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660A -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660A
KR20110061660A KR1020090118120A KR20090118120A KR20110061660A KR 20110061660 A KR20110061660 A KR 20110061660A KR 1020090118120 A KR1020090118120 A KR 1020090118120A KR 20090118120 A KR20090118120 A KR 20090118120A KR 20110061660 A KR20110061660 A KR 20110061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rotation shaft
coupled
cent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09011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660A/ko
Publication of KR20110061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fluid-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2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유해공기를 외부를 방출시키도록 배기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특히 축회전되는 팬이 커다란 면적의 대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한 바람에 의하여도 쉽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항상 실내의 유해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주택의 배기구에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장치에 있어서, 주택의 배기구와 결합되는 배기바디; 배기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다수의 팬이 구비된 배기부재; 배기바디의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배기부재의 회전중심이 되는 배기회전축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배기부재는 배기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대면적팬이 구비되어지되, 다수의 대면적팬은 배기장치 외부의 상하로 가려지도록 대면적을 이루어 불어오는 바람에 쉽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 대면적, 주택, 실내공기, 팬

Description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EXHAUST APPARATUS WITH WIDE SIZE FAN}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유해공기를 외부를 방출시키도록 배기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특히 축회전되는 팬이 커다란 면적의 대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한 바람에 의하여도 쉽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항상 실내의 유해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 건물은 실내 장식 및 인테리어를 위하여, 다양한 벽지, 페인트 등이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벽지, 페인트에는 각종 유해 화학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이들 유해 화학물질이 공기중으로 확산되면서 신축 건물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가구나 쇼파 등, 많은 인테리어 실내 장식품들도 제조과정시 유해 화학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축 건물에는 다량의 유해물질이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나 공기청정제가 사용되거나 또는 유해물질이 덜 나오는 소재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공기청정기의 경우 전기소모가 되고, 공기청정제의 경우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이며, 또한 유해물질이 덜 나오는 소재를 이용한다 하여도 어느 정도의 오염물질의 방출은 어쩔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항상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도 실내의 유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부재의 구성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의 유해공기를 외부를 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기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특히 축회전되는 팬이 커다란 면적의 대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한 바람에 의하여도 쉽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항상 실내의 유해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별도의 체결을 위한 도구나 소재가 필요없이 손쉽게 설치 및 가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회전부재의 상부 중앙이 회전축중심을 이루면서 무게중심도 이루도록 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오래도록 손상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대면적팬이 배기장치의 대부분의 외측을 이루어 약한 바람에 의하더라도 쉽게 회전되어 실내공기의 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커다란 대면적으로 이루어진 팬의 중앙을 둘러지도록 하여 수평중앙띠부가 형성되어, 쉽게 손상되지 않고 장기간 변형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는, 주택의 배기구에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장치에 있어서, 주택의 배기구와 결합되는 배기바디(11); 상기 배기바디(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고, 외부로 다수의 팬이 구비된 배기부재(20); 상기 배기바디(11)의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부재(20)의 회전중심이 되는 배기회전축(30)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기부재(20)는 배기중앙부(21)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대면적팬(22)이 