나의 비컨 버스트를 송신하도록 선택한다. 이것의 단순한 확장들은 예를 들어, 슬롯 사이클 k에서 각각의 주파수 상에서 일정한 개수의 슬롯들만큼 분리된 2개의 고 전력 비컨 버스트들을 송신하는 것 및 매 2N개의 슬롯 사이클들마다 반복하는 것이다. 각각의 고 전력 비컨 송신을 BTD로 제한하기 위해, 전술한 설계는 F 주파수 채널들을 통해 순환(rotate)하는 것을 수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L개의 고 전력 비컨 버스트들은 연속하여 송신될 수 있고 매 LN개의 슬롯 사이클들마다 반복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매크로 스케일 커버리지(예를 들어, 3G 네트워크와 같은 큰 영역 셀룰러 네트워크, 전형적으로 매크로 셀 네트워크 또는 WAN으로서 지칭됨) 및 더 작은 스케일의 커버리지(예를 들어, 거주지-기반 또는 빌딩-기반 네트워크 환경, 전형적으로 LAN으로서 지칭됨)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채택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액세스 단말은 매크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일정한 위치들에서 서빙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액세스 단말은 더 작은 스케일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다른 위치들에서 서빙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더 작은 커버리지 노드들은 증분 용량 성장(incremental capacity growth), 빌딩-내 커버리지, 및 상이한 서비스들(예를 들어, 더 강건한 사용자 경험을 위한)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비교적 큰 영역에 걸쳐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매크로 노드로 지칭될 수 있는 반면, 비교적 작은 영역(예를 들어, 거주지)에 걸쳐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노드는 펨토 노드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이 다른 타입들의 커버리지 영역들과 연관된 노드들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피코 노드는 매크로 영역보다는 더 작고 펨토 영역보다는 더 큰 영역에 걸쳐 커버리지(예를 들어, 상업용 빌딩 내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다른 용어가 매크로 노드, 펨토 노드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타입 노드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노드는 액세스 노드,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eNodeB, 매크로 셀 등으로서 구성되거나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펨토 노드는 홈 노드B, 홈 eNodeB,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펨토 셀 등으로서 구성되거나 지칭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노드는 하나 이상의 셀들 또는 섹터들과 연관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분할될 수 있다). 매크로 노드, 펨토 노드, 또는 피코 노드와 연관된 셀 또는 섹터는 각각 매크로 셀, 펨토 셀, 또는 피코 셀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15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500)을 도시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500)에서 본 명세서의 교시들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500)은 다수의 셀들(1502),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1502A-1502G)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고, 각각의 셀은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1504)(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1504A-1504G)에 의해 서비스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들(1506)(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들(1506A-1506L)은 시간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전체에 걸쳐 여러 다양한 위치들에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1506)은 액세스 단말(1506)이 액티브인지 여부 및 그것이 예를 들어, 소프트 핸드오프 중인지 여부에 따라,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 상에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1504)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500)은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1502A-1502G)은 이웃에 있는 몇 블록들 또는 시골에서는 수 마일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6은 하나 이상의 펨토 노드들이 네트워크 환경 내에 배치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600)을 도시한다. 특히, 상기 시스템(1600)은 비교적 작은 스케일의 네트워크 환경(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거주지들(1630))에 설치된 다수의 펨토 노드들(1610))(예를 들어, 펨토 노드들(1610A 및 1610B)을 포함한다. 각각의 펨토 노드(1610)는 DSL 라우터, 케이블 모뎀, 무선 링크 또는 다른 접속 수단(미도시)을 통해 광역 네트워크(1640)(예를 들어, 인터넷) 및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6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펨토 노드(1610)는 연관된 액세스 단말들(162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620A)), 및 선택적으로 다른(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또는 이종의(alien)) 액세스 단말들(162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620B))을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펨토 노드들(1610)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주어진 액세스 단말(1620)은 한 세트의 지정된(예를 들어, 홈) 펨토 노드(들)(1610)에 의해 서빙될 수 있으나, 비지정된 펨토 노드들(1610)(예를 들어, 이웃의 펨토 노드(1610))에 의해서는 서빙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은 여러 추적 영역들(1702)(또는 라우팅 영역들 또는 위치 영역들)이 정의된 커버리지 맵(1700)의 예를 도시하고, 각각의 추적 영역은 여러 개의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7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추적 영역들(1702A, 1702B 및 1702C)과 연관된 커버리지의 영역들은 굵은 선들에 의해 윤곽이 그려지고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704)은 더 큰 육각형들에 의해 표현된다. 추적 영역들(1702)은 또한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706)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706)(예를 들어,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706B 및 1706C))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704))(예를 들어,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704A 및 1704B)) 내에 도시된다. 그러나, 소정의 또는 모든 펨토 커버리지 영역(176)이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704) 내에 놓이지 않을 수도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실제로, 다수의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706)(예를 들어,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706A 및 1706D))이 주어진 추적 영역(17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704)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피코 커버리지 영역들(미도시)이 주어진 추적 영역(17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704) 내에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펨토 노드(1610)의 소유자는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650)를 통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3G 모바일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부가하여, 액세스 단말(1620)은 매크로 환경들 및 더 작은 스케일의(예를 들어, 거주지의) 네트워크 환경들 양쪽 모두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다. 즉, 액세스 단말(162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액세스 단말(1620)은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650)과 연관된 매크로 셀 액세스 포인트(1660)에 의해 또는 한 세트의 펨토 노드들(1610)(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1630) 내에 상주하는 펨토 노드들(1610A 및 1610B))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자신의 집 밖에 있을 때, 그는 표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660))에 의해 서빙되고, 그 가입자가 집에 있을 때에는 펨토 노드(예를 들어, 노드(1610A))에 의해 서빙된다. 여기서, 펨토 노드(1610)는 레거시(legacy) 액세스 단말들(1620)과 역호환가능할 수 있다.
