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234A -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234A
KR20110061234A KR1020090117824A KR20090117824A KR20110061234A KR 20110061234 A KR20110061234 A KR 20110061234A KR 1020090117824 A KR1020090117824 A KR 1020090117824A KR 20090117824 A KR20090117824 A KR 20090117824A KR 20110061234 A KR20110061234 A KR 2011006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epg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234A/ko
Publication of KR2011006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신망을 통하여 단순 편성정보의 제공이 아닌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하여 방송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 시청자로 하여금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EPG, 방송 편성정보

Description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 PROGRAM GUIDE-BASED BINARY COMMUNIC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망으로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신망을 통하여 단순 편성정보의 제공이 아닌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하여 방송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방송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즉,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지상파 위주에서 케이블, 위성 등으로 방송매체가 다양화되고, 통신망과의 연동으로 양방향성을 제공하며, 방송 단말이 점점 지능화되는 등 최근의 방송 환경은 어느 분야보다도 심한 변화를 겪고 있다.
그 중에서 양방향 방송(Interactive TV) 서비스란 TV를 통하여 게임, 교육, 생활정보 등과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서, 시청자는 간단한 리모콘 조작만으로 게임, 부가정보, 쇼핑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양방향 방송(interactive TV) 서비스는 기존의 방송처럼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시청자와 방송국 간에 서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서비스이다. 이를 위하여 방송국은 프로그램 이외에 양방향 기능이 구현된 콘텐츠를 추가로 제작하여 시청자에게 전송하고, 시청자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통하여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송 편성정보(EPG : Electronic Program Guide)는 방송국마다 그날의 프로그램 목록을 데이터 방송으로 송출하여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이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무선랜 단말장치등과 같은 무선통신 서비스 이용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모바일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콘텐츠의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모바일 콘텐츠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져서 바탕화면, 벨소리 뿐만 아니라. 방송 콘텐츠, 통화연결음, 음악(MP3) 파일, 동영상 파일, 모바일 게임, 노래방, 화보집 등 그 서비스 영역이 매우 넓어지고 있다.
종래에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바일 콘텐츠 또는 부가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으로는 무선통신 단말장치에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 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받는 방법과 PC를 이용하여 모바일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모바일 콘텐츠를 직접 검색하여야 하고, 정확한 정보(예를 들어, 노래 제목, 가수 이름 등)를 알지 못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모바일 콘텐츠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방송수신단말장치 등에서 방송 편성정보(EPG :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모바일 콘텐츠 및 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면 복잡한 키 조작을 하여야 하며, 방송수신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방식에서는 방송수신단말장치 등에서 방송 편성정보(EPG :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부가 정보의 수신을 제공받는 정도이므로, 방송 편성정보(EPG :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직접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신망을 통하여 단순 편성정보의 제공이 아닌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하여 방송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수신단말장치에서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양방향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방송시청단말장치,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와의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EPG서비스관리서버 및 상기 양방향 통신채널의 형성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포함하는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인프라를 제공하는 레거시(Legacy)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루기 위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요약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영상을 포함하는 편성 기초정보를 상기 EPG서비스관리서버에 공급하기 위한 EPG공급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는, 방송시청단말장치와 양방향 통신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인프라를 제공하는 레거시(Legacy)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인프라를 토대로 상기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인터넷 페이지화면에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입력 설정하는 제1서버실행부 및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서버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는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루기 위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요약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영상을 포함하는 편성 기초정보를 구비하는 EPG공급서버로부터 상기 편성기초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제3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는 상기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모니터링함에 따라 서비스 장애 및 에러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부는 상기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모니터링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위한 통계보고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채널, 제목 및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폴트(Default) 정보와, 상기 부가 서비스의 이용 안내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왑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가 방송망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채널, 제목 및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폴트(Default)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이용 안내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왑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서버실행부는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 및 사용자 인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한 후,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서버실행부는 통신사의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서버실행부는 방송사의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줄거리 정보의 제공, 출연자 정보의 제공, PPL(Products in PLacement) 상품 정보의 제공, 배경 음악에 대한 정보의 제공, 배경 음악을 통화연결음으로 설정, 접속자 간의 커뮤니티 제공, 예약 녹화, 댓글 달기 및 평점 부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EPG서비스관리서버가 방송센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편성기초정보 수신 단계, 상기 편성 기초정보를 토대로 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형성하기 위한 방송편성정보 형성 단계,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한 방송시청단말장치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방송편성정보 제공 단계,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부가서비스 제공요청 수신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종류 및 요청 단계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세션으로 전환하기 위한 세션 전환 단계 및 상기 세션에 대한 실행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의 제공 서비스에 대한 실행을 모니터링함에 따라 서비스 장애 및 에러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장애 판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의 제공 서비스에 대한 실행을 모니터링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위한 통계 보고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통계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수신단말장치에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송수신단말장치에 