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144A -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144A
KR20110055144A KR1020090112042A KR20090112042A KR20110055144A KR 20110055144 A KR20110055144 A KR 20110055144A KR 1020090112042 A KR1020090112042 A KR 1020090112042A KR 20090112042 A KR20090112042 A KR 20090112042A KR 20110055144 A KR20110055144 A KR 2011005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index
metadata
relationship
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박영호
안후영
백의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5144A/ko
Publication of KR2011005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축적되는 다양한 형태의 대용량 메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소셜 메타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관계 인덱스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개인과 개인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소셜 네트워크 그래프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에 기반하여 다양한 속성으로 구성된 스키마와 인스턴스로 구성된 사회관계 테이블이 제공된다. 사회관계 테이블 내의 다양한 소셜 메타데이터들은 속성별로 구분되어 트리 인덱스가 구축된다. 각 속성별 트리 인덱스는 인덱스 집합으로 관리되며, 사용자로부터 검색을 위한 질의가 입력되면 인덱스 집합을 통해 트리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사회 관계, 소셜 메타데이터, 관계 기반 미디어 서비스

Description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ocial Meta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대용량 메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는 유연하고 확장성 있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43-02, 과제명: 장소/사회적 관계 인지형 Social 미디어 서비스 기술 개발].
웹의 진화와 함께 기존의 개인 기반으로 제공되었던 사회적 미디어 서비스는 점차 다수의 지식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정보 검색 기반 서비스에서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의 컨텐츠들이 Internet, HTTP, XML 등을 통해 개인 기반으로 제공되었으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대로 미디어 서비스가 진화됨에 따라서 다수의 지식 기반을 가지는 서비스로 진화하게 되었다.
다수의 지식 기반을 가지는 네트워킹 서비스로 진화된 웹에서는 개인의 경험 및 지식의 공유, 개인 블로그의 활성화, 위키백과와 같은 자유 백과사전 등을 통하 여 인터넷 환경 안에서 폭넓은 교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웹의 기능인 미디어 서비스는 참여, 공유, 개방의 정신이 강화되며 사회적 관계 기반 서비스로 진화되고 있다.
메타데이터란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로,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함께 따라가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최근에 디지털 사진기에 GPS 기능을 부여하여 위치 정보까지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입력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이용하면 사진이 어디에서 촬영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고, 이로써 다시 다른 지역 정보를 검색하거나 같은 지역에서 찍은 다른 사진을 검색하게 하는 등 검색성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소셜 메타데이터란, 사회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이 소속되어 있는 단체, 단체 구성원들 간의 친밀도, 가족관계, 친구관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사회적 관계 기반 미디어 서비스는 상황 인식, 집단 지성 등을 통하여 지식과 경험 등을 공유함으로써 사회적 관계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사회적 관계 기반 미디어 서비스 환경 하에서는 디지털 공동체의 개념이 생기며, 모든 사용자들이 디지털 공동체의 구성원이 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 환경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디지털화되고, 모든 데이터가 검색되며, 결국 모든 데이터들은 메타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상호 작용까지도 메타데이터가 되고, 모든 데이터들이 키워드가 된다. 따라서 메타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모델의 필요성이 강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디지털 공동체 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의 유추를 실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공동체를 이루어 사회 구성원 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소셜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셜 메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장 구조와 대용량의 소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는 사회관계 인덱싱 방법을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미리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소셜 메타데이터를 사회관계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하는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매니저와,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매니저에 의해 생성된 사회관계 테이블을 저장하는 사회관계 테이블 저장부와,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의 상기 스키마를 분석하고,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를 상기 스키마를 구성하는 속성별로 분류하는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와, 상기 속성 분류 매니저에 의해 분류된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별로 사회관계 인덱스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생성 매니저와, 상기 속성별로 생성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의 집합을 저장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을 바탕으로 사회관계를 구성하는 각 개인의 관계를 표현하는 사회관계 그래프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그래프 생성 매니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검색을 위한 질의가 입력되면 상기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는 상기 질의를 분석하여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 중 관련있는 인덱스를 