구비되어지되, 다수의 상기 대면적팬(22)은 배기장치 외부의 상하로 가려지도록 대면적을 이루어 불어오는 바람에 쉽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배기부재(20)의 중앙 외측으로는 다수의 대면적팬(22)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평중앙띠부(23)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부재(20)의 상부 중앙의 결합홈(24)에는 뚜껑캡(25)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부재(20)의 결합홈(24) 내에 형성된 체결플렛(26)의 체결홈(27)에 상기 배기회전축(30)이 결합되고, 상기 배기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체결플렛(26)의 상부 또는 하부에 회동베어링(31)이 결합되며, 상기 배기회전축(31)의 상측에 형성된 원주핀홈(32)에는 결합스냅링(33)이 체결되어 배기회전축(30)과 배기부재(20)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기바디(11)는, 상측이 상기 배기부재(20)의 체결플랫(26) 아래측으로 위치되고, 하측이 상기 배기회전축(30)의 아래에 돌출되어 형성된 축헤드부(34)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배기회전축(30)이 상기 배기부재(20)에 회동가능 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배기회전축(30)에 의하여 배기부재(20)와 배기바디(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기바디(11)의 저부에는 원판날개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배기부재(20)의 저부를 가리도록 하며, 상기 배기바디(11)는 주택의 배기구에 결합되는 배기구결합파이프(13)의 외주면이 둘러지도록 결합러버(14)가 구비되어, 주택의 배기구와 배기구결합파이프(13)가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내의 유해공기를 외부를 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기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특히 축회전되는 팬이 커다란 면적의 대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한 바람에 의하여도 쉽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항상 실내의 유해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별도의 체결을 위한 도구나 소재가 필요없이 손쉽게 설치 및 가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회전부재의 상부 중앙이 회전축중심을 이루면서 무게중심도 이루도록 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오래도록 손상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대면적팬이 배기장치의 대부분의 외측을 이루어 약한 바람에 의하더라도 쉽게 회전되어 실내공기의 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커다란 대면적으로 이루어진 팬의 중앙을 둘러지도록 하여 수평중앙띠부가 형성되어, 쉽게 손상 되지 않고 장기간 변형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분해 측단면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결합 실시예시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1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의 배기구(미도시됨)에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장치(10)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배기장치(10)에 의하여, 신축된 주택 내의 유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신축된 주택 내부에는 페인트, 시멘트, 벽지의 접착제, 가구나 쇼파 등으로부터 나오는 유해성 성분이 실내공기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축된 주택의 실내공기를 항상 원활히 배기되도록 하여야 쾌적한 생활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 주택의 경우에도 생활하면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 등이 포함된 실내공기도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에 의하여 외부로 원활이 배출되도록 하여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주택의 배 기구(미도시됨)와 결합되는 배기바디(11)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바디(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다수의 팬이 구비된 배기부재(20)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바디(11)의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부재(20)의 회전중심이 되는 배기회전축(30)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배기부재(20)는 배기중앙부(21)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대면적팬(22)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상기 대면적팬(22)은 배기장치 외부의 상하로 가려지도록 대면적을 이루어 불어오는 바람에 쉽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주요 특징인 것이다.
이에 대면적팬(22)이 커다란 면적으로 형성되어, 배기장치(10) 전체적으로 둘러지도록 형성되었기에, 불어오는 바람의 세기가 약하더라도 쉽게 배기장치(1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약한 바람이 불어도 쉽게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회전되는 배기장치(10)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배기부재(20)의 중앙 외측으로는 다수의 대면적팬(22)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평중앙띠부(23)가 마련되어 있어, 비교적 커다란 면적으로 형성된 대면적팬(22)이 강한 바람에 휘거나, 외부 물체가 날아와 부딪히더라도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재(20)의 상부 중앙의 결합홈(24)에는 뚜껑캡(25)이 결합 되어 있어, 배기장치(10)의 수리, 교체 등 작업이 필요할 때 뚜껑캡(25)을 분리하여 쉽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캡(25)의 아래 결착부분에는 결착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배기장치(10)에는, 상기 배기부재(20)의 결합홈(24) 내에 형성된 체결플렛(26)의 체결홈(27)에 상기 배기회전축(30)이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체결플렛(26)과 체결홈(27) 등은 배기장치(10)의 배기부재(20)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 것이고, 이러한 체결플렛(26), 체결홈(27) 등과 배기회전축(30)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배기부재(20)의 무게도 배기회전축(30)으로 전달되게 된다. 