펨토 노드(1610)는 단일 주파수 상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특정 구성에 따라, 단일 주파수 또는 다수의 주파수들 중 하나 이상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660))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과 중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1620)은 접속이 가능할 때마다 선호되는 펨토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620)의 홈 펨토 노드)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620A)이 사용자의 거주지(1630) 내에 있을 때마다, 액세스 단말(1620A)이 단지 홈 펨토 노드(1610A 또는 1610B)와만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만약 액세스 단말(1620)이 매크로 셀룰러 네트워크(1650) 내에서 동작하지만 그것의 가장 선호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선호되는 로밍 리스트에 정의된 것) 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액세스 단말(1620)은 더 나은 시스템 재선택(Better System Reselection; BSR)을 사용하여 가장 선호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선호되는 펨토 노드(1610))를 계속하여 탐색할 수 있고, 이것은 더 나은 시스템들이 현재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용가능한 시스템들의 주기적 스캐닝, 및 그러한 선호되는 시스템들과 연관되려는 후속적인 노력들을 수반할 수 있다. 획득 엔트리로, 액세스 단말(1620)은 특정 대역 및 채널에 대한 탐색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펨토 채널들이 정의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일정 범위 내 모든 펨토 노드들(또는 모든 제한된 펨토 노드들)이 펨토 채널(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가장 선호되는 시스템에 대한 탐색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선호되는 펨토 노드(1610)의 발견 시, 액세스 단말(1620)은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캠핑하기 위한 펨토 노드(1610)를 선택한다.
펨토 노드는 일부 양상들에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펨토 노드는 단지 일정한 액세스 단말들에 일정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소위, 제한된(또는 폐쇄된) 연관을 가진 배치들에서, 주어진 액세스 단말은 단지 매크로 셀 모바일 네트워크 및 정의된 세트의 펨토 노드들(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1630) 내에 상주하는 펨토 노드들(1610))에 의해서만 서빙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일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해 시그널링, 데이터 액세스, 등록(registration), 페이징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한된 펨토 노드('폐쇄된 가입자 그룹 홈 노드B'로도 지칭될 수 있음)는 액세스 단말들의 제한된 프로비저닝(provision)된 세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펨토 노드이다. 이러한 세트는 필요에 따라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폐쇄된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CSG)은 액세스 단말들의 공통 액세스 제어 리스트를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펨토 노드들)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여러 다양한 관계들이 주어진 펨토 노드와 주어진 액세스 단말 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관점에서, 개방 펨토 노드는 어떠한 제한된 연관도 없는 펨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펨토 노드는 어떤 액세스 단말로든지 액세스를 허용함). 제한된 펨토 노드는 소정의 방식으로 제한된(예를 들어, 연관 및/또는 등록에 대해 제한된) 펨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홈 펨토 노드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하고 동작하도록 인가된 펨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영구적인 액세스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의 정의된 세트에 대해 제공됨). 게스트(guest) 펨토 노드는 액세스 단말이 일시적으로 액세스하거나 동작하도록 인가된 펨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이종의 펨토 노드는 아마도 긴급 상황들(예를 들어, 911 통화들)을 제외하고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하거나 동작하도록 인가되지 않은 펨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제한된 펨토 노드 관점에서, 홈 액세스 단말은 제한된 펨토 노드를 액세스하도록 인가된 액세스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액세스 단말은 펨토 노드로의 영구적인 액세스를 가짐). 게스트 액세스 단말은 제한된 펨토 노드(예를 들어, 기한, 사용 시간, 바이트들, 접속 횟수(connection count), 또는 소정의 다른 기준들 또는 기준에 기초하여 제한됨)로의 일시적인 액세스를 가진 액세스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이종의(alien) 액세스 단말은 아마도 예컨대, 911 통화와 같은 긴급 상황들을 제외하고는 제한된 펨토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에 대한 허가를 갖지 않는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제한된 펨토 노드에 등록하기 위한 인증서들 또는 허가를 갖지 않는 액세스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은 펨토 노드의 맥락에서 여러 다양한 기능을 기술한다. 그러나, 피코 노드 또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노드가 상이한(예를 들어,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코 노드는 제한될 수 있고, 홈 피코 노드는 주어진 액세스 단말에 대해 정의될 수 있는 등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다수의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에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시스템,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 또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시스템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다수 개(N T )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 개(N R )의 수신 안테나들을 채택한다. N T 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N R 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 S 개의 독립적인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고, 상기 독립적인 채널들은 또한 공간 채널들로서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N S ≤ min {N T , N R }이다. 상기 N S 개의 독립적인 채널들은 각각 하나의 차원에 대응한다. MIMO 시스템은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부가적인 차원들이 이용되는 경우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처리량 및/또는 더 큰 신뢰도)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를 지원할 수 있다.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은 상호주의 원칙(reciprocity principle)이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하도록 동일한 주파수 범위 상에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안테나들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용가능할 때 액세스 포인트가 순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 빔-포밍(beam-forming) 이득을 추출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18은 샘플 MIMO 시스템(1800)의 무선 디바이스(1810)(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및 무선 디바이스(185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를 도시한다. 상기 디바이스(18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8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814)로 제공된다. 그 다음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의 송신 안테나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8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또는 다른 적합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된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심볼 맵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830)에 의해 수행된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1832)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프로세서(1830) 또는 상기 디바이스(18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이용되는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1820)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TX MIMO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OFDM에 대해) 변조 심볼들을 더 프로세싱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1820)는 N T 개의 트랜시버(XCVR)들(1822A 내지 1822T)로 N T 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8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트랜시버(18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며,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더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한다. 트랜시버들(1822A 내지 1822T)로부터의 N T 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 T 개의 안테나들(1824A 내지 1824T)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디바이스(1850)에서, 송신되어 변조된 신호들은 N R 개의 안테나들(1852A 내지 18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8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트랜시버(XCVR)(1854A 내지 18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트랜시버(18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샘플들을 더 프로세싱한다.