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793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793A
KR20110053793A KR1020090110468A KR20090110468A KR20110053793A KR 20110053793 A KR20110053793 A KR 20110053793A KR 1020090110468 A KR1020090110468 A KR 1020090110468A KR 20090110468 A KR20090110468 A KR 20090110468A KR 20110053793 A KR20110053793 A KR 2011005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ing
frame
signals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254B1 (ko
Inventor
전지훈
남형식
오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254B1/ko
Priority to US12/752,463 priority patent/US8619020B2/en
Publication of KR2011005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은 소정 주기로 공통 전압에 대해서 반전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외부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들을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는 표시패널에 내장된다. 리드아웃회로는 공통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레벨을 갖는 기준 레벨 구간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들을 충전한다. 제어회로는 리드아웃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표시패널 상에서 외부 신호가 제공된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따라서, 리드아웃회로는 정확한 센싱 신호를 제어회로로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센싱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들이 내장된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상에 나타낸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이다.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터치 패널을 통해 접촉된 위치를 파악하고, 접촉된 위치에서 지시하는 내용을 입력신호로 받아들여 입력신호에 따라서 구동된다.
터치 패널을 갖는 영상표시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터치 패널이 액정표시장치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터치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받아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그러나, 터치 패널이 액정표시패널과 별도의 패널로 구비되면 휘도 및 시야각과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의 두께만큼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들이 표시패널에 내장된 구조에서 센싱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여 센싱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다수의 센서, 리드아웃회로 및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소정 주기로 공통 전압에 대해서 반전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는 외부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공통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레벨을 갖는 기준 레벨 구간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제1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신호들을 충전한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충전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외부 신호가 제공된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다수의 센서, 센서 드라이버, 정상 신호 생성부 및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는 외부 신호를 센싱하여 제1 센싱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센서 드라이버는 n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에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고, n+1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스캔 신호의 공급을 중지한다.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는 상기 n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1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로 부터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센싱 신호에서 상기 노이즈 신호를 감하여 제2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근거로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외부 신호가 제공된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데이터 드라이버, 다수의 센서, 리드아웃회로 및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반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공통 전압에 대해서 소정 주기로 반전시켜 상기 표시패널로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반전 신호의 주기를 제어한다. 상기 다수의 센서는 외부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리드아웃 회로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리드아웃 회로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신호를 근거로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외부 신호가 제공된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따르면, 센서들이 표시패널에 내장된 구조에서, 리드아웃회로는 공통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레벨을 갖는 기준 레벨 구간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들을 충전한다.
따라서, 제어회로는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이 왜곡되지 않은 구간에서 리드아웃된 정상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센싱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센서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300)는 표시패널(100), 타이밍 컨트롤러(310), 게이트 드라이버(320), 데이터 드라이버(330), 공통전압 발생부(이하, Vcom 발생부)(340), 센서 드라이버(350), 리드 아웃 회로(360), 샘플링 신호 생성부(370), 및 제어회로(39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는 상기 표시장치(300)의 외부로부터 다수의 영상신호(RGB) 및 다수의 제어신호(CS)를 수신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상기 영상신호들(RGB)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신호들(R'G'B')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는 데이터 제어신호(예를 들어, 출력개시신호(TP), 수평개시신호(STH) 및 극성반전신호(POL) 등)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로 제공하고, 게이트 제어신호(예를 들어, 수직개시신호(STV1), 수직클럭신호(CK1), 및 수직클럭바신호(CKB1))를 게이트 드라이버(320)로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2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STV1, CK1, CKB1)에 응답해서 게이트 신호들(G1~Gn)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TP, STH, POL)에 응답해서 상기 영상신호들(R'G'B')을 데이터 전압들(D1~Dm)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데이터 전압들(D1~Dm)은 상기 표시패널(100)로 인가된다.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다수의 화소(PX) 및 다수의 센서(SN)가 구비된다. 즉, 상기 다수의 화소(PX)와 상기 다수의 센서(SN)는 상기 표시패널(100)에 내장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마주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화소(PX)는 상기 하부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센서(SN)는 상기 상부기판에 구비된다.
