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075A - Weig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eig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075A
KR20110060075A KR1020090116552A KR20090116552A KR20110060075A KR 20110060075 A KR20110060075 A KR 20110060075A KR 1020090116552 A KR1020090116552 A KR 1020090116552A KR 20090116552 A KR20090116552 A KR 20090116552A KR 20110060075 A KR20110060075 A KR 2011006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allet
side bar
weigh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7097B1 (en
Inventor
박성순
Original Assignee
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순 filed Critical 박성순
Priority to KR102009011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97B1/en
Publication of KR2011006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8Frames,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Abstract

PURPOSE: A scale is provided to enable a target-holding pallet to be easily put on the top of a body without heavy equipment including a forklift truck. CONSTITUTION: A scale comprises a body(10), a weight sensor, and a display unit(50). Guide spaces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a lift fork unit are formed on two sides of the body. The target-holding pallet moving along the fork unit of the lift is put on the top of the body. The weight sensor is installed on the body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target on the pallet on the body. The display unit indicates the weight of the target, which has been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Description

저울{WEIGHING MACHINE}Scales {WEIGHING MACHINE}

본 발명은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피계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by easily moving the weighed object without us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일반적으로, 전자저울은 피계량물체가 중력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피계량물체의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외력에 비례하여 그 외형이 변화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한다.In general, an electronic scale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load of an object by converting the force exerted by the objec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to an electrical signal. Typically, the load is measured using a load cell whose appearance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external force. do.

상기 전자저울은 대게,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토퍼로 구성된다.The electronic balance is usu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nd seated on a bottom surface, a load cell fixed to the base plate, an upper plate provided on the load cell,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toppers installed.

그리고, 상기 로드셀의 상단부는 상부플레이트의 중심부를 지지하고, 상기 로드셀에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외형이 변화되어 그 저항치가 가변되는 스트레게이지가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load cell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ad cell is provided with a strain gauge whose shape is changed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thereto, and the resistance thereof is variable.

상부플레이트에 하중 특정대상이 되는 피계량물체가 안착될 경우 상기 로드 셀은 외형이 변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드셀에 설치된 스트레인게이지의 외형 또한, 변화된다.When an object to be loaded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the shape of the load cell is changed, and thus, the shape of the strain gauge installed in the load cell is also changed.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도선에 의해 컨트롤박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는 상기 컨트롤박스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The strain gaug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by a conductor, and the strain gauge is supplied with current from the control box.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치가 가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며, 변화된 전압 또는 전류의 양에 기초하여 피계량물체의 하중을 산출하게 된다.The control box measures the change in voltage or current generated as the resistance of the strain gauge is varied, and calculates the load of the weighed object based on the changed amount of voltage or curre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저울은 피계량물체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심부인 정위치에 놓이지 않고, 중심부로부터 측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놓이는 경우에는 편심거리와 피계량물체의 하중의 적으로 계산되는 모멘트에 의해 로드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정위치에 놓인 경우와는 달라지게 됨으로써, 상기 피계량물체의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balance as described above is calculated as the product of the eccentric distance and the load of the measured object when the measured object is no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but is laterally eccentric from the center. Since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load cell by the moment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it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 of the measured object cannot be accurately measur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피계량물체가 놓여지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기 피계량물체가 놓여진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중력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며, 상기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외형의 변화에 의해 그 저항치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력 센서를 구비한 복수의 수직분력로드셀; 각각의 상기 수직분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직분력브리지회로; 및 상기 브리지회로 내의 소정 위치에서 출력된 수직분력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피계량물에의 하중을 산출하는 하중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국내 공개특허공 보 제10-2002-0063454호)이 제안된 바 있다.Base plate to solve this problem; 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base plate and on which an object to be weighed is placed; At least one vertical force sensor in which a loa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s applied by an upper plate on which an object to be plac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placed, and whose resistance is changed by a change in an appearance generated by the load. A plurality of vertical component load cell provided with; A vertical component bridge circuit including each of the vertical component sensors; And a load output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load on the measured object based on the vertical component voltage outpu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ridge circui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63454). )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 전자저울의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이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피계량물체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피계량물체를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후 측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rear side of the base plate of the electronic balance is not opened, in orde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the weighed object is mounted on the upper plate by us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while the base plate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 is a problem to be measured after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피계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cale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 by easily moving the measured object without us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truck.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프트의 포크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리프트의 포크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가 올려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에 올려진 파렛트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 상기 무게측정센서가 측정한 피계량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is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for guid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fork portion of the lift, respectively, the fork portion of the lift on the upper surface A body on which the pallet on which the measured object to be moved along is mounted is placed; A weight sensor provided in the body to measure a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 seated on a pallet mounted on the body; It provides a balance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measured by the weighing sensor.