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860)는 N T 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 R 개의 트랜시버들(1854)로부터 N R 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8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8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상기 디바이스(18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8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814)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870)는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이하에서 논의). 프로세서(1870)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공식화(formulate)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1872)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프로세서(1870) 또는 상기 디바이스(185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이용되는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에 관한 여러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18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8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1880)에 의해 변조되고, 트랜시버들(1854A 내지 1854R)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다시 상기 디바이스(181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810)에서, 상기 디바이스(18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1824)에 의해 수신되고, 트랜시버들(18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DEMOD)(1840)에 의해 복조되고, 상기 디바이스(18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도록 RX 데이터 프로세서(184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프로세서(1830)는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 결정하고, 그 다음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도 18은 또한 통신 컴포넌트들이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비컨-관련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비컨 제어 컴포넌트(1890)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850)로 비컨 신호들을 전송하고 또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컨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프로세서(1830)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181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비컨 제어 컴포넌트(1892)는 또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810))로부터 비컨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프로세서(1870)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185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1810 및 1850)에 대하여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2개 이상의 기능이 단일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프로세싱 컴포넌트가 비컨 제어 컴포넌트(1890) 및 프로세서(1830)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단일 프로세싱 컴포넌트가 비컨 제어 컴포넌트(1892) 및 프로세서(1870)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여러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시스템들 및/또는 시스템 컴포넌트들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코딩, 인터리빙 등 중 하나 이상을 특정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에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이하의 기술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들에 적용될 수 있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다중-캐리어 CDMA(MCCDMA), 와이드밴드 CDMA(W-CDMA), 고속 패킷 액세스(HSPA, HSPA+) 시스템들,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FDMA(SC-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또는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을 채택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IS-95, cdma2000, IS-856, W-CDMA, TDSCDMA, 및 다른 표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또는 소정의 다른 기술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 및 로우 칩 레이트(LCR)를 포함한다. cdma2000 기술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는 진화된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 울트라-모바일 브로드밴드(UMB) 시스템, 및 다른 타입들의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LTE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이다. 비록 개시내용의 일정한 양상들이 3GPP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의 교시들이 3GPP(Re199, Re15, Re16, Re17) 기술뿐만 아니라, 3GPP2(IxRTT, 1xEV-DO RelO, RevA, RevB) 기술 및 다른 기술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여러 다양한 장치들(예를 들어, 노드들)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여러 다양한 장치들 내에서 구현되거나 여러 다양한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된 노드(예를 들어,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은 사용자 장비, 가입자 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모바일, 이동 노드,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소정의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휴대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국, 개인용 휴대 단말(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소정의 다른 적합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전화(예를 들어, 휴대 전화 또는 스마트 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용 휴대 단말),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노드B, eNode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BS), 무선 기지국(RBS),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국(BTS), 트랜시버 기능부(TF), 무선 트랜시버, 무선 라우터,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매크로 셀, 매크로 노드, 홈 eNB(HeNB), 펨토 셀, 펨토 노드, 피코 노드, 또는 소정의 다른 유사한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알려질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액세스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액세스 노드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또는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노드는 다른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이 네트워크 또는 소정의 다른 기능부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부가하여, 상기 노드들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휴대용일 수 있고, 소정의 경우들에는 비교적 비-휴대용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무선 노드가 비-무선 방식으로(예를 들어, 유선 접속을 통해)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수신기 및 송신기는 비-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적절한 통신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전기 또는 광학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임의의 적합한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임의의 적합한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양상들에서, 무선 노드는 네트워크와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여러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 프로토콜들, 또는 표준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것들(예를 들어, CDMA, TDMA, OFDM OFDMA, WiMAX, Wi-Fi 등)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거나 달리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노드는 여러 다양한 대응하는 변조 또는 멀티플렉싱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거나 달리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무선 노드는 전술한 또는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확립하고 통신하기 위해 적절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노드는 무선 매체를 통한 통신을 촉진하는 여러 다양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신호 발생기들 및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는 연관된 송신기 및 수신기 컴포넌트들을 갖는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예를 들어, 첨부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관하여)은 일부 양상들에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기능"을 위한 유사하게 지정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장치(1900)는 일련의 상호 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된다. 