상기 화소들(PX) 각각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여기서는 하나의 화소에 대한 구성을 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기판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상기 다수의 화소(PX)가 구비된다. 각 화소(PX)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커패시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고, 소오스 전극은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액정 커패시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20)에 연결되며, 상 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에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20)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들(G1~Gn)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들(D1~Dm)을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각 화소(PX)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된 데이터 전압은 턴-온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액정 커패시터의 제1 전극(이하, 화소전극)에 인가된다. 한편, 상기 액정 커패시터의 제2 전극(이하,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Vcom)이 인가된다.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상부 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공통전압 발생부(340)는 입력전압(Vin)을 직류 전압 형태의 상기 공통전압(Vcom)으로 변환하여 상기 공통전극에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커패시터에는 상기 공통전압(Vcom)과 상기 데이터 전압의 전위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충전된다. 각 화소(PX)는 상기 액정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소들에 상기 공통전압(Vcom)에 대하여 정극성을 갖는 상기 데이터 전압들(D1~Dm)이 계속해서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액정층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는 상기 극성반전신호(POL)에 응답하여 상기 공통전압(Vcom)에 대한 상기 데이터 전압들(D1~Dm)의 극성을 한 영상 프레임 단위로 반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기판에는 다수의 스캔 라인(SL), 상기 다수의 스캔 라인(SL) 과 교차하는 다수의 리드아웃 라인(RL) 및 상기 다수의 센서(SN)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센서들(SN) 각각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여기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하나의 센서(SN)에 대한 구성을 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다수의 스캔 라인(SL) 중 제1 및 제2 스캔 라인(SL1, SL2)을 도시하였고, 상기 다수의 리드아웃 라인(RL) 중 제1 내지 제3 리드아웃 라인(RL1, RL2, RL3)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센서(SN)는 센서 트랜지스터(ST1), 스위칭 트랜지스터(ST2) 및 커패시터(Cs)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ST2)의 제1 전극은 상기 다수의 스캔 라인(SL) 중 대응하는 스캔 라인(SL2)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상기 다수의 리드아웃 라인들(RL) 중 대응하는 리드아웃 라인(RL1)에 연결되며, 제3 전극은 상기 커패시터(Cs)와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ST1)에 연결된다.
상기 커패시터(Cs)의 제1 전극은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고, 제2 전극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ST1)의 제1 전극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에는 상기 접지전압이 인가되며, 제3 전극은 상기 커패시터(Cs)의 제1 전극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ST1)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센싱하고, 센싱된 광의 광량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ST1)으로 제공되는 상기 광에 대해서는 이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ST1)로부터 출력된 상기 포토 전류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Cs)에 충전된 전압이 상승한다. 즉,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ST1)로 입사되는 광의 광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커패시터(Cs)에 충전된 전압은 증가할 것이다.
상기 다수의 스캔 라인(SL)은 상기 센서 드라이버(350)에 연결되어 다수의 스캔 신호(S1~Sn)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상기 센서 드라이버(35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센서 제어신호(예를 들어, 개시신호(STV2), 제1 및 제2 클럭신호(CK2, CKB2))를 수신하여 상기 스캔 신호들(S1~Sn)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센서 제어신호(STV2, CK2, CKB2)는 게이트 제어신호(STV1, CK1, CKB1)에 동기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리드아웃 라인들(RL)은 상기 리드아웃 회로(360)에 연결되어 대응하는 센서(SN)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리드아웃 회로(36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각 센서(SN)는 대응하는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ST2)가 턴-온되면, 상기 커패시터(Cs)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T2)를 통해 상기 대응하는 리드아웃 라인(RL)으로 제공한다.