선택하고,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질의를 바탕으로 상기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인덱스를 검색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는, B+ 트리 집합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의 인덱스 속성 리스트의 각 속성에 대한 인덱스인 포스팅 인덱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소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를 사회관계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하는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단계와, 생성된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의 상기 스키마를 분석하고,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를 상기 스키마를 구성하는 속성별로 분류하는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단계와, 속성별로 분류된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별로 사회관계 인덱스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생성 단계를 포함 하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은, 생성된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을 바탕으로 사회관계를 구성하는 각 개인의 관계를 표현하는 사회관계 그래프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그래프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검색을 위한 질의가 입력되는 질의 입력 단계와, 상기 질의를 분석하여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중 집합 중 관련된 인덱스를 선택하는 검색 인덱스 선택 단계와, 상기 질의를 바탕으로 상기 관련된 인덱스 상에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를 검색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단계와,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단계에서 검색 결과가 있을 경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검색 결과 출력 단계와,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단계에서 검색 결과가 없을 경우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축적되는 다양한 형태의 대용량 메타데이터를 사회관계 그래프와 사회관계 인덱스를 이용해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소셜 메타데이터의 유연성 있고 확장성 있는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원활한 사회적 기반 미디어 서비스의 실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메타데이터의 표현 및 저장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소셜 메타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한 사회관계 그래프의 예이고, 도 2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저장구조의 스키마와 각 인스턴스를 나타낸 사회관계 테이블의 예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셜 메타데이터를 표현하는 사회관계 그래프(100)는 각 노드(110, 121, 122, 123, 131, 132, 133)와 이를 연결하는 링크(20)로 이루어진다. 사회관계 그래프의 각 노드는 개인을 의미하며, 노드 간의 연결을 통하여 개인 간의 직접관계와 간접관계가 정의된다. 직접관계란 한 개인과 다른 개인이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것을 말하며, 1촌 관계 등이 직접관계의 예가 될 수 있다. 한 개인(110)은 직접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개인(121, 122, 123)과는 하나의 링크로 연결된다. 간접관계란 개인과 개인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가 아니라 중간의 어떠한 매개(사람, 소속 단체, 소속 기관)를 통해 연결되는 관계를 의미한다. 한 개인(110)은 간접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개인(131, 132, 133)과는 두 개 이상의 링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사이의 노드가 연결을 매개하는 개인 또는 단체가 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는 두 개의 링크로 연결된 관계까지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사회관계 그래프가 그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사회관계 그래프(1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메인 내의 네트워크를 표현한 것으로, 친구나 가족, 직장관계 등 현실사회에 있는 인간관계의 연결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사회관계 그래프(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사회관계 테이블(200)로 저장된다.
도 2에 나타난 사회관계 테이블(200)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에 기반한 저장 구조이다. 사회관계 테이블(200)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210)와 인스턴스(220)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키마(210)는 다양한 속성(Attribute)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개인의 속성으로 S_ID, AGE, NAME, CHARACTER, FRIEND, JOB, CLUB, NATION을 정의하고 있다. S_ID란 사람의 고유번호인 주민등록번호를 의미하고, AGE는 나이, NAME은 이름, CHARACTER는 성격, FRIEND는 개인과 직, 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다른 사람들, JOB는 직업, CLUB은 개인이 소속된 동호회, 기관 등, NATION은 국적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관계 테이블의 스키마(210)는 관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변경 가능하다.
각각의 인스턴스(220: 221, 222, ..)는 사회관계 그래프 내의 개인의 정보를 저장하며, 사회관계 테이블의 각 속성에 대한 인스턴스 필드에는 다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_ID가 1인 홍길동에 대한 정보는 도 2의 사회관계 테이블의 첫 번째 인스턴스(221)로 저장되며, CHARACTER 필드에는 밝음과 성실의 두 가지 값이 포함되어 있고, FRIEND 필드에는 철수, 영희, 영수의 세 가지 값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 구조에 대한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회관계 테이블에 사회관계 인덱스를 적용하여 대용량 소셜 메타데이터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사회관계 인덱스를 적용한 인덱스 집합이 도 3에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2의 사회관계 테이블을 바탕으로 다수의 인덱스로 구성된 인덱스 집합(30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회관계 테이블(200)의 각 스키마 속성인 CHARACTER, FRIEND, JOB, CLUB, NATION에 대한 각각의 인덱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덱스를 모은 인덱스 집합(400)을 통해 각 인스턴스 값들이 관리된다.
