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113A - 엑스선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113A
KR20110054113A KR1020090110633A KR20090110633A KR20110054113A KR 20110054113 A KR20110054113 A KR 20110054113A KR 1020090110633 A KR1020090110633 A KR 1020090110633A KR 20090110633 A KR20090110633 A KR 20090110633A KR 20110054113 A KR20110054113 A KR 2011005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arm
sensor
human body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레나
Original Assignee
이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나 filed Critical 이레나
Priority to KR102009011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113A/ko
Publication of KR2011005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또는 인체 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 장치에 있어서, 구강 또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응하는 상기 구강 또는 인체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엑스선 센서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센서를 이동시키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일단이 고정된 촬영 테이블과, 상기 엑스선 센서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엑스선 발생부, 엑스선 센서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강 또는 인체 내부로 엑스선 발생 장치를 삽입시키고, 구강 또는 인체 외측에 센서를 배치하여 엑스선 영상을 획득함으로 인해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엑스선, 센서, 엑스선 튜브, 암부, 회전암, 디스플레이

Description

엑스선 촬영 장치{X-RAY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구강의 영상은 물론 두경부 또는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의사와 같은 의학적 전무가는 질병 검출(예를 들어 작은 충치나 확대된 치주인대 간격등의 세부적인 치아 상태 검출)을 위해 엑스선 촬영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촬영을 통해 진단 결정을 하고 이에 따른 처치를 하고 있다.
종래의 엑스선 촬영 방법은 센서 또는 필름을 구강 내에 삽입하고, 구강 내 엑스선 촬영용 엑스선 유닛을 환자의 외부에서 위치 시킨후 엑스선을 조사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 방법이 사용될 경우 딱딱한 사각형 모양의 센서를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하므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센서가 환자 각각의 구강 구조에 맞지 않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실제 원하는 영상을 한번의 엑스선 노출로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센서를 다시 위치 시킨 후 촬영을 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환자에게 불편함과 불필요한 방사선 량을 조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강 또는 인체 내부로 엑스선 발생 장치를 삽입시키고, 구강 또는 인체 외측에 센서를 배치하여 영상을 획득함으로 인해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는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또는 인체 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 장치에 있어서, 구강 또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응하는 상기 구강 또는 인체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엑스선 센서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센서를 이동시키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일단이 고정된 촬영 테이블과, 상기 엑스선 센서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엑스선 발생부, 엑스선 센서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엑스선 발생부는 에스 선 튜브와, 상기 엑스선 튜브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마련된 몸체와, 상기 엑스선 튜브로 부터 방출되는 엑스선을 일측면으로 방사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콜리메이터 홀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 탄소 나노튜브 또는 필라멘트를 이용하고, 상기 엑스 선 발생부의 직경이 1 내지 4cm이고, 길이가 0.5 내지 3cm이고,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제공되는 전류는 0.1 내지 1mA이고, 전압은 40 내지 100K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엑스선 센서는 CMOS, CCD 또는 비정질 실리콘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부는 상기 촬영 테이블에 일 단이 고정되어 상기 촬영 테이블의 상측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이동하는 수평 이동암과, 상기 수평 이동암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암과, 상기 제 1 연장암에 대향 배치된 제 2 연장암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에 각기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와, 상기 엑스선 센서가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연장암의 일단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회전암과, 일단이 상기 회전암의 회전 중심에 접속되고, 타단에 상기 엑스선 발생부가 결합되고 절곡가능한 형태의 절곡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촬영 테이블은 하측 바닥판과, 상측판 그리고, 이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테이블의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촬영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상측판과 인접한 상기 연결 프레임 영역에 이송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발생부, 엑스선 센서 및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센서를 이동시키는 암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를 통해 구강 또는 인체 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부를 이 동시켜 환자의 구강 또는 인체 내부의 촬영 영역으로 상기 엑스선 발생부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역에 해당하는 구강 또는 인체 외측에 상기 엑스선 센서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상기 엑스선 발생을 위한 전압을 인가하여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강 또는 인체 내부로 엑스선 발생 장치를 삽입시키고, 구강 또는 인체 외측에 센서를 배치하여 엑스선 영상을 획득함으로 인해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튜브를 어플리케이트로 감싸아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암부를 조절하여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센서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된 엑스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직접 환자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센서와 