즉 배기회전축(30)이 회전축의 축중심과 함께 무게중심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배기회전축(30)에 의하여 배기부재(20)의 무게중심과 회전 지지부분이 배기부재(20)의 상부측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중앙무게회전축중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배기부재(20)가 고속으로 회전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회전축중심 및 무게중심이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체결플렛(26)의 상부 또는 하부에 회동베어링(31)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기회전축(30)에 대하여 배기부재(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회전축(31)의 상측에 형성된 원주핀홈(32)에는 결합스냅링(33)이 체결되어 배기회전축(30)과 배기부재(2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시 뚜껑캡(25)을 결합하기 전에 배기회전축(30)에 배기바디(11)와 배기부재(20)를 결합시킨 후, 결합홈(24)으로 나온 배기회전축(30)의 원주핀홈(32)에 결합스냅링(33)을 끼워, 배기회전축(30)에 대하여 배기바디(11) 및 배기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뚜껑캡(25)을 결합홈(24)에 결합시켜 조립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배기바디(11)는, 상측이 상기 배기부재(20)의 체결플랫(26) 아래측으로 위치되고, 하측이 상기 배기회전축(30)의 아래에 돌출되어 형성된 축헤드부(34)에 걸려지도록 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기회전축(30)이 상기 배기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배기회전축(30)에 의하여 배기부재(20)와 배기바디(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바디(11)의 저부에는 원판날개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배기부재(20)의 저부를 가리도록 하며, 상기 배기바디(11)는 주택의 배기구(미도시됨)에 결합되는 배기구결합파이프(13)의 외주면이 둘러지도록 결합러버(14)가 구비되어, 주택의 배기구와 배기구결합파이프(13)가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택의 배기구(미도시됨)에 배기바디(11)의 배기구결합파이프(13), 결합러버(14) 등이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의 배기장치(10)가 고정되도록 하고, 이후 배기바디(11)의 중심으로 배기회전축(30)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기회전축(30) 및 배기바디(11)가 중앙으로 위치되도록 배기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바디(11)는 상부로 수직된 파이프 형상의 바디수직파이프(15)가 마련되어 내부에 배기회전축(30)이 삽입결합되며, 아래의 원판날개부(12)가 옆으로 넓게 펼쳐진 것이다. 그리고 원판날개부(12)의 상면에는 수직되게 다수의 바디수직날개(16)가 형성되는 것으로, 바디수직날개(16)의 상부가 바디수직파이프(15)에 연결된다. 특히 바디수직파이프(15)와 원판날개부(12) 사이의 바디수직날개(16)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에는 바디통공(17)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배기바디(11)의 중앙으로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바디통공(17)을 통하여 바디수직날개(16) 옆을 지나면서 배기부재(20) 측으로 흐르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로써 주택의 배기구(미도시됨)를 중심으로 하여 배기부재(20)가 회전되면서 배기구(미도시됨) 상부가 저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배기구(미도시됨)와 연결된 실내공기가 비교적 저압을 이루는 배기구(미도시됨)의 상부로 빠지게 되어, 결국 주택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팬(22)이 구비된 배기장치(1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의 분해도가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상부로 다수의 대면적팬(22)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기부재(20)가 마련되고, 중앙으로 주택의 배기구(미도시됨)와 결합되는 배기바디(11), 그리고 아래로는 배 기부재(20)의 회전축이 되도록 배기바디(11)의 중앙으로 결합되는 배기회전축(30)이 도시된 것이다. 물론 상부로부터 이들과 결합되는 뚜껑캡(25), 결합스냅링(33), 회동베이링(31), 결합러버(14) 등도 함께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도 5에서와 같이, 배기바디(11)의 중앙으로 배기회전축(30)을 삽입시켜, 축헤드부(34)가 배기바디(11)의 중앙홈에 걸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와 같이 배기바디(11)의 상부로, 배기부재(20)를 결합시킴에 따라 배기부재(20)의 체결플랫(26)의 체결홈(27)에 배기회전축(30)이 지나도록 결합시킨다. 물론 배기바디(11)와 배기부재(20) 사이로 회동베이링(31)이 위치되도록, 회동베어링(31)도 배기회전축(3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체결플랫(26)의 체결홈(27)에 결합된 배기회전축(30)은 그 상부의 결합홈(24)으로 배기회전축(30) 상부가 튀어나온 상태가 되고, 이러한 배기회전축(30) 상부로 와샤 또는 추가 베어링이 더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회전축(30)에 형성된 원주핀홈(32)에 결합스냅링(33)이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배기장치(20)는 배기회전축(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배기부재(20) 상부의 결합홈(24)에 뚜껑캡(25)을 결합시킨 후, 배기바디(11)의 배기구결합파이프(13)에 결합러버(14)를 결합시킨 후, 이러한 배기구결합파이프(13)를 주택의 배기구(미도시됨)에 끼움 결합시키면 본 발명에 다른 배기장치(10)의 조립 및 결합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일부의 결합시에는 접착제가 체결나사못이나 볼트 등이 함께 마련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재들이 별도의 접착제나 체결나사못 등이 없어도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과정 및 설치 시간이 간단하고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분해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한 결합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장치 11 : 배기바디