사회관계 인덱스는 다중 B+ 트리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회 관계 테이블에 대한 B+ 트리 인덱스 집합이다. 이는 사회관계 테이블(200)의 스키마 정보를 기반으로 소셜 메타데이터를 분류하여 생성된다. 사회관계 테이블(200)에 저장되는 대부분의 소셜 메타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이므로 텍스트의 빠른 검색에 최적화된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된 B+ 트리 집합을 사용하여 대용량 메타데이터 를 인덱싱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인덱스 집합(300)은 CLUB 인덱스(310), CHARACTER 인덱스(320), FRIEND 인덱스(330), JOB 인덱스(340), NATION 인덱스(35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인덱스는 속성값에 대한 인덱스, 인덱스 속성 리스트, 포스팅 인덱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CLUB 인덱스(310)는 속성값에 대한 인덱스(311), 인덱스 속성 리스트(315), 포스팅 인덱스(313)를 갖는다.
속성값에 대한 인덱스(311)는 해당 인덱스 도메인 내의 속성값들에 대한 B+ 트리 인덱스로서, 인덱스 도메인 내의 속성값들에 대한 인덱스이다. 도 4에 나타난 CLUB 인덱스(310)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속성값에 대한 인덱스(311)는 볼링, 야구,... 등의 값을 갖고, 각각의 값에 대해 다수의 인덱스 속성 리스트(315)를 갖는다. 인덱스 속성 리스트(315)는 각 속성값에 관련된 사회 관계 그래프 테이블(200)에서의 인스턴스에 대한 속성값 리스트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CLUB 인덱스(310)의 인덱스 속성 리스트(315)에는 볼링을 취미로 갖는 S_ID가 2인 JANE의 속성값 리스트인 (2;30;JANE;온순, 소심, 예민;홍길동, TOM;한국)가 저장된다. 포스팅 인덱스(313)는 인덱스 속성 리스트(315)의 속성 각각에 대한 인덱스이다. 예를 들어, CLUB 인덱스(310)의 인덱스 속성 리스트(315) 내의 S_ID 값들에 대한 인덱스, AGE 값들에 대한 인덱스 등이다. 포스팅 인덱스(313)는 속성값들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포스팅 인덱스(313)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저장 구조가 변경되도록 설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셜 메타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화되어, 텍스트 기반의 소셜 메타데이터 이외에, 멀티미디어 메타데이 터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 이질적인 형태의 메타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 구조로 사회 관계 인덱스 테이블의 속성 별 포스팅 인덱스 구조를 설계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되는 메타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이에 적합한 텍스트 검색에 적합한 B+ 트리 집합 이외에, 정보 검색 분야의 공간 인덱싱에 적합한 R 트리, R* 트리, MLGF(Multi Level Grid File) 등을 사용하여,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사회관계 테이블이 관리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다차원 데이터라면, 도 2의 313 부분의 트리를 R 트리, R+트리, R* 트리 또는 MLGF(Multi Level Grid File)를 사용하고, 반복되는 문자열이 많이 들어있는 텍스트 데이터라면, 서픽스 트리를 사용하여 인덱스를 구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400)은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매니저(410), 사회관계 테이블(420), 사회관계 그래프 생성 매니저(430),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440), 사회관계 인덱스 생성 매니저(450),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460),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매니저(410)는 앞서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사회관계 테이블(420)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사회관계 그래프 생성 매니저(430)는 사회관계 테이블(420)로부터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은 사회관계 그래프를 생성한다.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440)는 사회관계 테이블(200)을 사회관계 인덱스(300)로 변경하기 위해 사회관계 테이블(200)의 스키마 분석을 실시한다. 스키마 분석이란, 사회관계 테이블의 스키마가 S_ID, AGE, NAME, CHARACTER, FRIEND, JOB, CLUB, NATION의 8개의 속성들로 구성됨을 인지하고, 각 각의 메타데이터 속성값들을 속성별로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 관계 인덱스 생성 매니저(450)는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440)에 의해 분석되고 분류된 속성에 따른 입력값들을 8개의 속성에 대응하는 8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B+ 트리 인덱스를 생성한다. 각 인덱스들은 하나의 B+ 트리와 포스팅 인덱스로 구성되며 이러한 인덱스들은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460)으로 저장되어 관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인 텍스트 기반 소셜 메타데이터의 인덱싱에 사용하는 트리를 B+ 트리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R 트리, R+ 트리, R* 트리, MLGF(Multi-Level Grid File), 서픽스 트리 등의 다양한 트리를 사용하여 인덱스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47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을 위한 질의가 입력되었을 때 이 질의를 바탕으로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460)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44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질의를 분석하여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460) 중 관련된 인덱스를 선택한 후, 선택된 인덱스 상에서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470)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460)을 통한 검색의 예를 들면, "취미가 볼링인 사람들 중 나이가 20대인 한국인을 검색하라"는 질의가 입력된 경우,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440)가 이에 해당하는 CLUB 인덱스(도 3: 310)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CLUB 인덱스(310) 상에서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470)가 속성값에 대한 인덱스(311)를 검색하여 "볼링" 키워드를 찾은 후, 포스팅 인덱스(313) 중 "AGE" B+ 트리를 검색하여 20대의 집합을 구한 다음, "NATION"의 B+ 트리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반환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회관계 인덱스를 이용한 검색 성능은 B+ 트리의 시간 복잡도가 logN의 검색 시간을 보장하므로, 텍스트 기반 소셜 메타데이터는 최악의 경우에도 로그 스케일의 검색 성능을 보장한다. 