여기서, 전력 레벨 결정 모듈(190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비컨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시간 기간 결정 모듈(1904)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비컨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송신 모듈(1906)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송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캐리어 주파수 결정 모듈(1908)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비컨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신호 강도 결정 모듈(191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니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9의 모듈들의 기능은 본 명세서의 교시들과 일치하는 여러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모듈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블록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모듈들의 기능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예를 들어, ASIC)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의 기능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도 9의 점선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선택적이다.
"제 1", "제 2"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하는 본 명세서에서 엘리먼트에 대한임의의 언급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엘리먼트들의 양 또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지정들은 본 명세서에서 2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엘리먼트의 경우들 사이를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1 엘리먼트 및 제 2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단지 2개의 엘리먼트들만이 거기에 채택될 수 있다든지 또는 제 1 엘리먼트가 소정의 방식으로 반드시 제 2 엘리먼트를 선행하여야 한다든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부가하여,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 내 사용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여러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 전반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여러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예를 들어, 소스 코딩 또는 소정의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이 둘의 조합), 명령들을 통합하는 여러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지칭될 수 있음),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히 보여주기 위해, 여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서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한들에 따라 좌우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변화하는 방식들로 전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그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여러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집적 회로(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C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 컴포넌트들, 광학 컴포넌트들, 기계적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고, IC 내에, IC 외부에, 또는 이들 양쪽에 상주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프로세스 내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 순서 또는 서열은 샘플 접근법의 일 예임을 이해한다. 설계 선호사항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 내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서열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유지되면서 재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여러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나,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서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촉진하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한 통신 매체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비제한적 방식으로, 예를 들어,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목적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호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 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상기 동축 케이블, 광 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는 통상 데이터를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전술한 것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가 임의의 적합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서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개시된 양상들의 이전 설명은 임의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을 구성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여러 변형들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바로 자명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나타난 양상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의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46)

  1.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전력 레벨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연관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결정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시간 기간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결정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 캐리어 주파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레벨의 간섭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송신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커버리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경로 손실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서의 비컨들의 신뢰성 있는 디코딩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들 중 제 1 전력 레벨은 상기 전력 레벨들 중 제 2 전력 레벨보다 더 큰 것으로 정의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과 연관된 상기 시간 기간들 중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제 2 전력 레벨과 연관된 상기 시간 기간들 중 제 2 시간 기간보다 더 짧은 것으로 정의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에서 어떠한 호도 액티브(active)가 아님을 결정할 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펨토 채널 상에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비컨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에서 어떠한 호도 액티브가 아님을 결정할 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펨토 채널 상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 상에서 주파수 홉핑(hopping) 방식으로 비컨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알려진 웨이크-업(wake-up) 시간에 동기화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또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송신 시간들 및 캐리어 주파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통신 송신 시간들 및 캐리어 주파수들과의 충돌을 완화하도록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또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들에의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을 랜덤하게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오버헤드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및 동기화 채널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는 방법.
