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474A -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474A
KR20110059474A KR1020090116220A KR20090116220A KR20110059474A KR 20110059474 A KR20110059474 A KR 20110059474A KR 1020090116220 A KR1020090116220 A KR 1020090116220A KR 20090116220 A KR20090116220 A KR 20090116220A KR 20110059474 A KR20110059474 A KR 2011005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user
recording
reque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769B1 (ko
Inventor
윤택현
유병재
윤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마에스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마에스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마에스트로
Priority to KR102009011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고,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코딩 및 상기 암호화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간이나 장소에 구속되지 않고 다양한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방송 콘텐츠 제공의 효율성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달성되고, 이를 스트리밍 서비스와 결합함으로써 저작권 침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개인용 녹화 시스템, 방송 콘텐츠, 스트리밍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PERSONAL VIDEO RECORDING SERVICE BASED ON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 영상 저장 장치로 네트워크 상의 저장 공간에 방송 콘텐츠를 녹화해 두었다가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방송 통신 기술이 발달되면서, 사용자들은,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C)뿐만 아니라, TV 수신기, 휴대폰 등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과거에는 일방적인 정보 전달 수단에 불과했던 TV의 활용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구체적으로, 최근에 들어, 케이블 TV, 위성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의 보급으로 인하여, 방송 사업자는 TV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TV 수신기를 사용하여 방송 콘텐츠나 이와 연계된 부가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방송 콘텐츠의 종류 및 콘텐츠 제공자의 부류가 다양해져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모든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어려워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녹화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때에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저장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별개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데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고 개별적인 저장 장치의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도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사용자의 셋톱박스에 구비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는 불법으로 재배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불법 재배포를 막을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저작권 침해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저작권자나 방송사들의 호응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다양한 단말 장치를 통하여 원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사용자마다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원격의 저장 공간을 할당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녹화 요청한 방송 콘텐츠가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사용자가 시청을 요청할 때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방송 콘텐츠에 대한 무단 배포를 막아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고,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코딩 및 상기 암호화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녹화 요청 수신부,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인코딩 및 상기 암호화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간이나 장소에 구속되지 않고 다양한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방송 콘텐츠 제공의 효율성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녹화 요청한 방송 콘텐츠가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개별적인 저장 장치를 구입 또는 유지보수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녹화된 방송 콘텐츠가 무단으로 재배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 콘텐츠 제공자(4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통신망(100)은 본 발명의 구현에 필요한 전체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에 필요한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콘텐츠 제공자(400)로부터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 주는 TV 수신기로서, 디지털 TV 수신기, IPTV 수신기, TV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TV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이동 기기(예를 들면, DMB 폰, PMP 폰 등)와 같은 단말 장치는 모두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가 통신망(100)을 통하여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TV 수상기에 설치될 수 있는 소정의 셋톱박스(STB: Set Top BOX)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원격의 저장 공간에 방송 콘텐츠를 녹화(즉,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해당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의 자세한 구성 및 기능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자(400)는 녹화(또는 시청)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망(1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또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400)는 공지의 방송국(KBS, MBC, SBS, EBS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 제공자(400)는 다양한 시간대에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동작 개요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셋톱박스(Set Top Box: STB) 등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은 사용자로부터의 녹화 요청 신호 및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특정 방송 콘텐츠를 인코딩 및 암호화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인코딩 및 암호화된 특정 방송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녹화된 방송 콘텐츠에 대해 시청 요청을 받는 경우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셋톱박스 등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 녹화된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은 사용자로부터의 시청 요청 신호 및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특정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개인용 녹화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은, 저장 공간 할당부(310), 녹화 요청 처리부(320), 시청 요청 처리부(330), 원격 저장 공간부(340), 데이터베이스(350), 통신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 할당부(310), 녹화 요청 처리부(320), 시청 요청 처리부(330), 원격 저장 공간부(340), 데이터베이스(350), 통신부(360) 및 제어부(37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나 콘텐츠 제공자(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 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 할당부(31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각 원격의 저장 공간을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각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는 각 사용자가 요청한 방송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 할당부(310)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원격 저장 공간부(340) 상에 사용자에 대한 원격의 저장 공간을 할당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원격 저장 공간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 할당부(31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원격의 저장 공간을 각 사용자마다 물리적으로 별개의 저장 