상기 리드아웃 회로(36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들(RE, SCK) 및 제1 샘플링 신호(SH1)에 응답하여 상기 리드아웃 라인들(RL)로부터 수신된 센싱 전압들(R1~Rm)을 충전하였다가, 소정 시점에 상기 충전된 전압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회로(390)로 제공한다.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는 상기 샘플링 신호 생성부(370)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출력된 제2 샘플링 신호(SH2)에 근거로 하여 생성한 신호이다. 상기 리드아웃 회로(360) 및 상기 샘플 링 신호 생성부(370)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회로(390)는 상기 스캔 신호가 발생된 시점 및 상기 수신된 전압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한 지점의 2차원 좌표값을 생성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 회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아웃 회로(360)는 다수의 오피 엠프(OP1~OPm), 샘플링부(361), 충전부(362) 및 리드아웃부(363) 및 쉬프트 레지스터(364)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오피 엠프(OP1~OPm) 각각은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다수의 리드아웃라인(RL1~RLm)에 각각 연결되어 대응하는 센서(SN)로부터 센싱된 전압(R1~Rm)을 수신하고,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기준 전압(Vref)를 수신한다. 상기 각 오피 엠프(OP1~OPm)는 대응하는 센서(SN)에 스캔신호(S1)가 공급된 이후에 대응하는 리드아웃 라인(RL1~RLm)으로부터 센싱 전압(R1~Rm)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각 오피 엠프(OP1~OPm)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 입력 단자 사이에는 커패시터(C1) 및 스위칭 소자(T1)가 병렬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T1)는 상기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부터 리셋 신호(RE)를 수신하고, 상기 리셋 신호(RE)가 로우 상태인 구간동안 오픈(open)된다. 따라서, 상기 리셋 신호(RE)의 로우 구간 동안 상기 다수의 오피 엠프(OP1~OPm)는 상기 센싱 전압들(R1~Rm)이 상기 기준 전압(Vref)보다 크면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서서히 상승시킨다.
상기 샘플링부(361)는 상기 다수의 오피 엠프(OP1~OPm)의 출력단자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샘플링 스위칭 소자(SH-S1~SH-Sm)를 포함한다. 상기 샘플링 스위칭 소자들(SH-S1~SH-Sm)에는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가 인가된다. 특히,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에서 상기 샘플링 스위칭 소자들(SH-S1~SH-Sm)이 도통되고, 상기 다수의 오피 엠프(OP1~OPm)의 출력 전압들은 도통된 상기 샘플링 스위칭 소자들(SH-S1~SH-Sm)을 통해 상기 충전부(362)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은 상기 스캔 신호(S1)의 폴링 시점 이후부터 상기 리셋 신호(RE)의 라이징 시점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충전부(362)는 상기 샘플링 스위칭 소자(SH-S1~SH-Sm)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커패시터(C2-1~C2-m)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동안 상기 다수의 커패시터(C2-1~C2-m)에는 상기 출력전압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아웃부(363)는 상기 다수의 커패시터(C2-1~C2-m)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리드아웃 스위칭 소자(Ro-S1~Ro-Sm)를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64)는 상기 리드아웃 스위칭 소자들(Ro-S1~Ro-Sm)을 컨트롤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SW1~SWm)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그러기 위해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64)는 다수의 스테이지(SR1~SRm)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클럭 신호(SCK)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스테이지(SR1~SRm)를 통해 순차적으로 스위칭 신호들(SW1~SWm)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스위칭 신호들(SW1~SWm)은 상기 리셋 신호(RE)의 하이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64)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 상기 스위칭 신호들(SW1~SWm)에 응답하여 상기 리드아웃 스위칭 소자들(Ro-S1~Ro-Sm)은 순차적으로 도통되어 대응하는 커패시터(C2-1~C2-m)에 충전된 전압을 제어회로(390)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390)는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한 행에 포함된 센서들(SN)에 의해 센싱된 전압들(R1~Rm)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은 상기 제2 샘플링 신호(SH2)의 하이 구간 내에 존재한다. 상기 제2 샘플링 신호(SH2)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샘플링 신호 생성부의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샘플링 신호 생성부(370)는 카운터(371), 신호 설정부(372) 및 앤드 게이트(373)를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371)는 출력개시신호(TP)를 수신하고, 오실레이터 클럭(O-CK)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개시신호(TP)의 로우 구간(즉, 상기 출력개시신호(TP)의 폴링 시점부터 다음 라이징 시점까지의 구간)을 카운팅한다. 상기 출력개시신호(TP)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로 제공되는 신호이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는 상기 출력개시신호(TP)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전압들(D1~Dm)이 출력되는 시점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개시신호(TP)의 하이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는 상기 데이터 전압 들(D1~Dm)을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들(D1~Dm)의 극성은 상기 출력개시신호(TP)의 한 주기 마다 반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통전압(Vcom)에는 상기 출력개시신호(TP)의 한 주기 마다 상기 데이터 전압들(D1~Dm)의 극성을 따라 기준 전압 레벨보다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371)는 상기 출력개시신호(TP)의 로우 구간을 카운팅한 값(CNT)을 상기 신호 설정부(372)로 제공한다. 상기 신호 설정부(372)는 상기 카운팅 값(CNT)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REF1) 및 제2 기준값(REF2)과 비교한다. 