  17.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비컨 제어기;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제어기는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전력 레벨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연관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결정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시간 기간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결정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 캐리어 주파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레벨의 간섭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송신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커버리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경로 손실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서의 비컨들의 신뢰성 있는 디코딩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에서 어떠한 호도 액티브가 아님을 결정할 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펨토 채널 상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 상에서 주파수 홉핑 방식으로 비컨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오버헤드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및 동기화 채널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7.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전력 레벨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연관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결정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시간 기간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결정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 캐리어 주파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레벨의 간섭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송신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커버리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경로 손실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서의 비컨들의 신뢰성 있는 디코딩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에서 어떠한 호도 액티브가 아님을 결정할 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펨토 채널 상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 상에서 주파수 홉핑 방식으로 비컨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오버헤드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및 동기화 채널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7.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세트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세트를 결정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전력 레벨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연관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결정된 신호 강도의 상이한 레벨들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시간 기간들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 중의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의 결정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 캐리어 주파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레벨의 간섭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송신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허용가능한 커버리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상이한 시간 기간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의 결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경로 손실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서의 비컨들의 신뢰성 있는 디코딩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의 송신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에서 어떠한 호도 액티브가 아님을 결정할 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펨토 채널 상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 상에서 주파수 홉핑 방식으로 비컨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오버헤드 채널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비컨 신호들은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및 동기화 채널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KR1020117006498A 2008-08-20 2009-08-20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67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54808P 2008-08-20 2008-08-20
US61/090,548 2008-08-20
US12/542,294 US9119164B2 (en) 2008-08-20 2009-08-17 Generating access point beacons at different power levels
US12/542,294 2009-08-17
PCT/US2009/054544 WO2010022287A1 (en) 2008-08-20 2009-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ccess point beacons at different power leve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275A Division KR20120132639A (ko) 2008-08-20 2009-08-20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470A true KR20110063470A (ko) 2011-06-10
KR101267367B1 KR101267367B1 (ko) 2013-05-27

Family

ID=416968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498A KR101267367B1 (ko) 2008-08-20 2009-08-20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27027275A KR20120132639A (ko) 2008-08-20 2009-08-20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275A KR20120132639A (ko) 2008-08-20 2009-08-20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19164B2 (ko)
EP (1) EP2316242B1 (ko)
JP (1) JP5290420B2 (ko)
KR (2) KR101267367B1 (ko)
CN (1) CN102124790B (ko)
BR (1) BRPI0917364A2 (ko)
CA (1) CA2732680C (ko)
RU (1) RU2485723C2 (ko)
TW (1) TWI520643B (ko)
WO (1) WO2010022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599B1 (en) 2007-09-12 2011-03-08 Sprint Spectrum L.P. Call-detection algorithm for mitigating interference by low-cost internet-base-station (LCIB) pilot beacons with macro-network communications
US7974230B1 (en) * 2007-09-12 2011-07-05 Sprint Spectrum L.P. Mitigating interference by low-cost internet-base-station (LCIB) pilot beacons with macro-network communications
US8559339B1 (en) 2007-11-14 2013-10-15 Sprint Spectrum L.P. Low-cost-internet-base-station-(LCIB) user-adaptation algorithm
US8184598B1 (en) 2008-05-29 2012-05-22 Sprint Spectrum L.P. Low-cost internet-base-station (LCIB) radio-frequency (RF) adaptation using stationary transceivers
US7974653B1 (en) 2008-08-12 2011-07-05 Sprint Spectrum L.P. Manually configuring low-cost Internet-base-station (LCIB) coverage using an associated mobile station
US8634769B2 (en) * 2008-10-23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Data recep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relay communication network
US9031053B2 (en) * 2008-10-23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relay communication network
KR101555557B1 (ko) * 2008-12-29 2015-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아이들 상태 동작 방법
IN2009DE00003A (ko) * 2009-01-02 2015-08-14 Motorola Mobility Inc
US8996016B2 (en) * 2009-01-05 2015-03-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identifying user equipment to a femtocell