저장중인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를 토대로 상기 방송수신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재형성하여 상기 방송수신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방송편성정보 재형성/송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업 데이트하는 업데이트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송망으로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신망을 통하여 단순 편성정보의 제공이 아닌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하여 방송 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방송 시청자로 하여금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은 방송망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방송시청단말장치(100), 방송시청단말장치(100)의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방송시청단말장치(100)에 제공한 후 이후의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EPG서비스관리서버(200), 및 양방향 통신채널의 형성이나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인프라 등을 제공하기 위한 레거시(Legacy)장치(3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은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루기 위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요약 및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영상을 포함하는 편성 기초정보를 EPG서비스관리서버(200)에 공급하기 위한 EPG공급서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EPG서비스관리서버(200)에서 방송시청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라 함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채널, 제목 및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폴트(Default) 정보를 포함하여 단순 편성정보로 제공하거나, 부가 서비스의 이용 안내 및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왑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하여 프리미엄급으로 서비스 제공될 수 있다.
방송수신단말장치(100)가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채널, 제목 및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폴트(Default) 정보를 나타내는 단순 편성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EPG서비스관리서버(200)에서 방송수신단말장치(100)로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는 단순 편성정보 이외의 프리미엄급의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EPG서비스관리서버(200)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EPG서비스관리서버(200)는 방송시청단말장치(100)와 양방향 통신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210),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인프라를 제공하는 레거 시(Legacy)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부(220), 응용 프로그램 및 인프라를 토대로 상기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인터넷 페이지화면에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입력 설정하는 제1서버실행부(240) 및 방송시청단말장치(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한 후 방송시청단말장치(100)로부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서버실행부(25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EPG서비스관리서버(200)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루기 위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요약 및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영상을 포함하는 편성 기초정보를 구비하는 EPG공급서버(400)로부터 편성기초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제3인터페이스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PG서비스관리서버(2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는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모니터링함에 따라 서비스 장애 및 에러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관리부(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관리부(260)는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모니터링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고, 취합한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위한 통계보고 데이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라 함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것으로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줄거리 정보의 제공, 출연자 정보의 제공, PPL(Products in PLacement) 상품 정보의 제공, 배경 음악에 대한 정보의 제공, 배경 음악을 통화연결음으로 설정, 접속자 간의 커뮤니티 제공, 예약 녹화, 댓글 달기 및 평점 부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이외에 다른 예의 서비스도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EPG서비스관리서버(200)와 방송수신단말장치(100)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EPG서비스관리서버(200)와 방송수신단말장치(100) 간에는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바, 상기 양방향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통신사의 통신규격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EPG서비스관리서버(200)의 제2서버실행부(250)와 방송수신단말장치(100)의 애플리케이션 간에는 Berkeley Socket 기반의 TCP/IP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망에서 데이터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수신단말장치(100)에서의 디코딩 작업이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암호화된 전송이 용이한 이점도 있다.
EPG서비스관리서버(200)의 제2서버실행부(250)와 방송수신단말장치(100)의 애플리케이션 간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Common Header, Header, Body로 구성되며, Body는 때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는 EPG서비스관리서버(200)의 제2서버실행부(250)에서 데이터 처리시 에러가 발생한 경우이거나 기능상으로 요구되지 않는 경우이다.
모든 요청/응답 메시지는 Common Header의 특정 필드에 정의된 문자열로 시작하고, 이외의 문자열일 경우는 잘못된 데이터로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EPG서비스관리서버(200)가 방송센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
이후로, EPG서비스관리서버(200)는 취합한 편성 기초정보를 토대로 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형성한다(S3).
S3 단계 이후로, EPG서비스관리서버(200)는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한 방송시청단말장치(100)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방송시청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5 및 S7).
또한, 방송시청단말장치(100)로부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S9),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종류 및 요청 단계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세션으로 전환한 후 상기 세션에 대한 실행을 통해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방송시청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11).
이후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을 실행한다(S13).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의 과정들도 함께 종료한다(S15).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중 방송 프로그램의 줄거리 더 보기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 중 방송 프로그램의 줄거리 더 보기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총괄 정보를 메인 화면에 나타낸 후, 메인 화면의 일측에 구비된 줄거리 더 보기 기능을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줄거리를 프리미엄 가입자로 등록된 방송 시청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중 댓글에 대한 공감/비공감 선택하기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 중 공감/비공감 선택하기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 중 댓글 보기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총괄 정보를 메인 화면에 나타낸 후, 메인 화면의 일측에 구비된 댓글 보기 기능을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지는 댓글 보기와 연동하는 기능이다.
방송 시청자가 댓글 보기를 나타내는 페이지 화면에서 특정 댓글을 선택하면, 선택한 특정 댓글에 대해 공감 또는 비공감을 선택적으로 입력함에 따라 상기 특정 댓글에 대한 인기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신망을 통하여 단순 편성정보의 제공이 아닌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하여 방송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EPG서비스관리서버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EPG서비스관리서버와 방송수신단말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중 방송 프로그램의 줄거리 더 보기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중 댓글에 대한 공감/비공감 선택하기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송수신단말장치 200 : EPG서비스관리서버
210 : 제1인터페이스부 220 : 제2인터페이스부
230 : 제3인터페이스부 240 : 제1서버실행부
250 : 제2서버실행부 260 : 관리부
300 : 레거시(Legacy)장치 400 : EPG공급서버