즉, 상기 신호 설정부(372)는 상기 카운팅 값(CNT)이 상기 제1 기준값(REF1)보다 크면 하이 상태의 마스킹 신호(MAS)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팅 값(CNT)이 상기 제2 기준값(REF2)과 크거나 같으면 상기 마스킹 신호(MAS)를 로우 상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상기 마스킹 신호(MAS)는 상기 카운팅값(CNT)이 상기 제1 기준값(REF1)보다 큰 시점부터 상기 제2 기준값(REF2)보다 작은 시점까지 하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운팅값(CNT)이 상기 제1 기준값(REF1)보다 크고, 상기 제2 기준값(REF2)보다 작은 구간은 상기 공통전압(Vcom)의 기준 레벨 구간(Tref)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상기 제1 기준값(REF1)이 '3'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기준값(REF2)이 'n'(n은 3보다 큰 자연수)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기준값(REF1, REF2)은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앤드 게이트(373)는 상기 신호 설정부(372)로부터 제공된 상기 마스킹 신호(MAS)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10)로부터 제공된 제2 샘플링 신호(SH2)를 논 리 앤드하여 제1 샘플링 신호(SH1)를 출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샘플링 신호(SH2)는 상기 리셋 신호(RE)의 로우 구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하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앤드 게이트(373)는 상기 제2 샘플링 신호(SH2) 및 상기 마스킹 신호(MAS)가 모두 하이일 때,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를 하이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샘플링 신호(SH2)의 하이 구간과 상기 마스킹 신호(MAS)의 하이 구간이 서로 오버랩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의 전체 폭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값(REF1, REF2)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준값(REF1)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기준값(REF2)을 증가시키면,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의 전체 폭은 증가될 것이고, 상기 제1 기준값(REF1)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기준값(REF2)을 감소시키면, 상기 제1 샘플링 신호(SH1)의 하이 구간의 전체 폭은 감소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상 신호 생성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감산부의 감산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 도 7에 도시된 도면 부호들 중 도 1에 도시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정상 신호 생성부(380)는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 회로(360)에 포함되거나, 상기 리드아웃 회로(360)와는 별도의 기능 블럭으로 상기 표시장치(3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380)가 상기 리드아웃 회 로(360)와는 별도의 기능 블럭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380)는 상기 리드아웃 회로(360)와 상기 제어회로(390, 도 1에 도시됨)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380)는 선택부(381), 카운터(382), 제1 프레임 메모리(383), 제2 프레임 메모리(384) 및 감산부(385)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운터(382)는 오실레이터 클럭(O-CK)을 이용하여 센싱 프레임들을 카운팅할 수 있다. 각 센싱 프레임은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센서들(SN)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모두 리드아웃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센싱 프레임들 중 n번째(n은 1 이상의 자연수) 센싱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드라이버(350)가 가동되는 프레임으로 정의되고, n+1번째 센싱 프레임은 상기 센서 드라이버(350)가 가동되지 않는 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382)는 상기 센싱 프레임들(SF)을 카운팅하여 카운팅한 결과값에 따라 프레임 선택 신호(F-Sel)를 상기 선택부(381)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프레임 선택 신호(F-Sel)는 상기 결과값이 짝수이면, 제1 상태를 갖고, 상기 결과값이 홀수이면, 제2 상태를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선택부(381)는 상기 센서들(SN)로부터 리드아웃된 신호들을 상기 프레임 선택 신호(F_sel)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프레임 메모리(383, 384) 중 어느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할 것인지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부(381)는 상기 프레임 선택 신호(F-Sel)가 상기 제1 상태이면, 상기 리드아웃된 신호들을 상기 제1 프레임 메모리(383)에 저장하고, 상기 프레임 선택 신호(F-Sel)가 상기 제2 상태이면, 상기 리드아웃된 신호들을 상기 제2 프레임 메모리(384)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n번째 센싱 프레임에서는 상기 센서 드라이버(350)가 동작하므로, 상기 제1 프레임 메모리(383)에 저장된 신호들은 상기 센서들(SN)로부터 센싱된 신호들(E-Signal)이지만, 상기 n+1번째 센싱 프레임에서는 상기 센서 드라이버(35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2 프레임 메모리(384)에 저장된 신호들은 노이즈 신호(O-Signal)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노이즈 신호(O-Signal)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 전압(Vcom)의 왜곡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감산부(385)는 상기 제1 프레임 메모리(383)에 저장된 상기 센싱 신호들(E-Signal)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메모리(384)에 저장된 노이즈 신호(O-Signal)를 감하여 정상 센싱 신호(N-Signal)를 출력한다. 이처럼, 노이즈가 제거된 상기 정상 센싱 신호(N-Signal)가 상기 제어회로(390, 도 1에 도시됨)로 제공되면, 상기 제어회로(390)는 터치 동작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블럭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극성반전신호에 따른 공통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310)는 선택 신호(MOD)에 근거하여 극성반전신호(POL)의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3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선택 신호(MOD)가 하이 상태이면, 상기 극성반전신호(POL)는 두 개의 영상 프레임 이상의 단위로 반전되고, 상기 선택 신호가 로우 상태이면, 상기 극성반전신호(POL)는 한 영상 프레임 단위로 반 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311)는 서로 다른 주기를 갖는 제1 극성반전신호(POL1)와 제2 극성반전신호(POL2)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신호(MOD)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극성반전신호(POL1, POL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극성반전신호(POL)로써 출력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극성반전신호(POL1)는 한 영상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고, 상기 제2 극성반전신호(POL2)는 두 영상 프레임 단위로 반전될 수 있다.