US8577378B2 (en) 2009-02-10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beacon-assisted handover to a home Node-B for users on an active call
HUE033078T2 (hu) 2009-02-13 2017-11-28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Vezeték nélküli hálózati csomópont energiafogyasztásának vezérlése
US8498241B1 (en) * 2009-03-10 2013-07-30 Sprint Spectrum L.P. Use of macro-network channel-list messages for selection of carriers for low-cost internet base-station frequency-hopping pilot beacons
US8165577B2 (en) * 2009-03-19 2012-04-24 Kyocera Corporation Pilot signal transmission management
US8958795B2 (en) * 2009-05-04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based access control
US8761134B2 (en) 2009-07-24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transmit power schemes
US8725192B2 (en) * 2009-07-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transmit power schemes
JP5541286B2 (ja) * 2009-08-25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69858B2 (en) * 2009-11-05 2013-02-05 Alcatel Lucent Coordinating macro-cell and private cell operation in overlay wireless networks
US9107148B1 (en) * 2009-11-30 2015-08-11 Sprint Spectrum L.P. Use of pre-handoff macro-carrier data for prioritization of carriers in femtocell frequency-hopping pilot beacons
KR101083573B1 (ko) * 2009-12-15 2011-11-14 주식회사 팬택 매크로 기지국을 이용해서 소형 기지국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및 방법
US8761060B2 (en) 2010-02-12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received access terminal messages
US8958838B2 (en) 2010-02-12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age transmit power control scheme for access point
US9084208B2 (en) * 2010-02-15 2015-07-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ergy-efficient network methods and apparatus
US8849337B2 (en) 2010-02-22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event-triggered access terminal messaging
US8903448B2 (en) 2010-02-22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access terminal ranking
US20110235582A1 (en) * 2010-03-25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9220075B2 (en) 2010-05-07 2015-12-2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transmission pattern
US20110310858A1 (en) * 2010-06-16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JP5388366B2 (ja) * 2010-06-21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干渉低減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416609A1 (en) * 2010-08-02 2012-02-08 Alcatel Lucent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method of switching a small cell base station between an active state and a dormant state
US20120309394A1 (en) 2010-09-16 2012-12-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in to a femto node
US9137713B2 (en) 2010-09-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hand-in to a femto node
US9497714B2 (en) 2010-09-24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network of access points
US9301265B2 (en) 2010-09-24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transmit power control
US9451480B2 (en) 2010-09-28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96732B2 (ja) * 2010-11-05 2012-08-08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探索方法
EP2456267A1 (en) * 2010-11-19 2012-05-23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ignals transferred by at least one home base station
WO2012072722A1 (en) * 2010-12-01 2012-06-0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of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717987B2 (en) 2011-01-18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Femtocell beacon interference mitigation with out-of-band links
JP5694794B2 (ja) * 2011-01-27 2015-04-01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US8792532B2 (en) 2011-02-01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Time-shared and concurrent multi-protocol beacon transmission design
US8804670B1 (en) 2011-02-17 2014-08-1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inter-frequency handoff
US8675605B2 (en) 2011-06-02 2014-03-18 Broadcom Corporation Frequency hopping in license-exempt/shared bands
GB2486926B (en) * 2011-06-02 2013-10-23 Renesas Mobile Corp Frequency hopping in license-exempt/shared bands
CN106162826A (zh) * 2011-07-01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设备及系统
WO2013022826A1 (en) * 2011-08-05 2013-02-14 Research In Motion Rf,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 tuning in a communication device
US20130189939A1 (en) * 2012-01-19 2013-07-25 Htc Corporation Layered beac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WO2013119161A1 (en) * 2012-02-07 2013-08-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308990B1 (ko) 2012-02-29 2013-09-16 (주) 기산텔레콤 무선랜에서의 프린지 문제 해결을 위한 무선 접속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9288680B2 (en) * 2012-03-22 2016-03-15 Alcatel Lucent Almost blank subframe duty cycle adapt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US8548097B1 (en) * 2012-06-20 2013-10-01 MagnaCom Ltd. Coarse phase estimation for highly-spectrally-efficient communications
GB2508864B (en) * 2012-12-13 2015-04-22 Ip Access Ltd Network e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8755802B1 (en) * 2012-12-26 2014-06-17 SpiderCloud Wirelss, Inc. UMTS reselection performance in small cell systems
US10111104B2 (en) * 2012-12-26 2018-10-23 Lg Elect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sub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271298B1 (en) 2013-03-14 2016-02-23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figuring femtocell pilot beacon based on macro-network loading
US8989758B1 (en) * 2013-03-14 2015-03-24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figuring femtocell pilot beacon based on application usage at femtocell
JP6290554B2 (ja) * 2013-08-02 2018-03-07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026110B1 (en) 2013-08-29 2015-05-05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macro coverage to manage femtocell registrations, so as to avoid signaling overload
FR3015170B1 (fr) * 2013-12-16 2018-01-12 Sagemcom Broadband Sas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comportant des moyens d'association d'un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avec une station de radiocommunication, station et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d'un tel systeme et procede d'association.