장치에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 공간 할당부(31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원격의 저장 공간으로서 소정의 주소에 의하여 어드레싱(addressing)되는 논리적인 저장 공간을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 공간 할당부(310)는 사용자가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원격의 저장 공간을 할당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원격의 저장 공간의 크기는 각 사용자가 지불 한 대가의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비록 도 2에서 원격 저장 공간부(340)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원격 저장 공간부(340)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저장 공간부(34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하드디스크 등의 협의의 물리적인 저장 장치뿐만 아니라, 임의의 주소에 의하여 어드레싱될 수 있는 논리적인 저장 공간도 포함하여 지칭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화 요청 처리부(32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녹화 요청된 방송 콘텐츠를 인코딩 및 암호화한 후 해당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방송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 상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녹화 요청 처리부(32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요청 처리부(320)는 녹화 요청 수신부(321), 인코딩부(322), 암호화부(323) 및 방송 콘텐츠 저장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화 요청 수신부(321), 인코딩부(322), 암호화부(323) 및 방송 콘텐츠 저장부(324)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나 콘텐츠 제공자(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녹화 요청 처리부(3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녹화 요청 처리부(32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화 요청 수신부(321)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 요청 신호는, 방송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각, 방송 콘텐츠의 제공자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요청 신호의 구성이 반드시 상기 열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부(322)는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콘텐츠의 인코딩 포맷은 인코딩의 대상이 되는 방송 콘텐츠의 유형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부(322)는 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방송 콘텐츠 인코딩을 공통으로 수행함으로써 인코딩 효율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20명의 사용자로부터 2009년 10월 3일 18시 30분에 MBC를 통해 방송될 예정인 방송 콘텐츠 A에 대한 녹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인코딩부(322)는 20명의 사용자 각각을 위하여 방송 콘텐츠 A에 대한 인코딩을 20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20명의 사용자 모두를 위하여 방송 콘텐츠 A에 대한 인코딩을 공통적으로 단 1회만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부(323)는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 콘텐츠(323)를 암호화함으로써 녹화 요청을 한 해당 사용자만이 녹화된 방송 콘텐츠(323)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는 가입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녹화 요청 시마다 생성되는 인스턴트(instant) 인증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반드시 상기 열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 저장부(324)는 녹화 요청을 한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인코딩 및 암호화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 요청 처리부(330)는 사용자가 녹화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 내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방송 콘텐츠를 해당 사용 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청 요청 처리부(33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요청 처리부(330)는 시청 요청 수신부(331), 암호 해독부(332) 및 스트리밍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 요청 수신부(331), 암호 해독부(332) 및 스트리밍부(333)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나 콘텐츠 제공자(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시청 요청 처리부(33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시청 요청 처리부(33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 요청 수신부(331)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 해독부(332)는 시청 요청을 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등을 참조로 하여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함으로써 시청 요청을 한 해당 사용자가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 의 해당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시청 요청을 한 해당 사용자가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해당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해당 방송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리밍부(333)는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함에 있어서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다운로드하지 않고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방송 콘텐츠의 재배포로 인한 저작권 침해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50)에는 복수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속성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50)에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녹화 요청 정보 및 복수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생성되는 녹화 계획에 관한 소정의 스케쥴링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350)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50)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5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 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350)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60)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과 외부 시스템(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콘텐츠 제공자(4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70)는 저장 공간 할당부(310), 녹화 요청 처리부(320), 시청 요청 처리부(330), 원격 저장 공간부(340), 데이터베이스(350) 및 통신부(3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7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저장 공간 할당부(310), 녹화 요청 처리부(320), 시청 요청 처리부(330), 원격 저장 공간부(340), 데이터베이스(350) 및 통신부(36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녹화 요청을 하는 경우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TV, 셋톱박스(Set Top Box: STB) 등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 한 녹화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스케쥴링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녹화 요청 정보 및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방송 콘텐츠의 녹화 계획에 관한 소정의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지원하는 미들웨어(middleware)는 상기 생성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인코더에 대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의 녹화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코더는 사용자에 의하여 녹화 요청된 방송 콘텐츠를 정확하게 인코딩할 수 있게 되고, 인코딩된 방송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된 원격의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코딩 과정이 수행되는 것과 더불어 소정의 암호화 수단에 의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 처리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녹화 요청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시청 요청을 하는 경우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TV, 셋톱박스(Set Top Box: STB) 등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는 미들웨어에 대하여 원격의 스토리지 내에서 해당 방송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등)를 요청할 수 있고, 미들웨어는 상기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 받은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원격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방송 콘텐츠에 접근 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방식으로 원격 스토리지로부터 해당 방송 콘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정의 암호 해독 수단에 의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의 암호화 데이터에 대한 암호 해독 처리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 요청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별다른 개입이 없이도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녹화 요청 또는 시청 요청에 따라 온전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 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녹화 시스템(3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녹화 요청 처리부(32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청 요청 처리부(33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