암부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발생부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는 구강 또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엑스선 발생부(100)와, 구강 또는 인체 외측에 위치하는 엑스선 센서(200)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100)와 엑스선 센서(2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암(Arm)부(300)와, 상기 암부(300)의 일단이 고정된 촬영 테이블(400)과, 상기 엑스선 센서(200)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와, 상기 엑스선 발생부(100), 엑스선 센서(200) 및 디스플레이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60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테이블(4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바퀴(700)와, 이송 손잡이(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엑스선 발생부(100), 엑스선 센서(200), 디스플레이부(500) 및 메인 제어부(6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는 고전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엑스선 발생부(100)는 엑스선 튜브(110)와, 내측에 엑스선 튜브(110)가 삽입되는 어플리케이터부(120)를 구비한다. 이때, 어플리케이터부(120)는 내부에 엑스선 튜브(11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마련된 몸체(121)와, 엑스선 튜브(110)로 부터 방출되는 엑스선을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콜리메이터 홀(122)을 구비한다. 콜리메이터 홀(122)은 몸체(121)의 상측 끝단 영역 에 마련된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홀(122)의 내측에는 알루미늄 필터(123)가 마련된다. 여기서, 엑스선 튜브(110)에서 발생된 엑스선은 어플리케이터부(120)의 콜리메이터 홀(122) 영역으로만 방사된다. 이를 통해 엑스선 튜브(110)가 구강 또는 인체 내측으로 삽입되더라도 촬영 영역(즉, 영상 획득 영역)이외의 영역에 엑스선 조사에 의한 방사선 피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엑스선 발생부(100)는 탄소 나노튜브(CNT) 또는 필라멘트(Filament)를 이용한 장치로 구강(즉, 입안) 또는 인체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엑스선 발생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형태로 제작되고, 튜브의 직경이 4cm 이하(약 1 내지 4cm)이고, 길이 3cm 이하(약 0.5 내지 3cm)의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환자의 구강 또는 인체 내에 삽입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길이가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엑스선을 효과적으로 구강 또는 인체내의 환부에 조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엑스선 튜브(110)에 인가되는 음극선(anode) 전류는 1mA이하(약 0.1 내지 1mA)이고, 이때의 전압은 40 내지 100KV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튜브 형태는 평판 모양 또는 원 기둥 모양 또는 다각 기둥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고, 여러 방향에서 구강 또는 인체의 엑스선 영상이 획득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엑스선 발생부(100)를 사각형 또는 원형 모양으로 제작하고, 4면에 콜리메이트 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엑스선 발생부(100)를 구강에 배치하고, 엑스선 센서(200)를 머리 위, 턱 아래, 양쪽 볼에 위 치할 경우 4 면의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경부의 엑스선 영상 촬영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엑스선 발생부(100)를 사각형 튜브 형태로 제작하여 인체의 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엑스선이 네 방향에서 발생 되므로 인체의 앞, 뒤 양쪽 옆면등 4부분에 엑스선 센서(200)를 위치시킬 경우 1번의 엑스선 조사로 4부분의 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엑스선 센서(200)는 엑스선 발생부(10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엑스선 센서(200)로 CMOS, CCD 또는 비정질 실리콘 센서와 같이 엑스선 방사에 민감한 센서들을 사용한다. 물론 이때, 상기 엑스선 센서(200)의 크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엑스선 촬영 장치가 구강 촬영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엑스선 센서(200)는 10cm×10cm 이하의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엑스선 발생부(100)와 엑스선 센서(200)는 암부(300)에 의해 다양한 각도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암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테이블(400)에 일 단이 고정되어 촬영 테이블(400)의 상측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이동하는 수평 이동암(310)과, 상기 수평 이동암(310)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암(320)과, 상기 제 1 연장암(320)에 대향 배치된 제 2 연장암(330)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320, 330)이 각기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320, 330)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340)와, 상기 엑스선 센서(200)가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연장암(330)의 일단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회전암(350)과, 일단이 회전암(350)의 회전 중심에 접속되고, 타단에 상기 엑스선 발생부(100)가 결합되고 절곡(즉, 굴절)가능한 형태의 절곡암(3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이동암(310)은 촬영 테이블(400)의 상측면에 고정된 고정 몸체와 고정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장축부를 구비한다. 이때, 고정 몸체와 연장축부의 각은 90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연장 축부의 일 끝단에는 고정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 삽입홈에는 베어링과 같은 회전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암부(300)가 촬영 테이블(400)의 상측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암(320)은 그 일단이 상기 수평 이동암(310)의 타단에 접속된다. 이때, 제 1 연장암(320)은 상기 촬영 테이블(400)의 상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이동암(310)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 이동암(310)의 타단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관통되고, 그 외측이 뚤린 수직홈이 형성된다. 즉, U자 형태의 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 수직홈의 내측에 상기 제 1 연장암(320)이 결합된다. 이때, 제 1 연장암(320)은 상기 수직홈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그 중심에 회전축이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암(320)의 타단은 상기 각도 조절부(340)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연장암(330)은 상기 제 1 연장암(320)과 동일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암(330)의 타단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340)에 결합된다.