상기 선택신호(MOD)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300)를 상기 센서들(SN)을 주로 사용하는 모드, 예를 들어, 스캔모드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선택신호(MOD)를 하이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1)는 하이 상태의 상기 선택신호(MOD)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극성반전신호(POL1)를 상기 극성반전신호(POL)로써 출력하고, 로우 상태의 상기 선택신호(MOD)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극성반전신호(POL2)를 상기 극성반전신호(POL)로써 출력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극성반전신호(POL2)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30)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공통전압(Vcom)에 왜곡이 발생하는 빈도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표시장치(300)가 센서들을 주로 사용하는 스캔 모드 등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극성반전신호(POL)의 주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센서들(SN)의 의해 센싱된 신호들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3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 및 상기 표시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하부기판(110), 상기 하부기판(110)과 마주하는 상부기판(120) 및 상기 하부기판(110)과 상기 상부기판(1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기판(110)은 제1 베이스 기판(111)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1) 상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PX,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화소(PX)에는 레드, 그린 및 블루 색화소들(R,G,B)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어느 한 색화소 상에 배치된 화소전극(11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각 화소에는 상기 색화소(R,G,B) 및 화소전극(115) 이외에도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색화소들(R,G,B)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112)가 구비되며, 상기 색화소들(R,G,B)은 유기 절연막(114)에 의해서 커버된다. 상기 화소전극(115)은 상기 유기 절연막(114) 상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기판(120)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1)과 마주하는 제2 베이스 기판(112) 및 상기 하부기판(110)과 마주하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112)의 하면 상에 구비된 다수의 센서(SN,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센서(SN) 각각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1)는 아몰퍼스 실리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상기 제2 베이스 기판(1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120)은 상기 센서들(SN)을 커버하는 절연막(122) 및 상기 절연막 상에 구비되어 상기 화소전극(115)과 마주하는 공통전극(1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화소전극(115), 상기 공통전극(123) 및 상기 액정층(130)에 의해서 액정 커패시터(Cl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색화소들(R,G,B)이 상기 하부기판(110) 측에 구비된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상기 색화소들(R,G,B)은 상기 상부기판(120)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200)은 상기 표시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된 회로기판(201), 상기 회로기판(201) 상에 실장되어 화이트 광(L1)을 출사하는 다수의 제1 광원(210) 및 상기 회로기판(201) 상에 실장되어 적외선(L2)을 출사하는 다수의 제2 광원(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광원들(210, 220)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광원(210) 사이에 하나의 제2 광원(2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광원들(210, 220)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광원들(210)로부터 출사된 상기 화이트 광(L1)은 상기 표시패널(100)로 입사되고, 입사된 상기 화이트 광(L1)은 상기 액정층(130)을 통과한다. 상기 액정층(130)의 광 투과율은 상기 화소전극(115)과 상기 공통전극(123)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서 컨트롤된다. 즉, 상기 표시패널(100)은 상기 액정층(130)에 의해서 상기 화이트 광(L1)의 투과율을 컨트롤함으로써 원 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광원들(220)로부터 출사된 상기 적외선(L2)은 상기 표시패널(100)로 입사된 후 상기 표시패널(100)을 통과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을 통과한 상기 적외선(L2)은 사용자의 눈에는 인식되지 않으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인식하는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제2 광원들(220)로부터 출사된 상기 적외선(L2)은 상기 표시패널(100) 내에 구비된 다수의 층에 의해서 일부 반사되고, 일부만이 상기 표시패널(10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을 통과한 적외선(L2)은 외부로 방사되지만, 상기 표시패널(100) 상에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10)가 존재하면, 상기 손가락(10)에 의해서 반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12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손가락(10)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00)의 특정 지점을 터치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 손가락(10)에 의해서 반사된 적외선(L2)은 상기 표시패널(100) 내에 구비된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ST1)를 통해 센싱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된 적외선(L2)은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ST1)의 아몰퍼스 실리콘층(124)으로 입사되고, 상기 반사된 적외선(L2)의 광량에 따라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ST1)로부터 출력되는 포토 전류가 변화된다.