또한, 텍스트 기반이 아닌 다른 종류의 메타데이터의 경우에도, R 트리, R+ 트리, R* 트리, MLGF, 서픽스 트리의 시간 복잡도와 B+ 트리의 시간 복잡도인 logN을 곱한 만큼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소셜 메타데이터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가능한 형태로 보관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이와 같이 보관된 소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정보의 입력이 있으면(S510), 해당 정보에 따라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매니저가 사회관계 테이블을 생성하여 이를 저 장한다(S520). 다음 생성된 사회관계 테이블을 바탕으로 사회관계 그래프 생성 매니저가 사회관계 그래프를 생성한다(S530).
그리고, 사회관계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가 메타데이터의 속성을 분류하고(S540), 이에 따라 사회관계 인덱스 생성 매니저가 사회관계 인덱스를 생성하면(S5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이 형성된다.
검색 과정에서는 먼저 질의가 입력되면(S610), 사회 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가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을 검색한다(S620).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때,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질의를 분석하여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 중 관련된 인덱스를 선택한 후, 선택된 인덱스 상에서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가 검색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검색을 할 수 있다.
검색 결과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630), 검색결과가 있는 경우는 해당 검색결과를 출력하고(S650),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는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을 새로 업데이트한다(S640). 여기에서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새로운 메타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에서 인덱스가 업데이트 되지 않아 검색결과가 도출되지 않는 경우에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를 통하여 새로 저장된 사용자 정보들이 들어있는 사회 관계 테이블로부터 메타데이터 속성값들을 추출하고, 사회 관계 인덱스 생성 매니저를 통하여 해당 사회 관계 테이블의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을 갱신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이 업데이트되면,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를 통하 여 재검색을 실시하여(S620) 검색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출력한다(S6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및 검색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반드시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회관계 그래프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회관계 테이블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회관계 테이블에 대한 인덱스 집합의 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미리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소셜 메타데이터를 사회관계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하는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매니저와,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매니저에 의해 생성된 사회관계 테이블을 저장하는 사회관계 테이블 저장부와,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의 상기 스키마를 분석하고,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를 상기 스키마를 구성하는 속성별로 분류하는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와,
    상기 속성 분류 매니저에 의해 분류된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별로 사회관계 인덱스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생성 매니저와,
    상기 속성별로 생성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의 집합을 저장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 저장부를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을 바탕으로 사회관계를 구성하는 각 개인의 관계를 표현하는 사회관계 그래프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그래프 생성 매니저를 더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을 위한 질의가 입력되면 상기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는 상기 질의를 분석하여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 중 관련있는 인덱스를 선택하고,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질의를 바탕으로 상기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매니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인덱스를 검색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매니저를 더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는,
    B+ 트리 집합 형태로 생성되는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는,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의 인덱스 속성 리스트의 각 속성에 대한 인덱스인 포스팅 인덱스를 더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소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를 사회관계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하는 사회관계 테이블 생성 단계와,
    생성된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의 상기 스키 마를 분석하고, 상기 소셜 메타데이터를 상기 스키마를 구성하는 속성별로 분류하는 메타데이터 속성 분류 단계와,