여기서, 상기 몸체는 후측바와; 상기 후측바의 일단부에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바와; 상기 일측바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후측바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바와; 상기 일측 및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바의 전단부 중심에 전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중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은 상기 일측바와 상기 중 심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은 상기 중심바와 상기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dy and the rear side bar; One side ba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r side bar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other side bar having one end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rear side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ne side b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enter bar having a front e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side bar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ar, wherein the one side guide space is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bar and the center ba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are formed in an open stat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is formed in an open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located between the center bar and the other side bar. .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몸체의 후측바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 와 타측바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weighing sensor is composed of a load cell, the load cell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of the rear side bar of the body,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one side bar and the other side bar, the front end of the bottom of the center bar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each part.

본 발명은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를 리프트의 포크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리프트의 포크부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피계량물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보다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are open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are opened, the fork portion of the lift is moved back and forth in a state where the pallet on which the measurement object is placed is seated on the fork of the lift. By enter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guide space, the pallet on which the weighed object is mounted can be easi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ithout us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truck, and thus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measured.

그리고, 상기 몸체가 후측바, 일측바, 타측바 및 중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은 상기 일측바와 상기 중심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은 상기 중심바와 상기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를 지게차 등 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보다 더욱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 body is made of a rear side bar, one side bar, the other side bar and the center bar, the one side guide space in the open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on one side of the body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bar and the center bar. The other side guide spa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located between the center bar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is opened so that the heavy equipment, such as forklifts, the pallet on which the weighed object is seated. Even if it is not used, it can be more easi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is has the effect of more easil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

아울러, 무게측정센서가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이 상기 몸체의 후측바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와 타측바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이 상부면의 중심부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파렛트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올려지더라도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eighing sensor is made of a load cell, the load cell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of the rear side bar of the body,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one side bar and the other side bar, the front end of the bottom of the center bar Since each of the pallets is not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even if the palle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 can be more easily measu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저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10)의 저면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bottom of the body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저울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무게측정센서(30) 및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ca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t comprises a body 10, the weighing sensor 30 and the display unit 50.

먼저, 상기 몸체(10)는 상부면에 리프트(도 4의 8)의 포크부(도 4의 8a)를 따라 이동하는 피계량물(도 3의 9)이 안착된 파렛트(7)가 올려지는 것이다.First, the body 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llet (7) on which the to-be-measurement (9 of Figure 3) is moved along the fork (8a of Figure 4) of the lift (8 of Figure 4) will be.

상기 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dy 10 ha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s 10a and 10b of which upper and lower sides and front sides are opened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ork part 8a of the lift 8. I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상기 리프트(8)로는 핸드파레트자키 등과 같은 수동형 리프트와 전동 리프트 등과 같은 전동형 리프트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lift 8 may include both a manual lift such as a hand palletzaki and an electric lift such as an electric lift.

그리고, 상기 피계량물(9)이란,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곡물포대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곡물 등을 의미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object 9 may mean, but is not limited to, grains in a state accommodated in a grain bag to measure weight.

다음으로, 상기 무게측정센서(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에 올려진 파렛트(7)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weighing sensor 30 is provided in the body 10 as shown in FIG. 2 to weigh the weight 9 of the weighed object 9 seated on the pallet 7 mounted on the body 10. It is to measure.

다음으로,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무게측정센서(30)가 측정한 피계량물(9)의 무게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숫자 또는 한글 등으로 LED 표시창(미도시) 등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display unit 50 displays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9 measured by the weighing sensor 30 in an LED display window (not shown) or the like by numbers or Korean characters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It is to.

한편, 상기 표시부(50)에 관한 사항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meantime, the matters related to the display unit 50 are well-known technologi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 바(110), 일측바(130), 타측바(150) 및 중심바(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Here, the body 10 is larg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ear bar 110, one side bar 130, the other side bar 150 and the center bar 170.

상기 후측바(1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단부 및 후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ear side bar 110 may be formed to have a front end and a rear end bent downward.

상기 일측바(1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바(110)의 일단부에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 및 타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ne side bar 130 may have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rear bar 110,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

상기 타측바(15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바(13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후측바(11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 및 타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ther side bar 150 has one end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rear bar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ne side bar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The end may be bent downward.

상기 중심바(17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바(130, 1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바(110)의 전단부 중심에 전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 및 타다눕가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enter bar 170 has a front e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bar 110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ars 130 and 150. One end and the tandem may be bent downward.