도 12에서는,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ST1)가 상기 상부 기판(120)에 구비된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ST1)는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ST1)가 상기 상부기판(120)에 구비되면, 상기 하부기판(110)에 구비된 경우에 비하여 상기 물체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진다. 따라서,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ST1)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터치된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120)에 구비된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ST1)가 상기 하부기판(110)의 블랙 매트릭스(112)가 형성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100)의 개구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센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 회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샘플링 신호 생성부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상 신호 생성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감산부의 감산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극성반전신호에 따른 공통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패널 200 : 백라이트 유닛
300 : 표시장치 310 : 타이밍 컨트롤러
320 : 게이트 드라이버 330 : 데이터 드라이버
340 : Vcom 발생부 350 : 센서 드라이버
360 : 리드아웃 회로 370 : 샘플링 신호 생성부
380 : 정상신호 생성부 390 : 제어회로

Claims (20)

  1. 소정 주기로 공통 전압에 대해서 반전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외부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들을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공통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레벨을 갖는 기준 레벨 구간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제1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신호들을 충전하는 리드아웃 회로; 및
    상기 충전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외부 신호가 제공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에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센서 드라이버;
    상기 스캔 신호가 발생된 이후 시점부터 소정 기간 동안 하이 상태를 갖는 제2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샘플링 신호 및 상기 공통전압의 상기 기준 레벨 구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샘플링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신호 생성부는,
    상기 기준 레벨 구간에 대응하여 하이 상태를 갖는 마스킹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마스킹 신호와 상기 제2 샘플링 신호를 논리-앤드하여 상기 제1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신호의 하이 구간은 상기 공통전압의 상기 기준 레벨 구간보다 작거나 같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출력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출력개시신호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기준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개시신호의 폴링 시점부터 다음 라이징 시점까지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카운팅값이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카운팅값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구간에서 상기 마스킹 신호를 하이 상태로 출력하는 신호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생성부는 상기 마스킹 신호와 상기 제2 샘플링 신호를 논리-앤드하여 상기 제1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는 상기 표시패널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스캔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다수의 스캔 라인; 및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리드아웃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 회로는,
    각각 대응하는 리드아웃 라인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센싱 신호가 상기 기준전압보다 크면 출력전압을 상승시키는 다수의 오피-앰프;
    상기 다수의 오피 엠프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제1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전압을 상기 충전부로 제공하는 샘플링부;
    스위칭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리드아웃부; 및
    상기 리드아웃부에 상기 스위칭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영상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n번째(n은 1 이상의 자연수)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에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고, n+1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스캔 신호의 공급을 중지하는 센서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 회로는,
    상기 n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1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센싱 신호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를 감하여 정상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정상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는,
    제1 프레임 메모리;
    제2 프레임 메모리;
    센싱 프레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 결과에 따라 프레임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
    상기 프레임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n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수신된 상기 센싱 신호를 상기 제1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n+1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수신된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기 제2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센싱 신호에서 상기 노이즈 신호를 감하여 상기 정상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극성반전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서 반전시켜 상기 표시패널로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반전신호의 주기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변경되며,
    상기 선택 신호가 하이 상태이면, 상기 극성반전신호는 두 개의 영상 프레임 이상의 단위로 반전되고, 상기 선택 신호가 로우 상태이면, 상기 극성반전신호는 한 영상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외부 신호를 센싱하여 제1 센싱 신호들을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
    n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에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고, n+1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스캔 신호의 공급을 중지하는 센서 드라이버;
    상기 n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1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센싱 신호에서 상기 노이즈 신호를 감하여 제2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정상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근거로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외부 신호가 제공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신호 생성부는,
    제1 프레임 메모리;
    제2 프레임 메모리;