    속성별로 분류된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별로 사회관계 인덱스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사회관계 테이블을 바탕으로 사회관계를 구성하는 각 개인의 관계를 표현하는 사회관계 그래프를 생성하는 사회관계 그래프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는,
    다중 B+ 트리 형태로 생성되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는,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의 인덱스 속성 리스트의 각 속성에 대한 인덱스인 포스팅 인덱스를 더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검색을 위한 질의가 입력되는 질의 입력 단계와,
    상기 질의를 분석하여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중 집합 중 관련된 인덱스를 선택하는 검색 인덱스 선택 단계와,
    상기 질의를 바탕으로 상기 관련된 인덱스 상에서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를 검색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단계와,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단계에서 검색 결과가 있을 경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검색 결과 출력 단계와,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검색 단계에서 검색 결과가 없을 경우 상기 사회관계 인덱스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사회관계 인덱스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방법.
KR1020090112042A 2009-11-19 2009-11-19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5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042A KR20110055144A (ko) 2009-11-19 2009-11-19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042A KR20110055144A (ko) 2009-11-19 2009-11-19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144A true KR20110055144A (ko) 2011-05-25

Family

ID=4436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042A KR20110055144A (ko) 2009-11-19 2009-11-19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51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93B1 (ko) * 2011-05-27 2013-03-27 주식회사 솔트룩스 전문가 목록 제공 시스템
US9959320B2 (en) 2013-12-19 2018-05-01 Facebook, Inc. Generating card stacks with queries on online social network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93B1 (ko) * 2011-05-27 2013-03-27 주식회사 솔트룩스 전문가 목록 제공 시스템
US9959320B2 (en) 2013-12-19 2018-05-01 Facebook, Inc. Generating card stacks with querie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10268733B2 (en) 2013-12-19 2019-04-23 Facebook, Inc. Grouping recommended search queries in card clusters
US10360227B2 (en) 2013-12-19 2019-07-23 Facebook, Inc. Ranking recommended search quer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zomszor et al. Semantic modelling of user interests based on cross-folksonomy analysis
JP2021108183A (ja) 意図推薦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Amato et al. Kira: A system for knowledge-based access to multimedia art collections
Weller Folksonomies and ontologies: two new players in indexing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US20090119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information resources
CN103310025A (zh) 非结构化数据的描述方法及装置
Dong et al. A survey in semantic search technologies
Hunter et al. Harvana: harvesting community tags to enrich collection metadata
Semenov et al. A generic architecture for a social network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US201200541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Ortiz Vivar et al. REDI: Towards knowledge graph-powered scholarly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search networking
Bruhn et al. Pragmatic thought as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collaborative tagging and the Semantic Web
Hunter et al. Harvesting community annotations on 3D models of museum artefacts to enhance knowledge, discovery and re-use
Lazarinis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earching tools on Greek museum websites
Priss Facet-like structures in computer science
Brisebois et al. A semantic metadata enrichment software ecosystem based on metadata and affinity models
Mocholi et al. A multicriteria ant colony algorithm for generating music playlists
Lee et al. LifeLogOn: A practical lifelog system for building and exploiting lifelog ontology
Kalaï et al. User's Social Profile--Based Web Services Discovery
KR20110055144A (ko) 소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745993B2 (ja) 意識体系構築装置および意識体系構築プログラム
KR20140135100A (ko) 시맨틱 매쉬업 기술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공 방법
Dobbins et al. Towards a framework for capturing and distributing rich interactive human digital memories
Buccio et al. A linked open data approach for geolinguistics applications
Osborne et al. Understanding research dyna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