12 : 원판날개부 13 : 배기구결합파이프
14 : 결합러버 20 : 배기부재
21 : 배기중앙부 22 : 대면적팬
23 : 수평중앙띠부 24 : 결합홈
25 : 뚜껑캡 26 : 체결플랫
27 : 체결홈 30 : 배기회전축
31 : 회동베어링 32 : 원주핀홈
33 : 결합스냅링 34 : 축헤드부

Claims (3)

  1. 주택의 배기구에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장치에 있어서,
    주택의 배기구와 결합되는 배기바디(11);
    상기 배기바디(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다수의 팬이 구비된 배기부재(20);
    상기 배기바디(11)의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부재(20)의 회전중심이 되는 배기회전축(30);
    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기부재(20)는 배기중앙부(21)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대면적팬(22)이 구비되어지되,
    다수의 상기 대면적팬(22)은 배기장치 외부의 상하로 가려지도록 대면적을 이루어 불어오는 바람에 쉽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재(20)의 중앙 외측으로는 다수의 대면적팬(22)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평중앙띠부(23)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부재(20)의 상부 중앙의 결합홈(24)에는 뚜껑캡(25)이 결합되어 구 비되며,
    상기 배기부재(20)의 결합홈(24) 내에 형성된 체결플렛(26)의 체결홈(27)에 상기 배기회전축(30)이 결합되고,
    상기 배기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체결플렛(26)의 상부 또는 하부에 회동베어링(31)이 결합되며,
    상기 배기회전축(31)의 상측에 형성된 원주핀홈(32)에는 결합스냅링(33)이 체결되어 배기회전축(30)과 배기부재(2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바디(11)는, 상측이 상기 배기부재(20)의 체결플랫(26) 아래측으로 위치되고, 하측이 상기 배기회전축(30)의 아래에 돌출되어 형성된 축헤드부(34)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배기회전축(30)이 상기 배기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배기회전축(30)에 의하여 배기부재(20)와 배기바디(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기바디(11)의 저부에는 원판날개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배기부재(20)의 저부를 가리도록 하며,
    상기 배기바디(11)는 주택의 배기구에 결합되는 배기구결합파이프(13)의 외주면이 둘러지도록 결합러버(14)가 구비되어, 주택의 배기구와 배기구결합파이 프(13)가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KR1020090118120A 2009-12-02 2009-12-02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KR20110061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120A KR20110061660A (ko) 2009-12-02 2009-12-02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120A KR20110061660A (ko) 2009-12-02 2009-12-02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660A true KR20110061660A (ko) 2011-06-10

Family

ID=4439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120A KR20110061660A (ko) 2009-12-02 2009-12-02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9312A (zh) * 2021-09-03 2021-12-03 河北都创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工厂建筑通风管道用环保排气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9312A (zh) * 2021-09-03 2021-12-03 河北都创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工厂建筑通风管道用环保排气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1660A (ko) 대면적팬이 구비된 배기장치
KR200466009Y1 (ko) 비닐하우스용 환풍기
CN207230329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led灯具
CN205243887U (zh) 通风设备
CN206468549U (zh) 无动力屋顶风机
CN215331123U (zh) 一种内墙面砖的安装结构
CN203454353U (zh) 一种空调通风口
KR200390499Y1 (ko) 360도 선풍기
CN109751923A (zh) 一种室外鞭炮燃放环保箱
CN204200635U (zh) 一种新型墙式排风扇
CN209046104U (zh) 一种水电站用户外变电设备安全防护装置
CN207501345U (zh) 一种节能环保通风换气装置
CN207435542U (zh) 一种perc电池镀膜设备的充气破真空装置
CN207034862U (zh) 一种便于清洁的led吸顶灯
CN204061250U (zh) 一种防雨墙式排风扇
KR200407907Y1 (ko) 환풍기 날개 결합구조
CN206563395U (zh) 一种家用自动通风装置
CN214164617U (zh) 一种上水石生态水景墙
CN220689273U (zh) 一种送风管风速调节结构
CN203809092U (zh) 一种自动开闭防雨帽
CN204214084U (zh) 一种电加热蒸汽加湿箱
CN209942337U (zh) 一种钢管铁塔的管件
CN205851531U (zh) 一种废弃粉末涂料回收装置
CN220038411U (zh) 一种节能led洗墙灯
CN209514506U (zh) 一种便于拆卸的计算机防尘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