Claims (17)

  1.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방송시청단말장치;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와의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EPG서비스관리서버; 및
    상기 양방향 통신채널의 형성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포함하는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인프라를 제공하는 레거시(Legacy)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루기 위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요약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영상을 포함하는 편성 기초정보를 상기 EPG서비스관리서버에 공급하기 위한 EPG공급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3. 방송시청단말장치와 양방향 통신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인프라를 제공하는 레거시(Legacy)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인프라를 토대로 상기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인터넷 페이지화면에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입력 설정하는 제1서버실행부; 및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서버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는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루기 위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요약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영상을 포함하는 편성 기초정보를 구비하는 EPG공급서버로부터 상기 편성기초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제3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는 상기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모니터링함에 따라 서비스 장애 및 에러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방송 편성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모니터링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위한 통계보고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채널, 제목 및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폴트(Default) 정보와, 상기 부가 서비스의 이용 안내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왑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가 방송망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채널, 제목 및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폴트(Default)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이용 안내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왑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실행부는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 및 사용자 인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한 후,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실행부는 통신사의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실행부는 방송사의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줄거리 정보의 제공, 출연자 정보의 제공, PPL(Products in PLacement) 상품 정보의 제공, 배경 음악에 대한 정보의 제공, 배경 음악을 통화연결음으로 설정, 접속자 간의 커뮤니티 제공, 예약 녹화, 댓글 달기 및 평점 부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G서비스관리서버 장치.
  13. EPG서비스관리서버가 방송센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편성기초정보 수신 단계;
    상기 편성 기초정보를 토대로 하는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형성하기 위한 방송편성정보 형성 단계;
    양방향 통신채널을 통한 방송시청단말장치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방송편성정보 제공 단계;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부가서비스 제공요청 수신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종류 및 요청 단계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세션으로 전환하기 위한 세션 전환 단계; 및
    상기 세션에 대한 실행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방송시청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의 제공 서비스에 대한 실행을 모니터링함에 따라 서비스 장애 및 에러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장애 판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의 제공 서비스에 대한 실행을 모니터링한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위한 통계 보고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통계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수신단말장치에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송수신단말장치에 저장중인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를 토대로 상기 방송수신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재형성하여 상기 방송수신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방송편성정보 재형성/송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편성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업 데이트하는 업데이트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방법.
KR1020090117824A 2009-12-01 2009-12-01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10061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824A KR20110061234A (ko) 2009-12-01 2009-12-01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824A KR20110061234A (ko) 2009-12-01 2009-12-01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234A true KR20110061234A (ko) 2011-06-09

Family

ID=4439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824A KR20110061234A (ko) 2009-12-01 2009-12-01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2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601A1 (en) * 2012-03-05 2013-09-12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601A1 (en) * 2012-03-05 2013-09-12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516365B2 (en) 2012-03-05 2016-12-06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92522B2 (en) 2012-03-05 2018-06-05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8864A1 (en) Method of using server, server reserva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CN101273560B (zh) 在数字广播服务指南中递送消息传送模板的方法和装置
US20090249418A1 (en) Repository for information about streaming video/audio channels
JP5074497B2 (ja) 電子サービスガイドのダウンロードを制御する技術
EP1883228A1 (en) A broadcast system with a local electronic service guide generation
CN101529760B (zh) Dvb-h上ipdc中的动态sdp更新
CN101371570B (zh) 提供画中画服务的方法和设备
WO2004032491A1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91463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98162B (zh) 实现移动终端中多媒体节目互动业务的方法、系统及装置
CN103974125A (zh) 影音串流的预览及播放方法及其系统
MX2008004881A (es) Metodo y aparato que proporciona contenido a traves de red de comunicacion bidireccional.
CN101605227B (zh) 一种应用于cmmb终端间的节目通知方法及系统
CA27177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7177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firmware of terminals in a broadcast system
KR20140123523A (ko) 인터넷 액세스에 의해 또는 인터넷 액세스 없이 디지털 tv 수신기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포터블 장치로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WO2009108425A2 (en) Content management that addresses levels of functionality
WO2009048297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plural data in portable broadcasting service
US866115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multi-content in mobile broadcast service
KR20110061234A (ko) 양방향 통신 기반의 방송 편성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09038346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reenwich mean time in mobile broadcasting service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U2010100616A4 (en) Remote Content Download
KR100838800B1 (ko)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e et al. Design of middleware for interactive data services in the terrestrial DM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