US20160234807A1 (en) * 2013-12-19 2016-08-11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rescheduling beacon transmissions
CN103957610B (zh) * 2014-04-23 2018-03-06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一种通讯装置与终端的通信方法和通讯装置
CN105338588A (zh) * 2014-07-01 2016-02-17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调整接入点发射功率的方法及装置
US10142996B2 (en) * 2015-07-03 2018-11-27 Nokia Technologies Oy Sensitivity tuning in wireless networks
US10334633B2 (en) * 2016-01-07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Narrow 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frequency hopping patterns and detection schemes
US10091786B2 (en) * 2016-02-19 2018-10-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deband beacon channel for frequency hopping systems
EP3434054A4 (en) * 2016-03-23 2019-05-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SEUDO-RANDOM PLANNING IN WIRELESS NETWORKS
US10630404B2 (en) * 2018-01-12 2020-04-21 Mediatek Inc.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measurement with uplink interference handling
CN110582108B (zh) * 2018-06-11 2022-08-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网络的控制方法、网络设备和存储介质
US11039373B2 (en) * 2019-08-21 2021-06-1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and method to implement scan on wireless composite device
CN111093165B (zh) * 2019-11-18 2022-03-11 郑州大学体育学院 基于大数据的收集体育运动监测数据的方法及系统
CN114980283A (zh) * 2021-02-22 2022-08-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状态的切换方法及装置、信标信号的发送及装置
US20230092664A1 (en) * 2021-09-22 2023-03-2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s for leaky-wave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615A (en) * 1990-10-05 1992-07-28 Motorola, Inc. Frequency agile tdma communications system
US5513210A (en) * 1994-12-05 1996-04-30 Motorola, Inc. Method for controlling channel access priorities in a frequency hopping local area network
US5530918A (en) * 1994-12-05 1996-06-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scheduling in a multi-site dat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940768A (en) * 1996-11-25 1999-08-17 Motorola, Inc. Infrastructure transceiver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based on RF operating circumstances
FR2771585B1 (fr) * 1997-11-24 2000-01-28 Nortel Matra Cellular Station de base privee pour radiotelephone mobile
US6219528B1 (en) * 1998-06-29 2001-04-17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ynamic power control with adaptive reference level
US6717926B1 (en) * 1999-09-13 2004-04-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by which to transmit beacon signal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535747B1 (en) * 1999-12-23 2003-03-18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verage and interference prediction and tradeoff
AU2002359543A1 (en) 2001-11-29 2003-06-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s during cell search
KR101103195B1 (ko) * 2003-02-24 2012-01-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섹터 셀들내에 사용하기 위한 파일롯 신호들
US7218948B2 (en) * 2003-02-24 2007-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transmitting pilot tones in a multi-sector cell, including null pilot tone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US9544860B2 (en) * 2003-02-2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s for use in multi-sector cells
US7231221B2 (en) * 2003-09-12 2007-06-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hannel access methods and apparatus in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092353B2 (en) * 2003-10-17 2006-08-15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arch methods and apparatus
UA89172C2 (ru) * 2003-10-17 2010-01-11 Квелко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иска несущей частоты
WO2005076543A1 (en) 2004-02-06 2005-08-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eaconing protocol for ad-hoc networks
PL1730891T3 (pl) 2004-03-24 2010-11-30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Rozproszone okresy sygnalizacji nawigacyjnej dla sieci ad-hoc
JP4302578B2 (ja) * 2004-06-01 2009-07-2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7385953B2 (en) * 2004-10-26 2008-06-10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beac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773944B2 (en) * 2005-06-06 2010-08-10 Autocell Laboratories, Inc. RF domains
US7643852B2 (en) * 2006-01-17 2010-01-05 Noll John R Method to calibrate RF paths of an FHOP adaptive base station
JP2007235201A (ja) 2006-02-27 2007-09-13 Toshiba Corp 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170546B2 (en) 2006-03-22 2012-05-01 Broadcom Corporation Client device characterization of other client device transmissions and reporting of signal qualities to access point(s)