각도 조절부(340)는 적어도 2개의 내부 공간을 갖는 캡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이 내부 공간에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320, 330)이 결합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연장암(320, 330)의 결합 중심면에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320, 330)이 각도 조절부(34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벌려질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부(340)에 의해 제 1 및 제 2 연장암(320, 330)사이의 사이 각은 최대 180도 이내 인 것이 효과적이다.
앞서 설명한 암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직선 형태의 튜브 형상으로 제작된다.
회전암(3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의 튜브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회전암(350)의 타단에는 엑스선 센서(20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상기 회전암(350)의 타단에 후크가 위치하고, 이 후크 영역에 전원 및 신호 선 패드가 마련된다. 또한, 엑스선 센서(200)에도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홈이 마련되고, 이 홈의 내측에 상기 전원 및 신호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드들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암(350)의 일단은 제 2 연장암(3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즉, 제 2 연장암(330)의 연장 방향의 일단에는 회전체가 접속되고, 회전암(350)의 일단에도 이에 대응하는 회전체가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암(350)이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엑스선 센서(200)를 인체의 외측 영역에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암(350)의 일단 하측 중심 즉, 회전 중심에 절곡암(360)이 접속된다. 이때, 절곡암(360)의 끝단에는 엑스선 발생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발생부(100)와 절곡암(360)이 나산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암(360)은 절곡 가능한 튜브 형상인 것이 효과적이다. 즉, 절곡암(360)으로 나사선 형태의 절곡 튜브를 사용하여 그 위치 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엑스선 발생부(1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구강 또는 인체 내부의 어느 위치 또는 방향으로 엑스선 발생부(10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촬영 테이블(400)은 하측 바닥판(410)과, 상측판(420) 그리고, 이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43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410)과 상측판(420)은 사각 판 형태도 제작된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430)은 이러한 판들 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기둥 형태로 배치된다. 물론 촬영 테이블(400)은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통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테이블(400)의 바닥판(410)의 하부에 촬영 테이블(4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바퀴(700)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판(420)과 인접한 연결 프레임(430) 영역에 이송 손잡이(800)가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테이블(400)의 상측판(420)에 엑스선 센서(200)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촬영 테이블(400)의 바닥판(410) 상에 메인 제어부(600)가 위치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메인 제어부(600)가 상기 상측판(420)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물론 메인 제어부(600)가 상측판(420)의 하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부(600)는 엑스선 센서(200)와 엑스선 발생부(100) 그리 고, 디스플레이부(5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 선과 신호선이 상기 암부(3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엑스선 발생부(100)와 엑스선 센서(200)와 접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제어부(600)는 상기 엑스선 발생부(100)와 엑스선 센서(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엑스선 센서(200)로 부터 센싱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500)에 제공하여 촬영된 엑스선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600)는 전원 인가 모듈, 신호 수신 모듈, 신호 변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인가 모듈은 전원 생성부와 전원 스위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거 전원 스위치부를 온시켰을 때에만 엑스선 발생부(100)로 부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 모듈은 A/D 컨버터를 구비하여 센싱된 신호를 디지털화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변환 모듈은 인가된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500)로 LCD, PDP와 같은 평판 디스 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구성의 엑스선 촬영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구강 촬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촬영 테이블(400)을 환자의 주변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암부(300)를 이동시켜 환자의 구강 내부의 촬영 영역으로 엑스선 발생부(100)를 배치시킨다. 이어서, 엑스선 발생부(100)에 대응하는 환자의 구강 외 측에 엑스선 센서(200)를 배치시킨다. 이어서, 메인 제어부(600)를 통해 엑스선 발생부(100)에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여, 구강 내부의 촬영 영역으로 엑스선을 방출한다. 이어서, 엑스선 센서(2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500)에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엑스선 센서(200)와 엑스선 발생부(100)의 위치와 각도 그리고, 이둘 사이의 간격 조절은 암부(300)에 의해 수행된다.