100: 통신망
200: 사용자 단말 장치
300: 개인용 녹화 시스템
310: 저장 공간 할당부
320: 녹화 요청 처리부
321: 녹화 요청 수신부
322: 인코딩부
323: 암호화부
324: 방송 콘텐츠 저장부
330: 시청 요청 처리부
331: 시청 요청 수신부
332: 암호 해독부
333: 스트리밍부
340: 원격 저장 공간부
350: 데이터베이스
360: 통신부
370: 제어부

Claims (19)

  1.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고,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코딩 및 상기 암호화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녹화 요청 신호는, 방송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각, 방송 콘텐츠 제공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가 녹화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를 위한 상기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인코딩을 공통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가입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녹화 요청 시마다 생성되는 인스턴트(instant)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격의 저장 공간은, 각 사용자마다 물리적으로 별개의 저장 장치에 할당되거나 각 사용자마다 논리적으로 별개의 주소에 의하여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격의 저장 공간은,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는 것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d)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시청 요청을 한 특정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함으로써 상기 시청 요청을 한 특정 사용자가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청 요청을 한 특정 사용자가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녹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녹화 요청 수신부,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녹화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인코딩 및 상기 암호화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녹화 요청을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할당된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저장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요청 신호는, 방송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각, 방송 콘텐츠의 제공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부는,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가 녹화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를 위한 상기 소정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인코딩을 공통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가입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녹화 요청 시마다 생성되는 인스턴트(instant)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의 저장 공간은, 각 사용자마다 물리적으로 별개의 저장 장치에 할당되거나 각 사용자마다 논리적으로 별개의 주소에 의하여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의 저장 공간은,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는 것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시청 요청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요청 처리부는,
    상기 시청 요청을 한 특정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함으로써 상기 시청 요청을 한 특정 사용자가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청 요청을 한 특정 사용자가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시청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116220A 2009-11-27 2009-11-27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06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20A KR101106769B1 (ko) 2009-11-27 2009-11-27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20A KR101106769B1 (ko) 2009-11-27 2009-11-27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74A true KR20110059474A (ko) 2011-06-02
KR101106769B1 KR101106769B1 (ko) 2012-01-18

Family

ID=4439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220A KR101106769B1 (ko) 2009-11-27 2009-11-27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129B1 (ko) * 2000-07-11 2003-06-12 황영헌 인터넷을 이용한 웹 pvr 시스템 및 방법
KR100656338B1 (ko) * 2004-12-11 2006-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콘텐츠의 무단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762146B1 (ko) * 2006-01-11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녹화/재생 시스템 및 녹화/재생 방법
KR20080055742A (ko) * 2007-12-18 2008-06-19 안재홍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769B1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7311B1 (en) Device authentication for secure key retrieval for streaming media players
KR100784688B1 (ko) 독립 인증 수단을 가지는 콘텐츠 실행 디바이스 콘텐츠 실행 방법 및 콘텐츠 재배포 방법
US9258587B2 (en) Content blackout determinations for playback of video streams on portable devices
KR100513297B1 (ko) 인트라넷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292500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734033B1 (ko) 방송 콘텐츠 보호/관리 시스템
US11490161B2 (en) Content rights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KR20110004333A (ko) 스트림에서의 레코딩가능한 콘텐트의 프로세싱
KR101705010B1 (ko) 스트림에서의 레코딩가능한 콘텐트의 프로세싱
KR20190025681A (ko) 위성 방송 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EP29490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content communication in chunks from a content delivery network to a user receiving device
EP2835947B1 (en) Method, terminal, and server for generating media information and ahs system thereof
KR101145877B1 (ko) 방송 콘텐츠 인기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US10440097B1 (en) Profile based streaming
KR20120058014A (ko) 추천 방송 콘텐츠 가이드를 제공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06769B1 (ko)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166081B2 (en) Content rights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KR20120057594A (ko) 방송 콘텐츠 인기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316614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69031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8061A (ko) 브이오디 콘텐츠 채널을 통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sgna et al. Subscriber centric conditional access system for pay-tv systems
KR101187796B1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기초로 운영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6080814A1 (en) Contents execution device equipped with independent authentication means and contents re-distribution method
KR20120046961A (ko)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