    센싱 프레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 결과에 따라 프레임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
    상기 프레임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n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제1 센싱 신호를 상기 제1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n+1번째 센싱 프레임 동안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기 제2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제1 센싱 신호에서 상기 노이즈 신호를 감하여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극성반전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공통 전압에 대해서 소정 주기로 반전시켜 상기 표시패널로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반전신호의 주기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외부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들을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는 리드아웃 회로; 및
    상기 리드아웃 회로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신호를 근거로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외부 신호가 제공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변경되며,
    상기 선택 신호가 하이 상태이면, 상기 극성반전신호는 두 개의 영상 프레임 이상의 단위로 반전되고, 상기 선택 신호가 로우 상태이면, 상기 극성반전신호는 한 영상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90110468A 2009-11-16 2009-11-16 표시장치 KR101608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68A KR101608254B1 (ko) 2009-11-16 2009-11-16 표시장치
US12/752,463 US8619020B2 (en) 2009-11-16 2010-04-0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68A KR101608254B1 (ko) 2009-11-16 2009-11-16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793A true KR20110053793A (ko) 2011-05-24
KR101608254B1 KR101608254B1 (ko) 2016-04-12

Family

ID=4401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468A KR101608254B1 (ko) 2009-11-16 2009-11-1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19020B2 (ko)
KR (1) KR101608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506A1 (en) 2010-03-12 2011-09-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WO2011111508A1 (en) * 2010-03-12 2011-09-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riving input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input-output device
KR101912832B1 (ko) * 2011-11-24 2018-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50737B1 (ko) * 2012-02-20 2014-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29427B1 (ko) 2012-06-14 2018-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3941897B (zh) * 2013-01-23 2016-12-2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内嵌式触摸屏及其驱动方法
US9442598B2 (en) * 2013-02-08 2016-09-13 Synaptics Incorporated Detecting interference in an input device having electrodes
KR102215876B1 (ko) 2014-02-03 2021-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TWI672621B (zh) * 2018-07-24 2019-09-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以及感測元件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4187B2 (ja) * 1997-08-08 2003-04-07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および表示一体型座標入力装置
KR100983524B1 (ko) * 2003-12-01 2010-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감지 패널과, 이를 갖는 광감지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EP1605342A3 (en) * 2004-06-10 2010-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133753B1 (ko) * 2004-07-26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62164A (ko) * 2004-12-03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
KR101160828B1 (ko) * 2004-12-23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TWI329296B (en) * 2005-01-25 2010-08-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inversion method
US20070001965A1 (en) * 2005-06-30 2007-01-04 Lg.Philips Lcd Co., Ltd. Driving integrated circui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911444B2 (en) 2005-08-31 2011-03-22 Microsoft Corporation Input method for surface of interactive display
KR101171185B1 (ko) * 2005-09-21 2012-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US7552861B2 (en) 2005-10-04 2009-06-30 Tpo Displays Corp. Display system
KR101441309B1 (ko) 2008-01-28 2014-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90100115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US9927924B2 (en) * 2008-09-26 2018-03-27 Apple Inc. Differential sensing for a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9020B2 (en) 2013-12-31
KR101608254B1 (ko) 2016-04-12
US20110115724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254B1 (ko) 표시장치
KR10132199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1934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61580B1 (ko)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JP5190848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8692180B2 (en) Readout circuit for touch sensor
KR101710657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60600B1 (ko) 터치 스크린 장치
US8797306B2 (en) Display device with optical sensors
KR101746704B1 (ko) 표시장치
US20090073141A1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indicating object
KR20140137096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24529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33532A (ko)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감지신호 처리 방법
KR20120063772A (ko)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노이즈 보상방법
US9013413B2 (en)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00005855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TW201326764A (zh) 光感測裝置及其調整方法
KR101481666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83634A (ko) 터치 스크린 장치
KR10149534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31115B1 (ko) 터치센서 내장형 평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45002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02371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08109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