이를 통해 환자 구강 내부의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구강 뿐만 아니라 인체 내부의 영상 또한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센서와 암부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발생부의 단면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엑스선 발생부 110 : 엑스선 튜브
120 : 어플리케이터부 121 : 몸체
122 : 콜리메이터 홀 123 : 알루미늄 필터
200 : 엑스선 센서 300 : 암부
310 : 수평 이동암 320, 330 : 연장암
340 : 각도 조절부 350 : 회전암부
360 : 절곡암 400 : 촬영 테이블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메인 제어부

Claims (7)

  1. 구강 또는 인체 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 장치에 있어서,
    구강 또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응하는 상기 구강 또는 인체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엑스선 센서;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센서를 이동시키는 암부;
    상기 암부의 일단이 고정된 촬영 테이블;
    상기 엑스선 센서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엑스선 발생부, 엑스선 센서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발생부는 에스 선 튜브와, 상기 엑스선 튜브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마련된 몸체와, 상기 엑스선 튜브로 부터 방출되는 엑스선을 일측면으로 방사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콜리메이터 홀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 탄소 나노튜브 또는 필라멘트를 이용하고,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직경이 1 내지 4cm이고, 길이가 0.5 내지 3cm이고,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제공되는 전류는 0.1 내지 1mA이고, 전압은 40 내지 100K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센서는 CMOS, CCD 또는 비정질 실리콘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촬영 테이블에 일 단이 고정되어 상기 촬영 테이블의 상측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이동하는 수평 이동암과,
    상기 수평 이동암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암과,
    상기 제 1 연장암에 대향 배치된 제 2 연장암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에 각기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암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와,
    상기 엑스선 센서가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연장암의 일단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회전암과,
    일단이 상기 회전암의 회전 중심에 접속되고, 타단에 상기 엑스선 발생부가 결합되고 절곡가능한 형태의 절곡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6.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촬영 테이블은 하측 바닥판과, 상측판 그리고, 이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테이블의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촬영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상측판과 인접한 상기 연결 프레임 영역에 이송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7. 엑스선 발생부, 엑스선 센서 및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센서를 이동시키는 암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를 통해 구강 또는 인체 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부를 이동시켜 환자의 구강 또는 인체 내부의 촬영 영역으로 상기 엑스선 발생부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역에 해당하는 구강 또는 인체 외측에 상기 엑스선 센서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상기 엑스선 발생을 위한 전압을 인가하여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방법.
KR1020090110633A 2009-11-17 2009-11-17 엑스선 촬영 장치 KR20110054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633A KR20110054113A (ko) 2009-11-17 2009-11-17 엑스선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633A KR20110054113A (ko) 2009-11-17 2009-11-17 엑스선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113A true KR20110054113A (ko) 2011-05-25

Family

ID=4436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633A KR20110054113A (ko) 2009-11-17 2009-11-17 엑스선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4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740B1 (ko) * 2012-11-08 2013-12-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용 엑스선 디텍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구강용 엑스선 촬영 장치
KR101380473B1 (ko) * 2012-07-20 2014-04-01 김성현 치과시술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473B1 (ko) * 2012-07-20 2014-04-01 김성현 치과시술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장치
KR101338740B1 (ko) * 2012-11-08 2013-12-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용 엑스선 디텍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구강용 엑스선 촬영 장치
WO2014073906A1 (ko) * 2012-11-08 2014-05-15 주식회사 레매디 구강용 엑스선 디텍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구강용 엑스선 촬영 장치
CN105142527A (zh) * 2012-11-08 2015-12-09 雷迈迪有限公司 口腔用x射线探测器组件以及利用该组件的口腔用x射线摄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5608B2 (en) Combined panoramic and CT (Computed Tomography)photographing apparatus
EP1752099B1 (en) Combined panoramic and computed tomography photographing apparatus
ES2659395T3 (es) Aparato de asistencia dental y de formación de imágenes
US7424091B2 (en) Combined panoramic, CT (computed tomography) and cephalometric photographing apparatus
KR100907821B1 (ko) 치과 의료진단용 복합영상 촬영장치
JP7382042B2 (ja) 3次元歯科用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固定式口腔内トモシンセシス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210338180A1 (en) Stationary intraoral tomosynthesis imag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hree dimensional dental imaging
US9050040B2 (en) Intraoral radiation type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386958B2 (en)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camera
WO2003049616A1 (fr) Appareil de tomographie par ordinateur (ct) a rayons x
JP2017148623A (ja) X線撮影装置
JP6281119B2 (ja) ポータブル3d表示x線撮影装置
KR20110054113A (ko) 엑스선 촬영 장치
KR20210002286U (ko) 의료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
US9579074B2 (en)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for detecting X-rays from outside the oral cavity
US20220133249A1 (en) Three dimensional x-ray imaging system
US20220225952A1 (en) Three dimensional x-ray imaging system
KR101642293B1 (ko) 치과 의료진단용 복합영상 촬영장치
JP2015083024A (ja) X線撮影装置及びx線撮影方法
KR101338740B1 (ko) 구강용 엑스선 디텍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구강용 엑스선 촬영 장치
JP2009142382A (ja) X線ct装置
FR3060965A1 (fr) Dispositif de radiologie dent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