그리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10a)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바(130)와 상기 중심바(17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side guide space (10a) is open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on one side of the body 10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bar 130 and the center bar 170 as shown in Figs. It can be formed in the state.

상기 타측 안내공간(10b)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바(170)와 상기 타측바(15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side guide space 10b is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are open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located between the center bar 170 and the other side bar 150 as shown in FIGS. 1 and 2. It may be provided as.

한편, 상기 몸체(10)가 상기 후측바(110), 일측바(130), 타측바(150) 및 중 심바(170)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10 may be made of the rear bar 110, one side bar 130, the other side bar 150 and the center bar 17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가 후측바(110), 일측바(130), 타측바(150) 및 중심바(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안내공간(10a)은 상기 일측바(130)와 상기 중심바(17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10b)은 상기 중심바(170)와 상기 타측바(15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7)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보다 더욱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body 10 includes a rear bar 110, one side bar 130, the other side bar 150, and a center bar 170, and the one side guide space 10a is the one side bar 130.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are formed in an open state on one side of the body 10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 bar 170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10b is the center bar 170 and the other side bar. Since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are formed in the open state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positioned between the 150, do not use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for the pallet 7 on which the measurement object 9 is seated. If not, it can be more easi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9) can be more easily measured.

도 3은 파렛트(7)의 상부면에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asurement object 9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llet 7.

여기서, 상기 파렛트(7)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착판(7a), 수직판(7b) 및 삽입구(7c)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pallet 7 may be formed of a mounting plate 7a, a vertical plate 7b, and an insertion hole 7c, as shown in FIG. 3.

상기 안착판(7a)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계량물(9)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ating plate 7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measurement object 9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수직판(7b)은 상기 안착판(7a)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7b may extend vertically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seating plate 7a.

상기 삽입구(7c)는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전후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에서도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착판(7a)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수직판(7b)의 중심부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7c extends vertically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seating plate 7a so that the fork portion 8a of the lift 8 can be inserted in any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may be formed in the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7b).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센서(30)는 무게를 받을 경우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됨과 동시에 변형량을 디지털신호로 바꾸는 공지된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weighing sensor 30 may be made of a known load cell that is deformed, such as being compressed or stretched when receiving weight, and changes the amount of deformation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로드셀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후측바(110)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무와, 상기 일측바(130)와 타측바(150)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170)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load cell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ide bar 110 of the body 10,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one side bar 130 and the other side bar 150,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of the center bar 17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상기 무게측정센서(30)가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이 상기 몸체(10)의 후측바(110)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130)와 타측바(150)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170)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9)이 상부면의 중심부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파렛트(7)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지더라도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the weighing sensor 30 is made of a load cell, the load cell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ide bar 110 of the body 10, the one side 130 and the other side 150 The pallet 7 is provided wit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ottom and the front end of the bottom of the center bar 170, so that the pallet 7 is not plac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Even if i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 9 can be more easily measured.

도 4는 파렛트(7)가 몸체(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7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의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를 후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wants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 9 in a st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7a of the pallet 7, as shown in FIG. The fork portion 8a of the lift 8 is moved in the rearward direction.

이때,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렛트(7)의 삽입구(7c)에 삽입되어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저면이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의 상부면에 안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ork portion 8a of the lift 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7c of the pallet 7 as shown in b of FIG. 4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7a of the pallet 7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8a of the lift 8 is to be seated.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저면이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의 상부면에 안착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프트(8)를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방향 즉,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7a of the pallet 7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8a of the lift 8, the user views the lift 8 in the rear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4C. That is,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10a, 10b) of the body (10).

이때,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으로 인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ork portion 8a of the lift 8 is drawn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s 10a and 10b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이와 동시에 상기 파렛트(7)의 수직판(7b)의 저면이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안착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파렛트(7)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질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7b of the pallet 7 is se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4d, which causes the pallet 7 to be seated on the body 10. It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5는 상부면에 피계량물(9)이 안착된 파렛트(7)가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7 on which the to-be-measured object 9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상기 파렛트(7)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올려진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 프트(8)를 전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When the pallet 7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user moves the lift 8 in the front direction so that the fork portion 8a of the lift 8 is shown in FIG. It is to be withdrawn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10a, 10b) of the body (10).