US7864742B2 (en) 2006-03-22 2011-01-04 Broadcom Corporation Cell network using friendly relay communication exchanges
US20080056201A1 (en) 2006-03-22 2008-03-06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Interference parameter reporting from client devices to access point for use in modifying wireless operations
JP4673778B2 (ja) * 2006-03-23 2011-04-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方法
JPWO2008004299A1 (ja) 2006-07-06 2009-12-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US7899018B2 (en) * 2006-09-21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resignation from ad hoc network
EP2078433A1 (en) * 2006-10-20 2009-07-15 Sonus Networks, Inc. Separating signaling portions in a unified wirelin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U2433551C2 (ru) * 2006-11-06 2011-11-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Поиск сот на основе маяк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7729454B2 (en) * 2006-11-30 2010-06-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phase variation detec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9497642B2 (en) 2007-06-29 2016-11-15 Alcatel Lucent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a home base station router
US8811891B2 (en) * 2007-06-29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ransmit power of a compact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30847B1 (en) * 2007-07-23 2010-11-09 Sprint Spectrum L.P. Multi-carrier capacity increase in low-cost internet base station (LCIB) systems by logical grouping of base stations
US8121089B2 (en) * 2007-08-22 2012-02-21 Cellco Partnership Femto-BTS RF access mechanism
US7974230B1 (en) * 2007-09-12 2011-07-05 Sprint Spectrum L.P. Mitigating interference by low-cost internet-base-station (LCIB) pilot beacons with macro-network communications
US20090111499A1 (en) * 2007-10-24 2009-04-30 Peter Bosch Method of modifying pilot power for a home base station router based on user demand
US8626223B2 (en) * 2008-05-07 2014-01-07 At&T Mobility Ii Llc Femto cell signaling gating
US8351920B2 (en) * 2008-08-29 2013-01-08 Spidercloud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femtocell management
US8682331B2 (en) 2009-02-10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beacon transmission
US8280383B2 (en) * 2009-10-21 2012-10-02 At&T Mobility Ii Llc Femto jamming of macro pilot
US8761060B2 (en) * 2010-02-12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received access terminal messages
US8958838B2 (en) * 2010-02-12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age transmit power control scheme for access point
US8903448B2 (en) * 2010-02-22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access terminal ranking
US8849337B2 (en) * 2010-02-22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event-triggered access terminal messaging
US9220075B2 (en) 2010-05-07 2015-12-2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transmission pattern
US9497714B2 (en) * 2010-09-24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network of access p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01104A (ja) 2012-01-12
JP5290420B2 (ja) 2013-09-18
EP2316242A1 (en) 2011-05-04
CN102124790A (zh) 2011-07-13
KR101267367B1 (ko) 2013-05-27
WO2010022287A1 (en) 2010-02-25
US20100048212A1 (en) 2010-02-25
EP2316242B1 (en) 2017-06-14
BRPI0917364A2 (pt) 2015-11-17
CN102124790B (zh) 2014-09-17
US9119164B2 (en) 2015-08-25
RU2011110500A (ru) 2012-09-27
CA2732680A1 (en) 2010-02-25
TWI520643B (zh) 2016-02-01
KR20120132639A (ko) 2012-12-06
CA2732680C (en) 2016-11-29
RU2485723C2 (ru) 2013-06-20
TW201014407A (en)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367B1 (ko)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액세스 포인트 비컨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38238B2 (en) Restricting access point transmissions
US8725192B2 (en) Beacon transmit power schemes
US9137806B2 (en)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time reuse
US9713011B2 (en) Managing radar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 that uses frequency-division duplexing
US20090182871A1 (en) Backup pag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090081970A1 (en)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US8761134B2 (en) Access point transmit power schemes
US8483690B2 (en) Transmitting substitute reselection parameters
CA2699015A1 (en)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US9220075B2 (en) Signal transmission pat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