이로 인해 상기 파렛트(7)의 안착판(7a)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measurement object 9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7a of the pallet (7).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기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7)를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리프트(8)의 포크부(8a)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10a, 10b)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피계량물(9)이 안착된 상기 파렛트(7)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보다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피계량물(9)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s (10a, 10b) is ope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is formed, the measurement object 9 is seated With the pallet 7 seated on the fork 8a of the lift 8, the fork 8a of the lift 8 is moved back and forth to draw into the one and the other guide spaces 10a and 10b. By doing so, the pallet 7 on which the to-be-measured object 9 is mounted can be more easi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without us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and thus the to-be-measured object 9 )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the weight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저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몸체의 저면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Figure 2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bottom of the body,

도 3은 파렛트의 상부면에 피계량물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asurement objec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llet,

도 4는 파렛트가 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도 5는 상부면에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가 몸체의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llet on which an object to be measured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a bod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7; 파렛트, 7a; 안착판,7; Pallet, 7a; Seating Plate,

7b; 수직판, 7c; 삽입구,7b; Vertical plate, 7c; parenthesis,

8; 리프트, 8a; 포크부, 8; Lift, 8a; Fork,

9; 피계량물, 10; 몸체, 9; Target, 10; Body Part,

10a; 일측 안내공간, 10b; 타측 안내공간,10a; One side guide space, 10b; Information Space,

110; 후측바, 130; 일측바, 110; Posterior bar, 130; One side bar,

150; 타측바, 170; 중심바, 150; The other side, 170; Center Bar,

30; 무게측정센서, 50; 표시부30; Weighing sensor, 50; Display

Claims (3)

리프트의 포크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일측 및 타측 안내공간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리프트의 포크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계량물이 안착된 파렛트가 올려지는 몸체와;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space is opened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open to guide the fork movement of the fork of the lift, and a pallet on which the workpiece to be moved along the fork of the lift A body to be raised;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에 올려진 파렛트에 안착된 상기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와;A weight sensor provided in the body to measure a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 seated on a pallet mounted on the body; 상기 무게측정센서가 측정한 피계량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measured by the weighing sens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는 후측바와;The body has a rear side bar; 상기 후측바의 일단부에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바와;One side ba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r side bar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일측바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후측바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바와;Another side bar having one end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rear side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ne side b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일측 및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바의 전단부 중심에 전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중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d a center bar having a front e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side bar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ar. 상기 일측 안내공간은 상기 일측바와 상기 중심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내공간은 상 기 중심바와 상기 타측바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상하측 및 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The one side guide space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ront side is open on one side of the body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bar and the center bar, the other guide space is the body located between the center bar and the other bar. Balance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and front side is formed in an open sta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무게측정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지고,The weighing sensor is made of a load cell, 상기 로드셀은 상기 몸체의 후측바의 저면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일측바 와 타측바의 저면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중심바의 저면 전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The load cell is a sca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of the rear side bar of the body,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ottom side and the other side bar, and the bottom front end of the center bar, respectively.
KR1020090116552A 2009-11-30 2009-11-30 Weighing machine KR101137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52A KR101137097B1 (en) 2009-11-30 2009-11-30 Weig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52A KR101137097B1 (en) 2009-11-30 2009-11-30 Weig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75A true KR20110060075A (en) 2011-06-08
KR101137097B1 KR101137097B1 (en) 2012-04-20

Family

ID=4439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552A KR101137097B1 (en) 2009-11-30 2009-11-30 Weig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0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19B1 (en) 2019-05-06 2019-08-08 정민호 Slide loading type weighing beam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79Y1 (en) * 2007-05-22 2008-08-2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allet meas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097B1 (en)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1869B1 (en) Weight measuring apparatus for use as an input device of a game apparatus
NZ540987A (en) Balance control system for weight scales
US7126065B2 (en) Weighing scale adapted for allowing a user to find an optical weighing position on the scale
US20210199490A1 (en) Shelf bracket assembly
KR101137097B1 (en) Weighing machine
EP1457768B1 (en) Barycentric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US6621015B2 (en) Electronic balance
KR101239354B1 (en) An electronic balance with a function to compensate air pressure changes in the glovebox
US20110278077A1 (en) Top-pan balance with an overload safety mechanism and a corner load sensor
JP5352385B2 (en) Combination scale
JP5289918B2 (en) Weight sorter
JP2008101955A (en) Load cell and metering device having the load cell
CN214621434U (en) Auxiliary calibrating device of fixed electronic weighing apparatus
KR20110066655A (en) Measurement device of weight
CN2355311Y (en) Balancer for fork trucks
JP5449749B2 (en) Electronic scale with quantitative weighing function
KR200447459Y1 (en) A tray for digital balance
JP2013108792A (en) Load cell
JP2001335300A (en) Meter for forklift
CN206450314U (en) It is a kind of based on box with woven bag weigher
JP5431227B2 (en) Combination scale
JP5627267B2 (en) Combination scale
CN217765203U (en) Intelligent electronic scale
JP6120606B2 (en) Weighing device
CN108139263A (en) Food product processing system with integrated form weighing-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